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824A -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824A
KR20090124824A KR1020080051242A KR20080051242A KR20090124824A KR 20090124824 A KR20090124824 A KR 20090124824A KR 1020080051242 A KR1020080051242 A KR 1020080051242A KR 20080051242 A KR20080051242 A KR 20080051242A KR 20090124824 A KR20090124824 A KR 20090124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ing
gas
fuel
reforming reaction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838B1 (ko
Inventor
김도형
김범주
이정현
배윤미
강승원
임희천
유근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3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37Direct internal reforming at the anode of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개질 가스를 공급하는 개질 가스 공급 장치와, 상기 개질 가스 공급 장치의 개질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을 하는 개질 반응 장치와, 상기 개질 반응 장치에서 개질된 연료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하는 연료극/개질촉매와, 상기 연료극/개질촉매로 공급되는 연료 가스를 승온하는 열교환장치-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EXTERNAL REFORMING TYPE MOLTEN CARBONATE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개질기에서 생산되는 연료가스 중 미반응된 탄화수소 성분을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란 탄화수소 등의 화학연료가 가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대부분 화학연료로 수소를 사용하고 있으며,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와 같이 고온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개질기(Reformer)와 결합하여 탄화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발전시스템은 천연가스, 석탄가스 등 다양한 연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애노드의 수소산화반응과 캐소드의 산소환원반응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연소과정 없이 섭씨 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료 가 전기로 바뀌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소음 및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발전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크게 전기를 생산해 내는 스택 및 연료 공급 장치와 같은 기계적 주변장치, 그리고 DC/AC 변환장치와 같은 전기적 주변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개질기의 위치에 따라 연료전지 외부에서 탄화수소를 수소로 개질(Reforming)시켜 연료전지의 연료극에 공급하는 외부 개질형과, 연료전지 내부에서 직접 개질시켜 연료극에 공급하는 내부 개질형으로 구분된다.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은 외부 개질기에서 연료 가스인 수소를 공급받아 발전하는 방식으로, 외부 개질기에서 연료 가스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열량을 공급해야만 했다. 이러한 열량 공급은 외부에서 메탄(CH4) 등의 연료 공급에 의한 연소를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발전 효율이 다른 발전시스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질기에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는 여러 방식이 발전되어 왔고 현재 개발 중에 있다. 예를 들면, 연료극 배가스를 활용하여 개질기에 열량을 공급하는 방식과 자열(Autothermal) 개질 반응을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개발 중에 있거나 대형화 시스템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개질기의 작동 온도를 조절하여 발전 효율을 높인 외부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질 가스를 공급하는 개질 가스 공급 장치와, 상기 개질 가스 공급 장치의 개질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을 하는 개질 반응 장치와, 상기 개질 반응 장치에서 개질된 연료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하는 연료극/개질촉매와, 상기 연료극/개질촉매로 공급되는 연료 가스를 승온하는 열교환장치-Ⅰ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력 생산에 따른 스택 내부의 발열량을 개질 반응에 이용함으로써 스택 발열량 제거를 위한 과량의 공기 유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은 개질 반응장치(10), 개질 가스 공급장치(20), 열 공급장치(30), 연료극/개질촉매(51), 전해질/지지체(52), 공기극(55), 공기공급장치(70),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60), 전력변환장치(80), 열교환 장치-I(40), 열교환 장치-II(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질 가스 공급 장치(20)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구동에 필요한 연료인 천연가스, 바이오 가스등과 같은 개질 가스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개질 가스는 탄화수소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이다.
상기 열 공급장치(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또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열 공급장치(30)에 유입되는 연료를 산화촉매로 산화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공급해준다.
상기 개질 반응 장치(10)는 개질 가스 공급 장치(20)로부터 개질 가스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열 공급 장치(30)로부터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받아 개질 반응을 하여 스택(50)에 연료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스택(50)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는 수소 성분을 포함한 연료가스이다.
