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638B1 -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 Google Patents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638B1
KR100618638B1 KR1020060032372A KR20060032372A KR100618638B1 KR 100618638 B1 KR100618638 B1 KR 100618638B1 KR 1020060032372 A KR1020060032372 A KR 1020060032372A KR 20060032372 A KR20060032372 A KR 20060032372A KR 100618638 B1 KR100618638 B1 KR 10061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aucet
case
head
hea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송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길 filed Critical 송영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금구 연결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수전금구(2)의 헤드(4)를 수용하는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 하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장된 몸체부(14)를 가지며 내부에는 전후방으로 연통되는 공간부(16)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박스체(10) 전방의 헤드수용부(12)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곽부에는 박스날개(18)가 일체로 구비된 커플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날개(18)의 일면(a1)은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와 단차(d)가 생기도록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에서 후퇴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스날개(18)의 타면(a2)은 상기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지관리와 보수 작업의 우수성을 살리면서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체용이나 얇은 벽체용으로 제품을 구분하여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이나 비용면 등에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몸체부, 공간부, 각도, 연결대, 벽체

Description

수전금구 연결케이스{Combination case for tap connectio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케이스본체와 커플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케이스본체와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연결대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본체 12. 헤드수용부
14. 몸체부 16. 공간부
18. 박스날개 19. 커플링
20. 연결대 22. 연결날개
본 발명은 수전금구 연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관리와 보수 작업의 우수성을 살리면서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생산이나 비용면 등에서 효율적인 수전금구 연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은 아파트와 같은 주택 건물의 벽체에 매설된다. 근래에는 금속관 대신에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 수도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합성수지재 수도관은 합성수지재의 주름관에 수용된다. 이 합성수지재 주름관은 수도관의 보호와 보온 역할을 한다.
한편, 수도관에는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수도전(수도꼭지)이 연결되는데, 이 수도전과 수도관은 수전금구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수전금구의 기단부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고, 수전금구의 선단부에는 수도전이 연결되어 건물의 벽체에 고정된다.
이때, 사용중에 수전금구와 수도관 사이의 연결 부위에 누수 등의 현상이 생기게 되면, 보수 작업 등을 위하여 벽체를 깨뜨려야 하므로, 근래에는 수전금구를 보호용 커버에 내장시켜 벽체에 매설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용 커버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3548호가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에 의하면, 대략 중간부가 45°의 각도로 꺾여진 커버의 외곽 양측에 한 쌍의 날개가 일체화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날개에 형성된 피스공을 관통하는 피스를 벽체 내 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벽체에 내장된 커버의 내부에 45°로 꺾여져 제작된 수전금구가 내장되고, 수전금구의 기단부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고, 수전금구의 선단부에는 수도전이 연결되며, 커버의 벽체에 내장된 기단부에는 수도관을 보호하는 합성수지 주름관이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수전금구용 케이스는 벽체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와 주택의 신축, 개축, 리모델링으로 인해 벽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예를 들어, 벽체에 보온재나 타일을 증설하는 경우)에는 두꺼운 벽체용과 얇은 벽체용으로 구분하여 다른 규격의 제품(즉, 다른 규격의 수전금구용 커버)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 및 작업성 등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스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한 외곽 양측부에 한 쌍의 날개가 일체화되어 날개의 위치를 바꿀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벽체의 증설 등으로 인해 벽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케이스 자체의 길이를 늘려주는 연결형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에는 날개가 벽체에 매립되어 벽체의 외부에서 케이스 날개에 피스를 체결하여 연결대를 연결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형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고, 케이스의 길이를 늘려주는 연결형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경우에 따라 수전금구의 선단부(즉, 수도꼭지가 연결될 단부)에 별도의 연결관(보통, 서비스 니플이라 칭함)을 나사 결합하고, 이 연결관에 수도꼭지 등을 연결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전금구에 나합되는 연결관을 성형하고, 이에 더하여 연결관에 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품의 제작 공정과 코스 트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연결관에 커버를 씌워서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한 관계로 연결관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벽체를 증설하는 작업을 할 때 증설된 벽체에 연결관 부분이 그대로 매립되며, 이로 인해, 추후 유지관리나 보수 작업시 증설된 벽체를 다시 깨뜨려야 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전금구는 사후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대략 중간부가 45° 각도로 꺾여진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수전금구용 케이스도 대략 중간부가 45° 각도로 꺾여져 제작된다.
