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85A -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85A
KR20090120785A KR1020080046757A KR20080046757A KR20090120785A KR 20090120785 A KR20090120785 A KR 20090120785A KR 1020080046757 A KR1020080046757 A KR 1020080046757A KR 20080046757 A KR20080046757 A KR 20080046757A KR 20090120785 A KR20090120785 A KR 2009012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electric pressure
thermal
heating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창
신홍기
송치영
장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Priority to KR102008004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785A/ko
Publication of KR2009012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에 있어서, 타이머를 구동하고 취반을 위한 가열과 온도 검출과 수증기 배출과 수분 보충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스팀컵의 장착을 검출하고 스팀을 가열하는 보온스팀수단; 보온스팀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보온온도 검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온오프 구동하는 보온 밸브 수단;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운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구성과 상기 보온스팀수단은,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스팀컵의 게재를 확인하며 가열을 제어하는 보온제어부; 스팀컵의 게재를 검출하는 접점부; 및 보온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스팀컵을 가열하는 스팀가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취반 완료된 밥이 오랜 시간동안 보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수분 보충에 의하여 밥의 찰기와 맛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취반, 압력, 보온, 밥솥, 수증기, 솔레노이드, 온도, 스팀, 밸브

Description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APPARATUS OF CONTROLLING KEEPING WARM FOR ELECTRICAL PRESSURE RICE COOK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에서 취반된 밥의 보온을 장시간 유지하면서 황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소정 시간 주기로 수분을 공급하여 취반이 끝난 상태의 밥맛을 오래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활동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음식을 섭취하며, 나라와 민족 및 습관에 따라 주식으로 이용하는 음식의 종류가 다르고, 대한민국을 포함하는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서 쌀을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많은 도구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가 전기에 의하여 발열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쌀로 밥을 만들거나 또는 음식 등을 만드는 전기밥솥이다.
즉, 쌀을 물과 함께 솥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불리고 끓이므로 쌀의 속까지 익히어 밥을 하고 또는 취반하고, 상기 취반을 빠르게 하면서 골고루 익도록 하는 장치가 압력밥솥이며, 열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전기 압력밥솥이라 한다.
상기 전기 압력 밥솥에서, 쌀이 밥이 되는 과정은 불림, 익힘, 뜸 등의 취반공정이 필요하며 각 공정에 따라 인가하는 열의 온도 조절을 위하여 전기를 인가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공정을 제어하는 기능이 부가되는 상태로 발달하였으며, 취반이 완료된 상태의 밥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공정이 추가되면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이라고 한다.
상기 전기 압력보온 밥솥은 하루 중의 사용할 시간이 크게 부족한 현대 생활에서 특히, 주부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은 크게, 쌀을 익혀 밥이 되도록 하는 취반(炊飯) 공정과, 취반공정에 의해 지어진 밥을 일정 온도의 상태로 보존하는 보온공정으로 구분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을 설명하면, 몸체(10); 내솥(20); 외솥(30); 가열코일(40); 탑플레이트(50); 압력추부(60); 솔레노이드부(70); 뚜껑(80);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내솥(20)은 몸체(10)로부터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한 것으로 개방된 상측부를 통하여 쌀과 물이 투입된다.
상기 외솥(30)은 상기 내솥(20)과 같은 형상을 하며 내솥을 감싸고 취반 및 보온을 위하여 발생된 열을 내솥에 전달하며, 상기 가열코일(40)은 전기 제어에 의 하여 취반 및 보온을 위한 열을 발생한다.
상기 탑플레이트(50)는 상기 뚜껑(80)에 고정되고, 상기 내솥(20)의 개방된 상측부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동시에 수증기의 자동 유출을 차단하며, 상기 압력추부(60)는 뚜껑(80)에 구성되고 소정 무게의 추를 구비하는 것으로 내솥(20) 안의 수증기 압력이 일정한 레벨 이상이면 수증기를 몸체(10) 밖으로 자동 배출하여 수증기의 압력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70)는 뚜껑(80)에 구성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동작하므로 내솥(20) 안의 수증기를 몸체(10) 밖으로 강제 배출한다.
