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422A -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422A
KR20090124422A KR1020080050637A KR20080050637A KR20090124422A KR 20090124422 A KR20090124422 A KR 20090124422A KR 1020080050637 A KR1020080050637 A KR 1020080050637A KR 20080050637 A KR20080050637 A KR 20080050637A KR 20090124422 A KR20090124422 A KR 2009012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lip control
loss power
control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075B1 (ko
Inventor
박진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7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1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means only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 F16H61/142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means only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the means being hydraul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의 손실파워에 따른 토크 컨버터에 대한 적정의 슬립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연비의 향상과 함께 클러치의 내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고, 슬립제어중 손실파워가 설정된 시간이 상이한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진입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제어를 수행하고, 복귀제어후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복귀제어를 반복 수행하고,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크 컨버터, 클러치, 손실파워, 슬립제어

Description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Slip control method for torque converter using clutch loss power}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내에서 엔진의 출력축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의 동력 단속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클러치에 대한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은 발진시 토크의 증배 효과를 통한 구동력의 향상을 위해 토크 컨버터를 구성요소로 채택하고 있다.
토크 컨버터는 유체를 이용한 동력전달의 장치이므로 유체의 유동장내에서 슬립이 발생되기 때문에, 연비의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토크 컨버터 클러치(댐퍼 클러치 또는 록업 클러치라 지칭되고, 이하에서 클러치로 통칭함)가 제안되었고, 그 작동 영역은 점차 넓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엔진 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를 완전 직결시키게 되면, 연비의 향상은 기대할 수 있으나, 부밍 소음의 발생 등 차량의 NVH 성 능에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NVH 성능에 대한 문제를 회피하면서 토크 컨버터의 슬립량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가 적용되고 있다. 즉, 엔진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고, 슬립의 유지에 따른 운전성 측면에서 유리함으로 인해 그 사용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한편,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 슬립락업제어는 클러치를 지속적으로 슬립시킴으로써 클러치와 자동 변속기의 작동유(ATF)의 열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 뿐만 아니라, 슬립제어중 발생되는 쇽크로 인한 승차감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의 정교함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토크 컨버터에 있어 클러치의 슬립제어는 클러치와 작동유의 내구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목표 슬립량과 클러치 토크를 각각 별개로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목표 슬립량 제어하는 로직은 별도로 슬립제어를 구현하기 위한 당연한 필수 로직이지만, 클러치 수명을 위해 클러치 토크를 제한하는 로직은 클러치의 파워에 대한 제어가 아니기 때문에 로직의 단순함은 있으나, 슬립량의 제어가 불안정할 경우, 큰 손실파워가 발생하여 클러치의 수명을 보장하기 힘들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의 손실파워에 따른 토크 컨버터에 대한 적정의 슬립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연비의 향상과 함께 클러치의 내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고, 슬립제어의 수행중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고, 슬립제어의 수행중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내에 손실파워가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진입하지 못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발생을 검출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고, 슬립제어의 수행중 손실파워가 설정된 시간이 상이한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진입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제어를 수행하고, 복귀제어후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복귀제어를 반복 수행하고,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즉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의 초과시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에 의하면, 주행중 토크 컨버터의 클러치에 대한 슬립제어시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검출하고, 검출된 손실파워에 상응하는 적정의 슬립제어를 실시하도록 하여 클러치의 손상에 따른 내구 성능의 저하를 해소함과 더불어 적정의 슬립제어를 통한 연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앞서, 토크 컨버터에 있어 슬립제어에 따른 클러치의 수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나 슬립에 따라 수반되는 발열에 의한 에너지량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안전 한계내에서 슬립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주요한 관심의 대상임을 밝혀 둔다.
이 경우, 클러치의 손실파워와 슬립량은 다음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다.
클러치 손실파워(P_c) = 클러치토크(T_c) * 슬립량(dω)
슬립량 = 입력 회전수 - 클러치 회전수
여기서, 상기 입력 회전수는 토크 컨버터로 입력되는 엔진의 출력 회전수에 해당하고, 이는 크랭크 축에 설치된 포지션 센서로부터 검출된다. 상기 클러치 회전수는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설치된 센서(PG-A)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손실파워(P_c)는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마찰재와 자동 변속기의 작동유(ATF)를 열화시키기 때문에 손실파워(P_c)가 클수록 클러치의 수명은 급격히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토크컨버터의 클러치가 작동하고 슬립이 존재할 때,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를 알기 위해서는 클러치토크(T_c)를 알아야 하는 데, 자동변속기를 탑 재한 차량에서 엔진의 토크는 토크컨버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터빈으로 동력의 전달 상태가 달라진다. 즉, 토크컨버터로의 입력토크는 엔진토크에서 엔진의 마찰토크와 자동변속기의 오일펌프 구동토크 등 저항을 뺀 토크인 것이다.
