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306A -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 Google Patents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306A
KR20090128306A KR1020080089595A KR20080089595A KR20090128306A KR 20090128306 A KR20090128306 A KR 20090128306A KR 1020080089595 A KR1020080089595 A KR 1020080089595A KR 20080089595 A KR20080089595 A KR 20080089595A KR 20090128306 A KR20090128306 A KR 2009012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exposed surface
small animal
road
side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경
Original Assignee
윤종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경 filed Critical 윤종경
Priority to KR102008009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307A/ko
Priority to KR1020090043857A priority patent/KR100944406B1/ko
Priority to PCT/KR2009/002876 priority patent/WO2009151224A2/ko
Priority to CN2009801220468A priority patent/CN102057107A/zh
Publication of KR2009012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본체에 통로를 확보하여 소형동물들이 도로에서 주변의 자기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서, 소형동물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여 주는 동시에 동물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자연친화적인 도로용 경계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은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갖도록 경계석 본체(10)를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소형동물, 도로, 보도, 도로용 경계석,

Description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omitted}
본 발명은 도로와 보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 진입한 각종의 소형동물들이 주변의 자기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용 경계석은 도심지의 경우 춤이 낮은 도로와 춤이 높은 보도의 경계를 구획하는 용도로 설치 사용되고 있고, 외곽지의 경우 춤이 낮은 도로와 주변의 들이나 야산과 접한 노지의 경계를 구획하는 용도로 설치 사용되고 있다.
한편, 외곽지의 도로(이하에서는 "도로"로 통칭함)에는 주변의 들이나 야산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각종의 동물들이 진입하여 사고로 희생되는 사례들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바, 도로용 경계석을 스스로 뛰어넘을 수 있는 멧돼지, 고라니, 토끼, 다람쥐 등의 중,대형동물들에 비해, 도로용 경계석을 스스로 뛰어넘을 수 없는 개구리, 도마뱀 등의 소형동물들의 생존률이 낮다.
왜냐하면, 도로에 진입한 중,대형동물들은 주로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로 인해 죽거나 부상을 당하게 되는데, 도로에 진입한 소형동물들은 차량과 충돌하는 사 고로 죽거나 부상을 당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도로용 경계석을 스스로 뛰어넘지 못하고 생존환경이 가혹한 도로를 따라 이리저리 헤매다 결국은 죽게 되므로, 도로상에서 중,대형동물들에 비해 소형동물들의 생존률이 크게 낮아져서, 소형동물들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소형동물들을 먹이로 하는 중,대형동물들까지 생존하기 어려워져서 동물 생태계가 교란될 염려가 상존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로에 진입한 소형동물들이 도로용 경계석을 넘어서 주변의 자기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대안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경계석 본체에 통로를 확보하여 소형동물들이 도로에서 주변의 자기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소형동물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여 주는 동시에 동물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자연친화적인 도로용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도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갖도록 경계석 본체(10)를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1)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1)은, 도로에 설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 도로에 진입한 소형동물(A)들이 소형동물용 통로(20)를 통하여 주변의 자기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에 진입한 소형동물들이 도로용 경계석에 막혀서, 주변의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고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로 죽거나 부상을 당하고, 생존환경이 가혹한 도로를 따라 이리저리 헤매다 죽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주므로, 소형동물을 보호하여서 개체수가 감소 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주며, 소형동물을 먹이로 하는 중,대형동물들이 생존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서 동물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도로용 경계석(1)은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하여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전방측 노출면(11), 전방측 노출면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측 노출면(12), 전방측 노출면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측 접지면(13), 상측 노출면과 하측 접지면의 후방에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후방측 매립면(14)을 갖도록 경계석 본체(10)를 형성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에 서 상측 노출면(12)을 향해 경사지는 소형동물용 통로(20)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고강도의 콘크리트 또는 대리석 등을 소재로 성형하여서 외적인 충격이나 하중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은 매끄럽게 표면처리하여, 해당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 시공된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미려해 보이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그 길이가 긴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소형 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에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요입 경사지는 경사면(21)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에 따르면, 그 길이가 긴 경계석 본체(10)의 중간에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면(21)으로 형성되는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가져서, 기본적으로 소형동물(A)이 도로에서 자기 서식처로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게 하여 줌을 물론이고, 해당 설치위치에 소형동물들의 출현횟수에 맞추어 통상의 도로용 경계석(2)과 자유롭게 배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소형동물(A)의 출현 횟수가 많은 지역의 도로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 만으로 