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107A -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107A
KR20090120107A KR1020080045983A KR20080045983A KR20090120107A KR 20090120107 A KR20090120107 A KR 20090120107A KR 1020080045983 A KR1020080045983 A KR 1020080045983A KR 20080045983 A KR20080045983 A KR 20080045983A KR 20090120107 A KR20090120107 A KR 2009012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switch
water purifier
touc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8737B1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08004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7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터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기의 터치스위치를 한번 터치함으로써 정수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수기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의 터치스위치를 터치함으로써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정수기가 어떤 작동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터치스위치, 발광수단, LED

Description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TOUCH SWITCH SYSTEM OF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터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淨水器)는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과일이나 야채 등을 물로 씻거나 물을 음용(飮用)할 때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물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한 필터 외에도 다양한 부품과 장치들이 포함되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정수기의 사용을 좀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최근의 정수기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 히터(Heater)와 핫센서(Hot Sensor),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콤프레셔(Compressor)와 콜드센서(Cold Sensor), 전원장치 등의 작동장치 및 작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등이 포함됨으로써, 사용자들은 더욱 편리하게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의 추세를 보면, 정수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가전제품의 역할들 이외에도 외관의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정수기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에 일반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터치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정수기의 외부 디자인을 고급스럽게 하고 있다. 터치스위치는 디자인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을 가볍게 대는 것만으로도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일반스위치나 버튼 대신 터치스위치를 사용하는 분야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때, 터치스위치는 터치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정수기에서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기 방식의 터치스위치가 이용된다.
그런데, 터치스위치가 적용된 정수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터치스위치 중 전원스위치를 터치하면 정수기의 전원이 ON되거나 온수스위치를 터치하면 온수히터가 작동되어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을 끓이도록 조작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터치스위치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는 스위치를 ON시켰는지, OFF시켰는지를 촉감으로는 느낄 수가 없다.
그래서 터치스위치를 사용하는 제품들 중에서는 터치스위치를 터치할 때마다 소리가 나도록 하거나 터치스위치에 LED를 장착하여 스위치가 ON되는 경우에는 LED가 점등되고, 스위치가 OFF되는 경우에는 LED가 소등되도록 구성하여 촉각으로 스위치의 ON/OFF를 알 수 없는 부분을 청각이나 시각 등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ON/OFF 상황을 알려주는 제품들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터치스위치가 터치되었음을 소리나 LED의 점멸을 통해 알려주는 것만으로는 현재 정수기에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등의 정 수기 상태를 확인할 수는 없다. 상기와 같이 소리가 나는 것이나 LED가 점등되는 것은 단순히 터치스위치의 터치상태를 알려주는 것이지, 사용자가 정수기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수기에서 현재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전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의 이면에 각각 위치하여, 빛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터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될 때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전원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녹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온수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온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온수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적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냉수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냉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냉수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청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절전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절전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절전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자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의 터치스위치를 터치함으로써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정수기가 어떤 작동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이 적용된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의 발광수단이 회로기판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정수기(1)는 필터(10), 온수탱크(22), 냉수탱크(24), 작동장치(30, 40), 다수의 센서(미도시) 및 제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10)는 정수기(1)에 들어온 원수(原水)를 정수하는 역할을 하고, 다수의 필터가 구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는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곳으로, 기종에 따라서 온수탱크(22), 냉수탱크(24) 및 정수탱크(미도시)를 모두 갖춘 정수기(1)도 있고, 그 중 일부만을 갖춘 정수기(1)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온수탱크(22)와 냉수탱크(24)가 있는 정수기(1)에 관하여 설명한다.
작동장치는 전원장치(40), 온수히터 및 콤프레셔(Compressor, 30)로 구성된다.
온수히터는 온수탱크(22)에 열을 가하여 온수탱크(22) 내의 물을 끓인다.
콤프레셔(30)는 냉수탱크(24) 내의 물을 냉각시킨다.
전원장치(40)는 정수기(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다수의 센서는 저장탱크(22, 24)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2, 24)의 상태를 측 정하고, 핫센서, 콜드센서 및 레벨센서로 구성된다.
