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492A -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492A
KR20090127492A KR20080053503A KR20080053503A KR20090127492A KR 20090127492 A KR20090127492 A KR 20090127492A KR 20080053503 A KR20080053503 A KR 20080053503A KR 20080053503 A KR20080053503 A KR 20080053503A KR 20090127492 A KR20090127492 A KR 2009012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ment
polymer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032B1 (ko
Inventor
허정도
Original Assignee
허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도 filed Critical 허정도
Priority to KR2008005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4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dihydrated gypsum before the final hardening step, e.g. forming a dihydrated gypsum product followed by a de- and rehydr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4Water dispersi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흙 고화물의 휨과 인장강도를 개선하고 동시에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며, 알카리성의 독성과 건조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골재 10-70 중량부, 모래 10-40 중량부, 흙 10-50 중량부, 시멘트 5-20 중량부, 폴리머 고형분이 0.1-70 중량부인 폴리머 수용액 1-20 중량부, 혼화제 0.1-3 중량부와 물 5-20 중량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물에 압축강도를 더욱 부여하기 위해서 보강섬유 5-30 중량부, 석고 2-20 중량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 플라이애쉬 2-8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6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 중 일부나 전부를 더욱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종 색깔의 무기 또는 유기 안료 1-20 중량부를 상기 조성물에 더욱 추가하거나 건설된 구조물이나 포장표면에 코팅함으로서 보다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게 하는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가 제공된다.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건설구조물, 도로포장, 연약지반보강, 등

Description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Composition of Soil-Polymer-Cement Concretes using Principles of Polymer Cement Concretes}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기술은 건설 구조물, 도로포장 및 연약지반보강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며 이들 재료는 상기용도에 적용되어 구조물을 만들거나 도로를 시공하거나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목적에 사용된다. 여기서 건설 구조물이란 식생블록이나 호안블록과 같은 파워투수블록, 보강토 옹벽 블록, 보도블록, 건축용 블록, 인터로킹, 경계석, 등을 말하고, 도로포장이란 자전거도로, 소형차로, 공원, 운동장, 인도, 산책로 등을 말하며, 연약지반보강이란 건축, 토목 및 도로조성용 연약지반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여 지반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종래에는 구조물 (예를 들어, 식생블록이나 호안블록과 같은 파워투수블록, 보강토 옹벽 블록, 보도블록, 건축용 블록, 인터로킹, 경계석, 등)이나 도포포장에 시멘트콘크리트가 경제성, 내화성 및 강도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흔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주위환경에 어울리지 않는 회색 색깔, 압축강도에 비하여 극히 작은 인장강도나 휨강도, 과도한 건조수축, 취약한 내약품성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시멘트에 기초한 흙 고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흙 고화 기술은 인장강도와 휨강도를 어느 정도 향상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통상 건설 구조물이 요구하는 강도는 최소 210kg/cm2 이상이며, 시멘트의 알카리 독성완화를 위해 PH는 7-9 사이가 요구되나 기존의 흙 고화 제품은 상기 기준에 못 미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따라서 흙 고화 제품은 지금껏 이러한 기준이 엄격히 적용되지 않는 도로포장에 주로 응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도로포장뿐만 아니라 건설 구조물에 응용하기 위하여 자연친화적인 흙의 질감과 색깔발현, 압축, 인장 및 휨강도의 개선, 그리고 중성에 가까운 PH 값을 가지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흙의 질감과 색깔을 보유하면서 기존 시멘트콘크리트의 장점인 고강도, 내화성 및 경제성을 만족하며 동시에 시멘트 콘크리트의 약점인 인장 강도나 휨강도를 훨씬 향상시키고, 건조수축도 비교적 적고, 내약품성도 뛰어난 흙 고화 구조물이나 흙 고화 도로포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도증진 목적에 시멘트 이외에 골재와 보강섬유가 도입되며, 효과적인 강도 증진을 위해서 골재는 골재 입도와 분포도를 가진다. 