반복해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소형동물(A)의 출현 횟수가 적은 지역의 도로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도로용 경계석(1)과 통상의 도로용 경계석(2)을 교대로 배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에는 미끄럼방지용 주름(21a)들이 반복되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 미끄럼방지용 주름(21a)은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에 올라선 소형동물(A)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양측 내벽면과 만나는 내측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의 모서리는 완만하게 모따기(B)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 모따기(B)는 본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과 직각으로 만나는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의 모서리에 이동 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부딪혀서 손상되는 일이 발생됨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 입구쪽 양측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 입구쪽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면을 지향하도록 구비되어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이 운전자의 정면으로 반사되게 하여 시인성을 높여 주므로, 야간에 운전자의 주의를 확실하게 환기시켜서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 입구쪽 양측 내벽면에 접착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반사시이트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 면(21) 입구쪽 양측 내벽면에 도포하여서 구비되는 반사도료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그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통로용 파이프(22)를 경사지게 관통 매립시킨 구조로서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경계석 본체(10)의 중간에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게 관통 매립되는 통로용 파이프(22)로 형성된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서, 기본적으로 소형동물(A)이 도로에서 자기 서식처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소형동물(A)의 이동 중에 안전을 위협하는 각종의 외적 위험요인을 회피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용 파이프(22)는 주름파이프(22a)로 만들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를 통과하는 소형동물(A)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통로용 파이프(22)는 원통형의 주름파이프, 타원형의 주름파이프, 사각형의 주름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 입구쪽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 입구쪽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면을 지향하도록 구비 되어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이 운전자의 정면으로 반사되게 하여 시인성을 높여 주므로, 야간에 운전자의 주의를 확실히 환기시켜서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 입구쪽 내벽면에 접착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반사 시이트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 입구쪽 내벽면에 도포하여서 구비되는 반사도료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그 길이가 긴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어느 일측단에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게 트여지는 경사홈(23)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경계석 본체(10)의 일측단에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게 트여지는 경사홈(23)으로 된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서, 기본적으로 소형동물(A)이 도로에서 자기 서식처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소형동물(A)이 이동 중에 안전을 위협받게 외적 요인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경계석 본체(10)의 일측단을 절삭가공하여 비교적 간편하게 소형동물용 통로(20)를 형성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양측단에 각각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의 후방에 걸쳐서 경사지게 트여지는 경사홈(23)으로 형성하여서, 도로와 보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1) 상호간에 경사홈(23)이 서로 만나서 소형동물(A)이 더욱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2배로 넓은 통로를 확보하여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은 도 11a에서와 같이 정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은 도 11b에서와 같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 입구쪽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 입구쪽에서 차량 운전자의 정면을 지향하도록 구비되어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이 운전자의 정면으로 반사되게 하여 시인성을 높여 주므로, 야간에 운전자의 주의를 확실히 환기시켜서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 입구쪽 내벽면에 접착 고정시켜서 구비되는 반사시이트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재(C)는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 입구쪽 내벽면에 도포하여서 구비되는 반사도료일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그 길이가 긴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는 경사면(24)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가 짧은 경계석 본체(1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에 걸쳐서 완만히 경사지게 형성된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 기본적으로 소형동물(A)이 도로에서 자기 서식처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줌은 물론이고, 도 14에서와 같이 통상의 도로용 경계석(2)들 사이에 끼워서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4)에는 미끄럼방지용 주름(24a)들이 반복되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4)에 올라선 소형동물(A)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하게 할 수도 있음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도로용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다른 도로용 경계석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에의 다른 도로용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홈을 예시한 것임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3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4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도로용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로용 경계석 10: 경계석 본체
11: 전방측 노출면 12: 상측 노출면
13: 하측 접지면 14: 후방측 매립면
20: 소형동물용 통로 21: 경사면
22: 통로용 파이프 23: 경사홈
24: 경사면 A: 소형동물
B: 모따기 C: 반사재

Claims (12)

