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599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599A
KR20090125599A KR1020080051783A KR20080051783A KR20090125599A KR 20090125599 A KR20090125599 A KR 20090125599A KR 1020080051783 A KR1020080051783 A KR 1020080051783A KR 20080051783 A KR20080051783 A KR 20080051783A KR 20090125599 A KR20090125599 A KR 2009012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ing device
imag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320B1 (ko
Inventor
노영우
최재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3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광을 도입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의 일측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가 메쉬(mesh) 형상을 가지는 표시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장치, 전자기파 차폐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는 표시부 지지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최근의 촬상 장치는 대부분 자동식 카메라로서, 구동원으로서 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내부에는 각종 저항, 콘덴서 등의 회로소자, 집적회로칩, 회로소자 및 집적회로칩이 실장된 회로 기판 등의 전기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전기 회로가 내장된 촬상 장치는, 전기 회로의 특성상 구동 시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되는데, 전기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전자 제품의 오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촬상 장치의 경우에는 전자기파 차폐의 목적으로, 내부의 주요 집적회로칩이나 회로 기판에 전자기파 차단 시트 등을 부착함으로써, 촬상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기파 차단 시트는 비교적 고가인데다가, 추가적인 설치 작업이 필요하므로, 촬상 장치의 제조 비용 및 작업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촬상 장치에 있어 전자기파 차단을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차폐 작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광을 도입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의 일측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가 메쉬(mesh) 형상을 가지는 표시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LCD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 지지부는 도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소재는 금속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외부 형상을 구성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표시부를 지지하는 표시부 지지부를 전자기파 흡수 부재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촬상 장치를 분해하여 배면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표시부, 표시부 지지부, 메인보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1)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112), 앰프 일체형의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113), A/D 변환기(114),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 타이밍 발생기(116), 제어부(120), 표시부(130), 기록 미디어(140), 조작부(150), 플래시(160), 배터리(170), 뷰 파인더(180), 케이스(19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도입하여, 그 도입한 영상광을 촬상 소자(112)까지 도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부(111)에는 줌 렌즈, 초점 렌즈, 조리개, 셔터 등이 포함된다. 그 중 줌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로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하여 촬영한다. 또한, 조리개는, 화상을 촬영할 때 에 촬상 소자(112)로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고, 초점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 소자(112)는 렌즈부(111)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12)로는 CCD(charge couple devices)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CDS 회로(113)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샘플링 회로의 일종인 CDS 회로와, 잡음을 제거한 후에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DS 회로와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를 이용하여 CDS 회로(113)를 구성하고 있지만, CDS 회로와 앰프를 별도의 회로로 구성해도 된다.
A/D 변환기(114)는, 촬상 소자(112)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120)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이밍 발생기(116)는, 촬상 소자(112)에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 타이밍 발생기(11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셔터 속도가 결정된다. 즉, 타이밍 발생기(11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촬상 소자(112)의 구동이 제어되고, 촬상 소 자(112)가 구동하는 시간 내에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입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부(120)는, 촬상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부분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1), 압축 처리 회로(122), 영상 처리부(123), 메모리(124),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25), 표시부 드라이버(126), 미디어 콘트롤러(127)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20)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1), 압축 처리 회로(122), 영상 처리부(123), 메모리(124), VRAM(125), 표시부 드라이버(126), 미디어 콘트롤러(127)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상기와 같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표시부 드라이버(126), 미디어 콘트롤러(127) 등은 제어부의 외부에 별개의 장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가 제어부(120)에 편입되어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1)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21)는 제어부(120)를 구성하는 전기 회로의 일부분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범용적인 하드웨어에 적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 처리 회로(122)는, 촬영 화상의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으로 압축하는 압 축처리를 행한다. 화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형식 또는 비가역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형식으로 변환해도 된다.
영상 처리부(123)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받은 촬영 데이터를 처리한다. 대표적으로, 영상 처리부(123)는 전송된 촬영 데이터의 감마 보정을 수행된다.
감마 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 한다.