또한 인장 강도와 휨강도의 증진과 건조수축 감소의 목적에 흙 이외에 폴리머 수용액이 사용되며, 특히 시멘트의 알카리성을 중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음이온의 폴리머 수용액, 음이온 계면활성제, 석고와 고로 슬래그가 사용된다. 자연적인 질감과 색상을 내기 위한 흙의 종류로서 주로 마사토가 강력 추천되는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흙 고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 10-0290051은 흙(점성토, 사질토)에 시멘트, 골재, 혼화제 및 소량의 수용성 아크릴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고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골재 간의 팩킹을 통한 강도증진을 위해 필요한 골재분포도가 결여되어 있고, 폴리머로서 소량의 수용성 아크릴 만을 첨가하고 있고, 그 사용목적이 내마모성 향상에 국한되어 있어 접착, 인장, 휨강도, 방수성, 건조수축 및 균열에 대해 고려가 없다보니, 다른 폴리머 에멀젼이나 수용액의 사용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또한 시멘트 독성을 완화시키는 문제에 대한 고려도 전혀 없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0258133에는 자연 흙에 시멘트와 강도촉진제 (NH4Cl, NaCl, FeCl3, MgCl, KCl, CaCl2)와 물을 사용하고 다짐하여 고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는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접착, 인장, 휨강도, 내마모성, 방수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데 한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및 박리에 대한 저항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울 것이다. 또한 시멘트의 알카리 독성을 완화하는 기술에 대한 고려도 전혀 없다. 골재가 조성물에서 제외됨으로 인하여 흙 고화 제품의 강도에도 한계가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0632705에는 마사토, 시멘트, 슬래그, 석고, CSA, 플라이애쉬, 물,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즈, 안료를 혼합하여 고화시키 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발명에는 폴리머로서 에틸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즈를 사용하여 접착성과 작업성을 개선시키고 있으나 휨강도나 인장강도의 증진에는 의문이 있다. 또한 조성물은 골재를 포함하지 않아 강도증진에 한계가 있고, 강도증진 목적으로 시멘트, 슬래그, 석고, CSA 및 플라이애쉬 첨가량을 높이면, 고가의 조성물이 되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열거한 기존 흙 고화 기술의 문제점들 (열악한 휨과 인장강도, 부족한 압축강도, 자연적인 흙 색깔과 질감의 결여, 시멘트의 독성해소 문제)을 보완하여 건설 구조물이나 도로포장 혹은 연약지반 재료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해결하여야 할 기술적 과제는 상기 용도에 적합한 물리적 성질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성, 접착성, 내구성, 내약품성, 작업성, 균열 및 박리 저항성, 항 알카리성, 방수성, 내마모성, 건조수축의 축소, 등)을 충분히 발현하고 자연친화적인 색감을 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는 흙 고화포장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1/10, 휨강도는 1/7-1/9 정도로, 압축강도에 비하여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너무 약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PCC, Polymer Cement Concrete)의 원리를 흙 고화 기술에 도입하여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만듦으로서 인장강도나 휨강도를 높여 건설 구조물이나 도로포장에 응용하여 원하는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폴리머를 투입하면 충분한 강도를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대두된다. 또한 강도증진을 목적으로 시멘트를 많이 사용하면 시멘트의 알카리 독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흙 고화에 의한 포장이나 건설구조물은 시멘트로 인하여 색상이 퇴색하여 자연색상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머 수용액과 골재 그리고 무기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골재 10-70 중량부, 모래 10-40 중량부, 흙 10-50 중량부, 시멘트 5-20 중량부, 폴리머 고형분이 0.1-70 중량부인 폴리머 수용액 1-20 중량부, 혼화제 0.1-3 중량부와 물 5-20 중량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 압축강도를 더욱 부여하기 위해서 보강섬유 5-30 중량부, 석고 2-20 중량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 플라이애쉬 2-8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6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 중 일부나 전부를 더욱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기 위하여 각종 색깔의 무기 또는 유기 안료 1-20 중량부를 상기 조성물에 추가하거나 건설된 구조물이나 포장표면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기존의 흙 고화물 (흙-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조성물 구성 중 골재는 골재입도와 분포도를 가지며 이로 인해 큰 골재 사이에 작은 골재가 조밀하게 채워져 강도효과를 극대화한다. 