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836B1 -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836B1
KR102568836B1 KR1020220158413A KR20220158413A KR102568836B1 KR 102568836 B1 KR102568836 B1 KR 102568836B1 KR 1020220158413 A KR1020220158413 A KR 1020220158413A KR 20220158413 A KR20220158413 A KR 20220158413A KR 102568836 B1 KR102568836 B1 KR 10256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connector
unit partition
main pillar
parti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로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커넥터(130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커넥터(1300)는;
주기둥부(300)와;
상기 주기둥부(300) 일측에 주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된 엄지형돌출부(390)와;
상기 엄지형돌출부(390)는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엄지형부(3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엄지형부기둥부(320)의 상부에는 주기둥부(300)와 사이홈부(340)를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엄지형부(330);
상기 주기둥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돌출지지부(310)가 주기둥부에서 돌출되어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지부(310)의 상면은 수평으로 된 평면지지면(350)이 구비되며;
상기 평면지지면(35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면(36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360) 하부 단부가 주기둥부(300)와 연결되어 일체로 된 경사면(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Connectors and partitions using them}
본 발명은 사무실 등에 설치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파티션 및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티션은 넓은 공간을 다수의 소공간으로 분할하는 벽체로, 파티션 설치 공사시에 다수의 파티션 패널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은 파티션 패널의 연결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를 이용한 파티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행 개발된 아래 선행기술문헌들의 종래발명에는 파티션 연결클램프 등을 이용한 파티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파티션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 연결시 측면정렬과 수평 레벨을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발명은 상기 프레임 연결을 위해 가조립 한 후, 수평 레벨을 맞추기 위해 볼트 타입의 조절발로 수평 레벨을 맞추고, 클램프로 고정하는 방식이나, 상기 시공방법은 그 시공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 될 뿐만 아니라, 측면정렬과 수평 레벨을 맞추는 데 많은 어려움이 동반되었다.
또한, 종래발명은 클램프가 파티션 프레임 상부에만 설치되는 관계로 단위 파티션 프레임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단위 파티션 프레임간에 유격이 발생하여 파티션 설치 후 파티션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 공개실용신안 20-2011-10545(2011.11.10. 공개) 2. 등록특허공보 10-1017074(2011.02.25. 공고)
본 발명은 커넥터의 좌우에 양 프레임이 얹혀지도록 하여, 수평레벨과 측면정렬을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티션을 설치하는 바닥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쉽게 수평 레벨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클램프와 함께 제2 클램프도 함께 설치하여, 단위 파티션 프레임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위파티션프레임간의 결합을 통해 파티션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단위 파티션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파티션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커넥터(1300, 1300-1, 1300-2)로, 상기 커넥터(1300, 1300-1, 1300-2)는;
주기둥부(300)와;
상기 주기둥부(300) 일측에 주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된 엄지형돌출부(390)와;
상기 엄지형돌출부(390)는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엄지형부(3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엄지형부기둥부(320)의 상부에는 주기둥부(300)와 사이홈부(340)를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엄지형부(330);
상기 주기둥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돌출지지부(310)가 주기둥부에서 돌출되어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지부(310)의 상면은 수평으로 된 평면지지면(350)이 구비되며;
상기 평면지지면(35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면(36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360) 하부 단부가 주기둥부(300)와 연결되어 일체로 된 경사면(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기둥부(300), 엄지형부기둥부(320), 돌출지지부(310)에는 냉각홈부(38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모든 모서리는 모따기(C)가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ABS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홈부저면(340-1)과 상기 평면지지면(350)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이홈부(340)의 최하부에는 평면의 사이홈부저면(340-1)이 형성되고, 엄지형부(330)에는 사이홈부저면(340-1)에서 수직으로 상향되는 엄지형부수직면(330-1)이 형성되며, 상기 엄지형부수직면(330-1)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와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2경사면(330-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330-2)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와 멀어지는 쪽으로 라운딩되어 형성되는 라운딩면(330-3)이 형성되며, 상기 라운딩면(330-3)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1경사면(330-4)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파티션은,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이 대향하여 직립 배치되고,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최상부면이 서로 제1클램프(130-1)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단위파타션프레임 하부에는 발굽(100-1)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발굽(100-1)에 형성된 발굽커넥터(20A, 20B)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부면들이 서로 결합되는 단위파티션간의 연결구조를 포함하는 파티션이며;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의 대향면에 각각 직사각형홈(400)을 형성하며,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의 오목홈상부패널(401)에 커넥터(1300)의 사이홈부(340)를 끼워서, 엄지형돌출부(390)가 상기 직사각형홈(40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에는 상기 커넥터(1300)의 돌출지지부(31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커넥터(1300)에 의한 단위파티션프레임간연결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300)의 설치 위치는, 제1클램프(130-1)와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상반부에 제1커넥터(1300-1)가 설치되고,
