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482B1 -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482B1
KR102506482B1 KR1020220152973A KR20220152973A KR102506482B1 KR 102506482 B1 KR102506482 B1 KR 102506482B1 KR 1020220152973 A KR1020220152973 A KR 1020220152973A KR 20220152973 A KR20220152973 A KR 20220152973A KR 102506482 B1 KR102506482 B1 KR 10250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dy
height
bolt
parti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원
Original Assignee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로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로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은,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Height-adjustable hoofs and partitions equipped with them}
본 발명은 파티션 설치 높이를 신속하고도 쉽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굽과, 이를 장착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등에 파티션을 설치할 때 파티션의 높이 조절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티션 높이를 쉽게 효율적으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창작된 발굽과 상기 발굽을 파티션 플레이트 하부에 장착하는 파티션 높이 조절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 12에는 종래의 파티션 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너트와 볼트의 조합에 의한 높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볼트(1)와 너트(2)의 조합에 의한 파티션(3)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 혹은 너트의 회전에 의해 파티션(3)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10볼트, 피치가 1.5mm인 볼트를 회전시켜 30mm 높이 조절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20회 회전시켜야 하고, 높이 조절이 30mm 이상이면 더 많은 볼트 회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발명의 파티션 높이 조절장치는 파티션의 낮은 곳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파티션 설치 장소가 협소한 곳이 많으므로, 볼트나 너트를 수십번씩 반복 회전시키는 것은 파티션 설치 작업능률을 매우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701884(2017. 02. 02. 공고)
본 발명은 종래발명의 파티션 높이 조절장치는 파티션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파티션 설치 장소가 협소한 곳이 많으므로, 볼트나 너트를 수 십번씩 반복 회전시키는 것은 파티션 설치 작업능률을 매우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티션 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볼트나 너트의 회전을 수십번씩 반복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파티션 높이 조절장치의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파티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은,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은,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쪽 원주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티션은, 파티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을 장착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은,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 상부에는 프레임감합부(19)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감합부(19)는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되며,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쪽 원주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은,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 있어서;
그리고, 몸체공간부(11) 내부에는 평면도상 단면형상이 U자형볼트가이드부(20)가 부착되고,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은 제어몸통부(15) 상부면과 접하게 되고,
제어몸통부(15)는 좌벽체(13-1) 내면과 우벽체(13-2) 내면 사이의 몸체공간부 최하부(11-1)에 꼭대기점(15-7)부터 삽입되어 전후(FB)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어서,
제어몸통부(15)는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과 몸체공간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컴팩트하게 감합되어,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어몸통부(15)에 구비된 너트공(15-6)에는 제어몸통부 후방쪽으로 평면도상 초승달형 여유공간부(15-8)가 형성되어 있어서, 너트공(15-6)에 삽입된 볼트부(12)는, 제어몸통부(15)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여유공간부의 일정간격(α)만큼 제어몸통부의 전방(F) 또는 후방(B)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된 제어몸통부(15)를, 제어몸통부 전방(F)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몸통부의 너트공 전방에 형성된 나사선(15-5)이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선(12-8)과 분리되면서, 볼트부(12) 및 볼트부와 일체로 된 볼트발급부(12-1)는 하방으로 자유낙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 의해 파티션의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제어몸통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굽의 높이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파티션 설치 효율과 설치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고장이 적고, 제어몸통부의 작동도 매우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견고하게 파티션에 결합가능하여 파티션의 고정이 완벽하며, 그 외관도 매우 컴팩트하고 아름답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 제거된 후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볼트가이드부 사시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와 볼트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볼트부와 볼트부와 결합된 볼트발굽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파티션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몸체부, 볼트발급부, 볼트부, 제어몸통부, U자형 볼트가이드부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를 주요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은 종래발명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파티션을 설치하는 설치자가 신속하고도 쉽게 파티션에 부착된 발굽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티션의 설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파티션 설치자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꼽아서, 제어몸통부(15)을 앞으로 살짝 당기면, 제어몸통부(15) 나사선(15-5, 도 3 참조)과 체결되어 있던 볼트부 나사선(12-8)이 분리된다. 상기 제어몸통부 상기 나사선(15-5, 도 3 참조)은 너트 원주내면의 1/2쪽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내면의 반대쪽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볼트부(12)와 일체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은 연직 방향 하부로 낙하하여,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닿으면, 볼트 발굽부를 1 ~ 3회정도만 회전시키면 발굽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 발굽부를 수십회씩 회전시켜 설치하던 발굽부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는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 제거된 후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 도 8에 도시)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도 2 참조) 내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몸체(10)에 제어몸통부가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제어몸통부(15)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제어홈부(15-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 도구를 넣고 제어몸통부를 전방으로 당기면, 볼트부와 볼트발급부는 연직 하방향으로 자유낙하된다.
