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974Y1 - 파티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티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974Y1
KR200365974Y1 KR20-2004-0022463U KR20040022463U KR200365974Y1 KR 200365974 Y1 KR200365974 Y1 KR 200365974Y1 KR 20040022463 U KR20040022463 U KR 20040022463U KR 200365974 Y1 KR200365974 Y1 KR 200365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artition
angle
ring groove
sid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상
Original Assignee
이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상 filed Critical 이찬상
Priority to KR20-2004-0022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의 측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장착하여 파티션의 확장연결을 간편하도록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3 과 같이 서로 접하여져 측면으로 확장되는 파티션의 측부앵글(10) 하부에 서로 맞물리는 후크(1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후크(12)의 일단에는 고리홈부(18)로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곡면(16)이 포함된 후크부(1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부(14)가 삽입되는 고리홈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12)는 측부앵글(10)의 외측이 절개되어 장착공간(20)이 제공되고 이 장착공간(20)에서 회동축(22)으로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후크가 고리부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후크가 고리홈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크(12)의 결합으로 파티션 하방의 결합위치가 확보된 상태에서 파티션 상방의 결합으로 측부앵글(10)이 파티션의 일면상으로 연결되도록 측부앵글의 상방에는 가이드구(24)가 설치되며, 가이드구(24)는 서로 대향되는 'ㄴ' 형으로 절곡되고 측부앵글(10)이 접하여져 형성되는 사각틀의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면은 측부앵글(10)의 내측면에 체결되고 타면인 절곡돌출부는 측부앵글(10)의 접촉을 보유지지하는 지지측벽(26)으로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 연결장치{Coupling Device for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티션의 측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장착하여 파티션의 확장연결을 간편하도록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주어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은 분할하는 판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사무용가구에 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은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기능을 떠나 방문하는 고객과 상담을 할 경우, 고객과 상담자만의 아늑한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또한 방음효과로 인해 업무능률을 향상시켜 보다 근무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파티션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사무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를 사용함에 따라 사무용 가구 주변에는 복잡하게 전선이 가설되는데, 이러한 복잡한 전선을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사무용 가구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이 가능한 구조방식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단면상 컵형상을 이루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사각틀과, 외면에 섬유층이 부착되어 사각틀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판재와, 사각틀의 측면에 끼워지는 앵글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틀이 삼등분되어 하단에는 외면에 섬유층을 갖춘 판재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는 전기콘센트나 통신케이블 설치용 아답터를 설치하기 위한 개폐판이 설치되며, 그 상단에는 유리난 판재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의 상호 연결구조방식은 일반적으로 파티션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상하단 연결구조방식과, 파티션의 측면 전체가 연결봉이나 평단면상 장구형의 수지판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측면연결 구조방식이 있다.
상기 연결구조방식 중 본 발명은 상하단 연결구조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상하단 연결구조방식은 파티션이 접하는 면에 형성 또는 설치된 등간격의 결합홀과 고리편, 그리고 상단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브라켓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파티션이 접하는 측면의 맞물림은 레일식으로 수행되며, 이를 위해 구분된 파티션의 양측에 암부레일과 수부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 서로 끼워 맞추어 측면연결이 수행되고, 상하의 브라켓을 통해 결합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식 결합은 그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파티션의 상하길이와 면적을 고려할 때, 파티션을 들고 그 길이방향을 마추어 레일결합을 수행하는 것은 숙련가가 아닌 이상 그 조립과 분해에 상당한 불편함을 야기시켰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티션의 측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장착하여 파티션의 확장연결을 간편하도록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파티션 측부앵글을 따라 서로 맞물리는 후크와 더불어 가이드구를 설치하여, 후크의 맞물림과 가이드구의 안내에 따라 파티션의 측부가 일면상으로 확장되도록 한 것이다.
