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52A -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52A
KR20090120752A KR1020080046705A KR20080046705A KR20090120752A KR 20090120752 A KR20090120752 A KR 20090120752A KR 1020080046705 A KR1020080046705 A KR 1020080046705A KR 20080046705 A KR20080046705 A KR 20080046705A KR 20090120752 A KR20090120752 A KR 20090120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ind pressure
blower
controller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724B1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4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72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to JP2011510410A priority patent/JP5066627B2/ja
Priority to PCT/KR2008/007707 priority patent/WO2009142377A1/en
Priority to AU2008356712A priority patent/AU2008356712B2/en
Priority to US12/519,154 priority patent/US8235707B2/en
Priority to RU2010151479/06A priority patent/RU2454613C1/ru
Priority to EP08874410.7A priority patent/EP2297528A4/en
Priority to CA2724822A priority patent/CA2724822C/en
Priority to CN200880129331.8A priority patent/CN102037291B/zh
Publication of KR2009012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24H9/2042Preventing or detecting the return of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02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8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 F23N3/082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42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45Control of fans, e.g. on-off control
    • F24H15/35Control of the speed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24H15/443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using a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20Common flues for several combus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28Fail safe 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3/00Ventilators
    • F23N2233/06Ventilators at the air intake
    • F23N2233/08Ventilators at the air intake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02Controlling two or more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06Space-heating and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24D2200/043More than one gas or oi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 및 이러한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각각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풍압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보일러마다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고장의 염려가 없어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멀티보일러 또는 멀티온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보일러, 멀티온수기, 풍압센서, 제어기, 송풍기, 댐퍼

Description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Multi-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back flow of exhaust gas }
본 발명은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또는 멀티온수기(이하,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각각의 보일러에 설치된 풍압센서 및 제어기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또는 온수기와 같은 연소장치는 각각 필요한 용량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적은 용량의 보일러 또는 온수기를 여러 대 병렬로 설치하여 원하는 용량에 맞게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20만 kcal/h의 보일러가 필요할 경우, 4만 kcal/h의 보일러 5대를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한 보일러 또는 온수기를 멀티보일러 또는 멀티온수기라 한다.
이러한 멀티보일러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한 대의 기기가 고장이 나더라도 고장이 나지 않은 다른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상 불편함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사용하는 용량에 따라 여러 대의 기기를 별도로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멀티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멀티보일러를 구성하는 각각의 보일러에는 연소실(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20)와, 측정된 풍압에 따라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30)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제어기는 이러한 기능 외에도 보일러의 운전에 필요한 여러 가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각의 보일러에 설치된 제어기는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5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보일러에서는, 필요한 난방 용량에 따라 여러 대의 보일러 중 일부만이 가동되는 경우가 많고, 이때 가동 중인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기라인을 통해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연소실로 역류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가장 좌측의 보일러가 가동 중이고, 나머지 보일러는 비가동 중인 경우, 가장 좌측의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보일러의 연소실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연소실 내로 배기가스가 역류된 상태에서 보일러를 가동할 경우, 유입된 배기가스로 인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서 불착화 또는 폭발점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각각의 보일러마다 배기구(40)에 댐퍼(60)(damper)를 설치하여 항상 한 방향으로만 가스가 배출되고, 역방향으로는 가스가 유입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에 설치된 댐퍼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경첩식으로 고정되어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서는 배기구(40)가 열리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 댐퍼(61)이고, (b)는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 댐퍼(62)가 들어 올려져서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배출이 끝난 후에는 배기구(40)가 폐쇄되도록 구성된 댐퍼(62)이다.
