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030A -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030A
KR20210083030A KR1020190175604A KR20190175604A KR20210083030A KR 20210083030 A KR20210083030 A KR 20210083030A KR 1020190175604 A KR1020190175604 A KR 1020190175604A KR 20190175604 A KR20190175604 A KR 20190175604A KR 20210083030 A KR20210083030 A KR 2021008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olid oxide
oxide fuel
polymer electroly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길
이정규
Original Assignee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030A/ko
Publication of KR2021008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52Storage of heat in the fuel cel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시 가동되어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기 설정된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구간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 및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FOR BUILDING}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란 연료와 공기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 및 열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연료 전지는 기존의 발전 기술이 연료의 연소 - 증기 발생 - 터빈 구동 - 발전기 구동 과정을 취하는 것과 달리, 연소 과정이나 구동 장치가 없으므로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SOx와 NOx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적어 환경 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연료 전지는 인산형 연료 전지부(PAFC), 알칼리형 연료 전지부(AFC),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부(DMFC),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SOFC)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건물용 연료 전지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건물용 연료 전지를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만으로 구성하는 경우, 시동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동시간을 줄이기 위해 연료를 투입하는 경우 발전효율이 저감되는 단점이 있으며, 건물용 연료 전지를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EMFC)만으로 구성하는 경우, 발전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건물용 연료 전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향상된 발전 효율을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시 가동되어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기 설정된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구간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 및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가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의 10% 초과 50%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가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의 50% 초과 100%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고체 연료 전지 가동 중 발생하는 폐열 중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폐열 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폐열 회수 시스템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개질기의 온도가 600 ℃ 이상 800 ℃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폐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 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가동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단일의 통합 개질기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통합 개질기에서 발생하는 폐열 중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폐열 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상기 통합 개질기는 수증기 개질 반응을 거친 연료를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로 공급하고, 상기 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성 가스 전환 공정을 거친 연료를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종래에 비하여 발전 효율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건물의 필요 전력에 따라 사용되는 연료 전지 타입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건물의 필요 전력에 따라 연료 전지 타입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시 가동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필요 전력이 제1 구간(S1)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와 함께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필요 전력이 제2 구간(S2)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에서 전술한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가동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장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는 수소의 산화 반응으로 발전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110) 및 제1 개질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100)는 제1 개질기(120)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연료극인 애노드와 공기극인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와 캐소드에서는 아래의 반응식과 같은 전극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반응식]
캐소드(공기극): (1/2)O2 + 2e- → O2-
애노드(연료극): H2 + O2- → H2O +2e-
전체반응: H2 + (1/2)O2 → H2O
즉, 전자는 외부 회로를 거쳐 공기극에 도달하고, 동시에 공기극에서 발생한 산소 이온이 전해질을 통해서 연료극으로 전달되며, 연료극에서는 수소가 산소 이온과 결합하여 전자 및 물을 형성한다.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는 건물에 상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는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동작할 수 있으며,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한 상시 가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가 건물에 공급하는 전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이 공급 가능한 전력의 10%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시스템(1)이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이 100 KW인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는 건물에 10 kW 이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필요 전력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가 공급 가능한 전력의 10%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만 구동되어 건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는 수소의 산화 반응으로 발전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210) 및 제2 개질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210)는 제2 개질기(220)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연료극인 애노드와 공기극인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의 연료극 및 공기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와 동일하다.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는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초기에는 미 가동될 수 있으며, 필요 전력이 제1 구간(S1)에 도달하면 가동되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와 함께 건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간(S1)은 건물의 필요 전력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가 총 공급 가능한 전력의 10% 초과 50% 이하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시스템(1)이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이 100 KW인 경우, 제1 구간(S1)은 필요 전력이 10 kW 초과 50 kW 이하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 전력이 제1 구간(S1)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가 10 kW를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을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가 공급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31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310)에 연료를 공급하는 제3 개질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초기에는 미가동될 수 있으며, 필요 전력이 제2 구간(S2)에 도달하면 가동되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및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와 함께 건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간(S2)은 건물의 필요 전력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가 총 공급 가능한 전력의 50% 초과 100% 이하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시스템(1)이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이 100 KW인 경우, 제2 구간(S2)은 필요 전력이 50 kW 초과 100 kW 이하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 전력이 제2 구간(S2)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가 10 kW를 공급하고,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가 40 kW를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을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가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가동 중 발생하는 폐열 중 적어도 일부는 폐열 회수 시스템(400)을 거쳐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에 공급된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의 폐열은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의 제2 개질기(22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의 제3 개질기(320)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질기(220) 및 제3 개질기(320)의 온도는 600 ℃ 이상, 800 ℃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의 가동 중 발생하는 폐열을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에 공급하여 스탠바이 열량(stand-by)으로 사용함으로써,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의 시동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부하 추종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필요 전력에 대응하여 가동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의 폐열 중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에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폐열,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에서 발생한 폐열 및 제3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300)에서 발생한 폐열은 폐열 회수 시스템(400)을 거쳐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를 병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 효율이 높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주로 가동하여 온오프(ON/OFF)를 최소함으로써 제품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오프에 의한 수명감소가 미미하고, 시동시간이 짧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를 추가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가동시켜 필요한 전력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다. 더하여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가동 시 발생하는 폐열을 스탠바이 열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시 가동되어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필요 전력이 제1 구간(S1)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와 함께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필요 전력이 제2 구간(S2)에 해당하는 경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및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와 함께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가 단일의 개질기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구성을 제외하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연료 전지 시스템과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의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는 통합 개질기(5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개질기(500)에서 수증기 개질반응(Steam Reforming)을 거친 연료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및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로 공급될 수 있고, 통합 개질기(500)에서 수증기 개질 반응(Steam Reforming), 수성가스 변환공정(Water Gas Shift) 및 PrOx(Preferential Oxidation)/PSA(Pressure Swing Adsorption)를 거친 연료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통합 개질기(500)의 작동 중 발생한 폐열 중 일부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1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200) 및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300)로 공급되어 스탠바이 열량으로 활용되거나 온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은 단일의 통합 개질기(500)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력 및 온수 사용양에 따라 개질기의 연료량을 조절함으로써 추종 운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연료 전지 시스템 100: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
110: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120: 제1 개질기
200: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부 210: 제2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220: 제2 개질기 300: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부
310: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 320: 제3 개질기
400: 폐열 회수 시스템 500: 통합 개질기

