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743A - 케이블 엔트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엔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743A
KR20090124743A KR1020080051120A KR20080051120A KR20090124743A KR 20090124743 A KR20090124743 A KR 20090124743A KR 1020080051120 A KR1020080051120 A KR 1020080051120A KR 20080051120 A KR20080051120 A KR 20080051120A KR 20090124743 A KR20090124743 A KR 2009012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plate
cable
mount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489B1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4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엔트리(150)의 일측에는 로우커버(110)의 엔트리구(1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55,175)가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일측에는 한 쌍의 장착리브(15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156)의 사이에는 장착채널(157)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리브(156)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지지부(17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상기 지지부(179)가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상기 엔트리구(120)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장착채널(157)에 상기 엔트리구(120)의 둘레에 구비된 가이드리브(121)가 삽입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상기 엔트리구(12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에 상기 플레이트(!55,175)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용이해지고 오삽입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박스, 케이블 엔트리, 엔트리구, 지지부

Description

케이블 엔트리{Cable entry}
본 발명은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의 내외부로 케이블이 연장되는 것을 안내하는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조인트박스, 퓨즈박스 또는 정션박스 등의 다양한 박스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정션박스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퓨즈 및 릴레이 등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한 박스로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종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정션박스 내부의 전기장치와 연결된 케이블은 외부로 인출되어 전원 또는 다른 박스 및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션박스의 외부로 인출된 케이블이 유동되어 전기적 결합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엔트리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로우커버(10)는 정션박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주로 정션박스의 하면과 측면 하부를 구 성한다. 상기 로우커버(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에는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1)은 상기 로우커버(10)의 상부로 개구된다.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에는 엔트리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엔트리구(20)는 상기 측면의 일측을 소정 폭으로 상하로 개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엔트리구(20)를 통해서 케이블이 외부로 연장된다. 즉, 상기 엔트리구(20)는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 일측이 절개된 형상으로 메인커버(미도시)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엔트리구(2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에는 가이드리브(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1)는 상기 엔트리구(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1)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1)는 후술할 케이블 플레이트(54)의 장착채널(57,77)과 결합되어, 케이블 엔트리(50)를 상기 로우커버(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하게 한다.
도면부호 50은 케이블 엔트리이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50)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50)의 일측은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에 형성된 엔트리구(20)의 일부를 차폐하고, 타측은 상기 엔트리구(20)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 엔트리(50)는 상기 엔트리구(20)의 일부를 차폐하여 둘러쌈으로써 상 기 엔트리구(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커버(10)의 내부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50)는 크게 제1몸체부(51)와 제2몸체부(71)로 구성된다. 즉, 제1몸체부(51)와 제2몸체부(7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엔트리구(20)를 차폐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연장된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51)는 상기 제2몸체부(71)와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51)는 그 일측을 제1플레이트(55)가 형성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55)는 제1몸체부(51)와 제2몸체부(71)가 결합되면 후술할 제2플레이트(75)와 연속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로우커버(10)의 측면에 형성된 엔트리구(2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55)는 제2플레이트(7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일측이 요입된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55)의 양측에는 제1장착리브(5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리브(56)는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리브(56)의 사이에는 제1장착채널(57)이 요입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1장착채널(57)은 상기 케이블 플레이트(54)가 상기 엔트리구(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1)와 결합된다.