종래의 흙 고화포장은 골재 분포도의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못했으며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제안한다. 사용되는 골재는 조골재로서, 조골재의 중량부에 해당하는 것만큼 타 미세재료가 적게 들어감으로,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듦으로 시멘트함량이 적어져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골재의 함량과 분포도가 강도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 머 수용액을 도입하여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고안하였으며 흙 고화물 (흙-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증가하여 쉽게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조성물 간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폴리머로서 고무 라텍스 계열이 강력히 추천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흙 포장의 자연 질감과 색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 시멘트 대신에 백시멘트를 사용하거나 백시멘트와 일반시멘트를 혼합하여 흙 본래의 색깔을 발현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 외에도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며, 고로 슬래그는 약산성이라 시멘트의 알카리성을 완화시키고 수화반응 중에 열 생성이 적어 균열을 억제하고 시멘트의 어두운 색상을 없애는 데 기여하여 건설구조물이나 도로포장 혹은 연약지반보강에 흙 본래의 색상을 재현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이나 포장 혹은 연약지반의 장기 강도를 향상킬 수 있다. 플라이애쉬 시멘트도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장기 강도를 향상시키고 수화반응 중에 열 생성이 적어 건조수축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시멘트들의 조합을 통하거나 아니며 일반 포틀런드 시멘트에 고로 슬래그나 플라이애쉬를 적정량 첨가하여 원하는 용도의 구조물이나 도로포장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골재 크기와 분포도는 제조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와 상관이 있으며 두께가 최대 골재 입도의 2배 이상이 되어야 단단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데 바람직하다. 2배 이하일 경우에는 균열발생 소지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대 골재 크기는 구조물이나 도로포장 혹은 연약지반의 두께에 따라 19mm 혹은 26mm가 사용될 수 있다. 최대 골재 입도의 크기에 따라 다음의 골재분포도가 제안된다. 최대 골재입도가 19mm인 경우에는 19-13.2mm인 골재 20-40 중량부와 13.2-4.75mm인 골재 30-70 중량부와 4.75-2.3mm인 골재 10-30 중량부로 구성되며, 골재 입도가 26mm인 경우에는 26-19mm인 골재 10-30 중량부와 19-13.2mm인 골재 20-40 중량부와 13.2-4.75mm인 골재 15-35 중량부와 4.75-2.3mm인 골재 5-25 중량부로 구성하는 것이 추천된다. 상기 분포도를 가진 골재 10-70 중량부가 조성물에 사용되는 데, 골재 10 중량부 이하는 골재의 강도효과가 거의 없으며, 70 중량부 이상은 골재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서 결합력을 형성하기 어려워 쉽게 부스러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구성 중 모래는 0.01-3mm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진 것이 추천되지만, 미세입자일수록 더욱 좋고 실리카(SiO2) 성분이 많은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시멘트와 잘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순 모래, 자연 모래, 혹은 규사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이 중 규사나 미세 자연 모래가 더욱 바람직하다. 조성물에서 모래가 10-40 중량부 사용되는 데, 10 중량부 이하에서는 그 영향력이 거의 없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마치 시멘트 콘크리트포장과 동일하게 되어 흙 고화물의 자연친화적인 질감을 상실한다.
상기 조성물의 구성 중 흙(마사토, 사질토 혹은 점성토)은 흙의 질감과 색깔을 발현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와 휨강도를 약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흙은 자연친화적인 색상을 낼 수 있으며 가격도 안료에 비하여 훨씬 저렴하다. 따라서 황토색깔을 가지며 모래 알갱이가 섞여있는 마사토가 적극 추천된다. 사질토 혹은 점성토도 사용되나 자연색상을 내기 위해서는 안료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을 것 이다. 상기 흙은 먼지나 이물질 혹은 유기물질이 안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 10-50 중량부가 조성물에 사용되는 데, 10 중량부 이하는 흙 고화물이 아니라 시멘트 콘크리트처럼 되며, 50 중량부 이상이 되면 원하는 강도를 내기가 어렵고, 또한 흙 입자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이를 결합하기 위한 시멘트함량도 훨씬 커져서 비경제적이 된다.
