KR20090131535A -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535A
KR20090131535A KR1020080057460A KR20080057460A KR20090131535A KR 20090131535 A KR20090131535 A KR 20090131535A KR 1020080057460 A KR1020080057460 A KR 1020080057460A KR 20080057460 A KR20080057460 A KR 20080057460A KR 20090131535 A KR20090131535 A KR 2009013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rend
fixed
rotary table
alignmen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594B1 (ko
Inventor
구윤섭
조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to KR102008005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회전테이블의 측부에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지지면에 설치되고 작업할 피용착물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피용착물 공급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테이블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중의 피용착물이 그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형 부재로서, 피용착물의 위치를 고정지그에 놓여질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정렬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피용착물을 정렬부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정렬부에서 정렬된 피용착물을 상기 고정지그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의 고정지그에 피용착물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피용착물을 고정지그의 홈에 삽입하기 전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두어 그만큼 피용착물의 안착이 정확하므로 불량의 발생이 거의 없고 생산속도를 매우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80057460
용착물, 초음파용착, 정렬, 정위치

Description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Automatic transferring device for pre-weldment}
본 발명은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용착이란 상호 융착시킬 플라스틱 사출물을 접촉시킨 상태로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접촉면이 진동에 의한 순간적인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유도하고 용융된 접촉면이 상호 융접되게 하는 가공방법으로서 접합면이 깔끔하고 용착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 각종 플라스틱 부품의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이러한 초음파 용착은, 그 구조상 일체형으로 한 번에 성형할 수 없는 형상의 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분리된 부품을 상호 용접할 때 주로 사용한다.
상기 초음파 용착을 위해 사용되는 초음파 용착장치에는, 피용착물이 안착되는 지그와 상기 지그에 올려 있는 피용착물을 가압하며 초음파 가열하는 가하는 용착혼이 포함된다.
도 1에 종래의 초음파 용착장치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초음파 용착장치(10)는, 이를테면 평평한 작업대 위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고정되며 외부 동력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용착기(14)와,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 위치하고 작업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피용착물을 지지하는 고정지그(24)를 포함한다.
상기 용착기(14)는 수직의 컬럼(16)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지그(24)의 연직 상부 지점에 용착혼(20)을 갖는다. 상기 용착혼(20)은 고정지그(24)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며 하강하여 피용착물을 가압하며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용착을 수행한다.
상기 용착혼(20)은 하강하여 고정지그(24)에 올려져 있는 피용착물을 용착하고, 용착 완료 후 상승하여 (고정지그로부터 비켜줌으로써) 작업자가 고정지그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취출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지그(24)는 용착할 피용착물을 그 상면의 홈(24a)에 수용 지지한다. 상기 고정지그(24)에 피용착물을 올리는 방법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융착후 고정지그(24)에서 피가공물을 꺼내는 것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초음파 용착장치는, 고정지그(24)에 피용착물을 올려놓는 작업과 고정지그(24)로부터 용착이 완료된 가공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자가 베이스(12) 앞에 지켜서서 예컨대 바구니에 들어 있는 가조립된 피용착물을 집어 고정지그의 홈(24a)에 일일이 삽입하여야 하고, 용착혼(20)이 올라간 순간 뜨거운 상태의 피가공물을 손으로 꺼내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힘들고 피곤한 과정으로서 시간이 지날수록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함은 물론, 특히 피용착물이 홈(24a)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용착혼(20)에 피용착물이 눌려 찌그러져 파손된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파손된 피용착물을 폐기처리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작업자가 아무리 숙달되었다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용착혼의 속도에 보조를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의 고정지그에 피용착물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피용착물을 고정지그의 홈에 삽입하기 전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두어 그만큼 피용착물의 안착이 정확하므로 불량의 발생이 거의 없고 생산속도가 매우 빠른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수평의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되 회전테이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테이블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그에 안착되는 피용착물을 초음파 용착하는 용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음파 