한편, 클러치의 작동 유무와 슬립의 발생 유무에 따른 입력토크(T_e)와 터빈토크(T_t)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다.
1) 클러치의 미작동시
토크컨버터의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순수한 유체의 유동에 의한 힘으로만 동력이 전달되고, 이때 토크 컨버터의 입력토크(T_e)는 유체토크(T_h)에 의해서만 토크 컨버터의 터빈으로 전달되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입력토크(T_e) = 유체토크(T_h) = 토크컨버터 용량계수(Cf) * 엔진회전수(N_e)^2
터빈토크(T_t) = 토크비(tr) * 입력토크(T_e)
여기서, 상기 용량계수(Cf)와 토크비(tr)는 엔진회전수(N_e)와 속도비의 함수관계이고, 특히 상기 용량계수(Cf)는 토크 컨버터의 성능시험시 토크 컨버터별로 고유한 성능계수에 해당하는 값으로, 입력토크(T_e)와 엔진회전수(N_e)의 제곱값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2) 클러치의 작동중,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토크컨버터의 클러치가 작동하고 슬립량(d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러치에 의해서만 동력이 전달되는, 즉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력이 클러치를 통해서만 자동 변속기로 전달되는 상황이므로,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입력토크(T_e) = 클러치토크(T_c)
터빈토크(T_t) = 입력토크(T_e)
따라서, 입력토크(T_e)와 클러치토크(T_c) 및 터빈토크(T_t)는 모두 동일한 상태가 된다.
3) 클러치 작동중,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
토크컨버터의 클러치가 작동하고 슬립량(d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유체토크(T_h)와 클러치토크(T_c)가 공존하는 상태이므로,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즉, 입력토크(T_e)는 유체토크(T_h)와 클러치토크(T_c)를 합산한 값으로 산출되는 데, 이 경우, 상기 유체토크(T_h)는 토크컨버터 용량계수(Cf)와 엔진회전수(N_e)의 상관관계로부터 산출되고, 상기 클러치토크(T_c)는 클러치의 마찰계수와 클러치의 작동시 마찰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 및 마찰면에 대한 등가반경을 고려하여 산출되므로,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토크(T_e)는 다음과 같다.
입력토크(T_e) = 유체토크(T_h) + 클러치토크(T_c)
입력토크(T_e) = 토크컨버터의 용량계수(Cf) * 엔진회전수(N_e)^2 + 클러치토크(T_c)
또한, 터빈토크(T_t)도 토크비(tr)와 입력토크(T_e)의 상관관계에 발생된 클러치토크(T_c)를 감안하여 하기와 같은 관계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터빈토크(T_t) = 토크비(tr) * 유체토크(T_e) + 클러치토크(T_c)
따라서, 토크컨버터의 클러치가 작동하고 슬립이 존재할 때, 토크 컨버터에 있어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다.
클러치 손실파워(P_c) = 클러치토크(T_c) * 슬립량(dw)
클러치 손실파워(P_c) = {입력토크(T_e) - 유체토크(T_h)} * 슬립량(dw)
클러치 손실파워(P_c) = {입력토크(T_e) - [토크컨버터 용량계수(Cf) * 엔진회전수(N_e)^2]} * 슬립량(dw) ------------------------- (관계식)
한편, 토크컨버터에 있어, 클러치의 손실파워는 클러치의 내구력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게 되므로, 클러치의 사용에 대한 제한은 내구성능의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 토크 컨버터에 구비된 클러치에서 슬립발생을 검출하면(S10),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를 관계식으로부터 연산하여 산출하고(S11), 산출된 클러치의 손실파워(P_c)의 정도와 슬립제어를 허용하지 않는 기준 설정값을 상호 비교한다.(S12)
이 경우, 상기 단계(S10)에서 슬립발생의 검출은 엔진회전수와 터빈회전수의 검출을 통한 양자의 비교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는 상기에서 언급한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되고, 슬립제어를 허용하지 않는 기준 설정값은 클러치의 내구 시험에 대한 결과와 실제 차량의 부하 조건을 고려한 시험의 결과를 고려한 값으로부터 설정된다.