상기 조성물의 구성 중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백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 조강 시멘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시멘트를 말한다. 하나 이상을 사용할 경우에 그 배합비율은 사용용도에 따라 임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를 적당한 시간 내에 경화시키고자 할 경우,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초 조강 시멘트를 원하는 시간 내에 경화되도록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멘트는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결합제 역할을 하며, 시멘트 사용량에 따라 강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상기 시멘트 5-20 중량부가 조성물에 사용되는 데, 5 중량부 이하이면 강도가 너무 작고, 20 중량부 이상이면 비교적 고가임으로 시멘트의 손실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압축강도를 210 kg/cm2 가 요구됨으로 이 강도에 적정한 시멘트함량을 5-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증진을 위해서는 강도증진 재료를 더욱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 모래, 흙 그리고 시멘트만으로 원하는 강도를 낼 수 없는 경우가 많은 데 이 경우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보강섬유 5-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섬유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균열이나 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섬유는 내 알카리성 유리 섬유, 강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나일론 섬유 등),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셀루로오즈 섬유, 폴리비닐알콜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모든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섬유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의 보강효과도 5중량부 이하이면 보강효과가 거의 없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섬유끼리 서로 엉켜 균일한 보강효과를 낼 수 없음으로 오히려 물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강도증진목적으로 무기재료 단독이나 무기재료에 보강섬유를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 무기재료로서는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를 포함시키거나;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시키거나; 보강섬유 5-30 중량부와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를 더욱 포함시키거나; 보강섬유 5-40 중량부와 석고 2-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할 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수축을 더욱 완화시키기 위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6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위 재료의 조성범위에서 하한값은 그 이하에서는 거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값을 나타내며, 상한값은 그 이상에서는 강도증진 효과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거나 경제적으로 현실성이 없는 값을 대변한다. 상기 재료 중 고로 슬래그나 플라이애쉬는 저 알카리성이고, 수화반응 시 수 화열이 적어서 균열을 억제하고,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장기강도를 높이며, 시멘트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일반 포틀런드 시멘트에 첨가하는 대신에, 고로 슬래그 시멘트와 플라이애쉬 시멘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초기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의 골재, 모래, 흙, 시멘트 그리고 강도 보강재의 조성물에 물유리 2-10 중량부와 염화물 (NH4CL, CaCl2, NaCl, FeCl3, MgCl 혹은 KCl) 중 하나를 1-5 중량부 더욱 포함시킬 수 있다. 조성물의 범위 중 하한 값은 초기강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값이며, 상한 값은 강도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없거나 경제적으로 현실성이 없는 값을 나타낸다.
폴리머 수용액은 시멘트와 반응하여 휨강도와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균열이나 파쇄를 방지하고, 건조수축을 완화시키며, 각 조성물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이온 계통의 폴리머 수용액은 알카리성의 시멘트와 반응하여 알카리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폴리머 수용액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수분산형 폴리머이며, 폴리머입자가 물에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 형태를 띄고 있다. 예를 들어, EVA 에멀젼, 폴리아크릴 에멀젼, SBR 라텍스, NBR 라텍스,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등을 말한다. 다른 하나는 수용성 폴리머를 말하며 폴리머가 물에 용해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에폭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즈, 에틸 셀룰로즈,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등이다. 이들 폴리머 수용액은 물속의 고형분이 0.1-70 중량부이다.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에서 폴리머 수용액이 차지하는 용량은 1-20 중량부인 데, 1보다 적으면 폴리머의 기능(접착성, 휨 및 인장강도 증진, 건조수축, 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20보다 크면 기능향상이 멈추며, 압축강도 저하가 현저히 나타나며, 가격상승도 크다.
상기 폴리머 수용액 이외에도 혼화제(0.1-3 중량부)를 사용하여 시멘트의 분산과 경화, 수축 등을 도울 수 있다. 혼화제는 감수제(나프탈렌계, 설폰산계 혹은 폴리칼본산계), 조강제, 계면활성제, 부피 팽창제, 공기 연행제 중 하나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한다. 0.1 중량부 이하에서는 혼화제사용의 의미가 거의 없고, 3 중량부 이상에서는 기능향상이 미미하다.
시멘트가 수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물을 필요로 한다. 물은 5-20 중량부를 사용하는 데, 5 중량부 이하에서는 물이 적어 충분한 수화반응을 할 수 없으며, 20 중량부 이상에서는 물이 너무 많아 구조물이나 도로포장 혹은 연약지반보강의 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화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림으로 실용적이지 않다.
각종 구조물이나 도로포장에 색깔을 부여하기 위해 무기 또는 유기 안료 1-20 중량부를 조성물에 포함시키거나 형성된 구조물이나 포장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1 중량부 이하는 색깔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20중량부에서는 안료의 낭비를 초래한다. 코팅은 외견상 충분한 색깔이 보일 때까지 살포한다.