상기 압력추부(60)와 솔레노이드부(70)는, 첨부된 도 2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탑플레이트(50)로부터 뚜껑(80)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통로를 각각 구비하므로, 취반과정에서 내솥(20)에 발생된 소정 압력의 수증기를 뚜껑(80)의 밖으로 배출한다.
즉, 상기 압력추부(60)와 솔레노이드부(70)는 뚜껑(80)에 구비되고, 탑플레이트(50)와 뚜껑(80)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의 개폐를 상기 압력추부(60)의 경우는 추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70)의 경우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 가열코일(40)은 해당 제어에 의하여 전기를 소정 시간동안 공급받고 열을 발생하며, 상기 발생한 열은 외솥(30)을 가열하며, 외솥(30)은 다시 내솥(20)을 가열하고, 내솥(20)은 투입된 쌀과 물을 취반공정에 의하여 익히므로 밥이 되고, 보온공정에 의하여 보온이 유지된다.
상기 물이 끓는 과정에서 수증기에 의한 압력이 발생하고, 상기 압력추부(60)는 수증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이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이면, 초과하는 수증기의 압력을 자동 배출하므로, 취반하는 과정에서 전기 보온압력 밥솥은 설정된 소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압력추부(60)는 소정 무게의 추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수증기가 일정한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증가하면 별도의 제어 없이 수증기를 뚜껑(80)의 밖으로 자동 배출하여 허용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압력밥솥의 수증기가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보유하지 못하도록 보호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상기 내솥(20)에 투입된 쌀의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부(70)를 소정 시간동안 제어하여 내솥(20)에 유지되는 뜨거운 수증기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취반이 완료되는 경우, 즉시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몸체(10) 상측부에 구비된 뚜껑(80)을 안전하게 열어 취반이 완료된 밥을 꺼낼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제어 기능부를 설명하면, 입력부(100); 제어부(110); 표시부(120); 솔레노이드 구동부(130); 솔레노이드부(70); 가열코일 구동부(140); 가열코일(40); 온도검출부(150);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입력부(100)는 전기밥솥의 몸체의 쌀과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취반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전기밥솥의 내솥에 쌀과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가열코일구동부(140)를 제어하여 가열코일(40)이 발열 하도록 구동하므로, 내솥이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취반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취반의 진행 상태를 내솥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50)를 감시하므로 취반 공정의 진행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취반 공정의 진행에 따른 내솥의 온도 변화는 일례로 첨부된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10)는 온도검출부(170)를 감시하므로 취반공정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취반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구동부(130)를 제어하므로 솔레노이드부(70)가 구동되어 상기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내부에 소정 압력으로 존재하는 수증기를 몸체 밖으로 강제 배출하며 보온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가열코일(40)이 가열되어 취반이 진행되고,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부(70)가 구동되어 수증기를 강제 배출하며, 보온공정을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한 현재 상태 및 온도, 취반 완료까지의 잔여시간 등을 해당 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부(120)에 출력하므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쌀에 물이 흡수되는 불림, 물이 포화 흡수되고 가열과 비등에 의한 익힘을 통하여 완성된 밥으로 식사한다. 상기 완성된 밥으로 식사하고 남은 밥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므로 밥맛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다음순서에 먹기 좋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온도제어로 밥의 보온을 유지하므로, 보온 시간이 오랜 동안 지남에 따라 밥에 포함되는 수분이 증발하여 밥의 색깔이 노란 또는 누런 계통의 색으로 변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밥에 황변현상이 발생하면 수분이 부족하여 밥맛이 떨어지고, 색깔이 노란 계통의 색으로 변하여 보기에도 좋지 않으며, 찰기가 떨어지고 딱딱한 느낌이 들어 먹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 압력보온밥솥에 있어서, 취반이 완료된 밥을 오랜 동안 보온하는 과정에서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취반을 