용착장치의 측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용착물을 상기 고정지그측으로 연속 공급하여 피용착물이 상기 고정지그에 지지된 상태로 용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테이블의 측부에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지지면에 설치되고 작업할 피용착물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피용착물 공급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테이블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중의 피용착물이 그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형 부재로서, 피용착물의 위치를 고정지그에 놓여질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정렬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 를 통해 공급된 피용착물을 정렬부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정렬부에서 정렬된 피용착물을 상기 고정지그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의 지지면상에 상호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피용착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벨트를 구비한 콘베이어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온 피용착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피용착물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 또는 홈을 가지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있는 상태의 피용착물과, 피용착물이 안착될 고정지그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판블록과, 상기 평판블록의 상면에 구비되며 피용착물이 평판블록에 놓여질 때 피용착물의 구멍이나 홈에 삽입됨으로써 피용착물의 위치를 정위치시키는 정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스토퍼에 걸려있는 피용착물과 평판블록에 놓여져 대기하고 있는 피용착물을 흡착한 상태로 상승 후 수평 이동하고 하강하여, 스토퍼에 걸려 있던 피용착물을 상기 평판블록에 올리고 평판블록에 놓여져 있던 피용착물을 고정지그에 올리는 두 개의 흡착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의 고정지그에 피용착물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피용착물을 고 정지그의 홈에 삽입하기 전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두어 그만큼 피용착물의 안착이 정확하므로 불량의 발생이 거의 없고 생산속도를 매우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를 초음파 용착장치(40)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로서 그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초음파용착장치(40)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부가 비어져 있는 박스형 프레임(42)과, 상기 프레임(42)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외부동력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용착기(14)와, 상기 용착기(14)의 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회전테이블(22)과, 상기 회전테이블(22)을 일정각도씩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26)와, 상기 회전테이블(22)의 상면에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지그(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테이블(22)의 일측 상부에는 취출부(28)와 배출슬라이드(44)가 구비된다.
상기 용착기(14)는 수직의 컬럼(16)에 의해 유지되며 회전테이블(22)의 상부에 용착혼(20)을 갖는다. 상기 용착혼(20)은 고정지그(24)의 이송경로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지그(24)는 액츄에이터(26)의 동작에 의해 스텝별로 회전 중 용착혼(20)의 연직 하부를 통과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지그(24)는 용착할 피용착물을 그 상면의 홈(24a)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테이블(22)의 스텝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씩 회전하며 상기 용착혼(20)의 연직 하부를 통과한다. 상기 용착혼(20)은 그 하부에 피용착물이 도달한 순간 하강하여 피용착물을 가압하며 초음파를 가해 피용착물을 용착시킨다.
용착이 완료된 후 용착혼(20)이 상승하면 회전테이블(22)이 한 스텝 회전하고 그 다음 피용착물이 용착혼(20)의 연직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용착혼(20)을 빠져나온 피용착물은 취출부(28)의 흡착헤드(28d)의 하부에 도달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취출부(28)는 용착이 완료된 피용착물을 고정지그(24)로부터 들어올려 배출슬라이드(44)에 놓는 역할을 한다. 상기 취출부(28)는 프레임(42)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블록(28c)과, 상기 고정블록(28c)의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로드(28b)와, 상기 가이드로드(28b)를 따라 왕복하는 왕복블록(28a)과, 상기 왕복블록(28a)에 구비되며 승강운동을 통해 피용착물을 흡착해 올리는 흡착헤드(28d)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공급장치는, 상기 회전테이블(22)의 측부에 구비되는 정렬부(50)와, 상기 정렬부(50)의 측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피용착물을 일정속도로 이송하는 공급콘베이어(46)와, 상기 공급콘베이어(46)를 통해 이송되어온 피용착물을 상기 정렬부(50)를 경유하여 고정지그(24)의 홈(24a)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54)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콘베이어(46)와 정렬부(50)와 이송부(54)는 프레임(42)의 지지면(42a)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2)의 한쪽 측벽(42b)에는 사각의 관통구멍(42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2c)은 배출슬라이드(44)를 하향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공급콘베이어(46)는, 지지면(42a)에 대해 일정높이를 가지며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46a)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6a)의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속도로 순환운동 하는 벨트(46b)와, 상기 벨트(46b)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는 콘베이어구동모터(48)를 포함한다.