첫째, 본 발명은 골재 크기와 분포도, 특수시멘트, 무기재료 및 섬유보강재를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흙-시멘트 혹은 흙-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훨씬 뛰어난다.
둘째,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나 흙 고화물의 내화성과 시공성을 견지할 뿐만 아니라, 흙-시멘트, 흙-시멘트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휨강도, 인장강도가 뛰어나 균열이나 파괴에 견딜 수 있어서 역학적 내구성이 우수하다.
셋째,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폴리머 수용액과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서 흙-시멘트, 흙-시멘트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건조수축과 알카리 독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저렴한 비용으로 흙의 자연친화적인 질감과 색깔을 재현할 수 있다.
다섯째,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의 특성으로 인하여 건설 구조물이나 도로포장 혹은 연약지반에 적용되어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조성물을 달리하며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시험하였다. 아래 (표 1) 은 사용한 골재의 입도와 분포도를 나타낸다. 몰드의 두께가 5cm임으로 최대 골재크기는 19mm로 제한하였다.
최대입도가 19mm인 골재 분포도의 종류
입도 크기 골재 1 골재 2 골재 3 골재 4
19.0-13.2 mm 30 % 30 % 30 % 30 %
13.2-4.75 mm 45 " 50 " 55 " 60 "
4.75- 2.3 mm 25 " 20 " 15 " 10 "
아래 (표 2)에 표기한 실시 예의 각 고체조성물 280그램과 액체 조성물 28그램을 혼합기에 넣고 상온에서 3분 동안 잘 혼합한 후, 내부크기가 5cm x 5cm x 5cm 인 직 육면체의 몰드에 채우고 다짐하여,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시편을 만들었다. 이 시편들을 15일 동안 자연 상태에서 경화시킨 후에 압축과 휨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의 실시 예 1, 2, 3, 4, 6 및 8에서 보듯이 골재의 분포도와 함량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다. 특히 실시 예 1, 2, 3 및 4에서 큰 입도가 많을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나 실시 예 4는 지나치면 오히려 그 값이 적어짐을 나타낸다. 이것은 골재입자의 팩킹(packing)과 관련이 있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실시 예 7과 8에서 보듯이 폴리머 수용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휨강도가 떨어지며 특히 제품의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라텍스를 사용한 경우가 다른 폴리머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보다 휨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강섬유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축강도와 휨강도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건조수축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비율과 물성시험 실시 예
실시 예 1 2 3 4 5 6 7 8
골재 표1의 골재 1 (112g) 표1의 골재 2 (112g) 표1의 골재 3 (112g) 표1의 골재 4 (112g) 표1의 골재 3 (112g) 표1의 골재 3 (126g) 표1의 골재 3 (112g) 표1의 골재 3 (126g)
시멘트 (일반:백) 시멘트 (14:14g) (일반:백) 시멘트 (14:14g) (일반:백) 시멘트 (14:14g) (일반:백) 시멘트 (14:14g) 일반 시멘트 (28g) 일반 시멘트 (28g) 일반 시멘트 (28g) 일반 시멘트 (28g)
마사토 (70g) 마사토 (70g) 마사토 (70g) 마사토 (70g) 마사토 (70g) 마사토 (56g) 마사토 (70g) 마사토 (56g)
보강섬유 PVA (14g) PVA (14g) PVA (14g) PVA (14g) 나일론 (14g) PP (14g)
석고 (8.4g) (8.4g)
고로 슬래그 (8.4g) (8.4g) (8.4g) (8.4g) (14g) (10g) (9.8g)
플라이 애쉬 (5.6g) (5.6g) (5.6g) (5.6g) (5.6g) (9.6g) (4.2g)
모래 (42g) (42g) (42g) (42g) (42) (42g) (42g) (42g)
폴리머 수용액 SBR 라텍스 (5g) SBR 라텍스 (5g) SBR 라텍스 (5g) SBR 라텍스 (5g) EVA 에멀젼 (5g) 폴리아크릴 에멀젼 (5g)
혼화제 (0.5g) (0.5g) (0.5g) (0.5g) (0.5g) (0.5g) (0.5g) (0.5g)
(22.5g) (22.5g) (22.5g) (22.5g) (22.5g) (22.5g) (27.5g) (27.5g)
압축강도, kg/cm2 255 272 296 291 268 297 258 315
휨강도, N/cm2 820 805 792 784 746 612 520 563

Claims (3)

  1. 골재크기가 19-13.2mm인 골재 20-40 중량부와 13.2-4.75mm인 골재 30-70 중량부와 4.75-2.3mm인 골재 10-30 중량부로 구성된 전체 골재 10-70 중량부
    혹은
    골재크기가 26-19mm인 골재 10-30 중량부와 19-13.2mm인 골재 20-40 중량부와 13.2-4.75mm인 골재 15-35 중량부와 4.75-2.3mm인 골재 5-25 중량부로 구성된 전체 골재 10-70 중량부와;
    0.01-3mm 범위내의 입도를 가진 부순모래, 자연모래 혹은 규사 10-40 중량부와;
    마사토, 점성토 혹은 사질토 10-50 중량부와;
    포틀랜드 시멘트, 백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조강 시멘트, 초 조강 시멘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시멘트 5-20 중량부와;
    수분산형 폴리머 (EVA 에멀젼, 폴리아크릴 에멀젼, SBR 라텍스, NBR 라텍스,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와 수용성 폴리머 (에폭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즈, 에틸 셀룰로즈,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인 것으로 폴리머 고형분이 0.1-70 중량부인 폴리머 수용액 1-20 중량부와;
    감수제(나프탈렌계, 설폰산계 혹은 폴리칼본산계), 조강제, 계면활성제, 부피 팽창제, 공기 연행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화제 0.1-3 중량부와;
    물 5-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강도증진 목적으로
