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638A -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638A
KR20090123638A KR1020080049806A KR20080049806A KR20090123638A KR 20090123638 A KR20090123638 A KR 20090123638A KR 1020080049806 A KR1020080049806 A KR 1020080049806A KR 20080049806 A KR20080049806 A KR 20080049806A KR 20090123638 A KR20090123638 A KR 2009012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nnector
sliding
coupled
par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074B1 (ko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로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07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는파티션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다른 파티션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티션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와 부분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여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파티션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작업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파티션, 연결장치, 결합장치, 연결구

Description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Sliding Coupling Device for 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두 파티션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주로 사무실 또는 오피스텔 등의 장소에서 사용되는 사무용 가구로서, 실내의 일정 공간을 독립된 여러 공간으로 구획 형성시키기 위한 칸막이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기능뿐만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나만의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나 개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켜 줌과 아울러 방음기능과 미려한 디자인으로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사무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전선 등을 내부덕트에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함과 아울러, 레이아웃 변경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상호 결합이 가능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에 독립된 공간들을 구획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를 갖도록 각 파티션들을 상호 조립하여야 하는데, 각 파티션 패널의 측면에는 측면 프레임 들 간의 조립을 위해 별도의 연결장치가 요구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장치의 일반적인 형태는 하나의 파티션의 측면프레임에 연결장치가 고정되고, 다른 파티션에 상기 연결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두 파티션이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다.
아울러, 다른 형태로는 연결장치가 하나의 파티션의 측면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른 파티션의 측면프레임에 결합된 다른 연결장치가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서, 그 일례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5732호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연결장치는 파티션이 일반적으로 하나에서 두 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다수 개의 파티션이 연결됨에 따라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파티션의 무게 때문에 그 결합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작업현장에서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여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파티션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설치작업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티션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다른 파티션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티션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와 부분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이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본체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파티션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하부 내측이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한편,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된 단부벽과, 상기 돌출부의 양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상하 슬라이딩시 하향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여 상호 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파티션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호 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설치작업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100)는 연결본체(10), 커넥터(20), 지지대(30), 스토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10)는 파티션의 측면 또는 하부에 마련된 프레임(F)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상부는 상기 프레임(F)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양 측부에는 전기배선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배선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부(12)는 측면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는 후술할 커넥터(20)가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일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3)는 연결본체(10)의 측부뿐 아니라 하부로도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커넥터(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는 내측에 후술할 커넥터(20)의 슬라이드부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연결본체(10)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슬라이딩 가이드(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가이드(14)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커넥터(20)가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본체(10)의 좌우를 관통하는 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5)을 통해 후술할 스토퍼(40)가 삽입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커넥터(20)가 하향 슬라이딩시 슬라이딩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커넥터(2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지지대(30)와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본체(10)의 저면 일측에는 후술할 지지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대 홀(도 4의 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 홀(16)의 내측에는 지지대(30)가 결합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20)는 슬라이드부(21), 결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상술한 연결본체(10)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14)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가이드(1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21)의 저면에는 후술할 스토퍼(40)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스토퍼(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홈 형태의 안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는 돌출부(23)와 걸림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는 직육면체 형태 또는 바 형태이며,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일측과 결합하되, 상기 연결본체(10)의 개구부(13)를 통해 연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4)는 상술한 만입부(24a)에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부(24)의 상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걸림부(24)는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20)의 만입부(24a)에 수용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3)가 직육면체의 형태일 경우에는 그 하부에 후술할 걸림부(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입된 만입부(24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3)가 바 형태일 경우에는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된 단부벽(24c)과 돌출부(23)의 양 측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벽(24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20)의 만입부(24a)와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20)의 걸림부(24)가 수용되어 상호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파티션은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20)의 단부벽(24c)과 측벽(24b)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걸림부(24)가 수용됨으로써 서로 다른 두 파티션은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부벽(24c)의 경우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연결장치의 걸림부(24)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서로 다른 두 파티션 결합시, 상기 걸림부(24)와 상기 단부벽(24c)이 맞닿게 되므로 두 파티션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상기 걸림부(24)와 상기 측벽(24b)이 맞닿게 되므로 두 파티션의 두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가 부분중첩됨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대 및 스토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30)는 파티션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특성상 파티션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로서, 결합나사(31)와 지지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나사(31)는 연결본체(10)에 형성된 지지대 홀(16)에 결합되며, 결합시 지지대 홀(16)의 나사산과 대응되어 상하로 조절됨으로써 파티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32)는 파티션 설치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넓은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30)는 봉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연결본체(10)의 홀(15)에 결합되어 커넥터(20)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본체 및 커넥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파티션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대를 제외하고 파티션 프레임의 측단부에 설치하면 파티션의 측면을 결합하는 연결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제1실시예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결합도이다. 본 결합의 설명을 위해 각각의 파티션에 설치된 연결장치는 100A, 100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100A)(100B)는 각각의 파티션의 측면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파티션에 결합된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100A)(100B)는 각각에 구비된 커넥터(20A)(20B)의 상하 운동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우측 커넥터(20A)가 슬라이딩 가이드(14B)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한 후, 스토퍼(40B)에 걸쳐진 상태로 있는 좌측의 커넥터(20B)의 걸림부(23B)를 우측 커넥터(20A)의 만입부(24a')에 수용하게 되고, 우측 커넥터(20A)의 자중에 의해 좌측 커넥터(20B)를 하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좌측 커넥터(20B)는 스토퍼(40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게 된다.
특히, 결합된 두 연결장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우측 커넥터(20A)의 단부벽(24c')과 좌측 커넥터(20B)의 걸림부(23B)가 맞닿아 있어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두 파티션 중 어느 한 쪽의 파티션에 설치된 연결장치의 커넥터만 상부로 이동한 후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와 결합만 시키면 간단하 게 두 파티션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10 : 연결본체 20 : 커넥터
30 : 지지대 40 : 스토퍼