완료한 밥이 오랜 시간동안 보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을 완료한 밥의 보온 유지 시간을 계수하여 설정된 주기 마다 남은 밥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의 수분을 적정하게 보충하므로 황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을 완료한 밥이 오랜 시간동안 보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을 완료한 밥의 보온 유지 시간을 계수하여 설정된 주기 마다 남은 밥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의 수분을 적정하게 보충하므로 황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에 있어서, 타이머를 구동하고 취반을 위한 가열과 온도 검출과 수증기 배출과 수분 보충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스팀컵의 장착을 검출하고 스팀을 가열하는 보온스팀수단; 보온스팀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보온온도 검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온오프 구동하는 보온 밸브 수단;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운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스팀수단은,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스팀컵의 게재를 확인하며 가열을 제어하는 보온제어부; 스팀컵의 게재를 검출하는 접점부; 및 보온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스팀컵을 가열하는 스팀가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부는 스팀컵과 접촉하여 게재상태를 확인하는 고정접점; 스팀컵과 유동상태로 접촉하는 탄동접점; 및 탄동접점이 유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 밸브 수단은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보온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보온온도검출부를 감시하고 보온스팀수단을 제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며, 타이머를 감시하여 설정된 시간이 계수되면 상기 보온밸브수단을 개방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스팀수단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 몸체의 힌지부 인근에 구비되고, 보온밸브수단은 전기압력보온밥솥 뚜껑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컵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착탈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보온밸브를 차단구동하고 취반공정이 완료되면 보온공정을 진행하며 타이머의 계수를 시작하는 계수과정; 제어부는 스팀컵이 게재되면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설정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 스팀컵이 소정온도로 가열되고 설정된 소정 시간의 계수가 완료되면 소정 시간동안 보온밸브를 개방 구동하여 수증기를 투입하고, 스팀가열부의 비활성화 제어와 보온밸브를 차단구동하며 상기 계수과정의 보온공정으로 궤환하는 밸브개방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하는 과정은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컵이 게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스팀가열부를 활성화상태로 제어하여 스팀컵을 가열하는 과정; 및 가열된 스팀컵이 설정된 소정 온도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은 스팀컵에 담겨있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밸브의 개방구동은 스팀컵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취반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보온밸브를 차단 상태로 구동하는 밸브과정; 제어부에 의하여 보온공정을 진행하고 스팀컵이 게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하는 과정은 스팀가열부를 활성화하고 스팀컵이 설정된 소정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며, 설정된 소정 온도가 검출되면 스팀가열부를 비활성화 하여 가열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된 수증기는 개방된 보온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취반을 완료한 밥이 오랜 시간동안 보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밥맛을 좋게 유지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취반이 완료된 밥을 보온하는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 마다, 소정 온도의 수분을 보충하므로 밥의 찰기와 맛을 유지하고,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급을 활성화시켜 공장의 가동률을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한꺼번에 대량의 밥을 취반하여 밥맛과 찰기가 유지되는 상태로 장기간 보온하므로 주부의 가사 노동량을 줄이고 시간이 부족한 현대사회에서 밥을 주식으로 하는 국민의 식생활을 유지 및 개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5 는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부분 절개 도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탑플레이트부 정면 도시도 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스팀수단 상세 기능 구성도 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순서도 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 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을 설명하면, 전기 압력보온 밥솥(200)은 몸체(210); 및 뚜껑(220);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210)는 외솥(230); 가열코일(240); 내솥(250); 보온스팀수단(350); 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뚜껑(220)은 탑플레이트(260); 스팀경로(270); 보온밸브수단(370); 취반밸브수단(340); 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몸체(210)와 뚜껑(220)은 힌지부(280)에 의하여 회전상태로 결합한다.