    보강섬유 5-3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석고 2-2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석고 2-20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보강섬유 5-40 중량부와 석고 2-2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보강섬유 5-40 중량부와 석고 2-20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보강섬유 5-40 중량부와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보강섬유 5-40 중량부와 석고 2-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3-10 중량부와 고로 슬래그 5-15 중량부와 실리카 퓸 1-1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할 수 있는 데,
    상기 보강섬유는 내 알카리성 유리 섬유, 강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상기 보강섬유는 내 알카리성 유리 섬유, 강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각종 색깔의 무기 또는 유기 안료 1-20 중량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구조물이나 포장표면에 코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 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20080053503A 2008-06-09 2008-06-09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5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3503A KR100951032B1 (ko) 2008-06-09 2008-06-09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3503A KR100951032B1 (ko) 2008-06-09 2008-06-09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492A true KR20090127492A (ko) 2009-12-14
KR100951032B1 KR100951032B1 (ko) 2010-04-05

Family

ID=4168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3503A KR100951032B1 (ko) 2008-06-09 2008-06-09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32B1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9B1 (ko) * 2010-02-10 2010-07-05 주식회사 대원바텍 폴리실리콘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활용한 성토재용 조성물, 성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5584B1 (ko) * 2010-04-07 2010-08-1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소수성 에멀젼 개질 속경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82653B1 (ko) * 2010-06-25 2010-09-16 김강욱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1031981B1 (ko) * 2010-11-18 2011-05-02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자기충전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034228B1 (ko) *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1050206B1 (ko) * 2010-10-22 2011-07-19 삼중씨엠텍(주) 방수기능성 투수 칼라 콘크리트 블록 혼합재 및 이를 사용한 자전거도로 및 인보행로 투수 칼라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제조방법
KR101154427B1 (ko) * 2009-12-30 2012-06-15 주식회사 한양엔티 불연성 경량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경량 패널
KR101158302B1 (ko) * 2012-01-09 2012-06-26 강승희 철강부산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890B1 (ko) * 2011-09-26 2012-06-29 주식회사 정우 흙 블록용 조성물
EP2598458A1 (en) * 2010-07-30 2013-06-05 Lafarge SA Soil -containing cement and concrete compositions
KR101288346B1 (ko) * 2012-12-18 2013-07-22 이선정 폴리머 개질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363895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이의 제조방법 및 도로면 측구 시공공법
CN104058698A (zh) * 2014-05-29 2014-09-24 蚌埠华东石膏有限公司 一种高炉水淬渣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450744B1 (ko) * 2013-05-15 2014-10-16 박정훈 이중 곡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외장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4291760A (zh) * 2014-09-26 2015-01-21 吉林大学 高膨胀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91886A (zh) * 2015-05-26 2015-09-09 柳州市亿廷贸易有限责任公司 橡胶钢纤维混凝土
WO2015137665A1 (ko) * 2014-03-10 2015-09-17 주식회사 대호알씨 발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셀프 레벨링이 우수한 미장 모르타르
CN106396539A (zh) * 2016-08-26 2017-02-15 四川蜂巢外墙保温隔热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隔墙板开裂的强力胶
ES2631777A1 (es) * 2016-03-02 2017-09-04 Manuel DE OLIVEIRA PIRES Procedimiento de ejecución de pavimento continuo
CN108516774A (zh) * 2018-06-27 2018-09-11 上海申继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韧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9400074A (zh) * 2018-12-20 2019-03-01 石家庄市矿区宏源混凝土搅拌有限公司 一种节能抗裂混凝土
CN110451886A (zh) * 2019-08-23 2019-11-15 四川蓝筹建材有限公司 一种水泥基高粘结强度界面剂
KR102058316B1 (ko) * 2019-06-14 2019-12-24 힘찬건설 주식회사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CN110698123A (zh) * 2019-11-18 2020-01-17 贵州彬腾越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加气砖及其加工工艺