그러나, 이러한 댐퍼(61, 62)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므로 오랜 기간 동안의 사용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어, 결국에는 댐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댐퍼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배기가스의 역류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기계적인 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각각의 보일러에 설치된 풍압센서와 제어기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 및 이러한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각각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풍압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측정된 풍압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측정된 풍압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러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RPM에 따라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각각의 송풍기의 RPM을 상기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송풍기의 RPM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평균 RPM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RPM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3 내 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 및 이러한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풍압센서로 측정된 풍압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풍압센서로 측정된 풍압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러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RPM에 따라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 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송풍기의 RPM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평균 RPM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RPM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가동되는 보일러의 풍압센서로 측정된 현재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댐퍼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고장의 염려가 없어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예를 들어, 5대의 보일러 또는 온수기(이하, "보일러")가 병렬로 연결된 본 발명의 멀티보일러(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멀티보일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보일러(101, 102, 103, 104, 105)는 연소실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11, 112, 113, 114, 115),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121, 122, 123, 124, 125), 버너(131, 132, 133, 134, 135),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141, 142, 143, 144, 145)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제어기(141, 142, 143, 144, 145)는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15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보일러에 설치된 제어기들 중에 1대는 주제어기(master controller)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들은 자동으로 부제어기(slave controller)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가장 우측의 제어기(145)가 주제어기로 설정된 경우, 나머지 4대의 제어기(141, 142, 143, 144)는 부제어기로 설정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보일러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를 위한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11, 112, 113, 114, 115)에 의해 강제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강제배기식 보일러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강제급배기식 보일러에서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강제급배기식 보일러의 경우에는 급기라인이 대기와 연통되어 있어서, 배기가스가 연소실로 역류되었다고 해도 새로운 공기가 쉽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역류로 인한 악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
멀티보일러(100)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댐퍼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보일러(101, 102, 103, 104, 105)에 설치된 풍압센서(121, 122, 123, 124, 125)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풍압을 측정한 후, 주제어기가 이러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의 1/3 내지 2/3 정도의 풍압을 발생시키도록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계산하여,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의 1/2 정도의 풍압을 발생시키도록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가 일정한 풍량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가동 중인 보일러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역류되지 않고 이미 연소실 내로 배기가스가 역류되었다 해도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가장 우측의 보일러(105)의 제어기(145)가 주제어기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주제어기(145)는 멀티보일러(100)를 구성하는 보일러(101, 102, 103, 104, 105) 중의 일부가 현재 가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예를 들어, 좌측 2대의 보일러(101, 102)가 가동 중이라고 할 경우, 가동 중 인 보일러(101, 102)의 전체 대수를 계산한다(S102). 여기서는 2대가 된다.
상기 주제어기(145)는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풍압센서(121, 122)가 측정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이러한 전체 풍압을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대수로 나누어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한다(S103).
상기 주제어기(145)는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103, 104, 105)의 송풍기(113, 114, 115)의 제어 풍량을 계산한다(S104). 이러한 송풍기 제어 풍량은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평균 풍압의 1/3 내지 2/3 사이의 풍압을 발생시키도록 계산하고, 이에 따라 송풍기(113, 114, 115)의 회전수를 계산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평균 풍압의 1/2의 풍압을 발생시키도록 송풍기(113, 114, 115)의 제어 풍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가동 중인 보일러(101, 102)의 평균 풍압이 송풍기가 낼 수 있는 최대 풍압의 70%일 경우, 비가동 중인 보일러(103, 104, 105)의 송풍기(113, 114, 115)의 제어 풍량은 최대 풍압의 35%가 되도록 계산된다.
다음에, 상기 주제어기(145)는 계산된 제어 풍량에 따라 비가동 중인 송풍기(113, 114, 115)의 풍량, 즉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한다(S10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에 의한 풍압 대신에 송풍기의 RPM을 센서로 측정한 후, 주제어기가 이러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평균 RPM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RPM의 1/3 내지 2/3, 바람직하게는 1/2 정도로 송풍기의 제어 RPM을 계산하여,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그 제어기를 포함하는 멀티보일러에 대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멀티보일러에서 풍압센서(121, 122, 123, 124, 125) 대신에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제어기에 의한 RPM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멀티보일러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이에 따른 제어방법은 도 4의 흐름도와 동일하고, 다만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에 의한 풍압 대신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것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에 대한 구성 및 제어기에 의한 RPM 제어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댐퍼를 설치할 필요없이 기존의 멀티보일러를 구성하는 개개의 보일러에 설치된 풍압센서와 제어기를 이용한 제어방법만으로,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연소실 내로 가동 중인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는 가동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댐퍼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오랜 사용에 의해 댐퍼가 작동하지 않게 될 위험도 없다.
한편, 이러한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소모는 별로 커지 않아, 전체 보일러의 유지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멀티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설치된 댐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61, 62 : 댐퍼
100 : 멀티보일러
101, 102, 103, 104, 105 : 보일러
111, 112, 113, 114, 115 : 송풍기
121, 122, 123, 124, 125 : 풍압센서
131, 132, 133, 134, 135 : 버너
141, 142, 143, 144, 145 : 제어기
150 : 통신라인

Claims (12)

  1.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 및 이러한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각각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풍압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측정된 풍압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측정된 풍압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4.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러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RPM에 따라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각각의 송풍기의 RPM을 상기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송풍기의 RPM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평균 RPM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RPM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
  7.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센서 및 이러한 풍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압에 따라 상기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풍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평균 풍압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풍압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제어 풍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풍압센서로 측정된 풍압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작동에 따른 풍압은 상기 풍압센서로 측정된 풍압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10. 송풍기의 RPM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이러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RPM에 따라 송풍기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보일러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는 주제어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어기는 부제어기로 설정되어 제어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멀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가동 중인 보일러의 제어기에서 측정된 송풍기의 RPM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평균 RPM을 계산하고, 이러한 평균 RPM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3 내지 2/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 중인 보일러의 송풍기의 RPM은 상기 측정된 RPM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보일러.