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밥솥의 탑플레이트(260)를 설명하면, 원판형태를 하고 중앙부분에 상기 뚜껑(220)과 유동상태로 고정되는 연결부(265); 압력추수단(290); 취반밸브수단(340); 보온밸브수단(370);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첨부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을 설명하면, 상기 뚜껑(220)은 힌지부(280)에 의하여 몸체(210)와 회동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뚜껑(220)이 힌지부(280)에 의하여 회동되어 열리는 경우 스팀경로(270)와 보온스팀수단(350)이 분리되며, 뚜껑(220)이 힌지부(280)에 의 하여 회동되어 닫히는 경우는 스팀경로(270)와 보온스팀수단(350)이 밀폐상태로 결합되므로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스팀경로(270)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보온밸브수단(370)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일례로, 온(ON) 또는 개방 동작하는 경우는 보온스팀수단(350)이 생성하고 스팀경로(270)를 따라 이동한 수증기를 탑플레이트(260)와 내솥(250)에 의하여 형성된 밀폐된 공간에 유입하고, 오프(OFF) 또는 차단 동작하는 경우는 수증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취반밸브수단(340)은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일례로,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내솥(250)과 탑플레이트(260) 사이에서 발생되어 유지되는 고압의 수증기를 탑플레이트(260)를 통하여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외부로 강제 배출하므로, 사용자가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을 여는 경우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압력추수단(290)은 상기 내솥(250)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압력이 소정 레벨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 수증기의 압력이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증가하면, 추의 무게에 의하여 발생된 수증기의 압력을 막을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수증기를 외부로 자동 배출하여 내솥(250)의 수증기 압력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내솥(250)의 수증기 압력 증가에 의하여 폭발 등이 발생하는 위험을 제거한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 온장치를 설명하면, 제어부(300); 입력부(310); 취반온도검출부(320); 취반가열수단(330); 취반밸브수단(340); 보온스팀수단(350); 보온온도검출부(360); 보온밸브수단(370); 표시부(380);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스팀수단(350)을 설명하면, 보온제어부(351); 스팀컵(352); 접점부(353); 스팀가열부(354);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점부(353)는 고정체(358)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접점(355); 상기 고정체(358)의 고정접점(355)이 고정되는 반대측면에 구비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탄동접점(356); 스프링(SPRING)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동접점(35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7);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을 상세히 설명하면, 스팀컵(352)은 알루미늄(ALUMINUM)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용량의 물을 담는 구조이며, 상기 접점부(353)를 구성하는 고정접점(355)과 탄성체(357)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동하는 탄동접점(356)에 의하여, 고정체(358)에 삽입 및 게재되는 스팀컵(352)을 정확하게 검출하며 보온제어부(351)에 통보한다. 상기 탄성체(357)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보온제어부(351)는 제어부(300)로부터 보온스팀수단(350)을 가열하는 제어명령을 인가받고 접점부(353)로부터 스팀컵(352)이 검출되는 경우에 스팀가열 부(354)를 제어하여 가열한다. 또한, 상기 스팀컵(352)은 별도의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보온제어부(351)는 제어부(300)로부터 보온스팀수단(350)을 가열하는 제어명령을 인가받는 경우에도 접점부(353)로부터 스팀컵(352)이 게재됨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스팀가열부(354)를 가열하지 않는다.