Claims (6)

  1. 파티션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어 다른 파티션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티션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다른 파티션에 설치된 커넥터와 부분 중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본체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파티션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하부 내측이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된 단부벽과, 상기 돌출부의 양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의 상하 슬라이딩시 하향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20080049806A 2008-05-28 2008-05-28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101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06A KR101017074B1 (ko) 2008-05-28 2008-05-28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06A KR101017074B1 (ko) 2008-05-28 2008-05-28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38A true KR20090123638A (ko) 2009-12-02
KR101017074B1 KR101017074B1 (ko) 2011-02-25

Family

ID=4168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06A KR101017074B1 (ko) 2008-05-28 2008-05-28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368B1 (ko) * 2016-07-12 2017-01-24 (주)선명테크 파티션 연결 장치
KR102568836B1 (ko) 2022-11-23 2023-08-21 뷰로맥스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810U (ja) * 1982-11-30 1984-06-09 松下電工株式会社 間仕切パネルの接続構造
KR200365974Y1 (ko) 2004-08-06 2004-10-28 이찬상 파티션 연결장치
KR200435732Y1 (ko) 2006-09-29 2007-02-12 이성원 칸막이의 하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074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215B2 (ja) 壁面収納装置
KR101017074B1 (ko)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JP6610215B2 (ja) 家具システム、及び、配線ダクト
JP2006204046A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JP5272490B2 (ja) 間仕切り壁
JP6808556B2 (ja) 物品載置棚装置
JP6910709B2 (ja) キャビネット
KR101852552B1 (ko) 자석부재를 이용한 하부커버 부착형 슬라이딩 연결 장치를 갖는 파티션
JP5334036B2 (ja) パネルの接続装置及びこれを適用したデスクトップパネル
JP4188439B2 (ja) 吊戸棚
JP6014855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における扉の反転構造
JP2020074817A (ja) 什器
CN102883636B (zh) 厨房模块
JP2004194917A (ja) 間仕切り体付き家具
JP5361969B2 (ja) 配線用固定金具とこの固定金具を用いた収納キャビネット
JP5276296B2 (ja) 収納棚
KR200363583Y1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JP6844596B2 (ja) 間仕切収納システム
JP6831261B2 (ja) 筐体および機能ボックス
EP2676586A1 (en) Shower box with associated additional elements
JP2017099736A (ja) やぐら付什器
KR200192821Y1 (ko) 욕실용 코너장
JP3148925U (ja) 天井埋込ボックス
JP5797054B2 (ja) 押し入れ構造
JP6294185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