상기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46a)은 그 높이가 벨트(46b)보다 높고 또한 피용착물(31)을 눕혀진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소폭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46b)를 따라 이동하는 피용착물(31)은 가이드프레임(46a)에 가이드 되며 이송 중 가지런히 정렬된다.
상기 콘베이어구동모터(48)를 통한 벨트(46b)의 회전운동은 공지의 일반적인 벨트식 콘베이어와 동일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프레임(46a)의 단부에는 스토퍼(46d)가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46d)는 벨트(46b)를 따라 이송되어온 피용착물(31)을 그 자리에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용착물(31)이 가벼운 플라스틱이고 또한 벨트(46b)와의 마찰은 무시할 수 있으므로, 피용착물(31)이 스토퍼(46d)에 의해 정지되더라도 하부의 벨트(46b)는 순환운동을 계속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46d)의 측부에 상기한 정렬부(50)가 위치한다. 상기 정렬부(50)는 피용착물(31)이 놓여지는 블록형 부재이다. 즉 후술할 이송부(54)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46d)에 걸려있는 피용착물(31)이 고정지그(24)로 이동하는 과정에 서 경유하는 블록형 부재이다. 상기 피용착물(31)은 정렬부(50)의 정렬블록(도 3의 50a)에 놓여지면서 정확한 방위로 정위치된다.
상기 정렬부(50)는, 사각 블록의 형태를 취하며 평평한 상면을 갖는 정렬블록(50a)과, 상기 정렬블록(50a)의 상면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정렬돌기(50b)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돌기(50b)는 피용착물(31)의 관통구멍(32b)에 끼워짐으로서 정렬블록(50a)에 놓여지는 피용착물(31)을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렬돌기(50b)의 외측면은 피용착물(31)의 내측면에 접한다.
따라서 관통구멍(32b)을 정렬돌기(50b)의 연직 상부에 맞춘 상태로 피용착물(31)을 놓으면 상기 정렬돌기(50b)가 관통구멍(32b)에 끼워지며 피용착물(31)이 정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정렬돌기(50b)의 상측부에는 경사면(50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50c)은 사각뿔의 형태를 취하며 관통구멍(32b)에 대한 정렬돌기(50b)의 삽입을 원활히 가이드 한다.
상기 이송부(54)는, 지지면(42)에 고정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고정블록(54a)과, 상기 고정블록(54a)의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로드(54c)와, 상기 가이드로드(54c)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가이드로드(54c)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블록(54b)과, 상기 이송블록(54b)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듀얼헤드(56)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블록(54b)의 왕복운동과 듀얼헤드(56)의 승강운동은 공지의 공압실린더를 통해 구현된다. 상기 이송블록(54b)의 왕복운동 경로는 상기 벨트의 이송경로와 직교한다.
상기 듀얼헤드(56)에는 두 개의 흡착노즐(56a,56b)이 포함된다. 상기 흡착노즐(56a,56b)은 동시에 승강 및 수평운동하며 상기 스토퍼(46d)에 걸려 있는 피용착물(31)을 흡착하여 고정지그(24)의 홈(24a)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벨트(46b)에 멈추어 대기하고 있는 피용착물(31)은 먼저 정렬블록(50a)을 경유하여 고정지그(24)로 이송된다. 상기 흡착노즐(56a,56b)의 작동 원리는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여하튼 이송부(54)의 동작에 의해 고정지그(24)에 안착된 피용착물(31)은 용착혼(20)의 연직 하부에 도달하여 용착된 후 취출부(28)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취출부(28)는 홈(24a)에 삽입되어 있는 피용착물을 흡착하여 상승한 후 배출슬라이드(44)에 떨어뜨린다. 상기 배출슬라이드(44)로 낙하한 피용착물은 프레임(42)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각 흡착노즐(56a,56b)이 하나씩의 피용착물(41)을 흡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노즐(56a,56b)을 하강하면 도면상 좌측 피용착물(31)은 정렬블록(50a)에 정위치되고, 우측의 피용착물은 홈(24a)에 안착된다.