영상 처리부(123)의 감마 보정은 감마 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 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메모리(124)는, 화상 기억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메모리(124)는, 복수의 화상을 기억할 수 있는 만큼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메모리(124)에의 화상의 판독/기입은 화상입력 콘트롤러(115)에 의해 제어된다.
VRAM(125)은,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내용을 유지하는 것으로, 표시부(130)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發色數)는 VRAM(125)의 용량에 의존한다.
표시부 드라이버(126)는 표시부(130)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콘트롤러(127)는 기록 미디어(140)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로 이루어져, 촬영 조작을 행하기 전의 라이브 뷰 표시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영한 화상의 표시등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30)로서 LCD 장치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표시부 지지부(132)에 의해 지지되는데, 그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기록 미디어(140)는, 화상 기록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기록 미디어(140)에의 입출력은, 전술한 미디어 콘트롤러(127)에 의해 제어된다. 기록 미디어(140)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형의 기억장치인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multimedia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촬영 모드 선택부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촬상 장치(100)의 조작을 행하거나, 촬영시의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50)에 배치되는 부재에는, 전원 버튼, 촬영 모드나 촬영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십자키 및 선택 버튼, 촬영 조작을 개시하는 셔터 버튼 등이 배치된다. 또한, 조작부(150)의 형태 및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버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표시부(130)에 연동된 터치 스크린 장치(touch screen device)의 형식을 가질 수도 있다.
플래시(160)는 낮은 조도에서 촬영하는 경우 필요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배터리(170)는 촬상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70)는 일회용 전지 또는 충전용 전지가 사용되는데, 일회용 전지로는 망간 건전지, 알카라인 건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충전 전지로는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Li-ion) 배터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뷰 파인더(180)는 사용자가 촬상을 위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장치이다.
케이스(190)는 금속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케이스(191)와 후방 케이스(192)로 구성된다.
전방 케이스(191)는 촬상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후방 케이스(192)는 전방 케이스(191)와 마주보며 촬상 장치(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데, 전방 케이스(191)와 후방 케이스(192)는 나사 결합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케이스(192)에는 표시부(130)가 보이도록 표시부 개구부(192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표시부 지지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어, 사용 시 전자기파의 흡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의 전자기파 차폐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의 후방에는 표시부 개구부(192a)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표시부(130)의 전방에는 표시부 지지부(132)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 지지부(132)의 전방에는 광학계 및 메인보드(MB) 등이 배치된다. 메인보드(MB)의 부분 중 표시부 지지부(13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전자기파를 많이 발생하는 제어부(120)의 전기 회로들이 주로 배치되어 있고, 메인보드(MB)의 우측 부분에는 조작부(150)의 버튼들에 대응되는 돔스위치(DM)들이 주로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 지지부(132)는 표시부(130)를 케이스(190)에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100)의 내부의 집적회로칩, 회로기판 등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시부 지지부(132)는 금속의 소재로 구성되어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메쉬(mesh) 구멍(132a), 고정부(132b), 고정볼트(132c), 지지 돌출부(132d)를 구비한다.
표시부 지지부(132)에는 메쉬 구멍(132a)이 형성되어, 표시부 지지부(132)는 전체적으로 메쉬(mesh) 형상이 존재하는 판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촬상 장치(100)의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기 위한 구조로서, 접지된 메쉬(mesh) 구조는 가장자리 전류(edge current)가 많아지므로, 용이하게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쉬 구멍(132a)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쉬 구멍의 형상은,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도형의 형태라도 무방하다.
표시부 지지부(132)는 일측에 고정부(132b)를 구비하고 있어, 전방 케이스(191)에 고정 및 접지가 된다.
즉, 고정부(132b)에는 구멍(132b_1)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케이스(191)에는 내주에 나사가 형성된 보스(191a)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자는 볼트(132c)를 구멍(132b_1)에 끼우고 보스(191a)에 결합함으로써, 표시부 지지부(132)를 전방 케이스(19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132b), 볼트(132c), 보스(191a) 및 전방 케이스(191)는 모두 도전성의 소재로 되어 있고, 서로 접촉하여 구성됨으로써, 표시부 지지부(132)는 전방 케이스(191)에 자동적으로 접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 지지부(132)가 케이스(190)에 접지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 지지부(132)는 반드시 케이스(190)에 접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 별도의 접지선을 설치하여, 표시부 지지부(132)의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 지지부(132)는 단일의 고정부(132b)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 지지부(132)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 돌출부(132d)는 표시부 지지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 되며, 탄성에 의해 표시부(130)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130)는 지지 돌출부(132d)에 의해 표시부 지지부(132)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의 전자기파의 차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촬상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촬상 작동 등을 수행하게 되면, 메인보드(MB) 상에 실장된 집적회로칩(CP)과 같은 회로 소자 등에서 전자기파가 발생되게 된다.