상기 단계(S12)에서 발생된 클러치의 손실파워(P_c)가 기준 설정값 보다 작으면, 손실파워(P_c)와 기준 설정값 사이의 차이에 따른 슬립제어의 영역과 제어시 간을 구분한다.(S13) 또한, 상기 단계(S12)에서 발생된 클러치의 손실파워(P_c)가 기준 설정값 보다 크면, 슬립제어를 종료하여 클러치와 작동유를 보호한다.
이때, 슬립제어를 위해 구분되는 영역과 영역별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설정범위의 임계값을 선정하여 다수로 선정하는 데, 이 과정에서 설정범위를 한정하는 다수의 임계값들은 시험을 통해 얻어진다.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별 클러치의 슬립제어를 위한 영역의 구분 예시
영역 클러치의 손실파워(P_c) 슬립제어의 유지시간
A P_c < Pa 제한없음/상당히 긴 시간
B Pa < P_c < Pb 짧은 시간
C Pb < P_c < Pc 매우 짧은 시간
D Pc < P_c < Pd 슬립제어를 허용하지 않음
이 경우에 있어, 각각의 영역에서 설정된 임계값(Pa,Pb,Pc,Pd)은 손실파워(P_c)의 정도에 따른 클러치의 슬립제어시 슬립제어의 유지시간이 클러치와 작동유의 내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클러치에 대한 내구 시험과 차량의 부하 조건을 고려한 실제 시험을 거쳐 설정되는 실험값이다.
즉, 영역 A의 조건은 슬립제어를 위한 유지시간에 제한이 없거나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 슬립을 지속하여도 클러치와 작동유의 내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시험된 구간이다.
그리고, 영역 B의 조건은 주행중 급격한 엔진 토크의 증가나 슬립량 증가에 의해 손실파워(P_c)가 순간적으로 증가한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짧은 시간 동안은 허락하여 정상적인 슬립제어로 복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간이다.
또한, 영역 C는 영역 B 보다 더 큰 파워가 들어오더라도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슬립제어를 허용함으로써, 스로틀개도의 완전개방(WOT)시 클러치가 슬립상태에서 완전 직결의 상태로 전환되어 매우 큰 외란에 대해서도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이다.
한편, 영역 D는 매우 큰 파워 조건에 대해서는 슬립제어를 즉시 중단하도록 하여, 슬립의 발생에 따른 열해로부터 클러치와 작동유의 내구 성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인 바, 이 영역 D에서 임계값(Pd)은 상기 단계(S12)에서 슬립제어를 허용하지 않는 기준 설정값에 상당한다.
상기 단계(S13)에서 구분된 손실파워(P_c)와 기준 설정값 사이의 차이에 따른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과 제어시간에 상응하여 슬립제어를 실시한다.(S14)
이어, 슬립제어중 현재의 손실파워(P_c)의 정도가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단계(S15)에서 현재의 손실파워(P_c)가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내에 존재하면,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허용하는 제어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16)
상기 단계(S16)에서 제어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를 종료하여 클러치와 작동유를 보호하고,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계(S13)로부터 이하의 제어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S15)에서 현재의 손실파워(P_c)가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S17) 이어,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8)
상기 단계(S18)에서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였으면, 상기 단계(S16)로부터 이하의 제어과정을 반복하고,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않았으면, 전이된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슬립제어를 지속하면서 설정된 제어시간에 대한 경과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9)
상기 단계(S19)에서 전이된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제어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슬립제어를 종료하여 클러치와 작동유를 보호하고,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17)로부터 이하의 제어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토크 컨버터에 구비된 클러치와 작동유에 대한 내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슬립제어시 클러치토크(T_c)를 대신하여 클러치의 파워를 제한하게 되면, 즉 클러치의 손실파워(P_c)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의 영역과 제어시간을 구분하여 적용하게 되면,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제어를 내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연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러치의 손실파워(P_c)에 따라 구분된 슬립제어의 영역과 제어시간은 클러치의 내구 시험과 실제 차량의 부하 조건을 고려한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주행중 급격한 입력토크의 변동 등과 상황에서도 쇽크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승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터빈회전수 3500rpm에서 클러치가 슬립상태(슬립량(dω)이 200rpm)에서 직결의 상태(슬립량(dω)이 0rpm)로 전환될 때, 유체토크(T_h)와 클러치토크(T_c) 및 손실파워(P_c)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인 바, 일정한 수준의 엔진토크에서 슬립량(d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과정중에 유체토크(T_h)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클러치토크(T_c)는 증가하게 되므로, 클러치의 손실파워(P_c)는 증가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은 슬립락업제어중의 정속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조작에 따라 가속페달의 답입량이 변화(K%에서 K+N%로 증가)되면, 엔진의 출력 토크는 증가하고, 클러치의 슬립제어를 위한 유압은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회전수는 증가하게 되는 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가 개시된다.