제어장치(50)는 키 조작부(120)와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52)가 포함된다.
키 조작부(120)는 외부의 정전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위치로 형성되는데, 전원스위치(122), 온수스위치(124), 냉수스위치(126) 및 절전스위치(128)로 구성된다.
전원스위치(122)는 전원장치(40)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전원장치(40)와 연계된다.
온수스위치(124)는 온수히터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온수히터와 연계된다.
냉수스위치(126)는 콤프레셔(30)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콤프레셔와 연계된다.
절전스위치(128)는 정수기(1)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전원장치(40)와 연계된다.
회로기판(52)은 제어장치(50)의 내측에 장착되고, 발광수단(130)과 마이컴(110)이 포함된다.
발광수단(130)은 키 조작부(120) 측으로 빛이 발산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52)에 장착되고, 각 터치스위치(122, 124, 126, 128) 마다 세 개의 LED로 구성되어 설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전원스위치(122)에 설치되는 3개의 LED(132a, 132b, 132c)는 상단에 두 개의 LED(132a, 132c)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나의 LED(132b)가 설치되는데, 상단에 설치되는 LED는 백색 LED(132a)와 RGB LED(132c)가 설치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LED는 백색 LED(132b)가 설치된다.
그리고 키 조작부(120)의 전원스위치는 상단에 전원스위치(122)를 나타내는 문양이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전원'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회로기판(52)에 위치하는 LED 중 상단에 위치하는 백색 LED(132a)와 RGB LED(132c)는 전원스위치(122)를 나타내는 문양이 발광될 수 있는 LED이고, 회로기판(52)에 위치하는 LED 중 하단에 위치하는 백색 LED(132b)는 전원스위치(122)의 하단에 '전원'이라는 문자가 발광될 수 있는 LED이다.
즉, 정수기(1)의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하면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되기 전에 전원스위치(122)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122)가 발광되는데, 이때, 전원스위치(122)는 백색으로 발광된다. 그러므로 전원스위치(122)의 문양과 문자가 동시에 백색으로 발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스위치(122)의 위치를 확인하여 전원스위치(122)를 터치함으로써 정수기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정수기(1)의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하면 전원스위치(122) 뿐만 아니라, 다른 온수스위치(124), 냉수스위치(126) 및 절전스위치(128)에도 전원스위치(122)와 동일하게 문양과 문자가 동시에 백색으로 발광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 키 조작부(1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외부에서 정수기(1)의 키 조작부(120)를 관찰할 때, 회로기판(52) 상에 위치하는 LED에서 발광되는 빛이 각 터치스위치가 형성된 키 조작부(120)에서 빛이 발광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키 조작부(120)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형성되고, FPCB의 일부분이 키 조작부(120)로 제작되 는데, 키 조작부(120)가 형성된 부분이 반투명하게 제작되어 이면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어장치(50)의 내측에 위치한 회로기판(52) 상에 장착되는 LED에서 발광된 빛이 키 조작부(120)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비춰지게 되어, 사용자는 각 키 조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으로 야간에도 키 조작부(120)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의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정수기(1)에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가 키 조작부(120)를 터치하면 키 조작부(120)와 연계된 작동장치가 작동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각 작동장치가 작동되고 있음을 키 조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이 초기의 백색광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변경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수기(1)에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정수기 시스템은 작동되지 않고, 작동 대기상태에 있다. 이렇게 키 조작부(120)에서 백색의 빛이 발광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 대기상태에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 대기상태에서 전원스위치(122)는 백색의 빛이 발광되지만, 정수기 시스템을 작동되기 위한 과정으로 전원스위치(122)가 터치되면 전원스위치(122)에 녹색의 빛이 발광되면서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된다. 이때, 전원스위치(122)에서 발광되는 색이 백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면서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정수기 시스템이 작동 대기상태에서 온수스위치(124)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온수스위치(124)가 터치되면 온수탱크(22)의 물을 끓이도록 온수히터가 작동되고, 온수스위치(124)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은 백색에서 적색의 빛으로 변경된다. 이때, 온수히터는 온수탱크(22)의 물이 사용자에게 일정온도의 물이 제공될 수 있을 때까지 작동하여 온수탱크(22)의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이 정지된다. 하지만, 온수스위치(124)에서 발광되는 색은 적색을 계속 유지하여 사용자는 정수기(1)에서 온수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수스위치(126)와 절전스위치(128)도 정수기(1)에 전원이 인가되면 백색의 빛이 발광되지만, 냉수스위치(126)와 절전스위치(128)가 각각 터치되면, 냉수스위치(126)는 청색의 빛이 발광되고, 절전스위치(128)는 자색의 빛이 발광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키 조작부(120)에서 발광하는 색이 달라지는 것으로 정수기(1)에서 냉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아니면, 정수기(1)가 절전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키 조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을 변경시키는 것은 키 조작부(120)의 내측에서 발광하는 상단 백색 LED(132a)가 발광되고 있는 상태에서 RGB LED(132c)가 발광되기 때문인데, 키 조작부(120)가 터치될 때 RGB LED(126)를 발광시키는 것은 마이컴(110)에서 제어된다.
마이컴(110)은 키 조작부(120)에서 정전기가 감지되어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된 키 조작부(120)에 해당되는 RGB LED가 발광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해당 키 조작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이 변경되어 사용자는 변경된 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현재 정수기(1)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이 적용된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의 발광수단이 회로기판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발명의 터치스위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정수기
22: 온수탱크 24: 냉수탱크
50: 제어장치
52: 회로기판
100: 터치스위치 시스템
110: 마이컴
120: 키 조작부
122: 전원스위치 124: 온수스위치
126: 냉수스위치 128: 절전스위치
130: 발광수단
132: 전원 LED부 134: 온수 LED부
136: 냉수 LED부 138: 절전 LED부