발생된 전자기파의 일부는 후방으로 방출되는데, 후방에 위치한 표시부 지지부(132)는 메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방으로 방출된 전자기파는 표시부 지지부(132)에 흡수됨으로써 촬상 장치(100)의 후방으로 방사되지 못하고 차폐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촬상 장치(100)의 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전자기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받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표시부(130)를 지지하는 표시부 지지부(132)에 의해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전자기파 차단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조 비용 및 제작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류 및 형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 영상 캠 코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촬상 장치를 분해하여 배면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부, 표시부 지지부, 메인보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촬상 장치 111: 렌즈부
112: 촬상 소자 113: CDS 회로
114: A/D 변환기 115: 화상 입력 콘트롤러
116: 타이밍 발생기 120: 제어부
121: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 122: 압축 처리 회로
123: 영상처리부 124: 메모리
125: VRAM 126: 표시부 드라이버
127: 미디어 콘트롤러 130: 표시부
132: 표시부 지지부 132a: 메쉬 구멍
132b: 고정부 132c: 볼트
132d: 지지 돌출부 140: 기록 미디어
150: 조작부 160: 플래시
170: 배터리 180: 뷰 파인더
190: 케이스

Claims (6)

  1. 영상광을 도입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의 일측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가 메쉬(mesh) 형상을 가지는 표시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CD 장치인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지지부는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소재는 금속인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외부 형상을 구성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접지되는 촬상 장치.
KR1020080051783A 2008-06-02 2008-06-02 촬상 장치 KR10141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783A KR101411320B1 (ko) 2008-06-02 2008-06-02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783A KR101411320B1 (ko) 2008-06-02 2008-06-02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99A true KR20090125599A (ko) 2009-12-07
KR101411320B1 KR101411320B1 (ko) 2014-06-25

Family

ID=4168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783A KR101411320B1 (ko) 2008-06-02 2008-06-02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3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800B1 (ko) * 1991-08-31 1999-06-15 윤종용 잉크제트 프린터의 잉크분사방법 및 그장치
KR100200500B1 (ko) * 1996-12-27 1999-06-15 김광호 온도보상전원을 구비한 기준전류 발생회로
JP2002268565A (ja) * 2001-03-08 2002-09-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用部材
JP2008034590A (ja) * 2006-07-28 2008-02-14 Toray Ind Inc ディスプレイ用部材及び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及び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320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21B1 (ko) 배터리 커버 구조체와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N102823229B (zh) 拍摄装置
CN102804055B (zh) 拍摄装置
JP2007049458A (ja) 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900526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203057299U (zh) 一种摄像头模组
US6567611B1 (en) Electronic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1964380B1 (ko) 외부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는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외부 장치
JP200005013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011875B2 (ja) 撮像素子内蔵携帯装置
JPH11266377A (ja) 電子的撮像装置
KR101411320B1 (ko) 촬상 장치
JPH118803A (ja) 固体撮像素子を受像手段とするカメラ
JP2003209737A (ja) 撮像装置
KR100987772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JP3835011B2 (ja) 太陽電池付き携帯機器
JP6471607B2 (ja) 電子機器
JP4652352B2 (ja) 電子機器、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5445956B2 (ja) 撮像装置
JP2017199988A (ja) シールドケースの固定方法
JP2001024922A (ja) 画像記録装置
KR20100027696A (ko) 촬상 장치
JP4213875B2 (ja) 画像記憶システムおよび画像記憶方法、並びに画像転送装置および画像撮像装置
KR20110090609A (ko)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1275034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