상기 발굽(100-1)과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제2커넥터(1300-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커넥터(1300-2)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제2클램프(130-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좌우에 프레임이 얹혀지도록 하여, 파티션 설치 작업시에 수평 레벨과 측면정렬을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티션을 설치하는 바닥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쉽게 수평 레벨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파티션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의 커넥터를 설치하고, 제1 클램프와 함께 제2 클램프도 함께 설치하여, 단위 파티션 프레임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는 특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위파티션프레임간의 결합을 통해 파티션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단위 파티션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파티션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 의해 파티션의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제어몸통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굽의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파티션 설치 효율과 설치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고장이 적고, 제어몸통부의 작동도 매우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견고하게 파티션에 결합가능하여 파티션의 고정이 완벽하며, 그 외관도 매우 컴팩트하고 아름답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 제거된 후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볼트가이드부 사시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볼트부와 볼트부와 결합된 볼트발굽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파티션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몸체부, 볼트발급부, 볼트부, 제어몸통부, U자형 볼트가이드부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를 주요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은 발굽에 관한 종래발명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단위파티션프레임간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직사각형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커넥터 및 클램프를 설치하기 위해 직사각형홈 및 T자형홈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커넥터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측 및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사이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진행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측 및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사이에 커넥터가 장착 완료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측 및 타측 단위 파티션 프레임에 설치된 발굽이 발굽 커넥터에 의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클램프 사시도와, 일측 및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간에 클램프가 장착 완료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11, 도 13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1300, 1300-1, 1300-2)는,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커넥터(1300, 1300-1, 1300-2)이다.
상기 커넥터(1300)는, 도 13A,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둥부(300)와; 상기 주기둥부(300) 일측에 주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된 엄지형돌출부(3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엄지형돌출부(390)는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엄지형부(3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엄지형부기둥부(320)의 상부에는, 주기둥부(300)와 사이홈부(340)를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엄지형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기둥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돌출지지부(310)가 주기둥부에서 돌출되어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주기둥부의 상면 및 하면은 평면(300-1, 300-2)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310)의 상면은 수평으로 된 평면지지면(350)이 구비되며;
상기 평면지지면(35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면(36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360) 하부 단부가 주기둥부(300)와 연결되어 일체로 된 경사면(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도 13A,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주기둥부(300), 엄지형부기둥부(320), 돌출지지부(310)에는 냉각홈부(380)가 ㄱ자형, 또는 ㄴ자형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냉각홈부(380)를 형성하는 이유는 커넥터(1300)는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금형내에 주입된 커넥터 소재인 ABS 소재의 냉각이 잘되도록 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커넥터(1300)의 비틀림, 수축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냉각홈부(380)는 커넥터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고, 커넥터의 표면에 2 ~ 4mm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자가 연구결과 그 깊이는 3mm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300)의 모든 모서리는 모따기(C)가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ABS수지로 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홈부저면(340-1)과 상기 평면지지면(350)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주기둥부(300)의 최하단부에서 사이홈부저면(340-1)까지의 수직 높이(H)는, 주기둥부(300)의 최하단부에서 평면지지면(350)까지의 수직높이(H-1)와 동일할 수 있다. 즉, H=H-1이 성립될 수 있다.