상기 열교환 장치-I(40)는 개질 반응 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연료가스의 온도가 스택(50) 운전 온도인 580oC ~ 620oC 영역보다 낮은 경우에 온도를 승온시켜 스택(50)에 공급한다.
상기 스택(Stack)(50)은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단위전지를 수십 장 직렬로 쌓아올린 형태이다. 스택(50)은 연료극/개질촉매(51), 전해질/지지체(52) 및 공기극(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택(50)은 개질 반응 장치(10)로부터 공급받은 수소 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열 및 물을 생성한다.
상기 연료극/개질촉매(51)는 개질 반응 장치(10)에서 나온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스팀 등을 공급받아 스택(50) 내부의 높은 열을 이용하여 개질 촉매에 의해 개질 반응을 한다.
따라서 산화촉매반응과 개질 촉매반응 등을 통해 수소가스를 축출하며, 연료극인 양극에 공급된 수소는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된다.
상기 전해질/지지체(52)는 개질 반응장치(10)에서 생성된 수소와 전해질/지지체(52)의 탄산염과 전기화학반응을 한다.
수소 이온은 전해질층을 통해 공기극(55)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공기극(55)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60)는 전해질/지지체(52)의 전기화학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연료가스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 공급장치(70)는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60)의 연료극 배가스를 연소하기 위해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60)에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공기극(55)은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60)를 거친 공기,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를 공급 받는다.
이러한 공기극(55)은 음극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만나 반응생성물인 탄산염을 생성한다. 그리고 공기극(55)을 통해 배기 되는 고온의 배가스는 열교환 장치-Ⅰ(40)를 통해 개질 반응 장치(10)에서 나오는 연료가스의 온도를 높여준다.
상기 전력변환장치(80)는 공기극(55)에서 생산된 직류(DC)전기를 공급받아 교류(AC)로 변환한다.
상기 열교환 장치-Ⅱ(90)는 열교환 장치-Ⅰ(4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받아 다시 한번 열교환 한다. 따라서 열교환 장치-Ⅱ(90)를 통해 회수된 열을 이용하여 온수 등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개질 반응된 연료 가스량의 변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량과 발전 효율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의 발전 효율 증가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개질 반응 장치(10)를 통해 생성되는 연료 가스량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기울기를 보면 외부 개질 반응 장치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 소(H2)(140)와 일산화 탄소(Co)(120)는 연료가스량이 증가하고, 물(H2O)(130)과 메탄(CH4)(100)은 연료 가스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CO2)(110)는 온도에 따른 연료가스량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영역인 섭씨 400도에서 섭씨 500도까지는 많은 메탄 (100)성분이 개질 되지 않고 배출하게 된다. 반면에 섭씨 700도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메탄(100)이 개질됨을 알 수 있다.
기존 외부 개질기의 작동 온도가 섭씨 700도 이상에서 개질 반응을 하는 이유는 이처럼 대부분의 메탄 성분을 개질 하기 위함이다.
도 3의 점선은 도 2의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량, 즉 열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열량을 보여준다.
열 공급 장치의 작동 온도가 높을수록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량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필요한 많은 열량을 메탄 연소기와 같은 외부 열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발전효율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열 공급 장치에서 공급하는 열량을 줄여야 한다.