KR1020080046705A 2008-05-20 2008-05-20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10100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05A KR101000724B1 (ko) 2008-05-20 2008-05-20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8/007707 WO2009142377A1 (en) 2008-05-20 2008-12-26 Multi-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back flow of exhaust gas
AU2008356712A AU2008356712B2 (en) 2008-05-20 2008-12-26 Multi-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back flow of exhaust gas
US12/519,154 US8235707B2 (en) 2008-05-20 2008-12-26 Multi-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back flow of exhaust gas
JP2011510410A JP5066627B2 (ja) 2008-05-20 2008-12-26 排気ガス逆流を防止するマルチボイラー及びその制御方法
RU2010151479/06A RU2454613C1 (ru) 2008-05-20 2008-12-26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коте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котлом,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е опрокидывание тяги уходящих газов
EP08874410.7A EP2297528A4 (en) 2008-05-20 2008-12-26 MULTIPLE BOI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PREVENT REFLUX FROM EXHAUST GASES
CA2724822A CA2724822C (en) 2008-05-20 2008-12-26 Multi-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back flow of exhaust gas
CN200880129331.8A CN102037291B (zh) 2008-05-20 2008-12-26 用于防止废气回流的多锅炉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05A KR101000724B1 (ko) 2008-05-20 2008-05-20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52A true KR20090120752A (ko) 2009-11-25
KR101000724B1 KR101000724B1 (ko) 2010-12-14

Family

ID=4134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05A KR101000724B1 (ko) 2008-05-20 2008-05-20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35707B2 (ko)
EP (1) EP2297528A4 (ko)
JP (1) JP5066627B2 (ko)
KR (1) KR101000724B1 (ko)
CN (1) CN102037291B (ko)
AU (1) AU2008356712B2 (ko)
CA (1) CA2724822C (ko)
RU (1) RU2454613C1 (ko)
WO (1) WO20091423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20A (ko) * 2014-05-30 2015-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38606A (ko) 2014-09-30 2016-04-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대수 조정가능 캐스케이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810978A (zh) * 2020-07-20 2020-10-23 山东博然电力科技有限公司 基于热量自调节的两台锅炉的烟气换热器切换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3569A1 (en) * 2010-02-23 2011-08-25 John Robert Weimer Boiler system stabilizing damper and flue control method
CN101813376B (zh) * 2010-03-30 2012-07-25 中山华帝燃具股份有限公司 恒温燃气热水器控制器
JP5792455B2 (ja) * 2010-12-02 2015-10-14 パーパス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給湯装置及び給湯制御方法
EP2623865B1 (en) 2012-02-03 2020-04-08 Honeywell Technologies Sarl Gas burner,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multi gas burner system
JP5746646B2 (ja) * 2012-02-09 2015-07-08 リンナイ株式会社 複合燃焼装置
JP5852458B2 (ja) * 2012-02-09 2016-02-03 リンナイ株式会社 複合燃焼装置
US10584874B2 (en) 2012-11-19 2020-03-10 A. O. Smith Corporation Common venting system for water hea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04121B1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경동원 외부망을 이용한 보일러의 외기온도 보상제어 방법
JP6116418B2 (ja) * 2013-07-12 2017-04-19 リンナイ株式会社 複合燃焼装置
EP3026342B1 (en) * 2013-07-22 2019-08-28 Rinnai Corporation Composite combustion device
US20150096505A1 (en) * 2013-10-03 2015-04-09 Sridhar Deivasigamani On-demand tankless high volume capable water heating system
EP2985529B1 (en) * 2014-08-14 2020-01-01 Honeywell Technologies Sarl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619400B2 (en) * 2015-11-06 2023-04-04 Mestek, Inc. Networked boiler system and method
DE102015119764A1 (de) * 2015-11-16 2017-05-18 Viessmann Werke Gmbh & Co Kg Heiz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Heizungsanlage
CN106123025A (zh) * 2016-08-22 2016-11-16 上海汉人科技有限公司 多通道主从模式燃烧控制系统