상기 피용착물(31)은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상부에 융착될 커버(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2)와 커버(34)는 가조립된 상태로 흡착 이송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32)의 일측에는 관통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 멍(32b)은 사각의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 정렬돌기(50b)가 끼워진다.
사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용착물 정렬 공급장치는, 피용착물에 관통구멍이나 홈이 형성되어 있을 것을 요구한다. 즉 관통구멍이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피용착물의 자동 공급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홈은 정렬돌기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개방되며 어느 정도의 깊이를 가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렬돌기를 홈에 진입시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계한다면, 관통구멍이 아닌 홈이 있는 피용착물도 본 실시예의 정렬 공급장치로 얼마든지 공급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46b)와 정렬블록(50a)에 피용착물(31)이 대기하고 있으며, 상기 정렬블록(50a)의 측부에는 홈(24a)이 비어 있는 고정지그(24)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흡착노즐(56a,56b)을 하강시켜 벨트(46b)와 정렬블록(50a)에 놓여있는 피용착물(31)을 흡착한 후, 도 4b의 화살표 p방향을 따라 상승 및 수평 이동시켜 일측 흡착노즐(56a)이 정렬블록(50a)의 연직 상부에, 타측 흡착노즐(56b)이 고정지그(24)의 연직 상부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흡착노즐(56a,56b)이 피용착물(31)을 각각 흡착한 상태로 정렬블록(50a)과 고정지그(24)의 연직 상부에 도달하였다면, 각 흡착노즐(56a,56b)을 하강시켜 도면상 좌측 피용착물(31)이 정렬블록(50a)에 정위치되게 하고 우측의 피용 착물(31)이 홈(24a)에 안착되게 한다. 그동안 벨트(46b)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다다음에 투입될 피용착물(31)이 스토퍼(46d)에 걸려 대기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도 4c 참조)
상기 과정을 거쳐 피용착물(31)이 고정지그(24)에 투입되었다면 흡착노즐(56a,56b)을 화살표 q방향으로 복귀시켜, 벨트(46b)에 놓여져 있는 피용착물과 정렬블록(50a)에 정위치되어 있는 피용착물(31)을 흡착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장치를 실제 생산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해본 결과, 생산속도가 종래의 공급장치에 비해서 6배 내지 10배정도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초음파용착장치(도 2의 40)를 다수개 설치할 경우 생산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 용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를 초음파 용착장치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초음파용착장치 12:베이스 14:용착기
16:컬럼 20:용착혼 22:회전테이블
24:고정지그 24a:홈 26:액츄에이터
28:취출부 28a:왕복블록 28b:가이드로드
28c:고정블록 28d:흡착헤드 31:피용착물
32:본체 32b,42c:관통구멍 34:커버
42:프레임 42a:지지면 42b:측벽
44:배출슬라이드 46:공급콘베이어 46a:가이드프레임
46b:벨트 46d:스토퍼 48:콘베이어구동모터
50:정렬부 50a:정렬블록 50b:정렬돌기
50c:경사면 54:이송부 54a:고정블록
54b:이송블록 54c:가이드로드 56:듀얼헤드
56a,56b:흡착노즐

Claims (4)

  1.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수평의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되 회전테이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테이블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그에 안착되는 피용착물을 초음파 용착하는 용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음파 용착장치의 측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용착물을 상기 고정지그측으로 연속 공급하여 피용착물이 상기 고정지그에 지지된 상태로 용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테이블의 측부에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지지면에 설치되고 작업할 피용착물을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는 피용착물 공급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테이블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중의 피용착물이 그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형 부재로서, 피용착물의 위치를 고정지그에 놓여질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정렬부와;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와 회전테이블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피용착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피용착물을 