그런데, 이처럼 케이스가 45°각도로 꺾여져 있어서, 사용 도중에 추후 관리나 벽체의 증설 등을 이유로 수전금구를 케이스에서 빼내려고 하여도 원활하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한다. 즉, 수전금구를 상측을 향하도록 들어서 빼내게 되는데, 수전금구가 케이스의 상측 벽면에 걸려지기 때문에, 수전금구를 원활하게 빼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시공시의 편이성 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와 보수 작업의 우수성을 살리면서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체용이나 얇은 벽체용으로 제품을 구분하여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이나 비용면 등에서 효율적인 새로운 구성의 수전금구 연결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전금구(2)의 헤드(4)를 수용하는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 하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장된 몸체부(14)를 가지며 내부에는 전후방으로 연통되는 공간부(16)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 전방의 헤드수용부(12)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곽부에는 박스날개(18)가 일체로 구비된 커플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날개(18)의 일면(a1)은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와 단차(d)가 생기도록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에서 후퇴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스날개(18)의 타면(a2)은 상기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 전방에는 단관 형상의 연결대(20)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20)의 외곽에는 상기 커플링(19)의 박스날개(18)와 대응되는 연결날개(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2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 전면을 향하는 단부에 한 쌍의 돌출부(24)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4)가 상기 헤드수용부(12) 전면의 고정홈(1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4)는 상기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서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곡관을 이루도록 만곡 성형되며, 상기 몸체부(14) 내부의 공간부(16) 각도는 상기 헤드수용부(12)의 후면에 대해 35°~ 44°범위인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케이스본체와 커플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케이스본체와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연결대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방의 헤드수용부(12)와 후방의 몸체부(14)를 갖는 형상의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커플링(19)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수용부(12)에는 수전금구(2) 전방의 헤드(4)가 수용된다. 또한, 헤드수용부(12)의 전면 양측에는 수전금구(2)의 헤드(4) 외곽에 구비된 날개(5)를 안착시키는 한 쌍의 오목한 고정홈(12a)이 형성된다. 부호 5a는 날개(5)에 형성된 피스공을 보여준다.
상기 몸체부(14)는 헤드수용부(12)의 후단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하향으로 만곡 성형되고 내부에는 수전금구(2)를 수용하는 공간부(16)가 형성된다. 즉, 몸체부(1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헤드수용부(12)의 후단에서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곡관을 이루도록 만곡 성형된다. 한편, 몸체부(14) 내부의 공간부(16) 각도(θ)는 헤드수용부(12)의 후면과 나란한 가상의 수직선 V-V(도 3에 도시됨)를 기준으로 35° ~ 44°범위이다. 바람직하게, 공간부(16) 각도(θ)는 40°이다.
상기 헤드수용부(12) 외각에는 커플링(19)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커플링(19)의 외곽 양측에는 한 쌍의 박스날개(18)가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다. 박스날개(18)에는 피스공(18a)이 관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날개(18)의 일면(a1)은 커플링(19)의 일단부(A1)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어, 박스날개(18)의 일면(a1)과 커플링(19)의 일단부(A1) 사이에 단차(d)가 생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날개(18)의 타면(a2)은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수용부(12)와 커플링(19)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에는 각각 가이드홈(13a)과 가이드돌기(19a)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가이드홈(13a)이 헤드수용부(12)의 외곽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가이드돌기(19a)는 커플링(19)의 내주연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3a)과 가이드돌기(19a)를 서로 결합하여 커플링(19)과 박스날개(18)를 정위치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20)는 내부에 전후방으로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제작되며, 연결대(20)의 외곽에는 커플링(19)의 박스날개(18)와 대응되는 연결날개(22)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대(20)는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 부(12)의 전면을 향하는 후면에 한 쌍의 돌출부(24)가 구비되어, 돌출부(24)가 헤드수용부(12) 전면의 고정홈(1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전금구(2)의 날개(5)에 형성된 피스공(5a)과 상기 헤드수용부(12)의 고정홈(12a)에 피스를 체결하여 수전금구(2)를 케이스본체(10) 내부의 공간부(16)에 수용한다. 이렇게 수전금구(2)가 수용된 케이스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매설된다. 이때, 케이스본체(10) 후단의 주름관 고정캡(11)에 주름관(6)이 끼워지고 수전금구(2)의 후단에 합성수지 수도관(7)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렇게 본 고안의 연결케이스를 매개로 수전금구(2)가 벽체에 매설된 상태에서 수전금구(2)의 전단에 수도전(수도꼭지)을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주요부인 커플링(19)이 케이스본체(10)의 전방, 즉, 헤드수용부(12)의 외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일반형 용도는 물론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는 연결형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일반형 용도로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박스날개(18)의 타면(a2)을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커플링(19)을 헤드수용부(12) 외곽에 끼우고, 커플링(19)의 박스날개(18)에 형성된 피스공(18a)과 벽체(1) 내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미도시)에 피스(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주택의 신축, 개축, 리모델링으로 인해 기존 벽체(1)에 타일(t)을 증설하는 등의 경우에는 본 발명을 일반형 용도가 아닌 연결형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19)을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돌린 상태(즉, 커플링(19)의 일단부(A1)와 박스날개(18)의 일면(a1)을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커플링(19)을 헤드수용부(12) 외곽에 끼워서 벽체(1)에 매설한다. 