한편, 도13B와 같이, 상기 평면지지면(350)은 수평면이 아니고,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β)로 경사지며, 주기둥부(300)와 멀어질수록 그 높이(H-1)가 높도록 한 경사지지면(350-1)이 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면이 형성되어 경사지지면(350-1) 위에 올려지지는 파티션 단위프레임이 주기둥부(300)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커네터(1300)와 단위파티션프레임(50)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엄지형부기둥부 수직길이(L)은 돌출지지부(310)의 수직길이(L-1)과 동일하거나(즉, L=L-1), 돌출지지부(310)의 수직길이가 엄지형부기둥부 수직길이(L)보다 1~3mm정도 더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돌출지지부(310)의 수직길이를 엄지형부기둥부 수직길이(L)보다 더 짧게 형성하는 이유는, 엄지형돌출부(390)가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먼저 장착되고, 돌출지지부(310)가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후에 장착되는데, 그 길이가 좀 더 짧으면 단위파티션프레임에 형성된 직사각형홈(400)에 돌출지지부(310)를 삽입하여 장착하기가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도 16, 도 18 참조).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홈부(340)의 최하부에는 평면의 사이홈부저면(340-1)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홈부저면(340-1)에는 단위파티션프레임이 안착된다.
도 14에 도시된 엄지형부(330)의 세부구조는 다음과 같다.
엄지형부(330)에는 사이홈부저면(340-1)에서 수직으로 상향되는 엄지형부수직면(330-1)이 형성되며, 상기 엄지형부수직면(330-1)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와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2경사면(330-2)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330-2)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와 멀어지는 쪽으로 라운딩되어 형성되는 라운딩면(330-3)이 구비되며, 상기 라운딩면(330-3)에서 연장되되 주기둥부(30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1경사면(330-4)를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엄지형부(330)의 세부형상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단위파티션프레임(50)의 오목홈상부패널(401)에, 커넥터의 사이홈부(340)를 끼울 때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고 쉽게 끼울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300)를 단위파티션에 설치한 파티션을 설명한다.
도면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이 대향하여 직립 배치되고,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최상부면이 서로 제1클램프(130-1)로 결합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의 구조는 힌지축(133)의 전반부에는 레버가 구비되어 파티션 작업자가 상기 레버를 잡고 눌러서 단위파티션프레임간에 끼울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힌지축(133)의 후반부에는 단위파티션프레임에 걸어서 파티션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편(131a, 131b)이 구비되어 있다.
직립된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을 대향시켜 직립시키고, 상기 대향된 단위파티션프레임들중 상부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클램프 고정편(131b)을 걸고, 힌지(133)를 중심으로 하여 레버(132) 상면을 상기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쪽으로 누르면, 레버(132)의 측면 하부가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삽입·고정되어, 제1클램프(130-1)가 단위파티션프레임간에 장착된다.
한편, 도9, 도15,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 단위파타션프레임 하부에는 발굽(100, 100-1)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발굽(100, 100-1)에 형성된 발굽커넥터(20A, 20B)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부면들이 서로 결합된다.
도 20에는 발굽카넥터의 세부 구성 작용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굽 몸체부에 수직으로 직사각형의 슬라이드가이드(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A)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미끄럼 왕복운동할 슬라이드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2)에 수직으로 돌출 연결된 발굽커넥터(20A, 20B)가 상호 감합 결합됨에 따라,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부면들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터(1300)가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결합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5 내지 도19에는 커넥터(1300)가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장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는 상기 커넥터(1300)를 장착하기 위한 수직으로 일측 및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에 직사각형홈(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의 대향면에 각각 직사각형홈(400)을 형성하며,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의 오목홈상부패널(401)에 커넥터(1300)의 사이홈부(340)를 끼워서, 엄지형돌출부(390)가 상기 직사각형홈(40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에는 상기 커넥터(1300)의 돌출지지부(31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파티션프레임(50)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프레임(50U)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사이에 삽입된 커넥터(13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오목홈프레임(50U)이 사이홈부(340)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오목홈프레임(50U)이 평면지지면(350)에 안착된다.