그리고,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된다.
상기 몸체공간부(11)에 삽입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는 몸체 하부의 볼트삽입공(21)에 삽입되어 몸체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부(12)를 볼트지지공(14-1)에 다시 삽입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도 7a,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F)쪽 원주내면이다.
도 4는 볼트부(12)의 나사선(12-8)과 제어몸통부(15)의 너트공(15-6) 한쪽편에만 형성된 나사선(15-5)이 결합된 상태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이 파티션에 장착되어 파티션 설치가 완성되었을 때 또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제어몸통부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종래와 동일하게 볼트발굽부(12-1)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도 4에서는 높이 조절을 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좁은 공간에서는 그 작업이 매우 힘드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파티션 설치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제어몸통부(15)를 초승달형 여유공간부의 간격(α)만큼 살짝 전방(F)으로 당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제어몸통부(15) 나사선(15-5, 도 3 참조)과 체결되어 있던 볼트부 나사선(12-8)이 분리된다.
상기 제어몸통부 상기 나사선(15-5, 도 3 참조)은 너트 원주내면의 1/2쪽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원주내면의 반대쪽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볼트부(12)와 일체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를 포함한 볼트부는연직 방향 하부로 낙하하여,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닿으면, 볼트 발굽부를 1 ~ 2회정도만 회전시키면 발굽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 발굽부를 수십회씩 회전시켜 설치하던 발굽부를 신속히 설치할 수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공간부(11) 내부에는 평면도상 단면형상이 U자형볼트가이드부(20)가 부착되고,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은 제어몸통부(15) 상부면과 접하게 되고,
제어몸통부(15)는 좌벽체(13-1) 내면과 우벽체(13-2) 내면 사이의 몸체공간부 최하부(11-1)에 꼭대기점(15-7)부터 삽입되어 전후(FB)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어서,
제어몸통부(15)는 상기 U자형볼트가이드부(20) 하부면(20-2)과 몸체공간부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컴팩트하게 감합되어,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몸통부(15)에 구비된 너트공(15-6)에는 제어몸통부 후방쪽으로 평면도상 초승달형 여유공간부(15-8)가 형성되어 있어서, 너트공(15-6)에 삽입된 볼트부(12)는, 제어몸통부(15)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여유공간부의 일정간격(α)만큼 제어몸통부의 전방(F) 또는 후방(B)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된 제어몸통부(15)를 전방(F)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몸통부의 너트공 전방에 형성된 나사선(15-5)이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선(12-8)과 분리되면서, 볼트부(12) 및 볼트부와 일체로 된 볼트발급부(12-1)는 하방으로 자유낙하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몸통부 후방은 제1경사면(15-3), 제2경사면(15-4)이 만나서, 꼭대기점(15-7)를 이룬다. 제어몸통부 후방에 감합되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는 제어몸통부 후방의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어몸통부 후방은 몸체공간부 최하부에 컴팩트하게 감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몸통부(15)는 도 11에 나타난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 삽입되어 초승달형여유공간부 간격(α)만큼 전방(F)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도 10 참조).