그러면, 박스날개(18)의 일면(a1)이 벽체(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커플링(19) 및 수전금구(2)가 벽체(1)에 매설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추후에 벽체를 증설하여 길이를 늘일 경우, 상기 연결대(20)를 연결하면 된다. 즉, 연결대(20) 후방의 돌출부(24)가 헤드수용부(12) 전면의 고정홈(12a)에 맞도록 끼우고, 연결대(20) 외곽의 연결날개(22)에 형성된 피스공(22a)과 박스날개(18)에 형성된 피스공(18a)을 관통하도록 피스(미도시)를 체결하면, 본 발명의 수전금구 연결케이스의 길이를 늘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길이가 늘어난 연결케이스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긴 수전금구(2)(즉, 두꺼운 벽체용 수전금구)를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증설되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매우 용이하게 늘려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벽체의 두께는 타일 등을 증설하면 3cm 정도로 더 두꺼워지므로, 연결대(20)도 이에 맞추어 3cm 정도로 생산되는데, 증설되는 벽체의 두께가 3cm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생기면 복수개의 연결대(20)를 서로 이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다수의 연결대(20)를 서로 연결할 때에는 각 연결대(20)가 오목홈(21a)과 돌출부(24)에 의해 서로 끼워진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수전금구(2)(도 8에 도시됨)나 상 대적으로 짧은 수전금구(2)(도 1과 도 4에 도시됨)를 용이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두꺼운 벽체용 연결케이스나 얇은 벽체용 연결케이스를 구분할 필요 없이 통일된 규격의 케이스본체(10)에 연결대(20)를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두꺼운 벽체용과 얇은 벽체용으로 모두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며,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으로 시공의 편이성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지관리와 보수 작업의 우수성을 살리면서도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일된 규격의 케이스본체(10)에 연결대(20)만 조립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나 비용면 등에서 종래에 비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결국, 본 발명은 소비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일반형 용도는 물론 벽체의 증설 등의 경우에 대응하여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는 연결형 용도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이라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을 연결형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커플링(19)의 후단부(R)와 박스날개(18)의 후면(f)을 케이스본체(10)의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0)의 연결날개(22)와 커플링(19)의 박스날개(18)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어 연결날개(22)와 박스날개(18)가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대(20)의 연결날개(22)와 박스날개(18)가 밀착된 상태에서 각 피스공(22a,18a)에 피스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피스를 체결하는 과도한 힘에 의해 박스날개(18)나 연결날개(22)가 부러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대(20) 자체가 수전금구(2)를 보호하는 보호박스 역할을 하는 것 으로, 종래의 수전금구(2)와 수도전 연결용 연결관(전술한 서비스 니플 등)이 증설되는 벽체에 그대로 매립되는 것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벽체 증설 후 사후 관리도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연결대(20)는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 전면을 향하는 후방에 한 쌍의 돌출부(24)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4)가 헤드수용부(12) 전면의 고정홈(12a)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돌출부(24)는 연결대(20)의 연결날개(22)를 케이스본체(10)의 박스날개(18) 위치를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기능 및 연결대(20)가 케이스본체(10)에서 겉도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키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10)는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하향으로 만곡 성형된 몸체부(1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수전금구(2) 후단부의 수도관 설치공간(S)(도 4에서 수직선 L1과 L2 사이로 표시된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여도 수도관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수전금구(2)용 케이스가 45° 각도로 꺾여져 있는 경우에는 수도관이 상대적으로 수전금구(2)의 후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후퇴한 위치에서 꺾여져서 연결되기 때문에, 벽체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요구되며, 공간(S)이 더 협소한 경우에는 수도관을 연결하기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전금구(2)가 수용되는 몸체부(14)가 45° 각도로 꺾여져 있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즉, 곡관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몸체부(14) 내부의 공간부(16) 각도는 35° ~ 44°(바람직하게, 40°)가 되도 록 형성되어, 수도관이 상대적으로 수전금구(2)의 후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덜 후퇴한 위치에서 꺾여져 연결되기 때문에, 벽체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하여 벽체(1) 내부의 설치공간(S)이 더 협소한 경우에도 수도관(6)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에는 수전금구용 케이스가 45° 각도로 꺾여져 있어서, 사용 도중에 추후 관리나 벽체의 증설 등을 이유로 수전금구(2)를 케이스에서 빼내려고 하여도 원활하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한다. 즉, 수전금구(2)를 상측을 향하도록 들어서 빼내게 되는데, 수전금구(2)가 케이스의 상측 벽면에 걸려지기 때문에, 수전금구(2)를 원활하게 빼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전금구(2)의 대부분이 수용되는 몸체부(14)가 곡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몸체부(14) 내부 상측과 수전금구(2) 상측과의 사이에 소정의 스페이스(s)가 확보되며, 이로 인해, 수전금구(2)를 상측으로 들어서 빼낼 때 수전금구(2)가 몸체부(14)의 상측벽에 걸리지 않으므로, 수전금구(2)를 쉽게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시공시의 편이성 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와 보수 작업의 우수성을 살리면서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체용이나 얇은 벽체용으로 제품을 구분하여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이나 비용면 등에서 효율적인 수전금구 연결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4)

