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939A -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939A
KR20090121939A KR1020080048111A KR20080048111A KR20090121939A KR 20090121939 A KR20090121939 A KR 20090121939A KR 1020080048111 A KR1020080048111 A KR 1020080048111A KR 20080048111 A KR20080048111 A KR 20080048111A KR 20090121939 A KR20090121939 A KR 2009012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guide
guide groove
up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석
Original Assignee
권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석 filed Critical 권순석
Priority to KR102008004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1939A/ko
Publication of KR2009012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상부레일의 상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하부단에 구비하여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창문;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을 창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창문과 창틀간의 상하간격을 최소화하여 방음.방풍 및 단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문과 창틀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개폐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구성부품의 손상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새로운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창호, 창틀, 창문, 프레임, 레일, 탄성부재, 마찰력

Description

창호 조립체{A Fittings Assembly}
본 발명은 창문과 창틀로 이루어진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창문을 창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창문과 창틀간의 상하간격을 최소화하여 방음.방풍 및 단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문과 창틀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개폐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구성부품의 손상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새로운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조립체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 조립체와 금속제 창호 조립체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창호 조립체는 구조물에 사각형의 창틀을 배치할 수 있는 창틀 배치 공간을 마련한 다음, 상기 창틀 배치 공간에 창틀을 고정하고, 상기 창틀에 창문을 결합한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종래의 창호 조 립체(10)는 창틀(20) 및 창문들(4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20)은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창틀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구조물(5)에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창틀(20)의 상부 프레임(21) 및 하부 프레임(22)에는 상기 창문들(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부 안내홈(23)과 하부 안내홈(24)이 각각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홈(24)에는 상기 창문(40)의 하단부에 설치된 롤러(4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롤러(45)가 올려지는 안내바(2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 조립체(10)를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창문(40)을 창틀(20)에 결합하는 작업은 먼저 창문(40)을 기울인 상태에서 창문(40)의 상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상부 안내홈(23)에 삽입한 다음, 상기 창문(40)의 하단부를 하부 프레임(22)에 밀어 넣으면, 상기 창문(40)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하부 안내홈(2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창문(40)의 하단부에 설치된 롤러(45)는 상기 하부안내홈(24)의 안내바(25)에 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창틀(20)에 결합된 창문(40)은 상기 롤러(45)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바(25)를 따라 이동되면서 개폐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창호 조립체(10)의 창틀(20)에 창문(40)을 끼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창문(40)의 하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22)의 상부단에 걸려 간섭되면서 결합 및 분리작업을 곤란하게 하거나 부품을 손상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부 안내홈(24)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22)의 상단부이 상기 안내바(25)의 상단부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완성된 창호 조립체(10)에서 상기 창문(40)의 상부단과 상부 프레임(21)사이에는 조립시 상기 창문의 하부단과 하부 프레임간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문이 상승된 만큼 하강되면서 일정크기의 상부 간격(P1)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창문(40)의 하부단과 하부 프레임(22)사이에도 상기 안내바가 돌출형성된 만큼 일정크기의 하부 간격(P2)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간격(P1,P2)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창호 조립체의 방풍, 방음 및 단열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상기 창문(40)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창문(40)의 상부단 양측면과 상부 프레임(21)의 내부면은 서로 면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창문(40)의 하부단과 하부 프레임(22)의 내부면도 서로 면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창문(40)의 개폐작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서 창문을 개폐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창문(40)의 상부단과 하부단간의 마찰력 차이에 의해서 상기 창문(40)의 개폐작동시 상기 창문(40)이 창틀(20)에 대하여 일측으로 비틀어지면서 상기 창문(40)과 창틀(2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창문과 창틀이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문을 창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창문과 창틀간의 상하간격을 최소화하여 방음.