상기 첨부된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310)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을 제어하는 각종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일례로, 취반 및 보온을 선택하는 등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명령신호는 제어부(30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일례로, 입력부(310)로부터 취반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취반온도검출부(320)를 감시하여 내솥(250)의 온도를 검출하고, 내솥이 취반에 필요한 온도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취반가열수단(330)을 제어하여 설정된 소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취반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취반가열수단(330)이 가열되고 취반온도검출부(320)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는 첨부된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상기 취반온도검출부(320)는, 일례에 의하여, 외솥(230)의 바닥면 및 측면에 구비되며, 필요에 의하여 탑플레이트(260)에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도 4 를 참조하면, 취반공정은 쌀을 불리는 불림, 쌀을 익히기 위하여 열을 계속 높이는 가열, 물이 끓으므로 쌀을 익히는 비등으로 구분되고, 각각 소정 의 시간이 할당되며, 비등이 완료되면, 취반이 완료 되었으므로 고압 및 고온의 수증기를 강제 배출하고 보온공정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취반공정이 완료되고 보온공정에서 밥에 황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수분의 함량을 일정하게 하여 밥맛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의 기술이다.
상기 취반온도검출부(320)는 반복되는 실험에 의하여 내솥(250)의 온도를 최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위치에 부착한다.
상기 취반가열수단(330)은 구동부 및 가열코일(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직접가열방식 및 유도가열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전기 압력보온 밥솥(200)에서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IH)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취반밸브수단(340)은 취반이 완료된 경우에, 고압 및 고온의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밸브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므로 외부로 배출하고, 구동부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취반공정이 완료되고 보온공정이 시작되면, 내장된 타이머 기능을 제어하여 설정된 소정 시간의 계수를 시작하며, 보온스팀수단(350)을 제어하므로 스팀컵(352)에 담겨있는 물을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수증기를 발생한다.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은 일례로, 상기 도 8 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이고, 몸체(210)의 힌지부(280)가 구성되는 인근 위치에 구비되며, 뚜껑(220)을 닫으면 상기 스팀컵(352)의 상단부가 스팀경로(270)로 연결되어, 스팀컵(352)에서 발생 된 수증기가 스팀경로(270)로 이송된다.
상기 보온온도검출부(360)는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을 구성하는 스팀컵(352)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반복되는 실험에 의하여 상기 스팀컵(352)의 온도를 최적으로 검출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보온온도검출부(360)를 감시하여 보온스팀수단(350)이 설정된 소정 온도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일례로,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로 검출되면, 가열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보온스팀수단(350)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온도 이상이 검출되면 스팀컵(352)에 물이 증발하여 없는 경우 및 너무 비등하는 경우 이므로 보온스팀수단(350)에 가열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내장된 타이머(TIMER)가 구동되어 설정된 소정 시간이 계수(COUNT)되면, 보온밸브 수단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보온스팀수단(350)이 생성한 수증기가 탑플레이트(260)를 통하여 내솥(250)안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취반이 완료된 밥은 보온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수분이 증발하므로 황반현상이 발생하는 동시에 밥맛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황반현상이 발생하는 시간은 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토종 쌀의 경우, 실험에 의하여 약 6 시간이 경과하면 황반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300)가 보온공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를 계수하여 매 6 시간 마다 보온스팀수단(350)이 생성한 소정 온도의 수증기를 내솥(250)에 투입한다.
또한, 제 2 실시예로, 매 한 시간 단위로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이 생성한 소정 온도의 수증기를 내솥(250)에 투입한다.
또한, 제 3 실시예로, 상기 보온스팀수단(350)이 생성한 수증기를 시간 제한 없이 항상 내솥(250)에 즉시 투입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 정한 시간값은 임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특히, 취반하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수분이 유지되도록 임의 값으로 변경 지정한다.
상기 황반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수증기는 보온되는 밥의 온도와 유사하게 하므로, 밥의 맛과 색갈이 변하지 않고 방금 취반이 끝난 상태로 오래 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을 설명하면, 계수과정; 가열하는 과정; 밸브개방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제어부는, 취반공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보온밸브를 차단하도록 구동하므로 내솥 안의 수증기 압력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S100).
상기 제어부는 취반온도검출부를 감시하는 동시에 해당 타이머 값을 감시하므로 취반공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10).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취반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보온공정이 진행 되는지를 확인한다(S120). 상기 전기 압력보온 밥솥은 취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익혀진 밥을 모두 인출하므로 보온공정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보온공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를 제어하여 설정된 소정 시간의 계수를 시작한다(S130).