도 3의 실선은 외부 열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받는 열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발전 효율을 나타낸다. 상대적인 저온 영역에서 발전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400oC ~ 500oC 온도 영역(B)에서 발전 효율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스택 운전 온도보다 낮은 가스의 온도는 스택에 들 어가기 전에 열교환 장치-I를 통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작동 온도에 맞춰 공급 하게된다. 그러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 개질 반응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의 용량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에서 필요한 수소의 용량보다 부족한 부분은 연료극/개질촉매의 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외부 개질 반응 장치에서 개질 반응하지 않은 메탄을 개질 하여 나머지 수소를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스택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외부 개질 반응장치의 작동 온도인 700oC ~ 900oC 영역보다 낮은 400oC ~ 500oC 영역에서 개질 반응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개질 반응된 연료 가스량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량과 발전 효율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개질 반응 장치 20: 개질 가스 공급장치
30: 열 공급 장치 40: 열교환 장치-Ⅰ
50: 스택 51: 연료극/개질촉매
52: 전해질/지지체 55: 공기극
60: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 70: 공기 공급 장치
80: 전력 변환 장치 90: 열교환 장치-Ⅱ

Claims (8)

  1. 개질 가스를 공급하는 개질 가스 공급 장치;
    상기 개질 가스 공급 장치의 개질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을 하는 개질 반응 장치;
    상기 개질 반응 장치에서 개질된 연료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하는 연료극/개질촉매;
    상기 연료극/개질촉매로 공급되는 연료 가스를 승온하는 열교환장치-Ⅰ를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질 가스는 탄화수소 성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질 반응 장치는 개질 가스를 수소성분을 포함한 연료 가스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질 반응 장치의 작동온도는 40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5. 개질 가스를 공급하는 개질 가스 공급 장치;
    상기 개질 가스 공급 장치의 개질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을 하는 개질 반응 장치;
    상기 개질 반응 장치에서 개질된 연료 가스를 승온하는 열교환장치-Ⅰ;
    상기 열교환장치-Ⅰ에서 승온된 연료 가스를 공급받아 개질 반응하는 연료극/개질 촉매;
    상기 연료극/개질촉매에서 반응 후 남은 가스를 공급받는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
    상기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공기와 연료극 배가스 처리장치의 가스를 공급받는 공기극;
    상기 공기극을 통해 배기되는 배가스를 공급 받는 열교환 장치-Ⅰ;
    상기 열교환 장치-Ⅰ의 열을 회수하는 열교환 장치-Ⅱ를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질 가스는 탄화수소 성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질 반응 장치는 개질 가스를 수소성분을 포함한 연료 가스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질 반응 장치의 작동온도는 40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80051242A 2008-05-30 2008-05-30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KR10096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42A KR100961838B1 (ko) 2008-05-30 2008-05-30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42A KR100961838B1 (ko) 2008-05-30 2008-05-30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24A true KR20090124824A (ko) 2009-12-03
KR100961838B1 KR100961838B1 (ko) 2010-06-08

Family

ID=4168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42A KR100961838B1 (ko) 2008-05-30 2008-05-30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3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58B1 (ko) * 2010-08-10 2013-09-24 한국전력공사 화력발전 시스템과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발전 시스템을 연계한 복합발전 시스템
US9077007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077006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arbon capture using fuel cells
US9556753B2 (en) 2013-09-30 2017-01-3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wer generation and CO2 capture with turbines in series
US9755258B2 (en) 2013-09-30 2017-09-05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solid oxide fuel cells
US9819042B2 (en) 2013-09-30 2017-11-1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integration with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N113454821A (zh) * 2018-11-30 2021-09-28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用于深度co2捕获的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再生
US11211621B2 (en) 2018-11-30 2021-12-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gen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or deep CO2 capture
US11335937B2 (en) 2019-11-26 2022-05-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high electrolyte fill level
US11424469B2 (en) 2018-11-30 2022-08-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Elevated pressure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476486B2 (en) 2018-11-30 2022-10-18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staging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US11664519B2 (en) 2019-11-26 2023-05-3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module assembly and systems using same
US11695122B2 (en) 2018-11-30 2023-07-04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Layered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US11742508B2 (en) 2018-11-30 2023-08-29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Reforming catalyst pattern for fuel cell operated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888187B2 (en) 2018-11-30 2024-01-30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978931B2 (en) 2021-02-11 2024-05-07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low baffl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262A (ja) 2002-10-11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発電システム
KR100751029B1 (ko) 2006-06-30 2007-08-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58B1 (ko) * 2010-08-10 2013-09-24 한국전력공사 화력발전 시스템과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발전 시스템을 연계한 복합발전 시스템
US9786939B2 (en) 2013-03-15 2017-10-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553321B2 (en) 2013-03-15 2017-01-24 Exxonmobile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arbon capture using fuel cells
US9077008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077005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Fischer-Tropsch synthesis
US9178234B2 (en) 2013-03-15 2015-11-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using molten carbonate fuel cells