도 1a 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설명도,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나타낸 장착상태설명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이루는 후크를 나타낸 도 1a의 부분 확대설명도,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이루는 가이드구를 나타낸 도 1a의 부분 확대설명도,
도 3a 는 파티션의 연결시 후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3b 는 파티션의 연결시 가이드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부앵글, 12 - 후크,
14 - 후크부, 16 - 가이드곡면,
18 - 고리홈부, 20 - 장착공간,
22 - 회동축, 24 - 가이드구,
26 - 지지측벽, 28 - 후크스톱퍼,
30 - 고리홈부스톱퍼,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설명도와 장착상태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를 이루는 후크와 가이드구를 나타낸 확대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3 은 파티션의 연결시 각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서로 접하여져 측면으로 확장되는 파티션의 측부앵글(10) 하부에 서로 맞물리는 후크(1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후크(12)의 일단에는 고리홈부(18)로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곡면(16)이 포함된 후크부(1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부(14)가 삽입되는 고리홈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12)는 측부앵글(10)의 외측이 절개되어 장착공간(20)이 제공되고 이 장착공간(20)에서 회동축(22)으로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후크가 고리부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후크가 고리홈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크(12)의 결합으로 파티션 하방의 결합위치가 확보된 상태에서 파티션 상방의 결합으로 측부앵글(10)이 파티션의 일면상으로 연결되도록 측부앵글의 상방에는 가이드구(24)가 설치되며, 가이드구(24)는 서로 대향되는 'ㄴ' 형으로 절곡되고 측부앵글(10)이 접하여져 형성되는 사각틀의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면은 측부앵글(10)의 내측면에 체결되고 타면인 절곡돌출부는 측부앵글(10)의 접촉을 보유지지하는 지지측벽(26)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12)에는 상기 장착공간에서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스톱퍼가 형성되며, 스톱퍼는 후크부(14)가 마련될때는 고리홈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외측면이 장착공간(20)의 상단인 측부앵글(10) 단부와 간섭되는 후크스톱퍼(28)이고, 고리홈부(18)가 마련될때는 회동축(22)을 경계로 고리홈부의 측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걸림턱이 장착공간(20) 상단의 측부앵글(10) 내측면과 간섭되는 고리홈부스톱퍼(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티션의 측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장착하여 파티션의 확장연결을 간편하도록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파티션 연결장치는 후크(12)와 가이드구(24)로 구분되며, 후크(12)는 측부앵글(10)에서 하방에 설치되며, 가이드구(24)는 상방에 설치되어 후크가 하방에서 측부의 연결을 가고정시키고, 가이드구가 일면상의 확장연결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12)는 그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후크부(14)와 고리홈부(18)의 역할이 전환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것은 파티션에 후크(12)가 설치되는 경우, 어떤 파티션이 지점을 제공하고 어떤 파티션이 이 지점을 제공하는 파티션에 측면확장되는 것인지 결정될 수 없고, 그 결정은 시공시 현장에서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크(12)가 설치되고, 이 후크(12)는 상황에 따라 암부 또는 수부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를 위한 후크(12)는 파티션의 측부앵글(10)사이에 장착공간이 마련되고, 회동축(22)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90° 회전을 조건으로 일방에는 후크부(14)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고리홈부(18)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른 장착위치에 의해 후크부(14)와 고리홈부(18)가 측부앵글(10)에서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후크부(14)에는 가이드곡면(16)이 형성되며, 가이드곡면(16)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후크의 형성시 외측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며, 이 돌출부는 고리홈부(18)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유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장연결되는 파티션에 후크부(14)를 형성시키고, 지점을 제공하는 파티션에 고리홈부(18)를 형성시킨 다음, 후크부(14)를 고리홈부(18)에 끼우게 되면 간단하게 파티션 하단의 가결합이 수행되는 것이고, 이때 가이드곡면(16)는 후크부와 고리홈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유도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후크(12)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후크부(14) 또는 고리홈부(18)로 전환됨에 따라 각 조건에 마추어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된다.
스톱퍼는 회동축을 경계로 회동공간부의 상단인 측부앵글이 제공하는 단부와의 간섭부재가 마련되어 달성된다.
상기 스톱퍼는 2개로 구분되어 하나는 후크부가 마련될 때 후크부의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이고, 다른 하나는 고리홈부가 마련될 때 고리홈부의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이다.
즉, 상기 후크부(14)가 마련될때는 고리홈부(18)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외측면이 회동공간의 상단인 측부앵글 단부와 간섭되는 후크스톱퍼(28)이고, 고리홈부(18)가 마련될때는 회동축을 경계로 고리홈부의 측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걸림턱이 회동공간 상단의 측부앵글 내측면과 간섭되는 고리홈부스톱퍼(30)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앵글(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지지대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측부앵글 자체에도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며, 지지대가 측부앵글 하단에 장착됨에 따라 지지대는 측부앵글의 일부인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측부앵글에는 가이드구(24)가 설치되며, 가이드구(24)는 서로 대향되는 'ㄴ' 형으로 절곡되어 측부앵글(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측부앵글(10)이 접하여져 형성되는 사각틀에 있어서 그 측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구가 제공하는 길이는 상기 사각틀에서 분리된 측면길이를 연장시키는 결과가 되고, 분리된 측부앵글이 접하여질 때, 가이드구가 측부앵글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결국 측면의 연장상태를 보유지지하게 되는 지지측벽(26)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에 따라 후크(12)를 전환하여 지점을 제공하는 파티션에는 고리홈부(18)를 형성시키고, 확장되는 파티션에는 후크부(14)를 형성시킨 다음, 돌출된 가이드곡면(16)을 이용하여 고리홈부(18)와 후크부(14)를 결합시키게 되면, 파티션의 하단이 결합된다.