상기 타이머가 계수하는 소정시간은, 제 1 실시 예에 의하여 6 시간이 되거나, 제 2 실시 예에 의하여 1 시간이 된다. 또한 취반되는 곡물의 종류에 의하여 임의 소정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보온스팀수단을 제어하고 감시하여 스팀컵이 게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S140), 스팀컵이 게재되어 있는 경우는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스팀컵을 가열하며(S150), 스팀컵에 담겨져 있는 물이 수증기로 변환하는 설정된 소정온도로 확인되면(S160), 상기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의 계수를 완료하였는지 확인한다(S170).
상기 타이머가 계수하는 시간은 제 1 실시 예에 의하여 6시간이 되거나, 제 2 실시 예에 의하여 1 시간이 되며, 또는 임의의 시간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가 선택된 실시 예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시간의 계수를 완료하면, 보온밸브수단을 제어하여 개방(OPEN) 상태로 구동한다(S180). 상기 보온 밸브수단을 소정 시간동안 개방하여 보온스팀수단이 생성한 소정 온도의 수증기를 내솥 안으로 유입하므로 보온공정 중인 밥의 증발한 수분을 보충하고 황변 발생을 차단하며 찰기를 유지하여 밥맛의 변화를 억제한다.
상기와 같이 보온 중인 밥의 황변현상을 차단한 제어부는 보온밸브수단을 차 단상태로 구동하고 스팀보온수단의 스팀가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계수과정의 보온공정으로 궤환하므로(S190), 설정된 소정 시간을 타이머로 계수하고 가열된 수증기를 공급하여 황변 발생을 차단하는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을 설명하면, 밸브과정; 확인하는 과정; 가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는 취반공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S210), 취반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보온밸브수단을 제어하여 보온밸브의 오프(OFF) 또는 차단(CLOSE) 구동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고(S230), 취반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온밸브를 온(ON) 또는 개방(OPEN) 상태로 구동한다(S220).
상기 제어부는 보온공정이 계속되는지 확인하고(S240), 보온공정이 계속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며, 보온공정이 계속되는 경우는 보온스팀수단을 제어하여 스팀컵이 게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50). 보온공정은 내솥 안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남아 있는 경우이며, 밥을 모두 소모한 경우는 보온공정이 진행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컵이 게재된 것으로 확인되면, 보온스팀수단을 제어하여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므로 스팀컵에 담겨 있는 물을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수증기로 변환한다(S260). 이때, 상기 보온밸브가 개방 상태로 구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환된 수증기는 즉시 내솥 안으로 자동 유입되어 보온이 진행 중인 밥에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팀컵의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온도가 검출되면 스팀컵에 담겨 있는 물이 모두 증발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온스팀수단을 제어하므로 스팀가열부가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되고, 상기 확인하는 과정의 스팀컵 게재 확인 상태(S250)로 궤환한다. 이때, 제어부는 스팀가열부를 비활성화 제어하는 동시에 표시부(380)에 해당 상태를 표시하므로 스팀컵에 물을 보충하여야 됨을 나타내어, 보온스팀수단의 과열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부분 절개 도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탑플레이트 정면 도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제어 기능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일반적인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온도변화값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부분 절개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탑플레이트부 정면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기능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스팀수단 상세 기능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순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 온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전기 압력보온 밥솥 210 : 몸체
220 : 뚜껑 230 : 외솥
240 : 가열코일 250 : 내솥
260 : 탑플레이트 270 : 스팀경로
280 : 힌지부 290 : 압력추수단
300 : 제어부 310 : 입력부
320 : 취반온도검출부 330 : 취반가열수단
340 : 취반밸브수단 350 : 보온스팀수단
351 : 보온제어부 352 : 스팀컵
353 : 접점부 354 : 스팀가열부
355 : 고정접점 356 : 탄동접점
357 : 탄성체 358 : 고정체
360 : 보온온도검출부 370 : 보온밸브수단
380 : 표시부

Claims (9)

  1.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에 있어서,
    타이머를 구동하고 취반을 위한 가열과 온도 검출과 수증기 배출과 수분 보충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스팀컵의 장착을 검출하고 스팀을 가열하는 보온스팀수단;