방풍 및 단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문과 창틀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개폐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구성부품의 손상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새로운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상부레일의 상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하부단에 구비하여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창문; 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안내홈은 상기 상부 안내부재의 상부단이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안내턱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안내홈은 상기 창문의 개폐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안내부재와 간섭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안내홈에 단부가 접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안내홈은 하부로 갈수록 폭가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입구와, 상기 입구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안내부재는 상기 상부 안내홈에 상단부가 접하여 안내되는 안내롤과, 상기 안내롤이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축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창문본체의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수직 설치공에 삽입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안내부재는 상기 하부 안내홈에 몸체일부가 삽입배치되는 안내휠과, 상기 안내휠의 몸체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휠수용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휠수용부재는 상기 창문본체의 좌우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휠설치홈에 삽입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에 상,하부레일의 상,하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하부안내부재를 갖는 창문을 결합함으로써, 작업자가 창문을 창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종래에 비하여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창문과 창틀간의 상하간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창문의 개폐작동시 창틀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방음.방풍 및 단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문을 개폐하는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창문에 조립되는 구성부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부품의 손상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새로운 부품을 교체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상부레일과 상부 안내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하부레일과 하부 안내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상부 안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하부 안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벽체에 구비되는 사각형의 창틀 배치 공간에 설치되는 창틀(110)과, 상기 창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창문(12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110)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 배치공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은 상기 창문을 조립하기 전에 상기 창틀 배치공간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112)의 상부면에는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레일 배치부(111a,112a)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구비하고, 상기 레일 배치부(111a,112a)에는 안내홈(115a,116a)을 갖는 상부레일(115)과 하부레일(116)을 각각 배치하여 고정설치한다.
상기 상,하부레일(115,116)은 상기 레일 배치부(111a,112a)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딩접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111,112)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선택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레일(115,116)은 안내홈(115a,116a)의 성형 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는 압출성형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은 좌우 양측에 수직한 수직 프레임(113,114)과 더불어 조립되어 상기 사각형의 창틀 배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창문(120)은 대략 사각형을 구비되는 창문본체(129)와, 상기 창문몸체(120a)의 상부단에 구비되는 상부 안내부재(121) 및 상기 창문본체(120a)의 하부단에 구비되는 하부 안내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는 상기 상부레일(115)의 상부 안내홈(115a)에 상부단이 탄성력에 의해서 접하면서 상기 상부 안내홈(115a)을 따라 활주이동되도록 상기 창문본체(129)의 상부 좌우양측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는 상기 하부레일(116)의 안내홈(116a)에 하부단이 자중에 의해서 접하면서 상기 하부 안내홈(116a)을 따라 활주이동되도록 상기 창문본체(129)의 하부 좌우양측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본체(129)는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수평부재(129a,129b)와 그 좌우양측에 조립되는 수직부재(129c,129d)로 조립되어 중앙영역에 유리와 같은 투명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사각판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의 상부단이 접하는 상부레일(115)의 상부 안내홈(115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의 상부단에 조립되는 안내롤(121a)과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안내턱(115b)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턱(115a)에 접하는 안내롤(121a)은 상기 창문본체(129)의 개폐작동시 상기 상부 안내홈(115a)을 따라 이동되면서 구름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가 활주이동되는 상부 안내홈(115a)에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활주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개폐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의 안내롤(121a)과 접하여 간섭되는 스토퍼(123)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토퍼(123)는 상기 상부 안내홈(115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123)과, 상기 이동판(123a)에 형성된 나사공(123c)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안내홈(115a)에 선단에 접하도록 상기 나사공(123c)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23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창문본체(129)의 개폐범위인 활주이동거리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123b)의 풀림에 의해서 자유로워진 이동판(123a)을 상기 상부 안내홈(115a)을 따라 이동시켜 설치위치를 가변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123b)의 잠금에 의해서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와 간섭되는 이동판(123a)을 재고정하여 거리조절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의 하부단이 접하는 하부레일(116)의 상부 안내홈(116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추어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의 하부로 일부 노출되는 안내휠(122a)가 삽입배치되는 입구(116b)와, 상기 입구(116b)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어 안내휠(122a)의 외주연이 접하는 함몰부(116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116b)에 삽입배치되어 함몰부(116c)에 접하는 안내휠(122a)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개폐작동시 상기 하부 안내홈(116a)을 따라 이동되면서 구름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상부면 좌우양측에 교체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상부레일(115)을 따라 창문본체(129)와 더불어 활주이동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안내부재(121)는 안내롤(121a), 작동축(121b), 수용부재(121c) 및 탄성부재(121d)를 포함하는바, 상기 안내롤(121a)은 상기 상부 안내홈(115a)에 상단부가 접하는 소경부와 상기 안내턱(115a)에 걸리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롤부재이다.