정렬부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정렬부에서 정렬된 피용착물을 상기 고정지그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의 지지면상에 상호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피용착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벨트를 구비한 콘베이어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온 피용착물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용착물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 또는 홈을 가지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있는 상태의 피용착물과, 피용착물이 안착될 고정지그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판블록과,
    상기 평판블록의 상면에 구비되며 피용착물이 평판블록에 놓여질 때 피용착물의 구멍이나 홈에 삽입됨으로써 피용착물의 위치를 정위치시키는 정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스토퍼에 걸려있는 피용착물과 평판블록에 놓여져 대기하고 있는 피용착물을 흡착한 상태로 상승 후 수평 이동하고 하강하여, 스토퍼에 걸려 있던 피용착물을 상기 평판블록에 올리고 평판블록에 놓여져 있던 피용착물을 고정지그에 올리는 두 개의 흡착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KR1020080057460A 2008-06-18 2008-06-18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KR10094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60A KR100949594B1 (ko) 2008-06-18 2008-06-18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60A KR100949594B1 (ko) 2008-06-18 2008-06-18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535A true KR20090131535A (ko) 2009-12-29
KR100949594B1 KR100949594B1 (ko) 2010-03-25

Family

ID=416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460A KR100949594B1 (ko) 2008-06-18 2008-06-18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6320A (zh) * 2017-11-16 2018-03-30 铭板精密科技(中山)有限公司 一种新型热熔设备
KR20230045441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로보스타비에스디 고속 단품 정렬기
KR102553076B1 (ko) * 2023-03-06 2023-07-07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가스용접 자동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65B1 (ko) * 2018-01-10 2018-09-05 노희인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793B1 (ko) * 1994-03-16 1996-04-13 현대정공주식회사 화물운송 컨테이너용 판넬의 용접 장치 및 방법
KR200371632Y1 (ko) * 2004-10-04 2005-01-03 손흥수 초음파 용착물 조립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6320A (zh) * 2017-11-16 2018-03-30 铭板精密科技(中山)有限公司 一种新型热熔设备
KR20230045441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로보스타비에스디 고속 단품 정렬기
KR102553076B1 (ko) * 2023-03-06 2023-07-07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가스용접 자동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594B1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41B1 (ko) 스프링삽입장치
KR200464584Y1 (ko) 판체를 갖는 사출물 절단 및 포장장치
KR100949594B1 (ko) 자동식 피용착물 정렬 이송장치
CN108750235A (zh) 激光加工二维码在线切割打标检测包装自动化生产方法
CN110919347A (zh) 一种电子烟自动组装转盘式拼接机构
CN108581230A (zh) 一种激光加工二维码在线切割打标检测包装自动化生产线
CN111531238A (zh) 一种变压器焊接组装一体化生产线
CN110654600A (zh) 电饭煲包装生产线
CN112017884A (zh) 一种电磁开关生产方法及其生产设备
CN113334076A (zh) 电动撑杆芯杆组装设备
CN114348596B (zh) 一种自动焊接组装包装机
CN109532052B (zh) 全自动导管先端熔头系统
CN211982141U (zh) 五磁路自动组装生产线
CN105314139A (zh) 拉头自动上挂机
CN115383456B (zh) 一种喷油嘴自动化组装系统
CN110620006A (zh) 一种绕线设备
CN112123800B (zh) 眼镜腿插针设备
CN211540201U (zh) 一种电子烟自动组装转盘式拼接机构
CN114538076A (zh) 一种手机band下U件上料机构
CN215316797U (zh) 一种全自动组装设备
CN213337398U (zh) 一种pcba电路板缺陷检测装置
KR102156830B1 (ko) 스테이터 코어용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방법
JPH04169419A (ja) 板状ワークの搬送装置
CN112309778A (zh) 平板式保险丝自动装配机及平板式保险丝自动装配方法
KR10118416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크리닝 및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