US9257711B2 (en) 2013-03-15 2016-02-0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carbon capture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10676799B2 (en) 2013-03-15 2020-06-0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electrical power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343764B2 (en) 2013-03-15 2016-05-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methanol synthesis
US9343763B2 (en) 2013-03-15 2016-05-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or synthesis of nitrogen compounds
US9362580B2 (en) 2013-03-15 2016-06-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a refinery setting
US9419295B2 (en) 2013-03-15 2016-08-1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at a reduced electrical efficiency
US9455463B2 (en) 2013-03-15 2016-09-2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electrical power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520607B2 (en) 2013-03-15 2016-12-1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fermentation processes
US9077007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10093997B2 (en) 2013-03-15 2018-10-0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iron and steel processing
US9647284B2 (en) 2013-03-15 2017-05-0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Fischer-Tropsch synthesis
US9650246B2 (en) 2013-03-15 2017-05-1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fischer-tropsch synthesis
US9941534B2 (en) 2013-03-15 2018-04-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arbon capture using fuel cells
US9263755B2 (en) 2013-03-15 2016-02-1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iron and steel processing
US9077006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arbon capture using fuel cells
US9735440B2 (en) 2013-03-15 2017-08-15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in fischer-tropsch synthesis
US9923219B2 (en) 2013-03-15 2018-03-20 Exxonmobile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US9819042B2 (en) 2013-09-30 2017-11-1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integration with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9556753B2 (en) 2013-09-30 2017-01-3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wer generation and CO2 capture with turbines in series
US10283802B2 (en) 2013-09-30 2019-05-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integration with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9755258B2 (en) 2013-09-30 2017-09-05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solid oxide fuel cells
US11742508B2 (en) 2018-11-30 2023-08-29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Reforming catalyst pattern for fuel cell operated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695122B2 (en) 2018-11-30 2023-07-04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Layered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CN113454821B (zh) * 2018-11-30 2024-02-27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用于深度co2捕获的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再生
US11424469B2 (en) 2018-11-30 2022-08-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Elevated pressure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476486B2 (en) 2018-11-30 2022-10-18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staging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US11616248B2 (en) 2018-11-30 2023-03-28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Elevated pressure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888187B2 (en) 2018-11-30 2024-01-30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US11211621B2 (en) 2018-11-30 2021-12-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gen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or deep CO2 capture
CN113454821A (zh) * 2018-11-30 2021-09-28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用于深度co2捕获的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再生
US11843150B2 (en) 2018-11-30 2023-12-12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staging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US11888199B2 (en) 2019-11-26 2024-01-30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high electrolyte fill level
US11664519B2 (en) 2019-11-26 2023-05-3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module assembly and systems using same
US11335937B2 (en) 2019-11-26 2022-05-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high electrolyte fill level
US11978931B2 (en) 2021-02-11 2024-05-07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low baffl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838B1 (ko)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38B1 (ko)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JP6397502B2 (ja) 水素製造のための改質装置・電解装置・精製装置(rep)組立体、同組立体を組み込むシステムおよび水素製造方法
JP2007523443A (ja) 水素生産、発電、及び併産のための燃料電池
JP2006031989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による発電方法及びシステム
JP4956946B2 (ja) 燃料電池
JP200712868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3506902A (zh) 使用氨气为燃料的固体氧化物燃料电池与质子交换膜燃料电池混合系统
JP2021068532A (ja) エネルギ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3644667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200417180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20010662A (ko) 연료전지 시스템
KR101133543B1 (ko) 탄소 수증기 개질장치를 포함한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2004259647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8131647A (ja) 電気分解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164817A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发电系统
JP3837662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KR101162457B1 (ko)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시스템
JP2005285593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KR20210083030A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4442204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227100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方法
JP2004192952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3609961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0818488B1 (ko) 연료 개질 방법과 개질기
JP4479361B2 (ja) ハイブリッド型燃料電池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