상기 제1몸체부(51)에는 제2몸체부(71)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부(71)는 상기 제1몸체부(51)와 결합되어 상기 엔트리구(20)를 차폐하고, 상기 로우커버(10) 내부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부(71)는 그 일측을 제2플레이트(75)가 형성한다. 상기 제2플레 이트(75)는 상기 제1몸체부(51)와 제2몸체부(71)가 결합되면 제1플레이트(55)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플레이트(75)는 상기 제1플레이트(5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일측이 요입된 반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75)의 양측에는 제2장착리브(7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리브(76)는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리브(76)의 사이에는 제2장착채널(77)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채널(77)은 상기 케이블 플레이트(54)가 상기 엔트리구(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1)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장착채널(77)은 상기 제2플레이트(7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데, 두 몸체부(51,71)가 결합되면 상기 제1장착채널(57)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하나의 장착채널(57,77)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50)는 상기 로우커버(10)의 엔트리구(20)에 상기 케이블 엔트리(50)의 장착채널(57,77)에 상기 엔트리구(20)의 가이드리브(21)에 삽입되어야 상기 로우커버(10)에 정확히 결합된다. 즉, 상기 엔트리구(20)의 개구된 부분의 상방에서 상기 장착채널(57,77)이 상기 엔트리구(20)의 가이드리브(21)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결합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로우커버(10)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진 상태로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엔트리구(20)를 보지못하는 상태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엔트리(50)의 장착채널(57,77)은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상기 장착채널(57,77)로 상기 가이드리브(21)가 삽입되도록 맞추는 것 이 어렵고, 상기 장착채널(57,77)에 상기 가이드리브(21)가 삽입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55,75)의 일측 또는 양측이 상기 로우커버(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케이블 엔트리(50)의 조립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엔트리의 일부가 엔트리구에 삽입되어 케이블 엔트리의 장착채널에 엔트리구 가장자리의 가이드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초기위치가 설정되는 케이블 엔트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션박스의 일측면을 관통하고 그 일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장착부가 구비되는 엔트리구에 결합되는 케이블 엔트리에 있어서, 양단에 상기 엔트리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장착채널을 형성하는 장착리브가 일부구간에만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엔트리구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감싸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지지부 사이로 상기 장착부가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엔트리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엔트리구에 삽입된 후 상기 플레이트의 장착채널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엔트리구에 결합된다.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장착부의 길이(S)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고정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일부가 위치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엔트리를 엔트리구에 결합시킬때, 케이블 엔트리의 플레이트의 일부가 엔트리구에 삽입되어 초기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지지부가 엔트리구의 둘레부분에 지지되도록 한 후에 플레이트의 장착채널에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추어 결합한다.
따라서, 장착채널에 가이드리브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지지부에 의해 플레이트가 완전히 로우커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오조립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로우커버(110)는 정션박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 으로,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주로 정션박스의 하면과 측면 하부를 구성한다. 상기 로우커버(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에는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11)은 상기 로우커버(110)의 상부로 개구된다.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과 바닥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에는 엔트리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엔트리구(120)는 상기 측면의 일측을 소정 폭으로 상하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엔트리구(120)를 통해서 케이블이 외부로 연장된다. 즉, 상기 엔트리구(120)는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 일측이 절개된 형상으로 메인커버(미도시)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에는 가이드리브(1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1)는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1)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1)는 후술할 케이블 엔트리플레이트(155)의 장착채널(157) 및 고정채널(177)과 결합되어, 케이블 엔트리(150)를 상기 로우커버(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하게 한다.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 상단에 해당되는 상기 엔트리구(120)의 양단에는 장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24)는 후술할 케이블 엔트리(150)의 체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장착부(124)의 양측에는 체결리브(125)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25)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분으로, 그 상단이 상기 엔트리 구(120)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부 형식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체결리브(125)의 내면에는 걸이턱(1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26)은 상기 체결리브(125)의 내면에서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두 체결리브(125)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체결리브(125)와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에 의해 내부로 요입되어 걸이채널(12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27)은 후술할 케이블 엔트리(150)의 걸이리브(158)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턱(126)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엔트리구(1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50은 케이블 엔트리이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의 일측은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에 형성된 엔트리구(120)의 일부를 차폐하고, 타측은 상기 엔트리구(120)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는 상기 엔트리구(120)의 일부를 차폐하여 둘러쌈으로써 상기 엔트리구(1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로우커버(110)의 내부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기 로우커버(110)의 엔트리구(120)와 상기 케이블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는 크게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로 구성된다. 즉,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엔트리구(120)를 차폐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연장된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로우커버(110)의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 결합되어야 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두 부분을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몸체부(151)는 상기 제2몸체부(171)와 결합됨으로써 관통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간(s)에는 상기 로우커버(110)에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151)는 그 일측을 제1플레이트(155)가 형성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55)는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가 결합되면 후술할 제2플레이트(175)와 연속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로우커버(110)의 측면에 형성된 엔트리구(12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55)는 제2플레이트(17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일측이 요입된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55)의 양측 일부구간에는 장착리브(156)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156)는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156)의 사이에는 장착채널(157)이 요입되게 형성한다. 