파티션 설치자가 볼트발굽부(12-1)를 신속히 하강시키기 원할 때는, 제어홈부(15-1)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제어몸통부(15)를 전방(F)으로 약간 당기면, 제어몸통부(15)에 형성된 나사선(15-5)과,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선이 분리되면서, 볼트부(12)와 볼트부에 일체된 연결된 볼트발굽부(12-1)도 자중에 의해 아래로 신속히 자유낙하되고, 설치면에 볼트발굽부(12-1)의 하면이 닿는다.
볼트발굽부(12-1)가 설치면에 접촉되면, 파타션 설치자가 볼트발굽부(12-1)를 1 ~ 2회 회전시켜 볼트발굽부를 설치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을 파티션(20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의 몸체부 상부에는 프레임감합부(19)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감합부(19)는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이다.
한편, 몸체부(10), 제어몸통부(15)의 재질은 PA66-GF30으로 할 수 있다.
PA66-GF30은, PA66(폴리아미드 66) 플라스틱 원료와 유리 섬유의 30%를 더한 것으로, 폴리 아미드 나일론 플라스틱이다.
PA66-GF30은 고강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기계 부품의 소재로 적합하다.
특히 제어몸통부(15)의 재질을 PA66-GF30로하고, 제어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선(15-5)도 PA66-GF30로 함으로써, 나사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부(15-2)의 재질은 스프링강 또는 피아노선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강 또는 피아노선강은 탄성이 우수하므로, 스프링지지부(15-2)는선형스프링(16)을 탄력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볼트가이드부(14)의 소재는 ABS수지로 할 수 있다.
ABS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뷰타다이엔(Butadiene), 스타이렌(Styrene)의 3가지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수지이다.
ABS수지는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성과 착색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고, 염화비닐과 폴리카보네이트 등과의 혼합도 시도된다
10: 몸체부, 11: 몸체공간부, 11-1: 몸체공간부 최하부, 12: 볼트부, 12-1: 볼트발굽부, 13-1: 좌벽체, 13-2: 우벽체, 14: ㄱ자형볼트가이드부, 14-1: 볼트지지공, 15: 제어몸통부, 15-1: 제어홈부, 15-2: 선형스프링지지부, 15-3: 제1경사면, 15-4: 제2경사면, 15-5: 나사선, 15-6: 너트공, 15-7: 꼭대기점, 15-8: 초승달형여유공간부, 16: 선형스프링, 17: 스프링걸이부, 18-1: 제1날개부, 18-2: 제2날개부, 18-3: 제3날개부, 18-4: 제4날개부, 18-5: 날개홈부, 18-6: 날개 중공홈부, 19: 프레임감합부, 19-1: 페레임 감합 레일부, 19-2: 자석, 20: U자형볼트가이드부, 20-1: U자형볼트가이드부 상부면, 20-2: U자형볼트가이드부 하부면, 21: 볼트삽입공, 50: 파티션 프레임, 100: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200: 파티션, B: 후방, F: 전방, L: 제어몸통부 길이방향, α: 초승달형여유공간부 간격

Claims (7)

  1.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파티션(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은,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쪽 원주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
  6. 파티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을 장착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이 용이한 발굽(100)에는 좌벽체(13-1)와 우벽체(13-2)가 구비된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좌벽체(13-1)와 우벽체(13-2)의 사이에 몸체공간부(11)가 형성되며;
    몸체공간부최하부(11-1)에는 제어몸통부(15)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0) 바닥을 상하로 연통하는 볼트삽입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외부의 바닥 하부에서 볼트삽입공(2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나사선(12-8)은, 제어몸통부(15)를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너트공(15-6)의 나사선(15-5)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몸통부(15)는 전후(FB)로 일정간격(α)내에서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며;