한편, 일측 타측 볼록부프레임(50P)은 대향 접촉하여 클램프, 커넥터 등의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아울러, 커넥터(1300)는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사이에 1개만 장착할 수도 있지만, 도 15와 같이 2개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장착갯수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15에 나타난 커넥터(1300)의 설치 위치는, 제1클램프(130-1)와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상반부에 제1커넥터(1300-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발굽(100-1)과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제2커넥터(1300-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커넥터(1300-2)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제2클램프(130-2)가 더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램프(130-2)를 추가로 설치하는 이유는 발굽 커넥터(20A, 20B)만으로는 파티션 하부 부분에 있어서,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2클램프(130-2)를 장착하기 위해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T자형홈(400T)를 형성하고, 상기 T자형홈(400T)에 클램프를 삽입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걸쳐서 클램프를 장착한다. 클램프 장착 방법은 제1클램프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300)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ABS수지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파티션을 설치하는 설치자가 신속하고도 쉽게 파티션에 부착된 발굽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티션의 설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파티션 설치자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꼽아서, 제어몸통부(15)을 앞으로 살짝 당기면, 제어몸통부(15) 나사선(15-5, 도 3 참조)과 체결되어 있던 볼트부 나사선(12-8)이 분리된다. 상기 제어몸통부 상기 나사선(15-5, 도 3 참조)은 너트 원주내면의 1/2쪽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내면의 반대쪽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볼트부(12)와 일체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은 연직 방향 하부로 낙하하여,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닿으면, 볼트 발굽부를 1 ~ 3회정도만 회전시키면 발굽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 발굽부를 수십회씩 회전시켜 설치하던 발굽부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는 단위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 제거된 후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 도 8에 도시)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도 2 참조) 내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몸체(10)에 제어몸통부가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제어몸통부(15)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어홈부(15-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 도구를 넣고 제어몸통부를 전방으로 당기면, 볼트부와 볼트발급부는 연직 하방향으로 자유낙하된다.
그리고,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된다.
상기 몸체공간부(11)에 삽입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는 몸체 하부의 볼트삽입공(21)에 삽입되어 몸체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부(12)를 볼트지지공(14-1)에 다시 삽입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도 7a,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F)쪽 원주내면이다.
도 4는 볼트부(12)의 나사선(12-8)과 제어몸통부(15)의 너트공(15-6) 한쪽편에만 형성된 나사선(15-5)이 결합된 상태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파티션에 장착되어 파티션 설치가 완성되었을 때 또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제어몸통부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종래와 동일하게 볼트발굽부(12-1)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도 4에서는 높이 조절을 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좁은 공간에서는 그 작업이 매우 힘드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파티션 설치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제어몸통부(15)를 초승달형 여유공간부의 간격(α)만큼 살짝 전방(F)으로 당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제어몸통부(15) 나사선(15-5, 도 3 참조)과 체결되어 있던 볼트부 나사선(12-8)이 분리된다.
상기 제어몸통부 상기 나사선(15-5, 도 3 참조)은 너트 원주내면의 1/2쪽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원주내면의 반대쪽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볼트부(12)와 일체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를 포함한 볼트부는연직 방향 하부로 낙하하여,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닿으면, 볼트 발굽부를 1 ~ 2회정도만 회전시키면 발굽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 발굽부를 수십회씩 회전시켜 설치하던 발굽부를 신속히 설치할 수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공간부(11) 내부에는 평면도상 단면형상이 U자형볼트가이드부(20)가 부착되고,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은 제어몸통부(15) 상부면과 접하게 되고,
제어몸통부(15)는 좌벽체(13-1) 내면과 우벽체(13-2) 내면 사이의 몸체공간부 최하부(11-1)에 꼭대기점(15-7)부터 삽입되어 전후(FB)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어서,
제어몸통부(15)는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과 몸체공간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컴팩트하게 감합되어,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에 구비된 너트공(15-6)에는 제어몸통부 후방쪽으로 평면도상 초승달형 여유공간부(15-8)가 형성되어 있어서, 너트공(15-6)에 삽입된 볼트부(12)는, 제어몸통부(15)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여유공간부의 일정간격(α)만큼 제어몸통부의 전방(F) 또는 후방(B)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된 제어몸통부(15)를 전방(F)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몸통부의 너트공 전방에 형성된 나사선(15-5)이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선(12-8)과 분리되면서, 볼트부(12) 및 볼트부와 일체로 된 볼트발급부(12-1)는 하방으로 자유낙하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몸통부 후방은 제1경사면(15-3), 제2경사면(15-4)이 만나서, 꼭대기점(15-7)를 이룬다. 제어몸통부 후방에 감합되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는 제어몸통부 후방의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어몸통부 후방은 몸체공간부 최하부에 컴팩트하게 감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15)는 도 11에 나타난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 삽입되어 초승달형여유공간부 간격(α)만큼 전방(F)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도 10 참조).