  1. 수전금구(2)의 헤드(4)를 수용하는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 하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장된 몸체부(14)를 가지며 내부에는 전후방으로 연통되는 공간부(16)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 전방의 헤드수용부(12) 둘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곽부에는 박스날개(18)가 일체로 구비된 커플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박스날개(18)의 일면(a1)은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와 단차(d)가 생기도록 상기 커플링(19)의 일단부(A1)에서 후퇴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스날개(18)의 타면(a2)은 상기 커플링(19)의 타단부(A2)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 전방에는 단관 형상의 연결대(20)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20)의 외곽에는 상기 커플링(19)의 박스날개(18)와 대응되는 연결날개(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헤드수용부(12)의 전면을 향하는 단부에 한 쌍의 돌출부(24)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4) 가 상기 헤드수용부(12) 전면의 고정홈(1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4)는 상기 헤드수용부(12)의 후방에서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곡관을 이루도록 만곡 성형되며, 상기 몸체부(14) 내부의 공간부(16) 각도는 상기 헤드수용부(12)의 후면에 대해 35°~ 44°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KR1020060032372A 2005-12-29 2006-04-10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KR100618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6777 2005-12-29
KR2020050036777 2005-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638B1 true KR100618638B1 (ko) 2006-09-06

Family

ID=3762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72A KR100618638B1 (ko) 2005-12-29 2006-04-10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KR102222767B1 (ko) * 2019-11-20 2021-03-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원형 수전 박스
KR20210025770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275U (ko) 1987-06-16 1988-12-26
JPH09105160A (ja) * 1995-10-11 1997-04-22 K I Doriru:Kk 上水道管用開口先端部の仮止水栓
JP2001193111A (ja) 1999-11-05 2001-07-17 Maezawa Kasei Ind Co Ltd 止め座付継手
KR200348081Y1 (ko) 2004-01-14 2004-04-29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의 커버구조
KR200358888Y1 (ko) 2004-05-12 2004-08-11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커버
KR200387795Y1 (ko) 2005-02-18 2005-06-22 오성만 수도꼭지 연결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275U (ko) 1987-06-16 1988-12-26
JPH09105160A (ja) * 1995-10-11 1997-04-22 K I Doriru:Kk 上水道管用開口先端部の仮止水栓
JP2001193111A (ja) 1999-11-05 2001-07-17 Maezawa Kasei Ind Co Ltd 止め座付継手
KR200348081Y1 (ko) 2004-01-14 2004-04-29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의 커버구조
KR200358888Y1 (ko) 2004-05-12 2004-08-11 오성만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커버
KR200387795Y1 (ko) 2005-02-18 2005-06-22 오성만 수도꼭지 연결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KR20210025770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247975B1 (ko) 2019-08-28 2021-05-04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222767B1 (ko) * 2019-11-20 2021-03-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원형 수전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638B1 (ko) 수전금구 연결케이스
JP2008245394A (ja) 防雨カバー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JP4805727B2 (ja) ヘッダー用保温部材、およびヘッダー用保温部材の取付方法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200390732Y1 (ko) 파이프 케이싱
CN204787146U (zh) 空调的排水盖及空调
JP2009236317A (ja) 接続継ぎ手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の施工方法
KR200348081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의 커버구조
JP3570097B2 (ja) 水栓用ジョイントエルボの取付構造
EP2837746B1 (en) Arrangement for installing a termination box in a wall structure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CN211175843U (zh) 一种带固定座的加长外螺纹弯头
KR200201938Y1 (ko)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JP2009060687A (ja) 屋根材の配線引込み部の防水構造
KR20050111536A (ko) 벽체 부착형 보일러의 설치구조
JP2000179784A (ja) 配管取り出し口カバー
CN210238662U (zh) 一种入墙龙头装置
KR200311680Y1 (ko) 누전방지용 배선기구
KR200395259Y1 (ko) 설치조정기능을 갖는 수전 케이스
KR200338545Y1 (ko) 수전금구의 보호체 구조
KR101850788B1 (ko) 철골 배선용 덕트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333904Y1 (ko) 전기배관용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