  1.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전방측 노출면(11)과 상측 노출면(12)을 갖도록 경계석 본체(10)를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에서 상측 노출면(1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동물용 통로(2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 중간에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요입 경사지는 경사면(21)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에는 미끄럼방지용 주름(21a)들이 반복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1) 입구쪽 양측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통로용 파이프(22)를 경사지게 관통 매립시킨 구조로서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용 파이프(22)는 주름파이프(22a)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통로용 파이프(22) 입구쪽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어느 일측단에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게 트여지는 경사홈(23)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양측단에 각각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의 후방에 걸쳐서 경사지게 트여지는 경사홈(23)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홈(23) 입구쪽 내벽면에 반사재(C)가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전방측 노출면(11)의 하부에서 상측 노출면(12)까지 경사지는 경사면(24)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동물용 통로(20)의 경사면(24)에는 미끄럼방지용 주름(24a)들이 반복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20080089595A 2008-06-10 2008-09-11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20090128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916A KR20090128307A (ko) 2008-06-10 2008-09-19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20090043857A KR100944406B1 (ko) 2008-06-10 2009-05-20 소형동물 보호용 도로 경계석
PCT/KR2009/002876 WO2009151224A2 (ko) 2008-06-10 2009-05-29 소형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도로용 경계석
CN2009801220468A CN102057107A (zh) 2008-06-10 2009-05-29 可使小型动物通过的道路用边界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4185 2008-06-10
KR1020080054185 2008-06-10
KR1020080065876 2008-07-08
KR20080065876 2008-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306A true KR20090128306A (ko) 2009-12-15

Family

ID=4168874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95A KR20090128306A (ko) 2008-06-10 2008-09-11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20080091916A KR20090128307A (ko) 2008-06-10 2008-09-19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20090043857A KR100944406B1 (ko) 2008-06-10 2009-05-20 소형동물 보호용 도로 경계석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916A KR20090128307A (ko) 2008-06-10 2008-09-19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20090043857A KR100944406B1 (ko) 2008-06-10 2009-05-20 소형동물 보호용 도로 경계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090128306A (ko)
CN (1) CN1020571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819A (zh) * 2012-08-08 2012-11-14 北京四方如钢混凝土制品有限公司 路缘石
CN102776818A (zh) * 2012-08-08 2012-11-14 北京四方如钢混凝土制品有限公司 路缘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116Y1 (ko) * 1989-10-21 1992-02-10 이철우 도로경계석
JP2594890B2 (ja) * 1994-12-22 1997-03-26 コーアツ工業株式会社 道路用路肩ブロックの構造
JPH1136252A (ja) 1997-07-22 1999-02-09 Erufuasu:Kk 法肩の構造
KR200236328Y1 (ko) * 2001-03-31 2001-10-10 제일산업 주식회사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307A (ko) 2009-12-15
KR20090128321A (ko) 2009-12-15
CN102057107A (zh) 2011-05-11
KR100944406B1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860812B1 (fr) Vehicule de chantier presentant une visibilite vers l'avant amelioree
KR100874675B1 (ko) 시선 유도용 야광 고무판이 구비된 도로 경계석
KR20100123343A (ko) 가드펜스
KR20090128306A (ko) 소형동물의 이동이 가능한 도로용 경계석
KR100665496B1 (ko) 도로 안전시설물을 위한 가드
KR200483212Y1 (ko) 중앙 분리대
KR100889319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JP3626231B2 (ja) 動物の自動車道路への侵入防止構造
KR101183030B1 (ko)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CN210657836U (zh) 单孔双向两车道左右共享紧急停车带的隧道结构
JP2000073440A (ja) 小動物保護側溝−トンネルシステムと小動物保護用側溝
KR101085486B1 (ko) 기 시공 경계석의 소형동물 이동통로 형성방법
KR100948974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200406878Y1 (ko) 흡음 도로 경계석
KR20110004365U (ko)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계펜스
JP5062447B2 (ja) フェンス
KR20080091619A (ko) 도로 안전시설물을 위한 가드
WO2009151224A2 (ko) 소형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도로용 경계석
KR20110085759A (ko) 동물접근차단용 펜스결합체
JP4442731B1 (ja) 標示具
ES1289254U (es) Sistema de barrera de seguridad de carretera
KR200320529Y1 (ko) 반사체가 결합된 경계블럭
JP3058222U (ja) 道路用縁石
KR200346161Y1 (ko) 터널 경계석용 안전표지
KR101637807B1 (ko) 생태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