CN113213880A (zh) * 2021-05-20 2021-08-06 上海力阳道路加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地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2104406A1 (en) * 2020-11-20 2022-05-27 James Gordon Harris Method of maintaining an unpaved road
CN115093188A (zh) * 2022-06-22 2022-09-23 湖北路城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路面基层用复合型土壤固化剂及应用
CN115477491A (zh) * 2022-09-26 2022-12-16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基于化学-机械法的低温固井用超细早强剂及水泥浆
CN115849802A (zh) * 2022-11-24 2023-03-28 邦力固(上海)化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地坪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86B1 (ko) 2010-04-07 2010-08-1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소수성 폴리머 개질 조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75671B1 (ko) * 2010-05-13 2010-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저탄소 혼합시멘트, 기능성 진사토, 친수성 단섬유 신소재, 경관명색용 안료 및 무기계수용액과 보강용 매쉬를 이용한 고내구성 친환경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포장의 제조방법
KR101038538B1 (ko) * 2010-09-07 2011-06-02 주식회사 이콘스 Pva 섬유 및 라텍스를 사용한 보수성과 투수성이 향상된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설공법
KR101121167B1 (ko) * 2011-07-19 2012-03-05 주식회사 엠제이그린텍 토사를 포함하는 무수축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121163B1 (ko) * 2011-07-19 2012-03-05 주식회사 엠제이그린텍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70308B1 (ko) 2011-12-13 2014-03-0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매스콘크리트 조성물
KR101294797B1 (ko) * 2013-02-26 2013-08-08 이영남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초속경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KR101294796B1 (ko) * 2013-02-26 2013-08-08 태륭건설(주)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KR101361832B1 (ko) 2013-08-01 2014-02-11 이영남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조강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KR101361833B1 (ko) 2013-08-01 2014-02-11 이영남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초조강 수밀성 폴리머 개질 매크로파이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시공 방법
KR101375274B1 (ko) * 2013-12-12 2014-03-17 (주)영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초고강도 콘크리트
KR101375279B1 (ko) * 2013-12-12 2014-03-17 (주)영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초고강도 콘크리트
KR101375278B1 (ko) * 2013-12-12 2014-03-17 (주)영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초고강도 콘크리트
KR101604404B1 (ko) * 2014-08-20 2016-03-17 태륭건설(주) 온도 의존성이 낮은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KR101635969B1 (ko) * 2015-01-09 2016-07-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컬러 몰탈 조성물
KR101660367B1 (ko) * 2016-02-16 2016-09-27 주식회사 신연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601B1 (ko) 1999-04-30 2001-05-15 신현인 소일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290051B1 (ko) 1999-04-30 2001-05-15 최익순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유동성 소일 콘크리트 조성물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27B1 (ko) * 2009-12-30 2012-06-15 주식회사 한양엔티 불연성 경량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경량 패널
KR100967819B1 (ko) * 2010-02-10 2010-07-05 주식회사 대원바텍 폴리실리콘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활용한 성토재용 조성물, 성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5584B1 (ko) * 2010-04-07 2010-08-1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소수성 에멀젼 개질 속경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82653B1 (ko) * 2010-06-25 2010-09-16 김강욱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EP2598458A1 (en) * 2010-07-30 2013-06-05 Lafarge SA Soil -containing cement and concrete compositions
KR101050206B1 (ko) * 2010-10-22 2011-07-19 삼중씨엠텍(주) 방수기능성 투수 칼라 콘크리트 블록 혼합재 및 이를 사용한 자전거도로 및 인보행로 투수 칼라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제조방법
KR101031981B1 (ko) * 2010-11-18 2011-05-02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자기충전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034228B1 (ko) *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1160890B1 (ko) * 2011-09-26 2012-06-29 주식회사 정우 흙 블록용 조성물