그 다음, 상부의 가이드구(24)를 서로 접촉되는 측부앵글(10)에 끼우게 되면, 가이드구의 지지측벽(26)에 따라 파티션의 일선이 유지되면서 측부로 확장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고리부와 고리홈부의 전환이 가능한 후크가 측부앵글의 하부에 설치되고, 측부앵글의 접촉을 유도하는 가이드구가 측부앵글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크의 결합과 가이드구의 결합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파티션의 측부가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로 접하여져 측면으로 확장되는 파티션의 측부앵글(10) 하부에 서로 맞물리는 후크(1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후크(12)의 일단에는 고리홈부(18)로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곡면(16)이 포함된 후크부(1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부(14)가 삽입되는 고리홈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12)는 측부앵글(10)의 외측이 절개되어 장착공간(20)이 제공되고 이 장착공간(20)에서 회동축(22)으로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후크가 고리부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후크가 고리홈부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크(12)의 결합으로 파티션 하방의 결합위치가 확보된 상태에서 파티션 상방의 결합으로 측부앵글(10)이 파티션의 일면상으로 연결되도록 측부앵글의 상방에는 가이드구(24)가 설치되며, 가이드구(24)는 서로 대향되는 'ㄴ' 형으로 절곡되고 측부앵글(10)이 접하여져 형성되는 사각틀의 측면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일면은 측부앵글(10)의 내측면에 체결되고 타면인 절곡돌출부는 측부앵글(10)의 접촉을 보유지지하는 지지측벽(26)으로 마련된 파티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2)에는 상기 장착공간에서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스톱퍼가 형성되며, 스톱퍼는 후크부(14)가 마련될때는 고리홈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외측면이 장착공간(20)의 상단인 측부앵글(10) 단부와 간섭되는 후크스톱퍼(28)이고, 고리홈부(18)가 마련될때는 회동축(22)을 경계로 고리홈부의측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걸림턱이 장착공간(20) 상단의 측부앵글(10) 내측면과 간섭되는 고리홈부스톱퍼(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KR20-2004-0022463U 2004-08-06 2004-08-06 파티션 연결장치 KR200365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63U KR200365974Y1 (ko) 2004-08-06 2004-08-06 파티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463U KR200365974Y1 (ko) 2004-08-06 2004-08-06 파티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974Y1 true KR200365974Y1 (ko) 2004-10-28

Family

ID=4935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463U KR200365974Y1 (ko) 2004-08-06 2004-08-06 파티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9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65B1 (ko) 2009-06-17 2009-11-17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의 패널걸이
KR101017074B1 (ko) 2008-05-28 2011-02-25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0463791Y1 (ko) * 2010-05-04 2012-11-26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 조립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74B1 (ko) 2008-05-28 2011-02-25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0926665B1 (ko) 2009-06-17 2009-11-17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의 패널걸이
KR200463791Y1 (ko) * 2010-05-04 2012-11-26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 조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493U (ja) 半折り畳み式ハンガー
CN109306969A (zh) 通风扇容纳和安装系统
JP2007130320A (ja) テーブル
EP1388917A3 (en) Latching and assembly structure of a cover and duct base in a wiring duct assembly
CN101895594A (zh) 吊饰安装结构及具该吊饰安装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4650674B2 (ja) 配管カバー部材
KR200365974Y1 (ko) 파티션 연결장치
JP2007134294A (ja) 横向きライティングダクト用アダプター装置
CA2276884A1 (en) Suspended luminaire assembly
KR100514525B1 (ko) 파티션 연결클램프
CN201011020Y (zh) 一种异形天花骨架连接器
KR101672162B1 (ko)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100618638B1 (ko)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JP2005312215A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JP3223245U (ja) 排水管接続具、及び該排水管接続具を備えた排水具セット
JPS598381Y2 (ja) 通信機器の壁掛け具
KR200262590Y1 (ko) 전선배선용 보호덕트(4방수직형)
CN219060208U (zh) 向日葵型淋浴器用支架
JP2007006662A (ja) 電柱用共架腕金
KR102314209B1 (ko) 접이식 정보통신용 확장형 케이블 트레이
KR200363583Y1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240001510A (ko) 방우 콘센트용 전원 어댑터
JPH0752462Y2 (ja) 通電線付き樹脂被覆鋼管を用いた軽量構造物
KR200310962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