Claims (5)

  1. 정전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의 이면에 각각 위치하여, 빛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터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될 때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전원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전원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녹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온수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온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온수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적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냉수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냉수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냉수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청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스위치는 절전스위치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절전스위치에 정전기가 감지되면, 상기 절전스위치에 해당하는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이 백색에서 자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KR1020080045983A 2008-05-19 2008-05-19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KR10103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983A KR101038737B1 (ko) 2008-05-19 2008-05-19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983A KR101038737B1 (ko) 2008-05-19 2008-05-19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07A true KR20090120107A (ko) 2009-11-24
KR101038737B1 KR101038737B1 (ko) 2011-06-03

Family

ID=4160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983A KR101038737B1 (ko) 2008-05-19 2008-05-19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43A (ko) * 2010-04-27 201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160024056A (ko) 2014-08-22 2016-03-0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16A (ko) * 2001-07-04 2003-01-14 이종하 방향소(향료)의 획득방법
KR200303816Y1 (ko) 2002-11-22 2003-02-11 구자명 냉온정수기의 안전장치
KR20050074212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7666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43A (ko) * 2010-04-27 201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9182167B2 (en) 2010-04-27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664438B2 (en) 2010-04-27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60024056A (ko) 2014-08-22 2016-03-0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737B1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4731A (ko) 세탁기
AU2019210501A1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WO2008062683A1 (en) Heating cooker
JP2019510957A (ja) モジュラーホブ装置用の制御装置、煙霧排出装置及びモジュラーホブ装置
CN104951225A (zh) 一种家用电器触摸显示屏及显示界面控制方法
JPWO2009001513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83940A (ja) 家庭電化製品の入力表示装置
JP2009056221A (ja) 加熱機器
CN104679304A (zh) 一种热水器触摸控制面板以及触摸控制方法
AU2016201840B2 (en) Improvements in Switches
KR101038737B1 (ko) 정수기의 터치스위치 시스템
JP2012042075A (ja) 換気装置
JP2014031932A (ja) 冷蔵庫及び操作装置
EP2752623B1 (en) Cooking hob with illumination
JP2009204175A (ja) 透過式機器状態表示装置
JP2010183941A (ja) 家庭電化製品の入力表示装置
CN204734329U (zh) 烹饪器具
JP2010146897A (ja) 加熱調理器
JP2012038458A (ja) 加熱調理器
US11732899B2 (en) Electric rang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electric range
WO2015190130A1 (ja) 加熱調理器
KR20120009280A (ko)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JP714986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8400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738710B1 (ko) 조리기의 전압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