KR101158302B1 (ko) * 2012-01-09 2012-06-26 강승희 철강부산물을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46B1 (ko) * 2012-12-18 2013-07-22 이선정 폴리머 개질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450744B1 (ko) * 2013-05-15 2014-10-16 박정훈 이중 곡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외장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363895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이의 제조방법 및 도로면 측구 시공공법
WO2015137665A1 (ko) * 2014-03-10 2015-09-17 주식회사 대호알씨 발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셀프 레벨링이 우수한 미장 모르타르
CN104058698A (zh) * 2014-05-29 2014-09-24 蚌埠华东石膏有限公司 一种高炉水淬渣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4291760A (zh) * 2014-09-26 2015-01-21 吉林大学 高膨胀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91886A (zh) * 2015-05-26 2015-09-09 柳州市亿廷贸易有限责任公司 橡胶钢纤维混凝土
ES2631777A1 (es) * 2016-03-02 2017-09-04 Manuel DE OLIVEIRA PIRES Procedimiento de ejecución de pavimento continuo
CN106396539A (zh) * 2016-08-26 2017-02-15 四川蜂巢外墙保温隔热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隔墙板开裂的强力胶
CN108516774A (zh) * 2018-06-27 2018-09-11 上海申继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韧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8516774B (zh) * 2018-06-27 2021-01-12 上海申继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韧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9400074A (zh) * 2018-12-20 2019-03-01 石家庄市矿区宏源混凝土搅拌有限公司 一种节能抗裂混凝土
KR102058316B1 (ko) * 2019-06-14 2019-12-24 힘찬건설 주식회사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CN110451886A (zh) * 2019-08-23 2019-11-15 四川蓝筹建材有限公司 一种水泥基高粘结强度界面剂
CN110698123A (zh) * 2019-11-18 2020-01-17 贵州彬腾越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加气砖及其加工工艺
WO2022104406A1 (en) * 2020-11-20 2022-05-27 James Gordon Harris Method of maintaining an unpaved road
CN113213880A (zh) * 2021-05-20 2021-08-06 上海力阳道路加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地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213880B (zh) * 2021-05-20 2022-07-22 上海力阳道路加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地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093188A (zh) * 2022-06-22 2022-09-23 湖北路城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路面基层用复合型土壤固化剂及应用
CN115093188B (zh) * 2022-06-22 2024-03-22 湖北路城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路面基层用复合型土壤固化剂及应用
CN115477491A (zh) * 2022-09-26 2022-12-16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基于化学-机械法的低温固井用超细早强剂及水泥浆
CN115477491B (zh) * 2022-09-26 2023-12-01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基于化学-机械法的低温固井用超细早强剂及水泥浆
CN115849802A (zh) * 2022-11-24 2023-03-28 邦力固(上海)化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地坪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32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32B1 (ko)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원리를 이용한흙-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1562542B1 (ko)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57132B1 (ko)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900248B1 (ko) 내환경성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JP2017516736A (ja) レオロジーが改変されたコンクリート材料、その作製法、およびその使用
KR102002413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891567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KR102135004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함유하는 수화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2058316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0924133B1 (ko) 황토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토도로 포장방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1300515B1 (ko) 고성능 시멘트 콘트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공법
KR101031980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속경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29977B1 (ko) 마사토와 순환골재를 주재료로 하는 토목용 조성물
KR101598073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경관석 패널
KR101499423B1 (ko) 친환경 도로포장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