    상기 보온스팀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보온온도 검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온오프 구동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보온 밸브 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운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스팀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착탈되는 스팀컵의 게재를 확인하며 가열을 제어하는 보온제어부;
    상기 스팀컵의 게재를 검출하는 접점부; 및
    상기 보온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스팀컵을 가열하는 스팀가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스팀컵과 접촉하여 게재상태를 확인하는 고정접점;
    상기 스팀컵과 유동상태로 접촉하는 탄동접점; 및
    상기 탄동접점이 유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스팀수단은 전기 압력보온 밥솥 몸체의 힌지부 인근에 구비되고,
    상기 보온밸브수단은 전기압력보온밥솥 뚜껑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장치.
  5.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보온밸브를 차단구동하고 취반공정이 완료되면 보온공정을 진행하며 타이머의 계수를 시작하는 계수과정;
    상기 제어부는 스팀컵이 게재되면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설정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
    상기 스팀컵이 소정온도로 가열되고 설정된 소정 시간의 계수가 완료되면 소정 시간동안 보온밸브를 개방 구동하여 수증기를 투입하고, 스팀가열부의 비활성화 제어와 보온밸브를 차단구동하며 상기 계수과정의 보온공정으로 궤환하는 밸브개방과정; 을 포함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컵이 게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스팀가열부를 활성화상태로 제어하여 스팀컵을 가열하여 담겨있는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가열된 스팀컵이 설정된 소정 온도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상기 스팀컵에 담겨있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8.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취반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보온밸브를 차단상태로 구동하는 밸브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보온공정을 진행하고 스팀컵이 게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가열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과정은,
    상기 스팀가열부를 활성화하고 스팀컵이 설정된 소정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며, 가열된 수증기는 개방된 보온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설정된 소정 온도가 검출되면 스팀가열부를 비활성화 하여 가열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방법.
KR1020080046757A 2008-05-20 2008-05-20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KR20090120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57A KR20090120785A (ko) 2008-05-20 2008-05-20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57A KR20090120785A (ko) 2008-05-20 2008-05-20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85A true KR20090120785A (ko) 2009-11-25

Family

ID=4160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57A KR20090120785A (ko) 2008-05-20 2008-05-20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798B1 (e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RU246873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такой как рис
EP28855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top fire mitigation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EP2088370A1 (en) Cooking oven comprising steam generating system
JP2012187295A (ja) 炊飯器
KR100826925B1 (ko)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308479B (zh) 煮饭器和使用该煮饭器进行保温的方法
JP5627551B2 (ja) 炊飯器
KR20090120785A (ko) 전기 압력보온 밥솥의 보온 장치 및 방법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KR100538173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JP3082689B2 (ja) 電気炊飯器
JP3234116U (ja) 電気コーヒーメーカー
JP2018201802A (ja) 加熱調理器
JP4186821B2 (ja) 炊飯器
ES2745533A1 (es) Procedimiento para la puesta en funcionamiento de al menos un aparato de cocción
CN109907642A (zh) 烹饪器具的上盖加热控制方法及装置
JP7398943B2 (ja) 加熱調理器
JP6685177B2 (ja) 炊飯器
JP2005152196A (ja) 炊飯器
JP2017035322A (ja) 炊飯器
CN117981999A (zh) 蒸汽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蒸汽烹饪系统
JP3956791B2 (ja) 炊飯器
JP2000325229A (ja) 圧力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