파티션 설치자가 볼트발굽부(12-1)를 신속히 하강시키기 원할 때는,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제어몸통부(15)를 전방(F)으로 약간 당기면, 제어몸통부(15)에 형성된 나사선(15-5)과,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선이 분리되면서, 볼트부(12)와 볼트부에 일체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도 자중에 의해 아래로 신속히 자유낙하되고, 설치면에 볼트발굽부(12-1)의 하면이 닿는다.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접촉되면, 파타션 설치자가 볼트발굽부(12-1)를 1 ~ 2회 회전시켜 볼트발굽부를 설치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을 파티션(20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몸체부 상부에는 프레임감합부(19)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감합부(19)는 단위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이다.
한편, 몸체부(10), 제어몸통부(15)의 재질은 PA66-GF30으로 할 수 있다.
PA66-GF30은, PA66(폴리아미드 66) 플라스틱 원료와 유리 섬유의 30%를 더한 것으로, 폴리 아미드 나일론 플라스틱이다.
PA66-GF30은 고강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기계 부품의 소재로 적합하다.
특히 제어몸통부(15)의 재질을 PA66-GF30로하고, 제어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선(15-5)도 PA66-GF30로 함으로써, 나사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부(15-2)의 재질은 스프링강 또는 피아노선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강 또는 피아노선강은 탄성이 우수하므로, 스프링지지부(15-2)는선형스프링(16)을 탄력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볼트가이드부(14)의 소재는 ABS수지로 할 수 있다.
ABS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뷰타다이엔(Butadiene), 스타이렌(Styrene)의 3가지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수지이다.
ABS수지는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성과 착색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고, 염화비닐과 폴리카보네이트 등과의 혼합도 시도된다
10: 몸체부, 11: 몸체공간부, 11-1: 몸체공간부 최하부, 12: 볼트부, 12-1: 볼트발굽부, 13-1: 좌벽체, 13-2: 우벽체, 14: ㄱ자형볼트가이드부, 14-1: 볼트지지공, 14A: 슬라이딩가이드, 15: 제어몸통부, 15-1: 제어홈부, 15-2: 선형스프링지지부, 15-3: 제1경사면, 15-4: 제2경사면, 15-5: 나사선, 15-6: 너트공, 15-7: 꼭대기점, 15-8: 초승달형여유공간부, 16: 선형스프링, 17: 스프링걸이부, 18-1: 제1날개부, 18-2: 제2날개부, 18-3: 제3날개부, 18-4: 제4날개부, 18-5: 날개홈부, 18-6: 날개 중공홈부, 19: 프레임감합부, 19-1: 페레임 감합 레일부, 19-2: 자석, 20: U자형볼트가이드부, 20-1: U자형볼트가이드부 상부면, 20-2: U자형볼트가이드부 하부면, 20A, 20B: 발굽커넥터, 21: 볼트삽입공, 22: 슬라이드부, 40B: 스톱퍼, 50: 단위파티션 프레임, 50U: 오목홈 프레임, 50P: 볼록부 프레임, 100, 100-1: 발굽, 130, 130-1. 130-2: 클램프, 131: 걸림쇠, 131a, 131b: 고정편, 132: 레버, 132b: 삽입홀, 133: 힌지, 200: 파티션, 300: 주기둥부, 310: 돌출지지부, 320: 엄지형부기둥부, 330: 엄지형부, 330-1: 엄지형부 수직면, 330-2: 제2경사면, 330-3: 라운딩면, 330-4: 제1경사면, 340: 사이홈부, 340-1: 사이홈부저면, 350: 평면지지면, 350-1: 경사면지지면, 360: 수직면, 370: 경사면, 380: 냉각홈부, 390: 엄지형돌출부, 400: 직사각형홈, 400T: T자형홈, 401: 오목홈상부패널, 402: 오목홈하부패널, 1300, 1300-1, 1300-2: 커넥터,
B: 후방, C: 모따기, F: 전방, H: 주기둥부 하면부터 사이홈부 저면까지 높이, H-1: 주기둥부 하면부터 평면지지면까지 높이, L: 엄지형부 기둥부 높이, L-1: 돌출지지부 높이, α: 초승달형여유공간부 간격

Claims (7)

  1.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이 대향하여 직립 배치되고,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 최상부면이 서로 제1클램프(130-1)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단위파타션프레임 하부에는 발굽(100-1)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발굽(100-1)에 형성된 발굽커넥터(20A, 20B)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부면들이 서로 결합되는 단위파티션간의 연결구조를 포함하는 파티션이며;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과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50)의 대향면에 각각 직사각형홈(400)을 형성하며, 상기 일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의 오목홈상부패널(401)에 커넥터(1300)의 주기둥부(300)와 엄지형부(330) 사이에 형성된 사이홈부(340)를 끼워서, 상기 주기둥부(300) 일측에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된 엄지형돌출부(390)가 상기 직사각형홈(40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의 직사각형홈(400)에는 상기 주기둥부(300)에서 돌출되어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1300)의 돌출지지부(31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커넥터(1300)에 의한 단위파티션프레임간연결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00)의 설치 위치는, 제1클램프(130-1)와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상반부에 제1커넥터(1300-1)가 설치되고,
    상기 발굽(100-1)과 근접하여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제2커넥터(1300-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1300-2)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 하반부에 일측 타측 단위파티션프레임에 제2클램프(130-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00)는,