이때, 가속페달에 대한 답입량의 변화가 어느 정도의 수준인 지의 여부에 따라 손실파워(P_c)는 종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슬립제어의 영역이 달라지게 되며, 그에 상응하는 슬립제어가 수반되는 것이다. 즉, 슬립제어중 급격한 가속페달의 답입량 변화가 있는 경우와, 오픈 상태에서 슬립이나 직결 제어로 진입하는 경우 및, 오픈 상태에서 슬립이나 직결 제어로 진입하다가 급격한 가속페달의 답입량 변화가 수반되는 경우 등, 여러 가지의 경우에 있어 각각 계산된 손실파워(P_c)에 따라 슬립제어의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클러치와 작동유에 대한 보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클러치의 손실파워 대비 클러치의 수명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3은 클러치의 슬립상태에서 직결상태로 전환시 유체토크와 클러치토크 및 손실파워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Claims (5)

  1. 주행중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하면, 클러치의 손실파워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손실파워가 클러치의 보호를 위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산된 손실파워의 정도에 따라 슬립제어를 유지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의 제어중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의 제어중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내에 손실파워가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진입하지 못하 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슬립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의 제어중 손실파워가 설정된 시간이 상이한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진입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복귀제어후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복귀제어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전이 슬립제어의 영역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해당 슬립제어의 영역으로 복귀하지 못하면, 슬립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KR1020080050637A 2008-05-30 2008-05-30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KR10141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37A KR101417075B1 (ko) 2008-05-30 2008-05-30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37A KR101417075B1 (ko) 2008-05-30 2008-05-30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422A true KR20090124422A (ko) 2009-12-03
KR101417075B1 KR101417075B1 (ko) 2014-07-08

Family

ID=4168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637A KR101417075B1 (ko) 2008-05-30 2008-05-30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2B1 (ko) 2021-11-10 2023-01-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댐퍼 클러치 보호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46B1 (ko) * 1995-12-08 2000-05-15 정몽규 자동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슬립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19844440A1 (de) * 1998-09-28 2000-06-08 Zf Batavia Llc Motordrehzahlführung über die Wandlerüberbrückungskupplung bei einem stufenlosen Getriebe (CVT)
JP3476718B2 (ja) 1999-08-26 2003-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機構付きトルク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2B1 (ko) 2021-11-10 2023-01-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댐퍼 클러치 보호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754176B2 (en) 2021-11-10 2023-09-12 Hyundai Kefico Corpo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amper clutch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075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9517B2 (en) Lock-up clutch control
US20060240945A1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339234B1 (ko)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JP4133989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811870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friction clutch in a vehicular drive line
JP6176192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532321B1 (ko) 무단변속기 차량의 풀리 제어방법
CN106641234B (zh) 用于控制车辆变速模式和发动机速度的方法
KR101339227B1 (ko)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KR101417075B1 (ko) 클러치 손실파워를 이용한 토크 컨버터의 슬립제어 방법
KR102244551B1 (ko) 직결 영역 댐퍼 슬립 시 댐퍼 클러치 압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326684B2 (ja) 車両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20130065168A (ko) 엔진 토크 제어 방법
JP5528129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3480027B2 (ja) 流体作動式摩擦要素の締結制御装置
KR101416425B1 (ko)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US101615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rque converter clutch pressure circuit filling and capacity detection
KR102488362B1 (ko) 차량 댐퍼 클러치 보호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60870B1 (ko)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16427B1 (ko)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3477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JP4506054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制御装置
KR20130029144A (ko)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00435638B1 (ko)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KR19980027254A (ko) 자동 변속 차량의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