Claims (8)

  1. 건물에 필요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시 가동되어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기 설정된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구간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함께 상기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 및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가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의 10% 초과 50%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필요 전력이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가 공급 가능한 총 전력의 50% 초과 100% 이하로 설정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체 연료 전지 가동 중 발생하는 폐열 중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폐열 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 회수 시스템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개질기의 온도가 600 ℃ 이상 800 ℃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폐열을 공급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 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의 가동율을 조절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단일의 통합 개질기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 전지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개질기에서 발생하는 폐열 중 적어도 일부를 회수하여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폐열 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개질기는 수증기 개질 반응을 거친 연료를 상기 제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상기 제2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로 공급하고, 상기 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성 가스 전환 공정을 거친 연료를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로 공급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190175604A 2019-12-26 2019-12-26 연료 전지 시스템 KR20210083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04A KR20210083030A (ko) 2019-12-26 2019-12-26 연료 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04A KR20210083030A (ko) 2019-12-26 2019-12-26 연료 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030A true KR20210083030A (ko) 2021-07-06

Family

ID=7686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604A KR20210083030A (ko) 2019-12-26 2019-12-26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4576A (zh) * 2022-07-01 2022-09-20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启动的综合能源动力系统及动力系统的冷启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4576A (zh) * 2022-07-01 2022-09-20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启动的综合能源动力系统及动力系统的冷启动方法
CN115084576B (zh) * 2022-07-01 2024-02-06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启动的综合能源动力系统及动力系统的冷启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38B1 (ko) 외부 개질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
JP2007523443A (ja) 水素生産、発電、及び併産のための燃料電池
JP611430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の駆動方法
US20070042248A1 (en) Extinguishing system for fuel cell
KR100639017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2009048854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82353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냉시동 방법
KR20210083030A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4727642B2 (ja) 水素製造発電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08248851A (ja) ポンプ装置の流量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21684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4576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0778207B1 (ko) 전력변환장치의 폐열을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102312A (ko) 복수의 가열수단을 구비한 개질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시스템
KR101620237B1 (ko) 복합 연료전지 시스템
JP2007026998A (ja)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発電装置の燃料電池温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9117170A (ja) 水素製造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負荷追従発電方法
JP200807172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稼動停止方法
JP200200869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起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46053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起動法
KR20040011289A (ko) 연료전지의 연료/공기 가열장치
JP200635145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397091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08407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04192952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