    주기둥부(300)와;
    상기 주기둥부(300) 일측에 주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된 엄지형돌출부(390)와;
    상기 엄지형돌출부(390)는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엄지형부(3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엄지형부기둥부(320)의 상부에는 주기둥부(300)와 사이홈부(340)를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엄지형부기둥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엄지형부(330);
    상기 주기둥부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돌출지지부(310)가 주기둥부에서 돌출되어 주기둥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지지부(310)의 상면은 수평으로 된 평면지지면(350)이 구비되며;
    상기 평면지지면(35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면(36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360) 하부 단부가 주기둥부(300)와 연결되어 일체로 된 경사면(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둥부(300), 엄지형부기둥부(320), 돌출지지부(310)에는 냉각홈부(380)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모든 모서리는 모따기(C)가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ABS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홈부(340) 최하부에 형성된 평면의 사이홈부저면(340-1)과 상기 평면지지면(350)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7. 삭제
KR1020220158413A 2022-11-23 2022-11-23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10256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413A KR102568836B1 (ko) 2022-11-23 2022-11-23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413A KR102568836B1 (ko) 2022-11-23 2022-11-23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836B1 true KR102568836B1 (ko) 2023-08-21

Family

ID=8784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413A KR102568836B1 (ko) 2022-11-23 2022-11-23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8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44Y1 (ko) * 2001-05-18 2001-10-15 다산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칸막이의 조립수단
KR20110011874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수평연결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1017074B1 (ko) 2008-05-28 2011-02-25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110010545U (ko) 2010-05-04 2011-11-10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US20180355607A1 (en) * 2017-06-09 2018-12-13 Inscape Corporation Connector for Lightweight Office Part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44Y1 (ko) * 2001-05-18 2001-10-15 다산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칸막이의 조립수단
KR101017074B1 (ko) 2008-05-28 2011-02-25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용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110011874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수평연결장치를 갖는 파티션
KR20110010545U (ko) 2010-05-04 2011-11-10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US20180355607A1 (en) * 2017-06-09 2018-12-13 Inscape Corporation Connector for Lightweight Office Part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885B1 (ko)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KR102568836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CN216044860U (zh) 薄板家具隐形连接件
KR20240076166A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102230607B1 (ko)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CN111926942B (zh) 一种预装式建筑模块
CN215368938U (zh) 一种快速安装的整体淋浴房
KR102506482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CN209855145U (zh) 一种新型石材装饰线条
KR20240071164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CN216788042U (zh) 一种装配式围墙
KR200156961Y1 (ko) 칸막이용 높이조절식 걸레받이
KR20090061701A (ko) 벽걸이 티브이 고정장치
KR101257315B1 (ko) 천장판 설치구조
CN215166744U (zh) 一种建筑材料隔音板的快速安装构件
CN219753617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幕墙
CN219109036U (zh) 一种横插式卡扣橱柜可调脚
CN213511540U (zh) 一种具有快速拆装结构的家具连接板
KR102648590B1 (ko) 컴퓨터 케이스 조립키트
CN219033888U (zh) 一种装配式背景墙集成系统
CN218092765U (zh) 淋浴房门框与墙体边框连接结构
CN218894568U (zh) 一种连接结构、门框和淋浴门
CN219389323U (zh) 多屏一体式显示设备的拼接支撑结构
CN216042374U (zh) 一种锁紧式护墙板悬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