상기 장착채널(157)은 상기 제1플레이트(15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12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플레이트(155)에는 걸이리브(15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158)는 상기 장착부(124)와 대응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155)의 양측 단부에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158)는 상기 걸이채널(127)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리브(158)는 상기 장착부(124)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158)에는 걸림홈(159)이 요입되게 형성된다(도 3a 참조). 상기 걸림홈(159)은 상기 체결리브(125)의 걸이턱(126)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턱(1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51)의 타측을 제1플레이트(155)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1커버(163)가 형성한다. 상기 제1커버(163)는 후술할 제2커버(183)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관통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제1커버(163)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턱(167)이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67)에는 후술할 결합후크(187)가 걸어져 상기 제 1 몸체부(151)와 제 2 몸체부(171)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몸체부(151)에는 제2몸체부(171)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부(171)는 상기 제1몸체부(151)와 결합되어 상기 엔트리구(120)를 차폐하고, 상기 로우커버(110) 내부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부(171)는 그 일측을 제2플레이트(175)가 형성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175)는 상기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가 결합되면 제1플레이트(155)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플레이트(175)는 상기 제1플레이트(15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일측이 요입된 반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175)의 양측에는 고정리브(17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176)는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176)의 사이에는 고정채널(177)이 요 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채널(177)은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리브(121)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175)의 고정리브(176)에서 후술할 제2커버(183)와 가까운 쪽에 있는 고정리브(176)에는 지지부(17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79)는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삽입될 때,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로우커버(120)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장착채널(157)에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이드리브(121)가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초기위치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79)와 상기 제1플레이트(155)의 걸이리브(158) 사이의 거리(L)는 상기 로우커버(110)의 장착부(124)의 길이(J)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로우커버(110)의 장착부(124)가 상기 지지부(179) 및 상기 걸이리브(158)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를 상기 엔트리구(12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상기 엔트리구(120)의 관통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엔트리구(120)에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지지부(179) 및 걸이리브(158)가 상기 장착부(124)와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몸체부(171)의 타측을 제2커버(183)가 형성한다. 상기 제2커버(183)는 상기 제2플레이트(175)와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의 일 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183)는 상기 제1커버(163)와 결합되어 상기 로우커버(110)와 상기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버(183)의 외면에는 결합후크(18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187)는 상기 제1커버(163)의 결합턱(167)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몸체부(151,171)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후크(187)는 상기 결합턱(167)에 대응되게 상기 제2커버(183)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반대로 상기 결합후크(187)가 제1커버(163)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167)이 제2커버(18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를 로우커버의 엔트리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를 로우커버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션박스의 내외부로는 많은 케이블 입출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부품과 외부의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상기 로우커버(110)의 엔트리구(120)에 장착된 케이블 엔트리(150)의 내부공간(S)을 통과해 정션박스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한다.
우선, 분리된 상태의 케이블 엔트리(150)를 결합시키는 과정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엔트리(150)는 케이블이 상기 로우커버(110)의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이를 감싸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조립하여 결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51)와 제2몸체부(17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1플레이트(155)와 제2플레이트(175) 그리고 제1커버(163)와 제2커버(183)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 상기 엔트리구(120)를 관통하여 연장된 부분의 케이블의 일부가 제1 및 제2 몸체부(151,17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51,171)를 대응되게 결합시킨다. 즉, 각각의 결합후크(187)를 대응되는 결합턱(167)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후크(187)는 상기 결합턱(167)을 타고 넘으면서 제2몸체부(17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187)가 상기 결합턱(167)에 완전히 걸어지면, 상기 결합후크(187)는 원상복원되어 제1 및 제2 몸체부(151,171)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를 로우커버(110)의 엔트리구(120)에 결합시킨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150)의 플레이트(155,175)를 상기 엔트리구(120)의 관통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로우커버(110)의 장착부(124)가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지지부(179)와 걸이리브(158)의 사이로 통과하도록 맞추어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상기 엔트리구(120)에 삽입시킨다. 상기 지지부(179)와 상기 걸이리브(158)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장착부(124)의 길이(S)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부(124)는 상기 지지부(179)와 상기 걸이리브(158)의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지지부(179)가 상기 엔트리구(120)의 둘레부분에 접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155,175)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장착채널(157)은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이드리브(121)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장착채널(157)에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이드리브(121)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조절한 후, 상기 플레이트(155,175)를 도 3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이동되면 상기 장착채널(157)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리브(121)가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플레이트(155,175)의 걸이리브(158)가 상기 엔트리구(12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장착부(124), 정확하게는 상기 장착부(124)의 걸이채널(127)에 삽입된다.