    몸체부(10) 하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가 제어몸통부(15) 좌우에 구비되고, 제어몸통부(15)에는 전방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걸이부(17)와 스프링지지부(15-2)에 의해 선형스프링(16)이 몸체부(10)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 상부에는 프레임감합부(19)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감합부(19)는 파티션프레임(50) 하부에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스프링(16)의 작용력에 의해 제어몸통부(15)는 몸체공간부 최하부(11-1) 내부에 밀착되며, 상기 제어몸통부(15) 전방 상부에는 제어홈부(15-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공간부(11)에는 볼트지지공(14-1)이 형성된 ㄱ자형볼트가이드부(14)가 삽입되어 제어몸통부(15) 상부에 안치되며;

    상기 제어몸통부(15) 후방에는 너트공(15-6)이 제어몸통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너트공(15-6)에 형성된 나사선(15-5)은, 너트공의 원주내면중 1/2쪽에만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1/2쪽 나사선이 형성된 위치는 제어몸통부(15) 전방쪽 원주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KR1020220152973A 2022-11-15 2022-11-15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KR10250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973A KR102506482B1 (ko) 2022-11-15 2022-11-15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973A KR102506482B1 (ko) 2022-11-15 2022-11-15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482B1 true KR102506482B1 (ko) 2023-03-07

Family

ID=8551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973A KR102506482B1 (ko) 2022-11-15 2022-11-15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4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457A (en) * 1985-08-15 1987-07-28 Spencer Richard O Open office landscape system
JP2000192582A (ja) * 1998-12-28 2000-07-11 Itoki Crebio Corp 間仕切パネルの安定装置
US6865853B2 (en) * 2003-01-31 2005-03-15 Hon Technology Inc. Base assembly for wall panel construction
KR101701884B1 (ko) 2015-09-02 2017-02-02 (주)스틸앤맨 파티션 책장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책상
US20210355677A1 (en) * 2020-05-15 2021-11-18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Prefabricated wall module leve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457A (en) * 1985-08-15 1987-07-28 Spencer Richard O Open office landscape system
JP2000192582A (ja) * 1998-12-28 2000-07-11 Itoki Crebio Corp 間仕切パネルの安定装置
US6865853B2 (en) * 2003-01-31 2005-03-15 Hon Technology Inc. Base assembly for wall panel construction
KR101701884B1 (ko) 2015-09-02 2017-02-02 (주)스틸앤맨 파티션 책장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책상
US20210355677A1 (en) * 2020-05-15 2021-11-18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Prefabricated wall module level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482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KR20240071164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발굽 및 이를 장착한 파티션
CN105491802B (zh) 多头自动切换式冲压及贴装系统
CN209532763U (zh) 一种螺栓的钻孔工装
KR20220081403A (ko) 냉장고 도어힌지의 힌지축 조립장치
CN218111094U (zh) 一种打钉调节机构及打钉装置
KR102568836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20240076166A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CN219742214U (zh) 一种具有上下左右调节机构的抽屉
CN115162917A (zh) 一种淋浴房快装结构
CN212179176U (zh) 辅助导风结构、导风组件及空调器
TWI712477B (zh) 用於封邊機的可調式修邊機構
CN212201855U (zh) 一种门体调平机构、平移门机组和平移门
CN209995483U (zh) 一种自动锁钉机构
KR20042881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CN214978470U (zh) 机头面板、机头组件和超声波焊接机
CN116570114A (zh) 一种具有上下左右调节机构的抽屉
CN219867674U (zh) 一种嵌入式led洗墙灯结构
JP6138996B1 (ja) パチンコ遊技島における台枠の調節装置
CN218092765U (zh) 淋浴房门框与墙体边框连接结构
CN210054740U (zh) 自动送扣装置
CN218019003U (zh) 多方位钻孔装置
CN214134040U (zh) 一种汽车配件自动钻孔装置
CN220403540U (zh) 一种用于座椅背靠的支撑机构
CN220127346U (zh) 一种电缆桥架双层合金板安装孔冲压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