CN107062301A (zh) * 2017-01-20 2017-08-18 钟祥市应强纸业有限公司 一种锅炉鼓风系统
JP6862920B2 (ja) * 2017-03-01 2021-04-21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システム
JP7229004B2 (ja) * 2018-12-13 2023-02-27 大阪瓦斯株式会社 ファンを有する熱源機
DE102019108517A1 (de) * 2019-04-02 2020-10-08 Vaillant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hrfach belegten Heizungsanlage
DE102020203383A1 (de) 2020-03-17 2021-09-2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Verbrennungsvorrichtung
CN113758019A (zh) * 2021-09-06 2021-12-07 马鞍山亿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使用恒流风机排风的燃气热水器抗风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541B2 (ja) * 1994-10-25 1999-10-12 株式会社サムソン 多缶設置ボイラー用通風ラインの通風圧力制御装置
RU2084758C1 (ru) 1995-01-05 1997-07-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рского флот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утилизационной паровой ко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H1082519A (ja) * 1996-09-06 1998-03-31 Kawaju Reinetsu Kogyo Kk ボイラの排気装置
JP2001132940A (ja) * 1999-11-01 2001-05-18 Samson Co Ltd ボイラの多缶設置システムにおける排ガス逆流防止装置
JP4147728B2 (ja) 2000-06-30 2008-09-10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の台数制御方法
JP4045983B2 (ja) * 2003-03-10 2008-02-13 株式会社ノーリツ 連結型給湯装置及びその補完作動制御方法
RU2246660C1 (ru) 2003-06-30 2005-02-20 Сташевский Иван Иванович Паровой котел и.и.сташевского
RU2258182C2 (ru) 2003-08-21 2005-08-10 Гаспарянц Рубен Саргисович Способ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работы котлов котельной
JP2005127576A (ja) * 2003-10-22 2005-05-19 Samson Co Ltd ボイラの燃焼制御装置
US7735459B2 (en) * 2006-06-23 2010-06-15 Westcast, Inc. Modular boiler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20A (ko) * 2014-05-30 2015-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38606A (ko) 2014-09-30 2016-04-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대수 조정가능 캐스케이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810978A (zh) * 2020-07-20 2020-10-23 山东博然电力科技有限公司 基于热量自调节的两台锅炉的烟气换热器切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6627B2 (ja) 2012-11-07
WO2009142377A1 (en) 2009-11-26
CA2724822A1 (en) 2009-11-26
CN102037291A (zh) 2011-04-27
RU2454613C1 (ru) 2012-06-27
EP2297528A1 (en) 2011-03-23
KR101000724B1 (ko) 2010-12-14
US8235707B2 (en) 2012-08-07
US20100330512A1 (en) 2010-12-30
CN102037291B (zh) 2014-03-19
AU2008356712A1 (en) 2009-11-26
JP2011522203A (ja) 2011-07-28
CA2724822C (en) 2013-07-30
AU2008356712B2 (en) 2013-01-24
EP2297528A4 (en)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724B1 (ko)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15408A1 (en) Fan Assemblies, Mechanical Draft systems and Methods
US20120083194A1 (en) Mechanical draft systems
CN101115955A (zh) 使用空气压力传感器控制燃油炉合适燃烧比的系统及方法
JP2010255985A (ja) 熱源システム運転方法及び熱源システム
CN103868145A (zh) 壁挂炉的防干烧控制方法
KR100852988B1 (ko) 난방부하에 따른 보일러 제어방법
KR20110021551A (ko) 공기비례식 보일러에서 풍압센서이상 감지방법
JP2001132940A (ja) ボイラの多缶設置システムにおける排ガス逆流防止装置
KR102017603B1 (ko)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
KR20070032563A (ko) 난방 제어시스템 및 난방 제어방법
JP2016099073A (ja) 貯湯給湯システム
KR101106934B1 (ko) 연소기기의 연도 막힘 판단 보정방법
KR100629780B1 (ko) 공기비례제어식 보일러내 풍압센서의 오차 보상방법
KR20160132695A (ko) 열유속을 높인 온수 난방 보일러
JP3918550B2 (ja) 燃焼装置
JP4967295B2 (ja) 燃料電池コージェネシステム
KR20100091360A (ko) 이중온도센서를 구비한 보일러 및 온도센서 결정방법
US20220341601A1 (en) Furnace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rate of flue gas temperature change
JP2011080700A (ja) 燃焼炉の燃焼空気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827967B1 (ko) 가스보일러의 공연비 제어방법
CN113932443A (zh) 燃气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热水系统、和可读存储介质
KR20150139020A (ko)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00714B1 (ko) 기름보일러의 연료 감지 제어 시스템
KR100193954B1 (ko) 가스보일러의 가스잔량 연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