상기 작동축(121b)은 상기 안내롤(121a)이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며, 상기 작동축(121b)의 선단부에는 안내롤(121a)의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체결부재(121g)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재(121c)는 상기 작동축(121b)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선단부에 일정크기의 조립공(121f)을 관통형성한 중공원통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축(121b)의 선단은 상기 조립공(121f)을 통해 외부노출되고, 상기 작동축(121b)의 후단에는 상기 조립공(121f)을 통해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121h)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121e)는 상기 수용부재(121c)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작 동축(121b)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재(121c)의 후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엔드플레이트(121i)를 조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상부 레일(115)에 배치되는 상부 안내부재(121)의 안내롤(121a)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안내홈(115a)과 밀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창문본체(129)의 개폐작동시 상기 안내홈(115a)을 따라 활주이동되면서 구름회전되거나 미끄러지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창문본체(129)를 보다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는 구성부품의 손상시 새로운 것으로의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창문본체(129)의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수직 설치공(125)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설치공(125)의 깊이는 상기 수용부재(121c)의 형성길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재(121c)는 수직 설치공(125)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구성부품의 손상시 상기 수직 설치공(125)에 조립된 수용부재(121c)를 빼내어 상부 안내부재(121)를 간편하게 분리한 다음 새로운 것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틀(110)과 창문(120)의 조립전 상기 작동축(121c)은 상기 수용부재(121c)로부터 탄성부재(121e)에 의해서 상기 안내롤(121a)이 최대로 높이로 돌출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하부 좌우양측면에 측방으로 부터 교체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하부레일(116)을 따라 창문본체(129)와 더불어 활주이동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 안내부재(122)는 안내휠(122a)과 휠수용부재(122b)를 포함하는바, 상기 안내휠(122a)은 상기 하부 안내홈(116a)에 몸체일부가 삽입배치되어 이에 접하여 회전되는 휠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횔수용부재(122b)는 상기 안내휠(122a)의 몸체일부를 하부로 외부노출시키도록 내부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휠(122a)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22c)게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횔(122a)의 횔축(122e)은 상기 지지브라켓(122c)에 조립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22c)은 상기 휠수용부재(122b)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축(122d)을 매개로 하여 상기 휠수용부재(122b)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안내횔(122a)의 몸체일부는 상기 휠수용부재(122b)의 하부로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122c)의 설치위치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휠수용부재(122b)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좌우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휠설치홈(126)에 교체가능하게 삽입배치되고, 상기 안내휠(122a)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창문본체(129)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122g)가 삽입배치되도록 체결공(122f)을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휠수용부재(122b)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완료된 휠수용부재(122b)는 상기 체결공(122f) 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창문본체(129a)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122g)에 의해서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창문(120)이 창틀(110)에 2개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창문의 닫힘시 서로 중첩되는 창문본체(129,129')들 중 적어도 일측 창문본체의 수직프레임(129d,129')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방음부재(1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격흡수 및 방음부재(140)는 상기 수직프레임(129d,129')의 단차부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고정홈(14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부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창문의 닫힘시 상기 창문본체와 이에 인접하는 창문본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 및 방음부재(140)는 서로 접하면서 창문닫힘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서로 밀착되어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00)를 완성하기 위해서 상기 창문(120)을 창틀(110)에 결합하는 작업은 먼저 상기 창문(120)을 일정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상부로 밀어 올림으로써 창문(1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 안내부재(121)의 상부단에 구비된 안내롤(121a)을 상기 상부 프레임(111)에 구비된 상부 안내레일(115)의 안내홈(115a)에 삽입하여 배치한다.