상기 걸이채널(127)에 상기 걸이리브(158)가 어느 정도 삽입되면 상기 걸이리브(158)의 걸림홈(159)이 상기 체결리브(125)의 걸이턱(126)과 접하게 된다. 상기 체결리브(125)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상기 체결리브(125)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걸이리브(158)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리브(125)는 소정량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림홈(159)이 상기 걸이턱(126)에 걸어짐과 동시에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걸림홈(159)이 상기 걸이턱(126)에 걸어져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상기 엔트리구(12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플레 이트(155,175)의 고정채널(177)에 상기 가이드리브(121)가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155,175)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엔트리를 로우커버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로우커버 111 : 내부공간
120 : 엔트리구 121 : 가이드리브
124 : 장착부 125 : 체결리브
126 : 걸이턱 127 : 걸이채널
150 : 케이블 엔트리 151 : 제1몸체부
155 : 제1플레이트 156 : 장착리브
157 : 장착채널 158 : 걸이리브
159 : 걸림홈 163 : 제1커버
167 : 결합턱 171 : 제2몸체부
175 : 제2플레이트 176 : 고정리브
177 : 고정채널 179 : 지지부
183 : 제2커버 187 : 결합후크

Claims (4)

  1. 정션박스의 일측면을 관통하고 그 일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장착부가 구비되는 엔트리구에 결합되는 케이블 엔트리에 있어서,
    양단에 상기 엔트리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장착채널을 형성하는 장착리브가 일부구간에만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엔트리구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감싸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지지부 사이로 상기 장착부가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엔트리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엔트리구에 삽입된 후 상기 플레이트의 장착채널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엔트리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장착부의 길이(S)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고정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일부가 위치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KR1020080051120A 2008-05-30 2008-05-30 케이블 엔트리 KR10095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20A KR100957489B1 (ko) 2008-05-30 2008-05-30 케이블 엔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20A KR100957489B1 (ko) 2008-05-30 2008-05-30 케이블 엔트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743A true KR20090124743A (ko) 2009-12-03
KR100957489B1 KR100957489B1 (ko) 2010-05-14

Family

ID=4168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120A KR100957489B1 (ko) 2008-05-30 2008-05-30 케이블 엔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78A (ko) * 2017-10-03 2019-04-11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차량 전기 센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94B1 (ko) 2006-07-20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KR200438138Y1 (ko) 2006-12-27 2008-01-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KR100823343B1 (ko) 2007-05-28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78A (ko) * 2017-10-03 2019-04-11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차량 전기 센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489B1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JP6020306B2 (ja) 自動変速機の配線ユニット
CN109309362B (zh) 保护装置
JP2019129578A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JP5067176B2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KR100957489B1 (ko) 케이블 엔트리
KR200438138Y1 (ko)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KR10187283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200441805Y1 (ko)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KR200431758Y1 (ko) 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JP5088229B2 (ja) 電気接続箱
KR100995274B1 (ko) 케이블 엔트리가 구비되는 박스
KR200439567Y1 (ko) 정션박스의 상부커버 배수구조
KR200441886Y1 (ko) 박스의 케이블고정장치
KR100838792B1 (ko)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100622778B1 (ko)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14199068A (ja) 自動変速機の配線ユニット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0823343B1 (ko)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JP5212832B2 (ja) 電気接続箱
JP468074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7400464B2 (ja) ハーネス保護構造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100955057B1 (ko) 차량용 박스
JP61353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ベー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