이때, 상기 안내롤(121a)은 상기 안내홈(115a)에 돌출형성된 안내턱(115b)과 국부적으로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롤(121a)과 안내턱(115b)간의 접촉상태는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의 수용부재(121c)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1e)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연속하여,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를 하부 프레임(112)에 구비된 하부 안내레일(115)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창문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의 하부로 외부노출되는 안내휠(122a)은 상기 창문의 자중에 의해서 하부 안내레일(116)의 안내홈(116a)에 접하도록 삽입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휠(122a)과 하부 안내레일(116)의 안내홈(116a)간의 접촉상태는 창문의 자중에 의해서 접촉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121e)의 탄성력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창틀(110)에 결합된 창문(120)의 개폐작동시 상기 안내턱(115b)과 국부적으로 접하는 안내롤(121a)이 상부 안내홈(115a)을 따라 구름회전되고, 상기 하부 안내홈(116a)에 배치된 안내휠(122a)이 상부 안내홈(115a)을 다따라 구름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창문(120)의 개폐작동시 창문과 창틀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창문을 가일층 부드럽고 조용하게 여닫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안내홈(115a)과 안내롤(121a)간의 접촉상태 및 상기 하부 안내홈(116a)과 안내휠(122a)간의 접촉상태는 상기 탄성부재(121e)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창문의 개폐작동시 레일궤도를 이탈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외풍에 의해서 창문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안내부재(121)는 상기 창문본체(129)의 상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수직 설치공(125)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안내부재(122)는 상기 창 문본체(129)의 하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휠설치홈(12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하부 안내부재(121,122)를 새로운 부품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한편,상기 하부 안내부재(121,122)를 교체하는 작업은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상부레일과 상부 안내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하부레일과 하부 안내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상부 안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채용되는 하부 안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 및 방음부재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창틀 111 : 상부프레임
112 : 하부프레임 115 : 상부레일
115a,116a : 안내홈 116 : 하부레일
120 : 창문 121 : 상부 안내부재
122 : 하부안내부재 123 : 스토퍼

Claims (10)

  1.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상기 상부레일의 상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하부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안내부재를 창문본체의 하부단에 구비하여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창문; 을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홈은 상기 상부 안내부재의 상부단이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안내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홈은 상기 창문의 개폐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안내부재와 간섭되는 스토퍼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안내홈에 단부가 접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홈은 하부로 갈수록 폭가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입구와, 상기 입구의 하부단으로 부터 직하부로 일정깊이 연장되는 함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부재는 상기 상부 안내홈에 상단부가 접하여 안내되는 안내롤과, 상기 안내롤이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축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창문본체의 상부면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수직 설치공에 삽입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부재는 상기 하부 안내홈에 몸체일부가 삽입배치되는 안내휠과, 상기 안내휠의 몸체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휠수용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수용부재는 상기 창문본체의 좌우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휠설치홈에 삽입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창문본체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의 단차부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부노출되는 충격흡수 및 방음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080048111A 2008-05-23 2008-05-23 창호 조립체 KR20090121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11A KR20090121939A (ko) 2008-05-23 2008-05-23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11A KR20090121939A (ko) 2008-05-23 2008-05-23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39A true KR20090121939A (ko) 2009-11-26

Family

ID=4160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111A KR20090121939A (ko) 2008-05-23 2008-05-23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1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793A (ko) * 2019-12-12 2021-06-22 강용재 자동문용 이탈 방지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793A (ko) * 2019-12-12 2021-06-22 강용재 자동문용 이탈 방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265B2 (ja) サッシ
US20160273254A1 (en) Sliding door
KR101161780B1 (ko) 창호의 탄성 승강식 방풍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20090121939A (ko) 창호 조립체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US10968674B1 (en) Tilt latch apparatus and sashes incorporating the same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102504250B1 (ko) 유격이 없는 창호
JP4410750B2 (ja) 横移動式シャッター装置
JP4195464B2 (ja) 折戸システム
KR200354016Y1 (ko)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의 안전바 이탈방지장치
TW202314109A (zh) 滑門系統、滑門及緩衝裝置
JP2010116710A (ja) 引戸装置
KR100897518B1 (ko) 미닫이 창문
KR10134729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110026577A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264316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조절을 위한 링크모듈
KR102340826B1 (ko) 슬라이드 개폐도어
KR10124226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셋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글래스 취부 방법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200281172Y1 (ko)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101430957B1 (ko) 도어의 방음 및 방진 장치
CN219974222U (zh) 一种侧压上滑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