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903A -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903A
KR20090118903A KR1020097005714A KR20097005714A KR20090118903A KR 20090118903 A KR20090118903 A KR 20090118903A KR 1020097005714 A KR1020097005714 A KR 1020097005714A KR 20097005714 A KR20097005714 A KR 20097005714A KR 20090118903 A KR20090118903 A KR 2009011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ead
wire
beads
upp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스 비. 터베이
폴 디. 가트리
Original Assignee
바텔 머시너리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텔 머시너리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바텔 머시너리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11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2Applying fillers or apexes to bead c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Abstract

타이어는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테이퍼진 상측 섹션과 상대적으로 넓은 기저부 섹션을 포함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 비드는 신장부를 사용하지 않고 타이어 바디 내에 직접적으로 매립된다. 또한, 타이어는 한 테이퍼진 측면과 한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한 상대적으로 넓은 기저부 섹션과 상측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비드를 포함한다. 또한,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가 타이어 조립 장치의 타이어 제조 드럼에서 타이어 바디로 조립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포함하고, 타이어 바디 내로 또는 상으로 유입되기에 앞서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는 사전조립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TIRE WITH TAPERED BEAD AND METHOD OF MAKING TIRES}
본 발명은 2007년 2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60/889,963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해당 문헌은 본 명세서에 일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 타이어 내에서 이용되는 타이어 비드에 관한 것이며(하기 정의 부분에 기술됨), 보다 특히 특정의 타이어 제조 공정에서 유용한 제조 공정 및 타이어 비드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타이어는 예를 들어 트레드, 벨트 구조물 및 카카스를 포함할 수 있는 타이어 바디(정의 부분에 기술됨)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카카스는 엘라스토머가 코팅된 직물 코드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는 경화되지 않은 고무와 같은 코팅이 코팅된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로 제조된 타이어 비드를 포함한다. 타이어 비드는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다(embed). 이러한 타이어 비드는 각 방향(angular direction)으로 타이어 주위에 형성되고 형태가 형성된 링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각각의 횡단면 단부(정의 부분에 기술 됨)의 주변에 매립된 하나의 타이어 비드가 제공된다. 타이어 비드로 인해 타이어는 휠의 림에 의해 맞물림으로써 휠 조립체로 고정되는데 도움이 된다.
통상적인 타입의 타이어 비드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로 불린다.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 단일의 와이어 또는 코팅된 와이어는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각 방향으로 복수의 권취부를 통해 감겨진다. 도 1은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의 횡단면(정의 부분에 기술됨)을 가진 단일의 타이어 비드의 횡단면(명확한 도시를 위해 크로스 해칭이 생략됨)을 도시하며, 각각의 원은 와이어의 한 권취부(turn)를 나타낸다. 매우 종종, 이러한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진 타이어 비드는 경화되지 않은 고무(도시되지 않음) 또는 그 외의 다른 엘라스토머로 코팅되며, 이에 따라 (i) 개시 스톡(starting stock)은 6각형의 외측 프로파일을 가지며, (ii) 인접한 6각형들은 도 1에 도시된 스태거된 로우 형상(staggered row geometry)을 얻기 위해 벌집형 패턴으로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은 보다 일반적이지 못하다. 바람직하게,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을 이용하여 와이어가 경화되지 않은 고무(종종 절연체로 불림)로 코팅될 때, 바람직하게 코팅의 프로파일(profile)은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 타이어 비드 내에서 둘러싸여진다.
게다가 단일의 와이어 비드, 리본 또는 웨프트리스 타입의 비드(weftless type bead)도 통상적이다. 리본 타입의 비드는 링 형태로 내부에 매립된 개별 와이어의 로우(row)를 가진 리본을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 외의 다른 타입의 비드도 제공된다. 이러한 문헌의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 드가 선호되지만 그 외의 다른 비드 타입이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몇몇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비드는 (i) 타이어 비드를 물리적으로 보강하고 (ii) 타이어 비드의 주변에서 타이어 바디 상의 응력을 감소시키며 및/또는 타이어 바디 내의 매립 위치로 고정을 돕기 위해 신장 스트립(종종 에이펙스 또는 필러로 불림)과 결합된다. 신장 스트립은 예를 들어 경질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타이어를 조립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서, 타이어 비드 및 신장 스트립은 비드 하위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예를 들어 스티칭에 의해). 그 뒤, 타이어 바디와 비드 하위조립체는 함께 보내지며, 그 뒤 타이어 바디는 타이어를 형성하고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도록 비드 하위조립체 주위에 감겨진다.
도 3에서 미국 특허 4,922,985호("Gasowski")는 신장부(또는 에이펙스)가 없지만 비드를 가진 타이어를 공개한다. Gasowski씨의 도 3의 비드는 3개의 섹션, (i) 원형 프로파일의 주요 섹션, (ii) 원형 섹션 아래의 U-형태의 섹션 및 (iii) 테이퍼진 상측 섹션(Gasowski씨의 도 2의 클램핑 챔버(231)와 유사하게 도시됨)을 가진다. 카카스 플라이(carcass ply)는 Gasowski씨의 타이어 비드의 도 3의 3개의 섹션을 분리시킨다. 이는 도 3의 Gasowski씨의 타이어 비드가 적어도 3개의 개별 와이어로 제조되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Gasowski씨는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2개 또는 이보다 많은 윈더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미국 특허 5,058,649("Hoang")는 (i) 비드 코어(11), (ii) 클램핑 부재(18), (iii) 보강 부재(19, 20) 및 (iv) 타이어 바디(12, 13, 14, 15, 16, 17)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공개한다. Hoang씨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코어(11)는 (i) 대략적으로 사다리꼴인 기저부 섹션, (ii) 기저부 섹션의 상측에서 테이퍼진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진 벌집형 타이어 비드이다. Hoang씨의 타이어 비드의 테이퍼진 섹션은 (i) 벌집형 형상을 가지며, (iii) 2개의 테이퍼진 측면(단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아님)을 가진다. 보강 부재(19)는 비드 코어(11)와 접촉하지 않으며 및/또는 이에 직접적으로 나란하지는 않다. 게다가 플라이(ply, 12)와 클램핑 부재(18)는 보강 부재(19)와 비드 코어(11) 사이에 위치된다. Hoang씨는 비드 코어가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형성되는 것을 공개하지 못한다.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또는 에이펙스)를 포함하는 종래의 타이어의 실례는 미국 특허 5,253,692("Stephens")에 공개된다. Stephens씨의 도 1,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ephens의 타이어는 (i) 직교 형상을 가진 비드 후프(4, 5) 및 (ii) 비드 에이펙스(17)를 포함한다. Stephens의 공개 내용에 따르면, " Stephens씨의 타이어는 6X4 크릴 타입의 비드 후프(5)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비드는 오직 2개의 단부만이 형성되도록 포머 주위에 수차례 감겨진 단일의 와이어로부터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카카스 플라이(15)는 에지 턴-업(edge turn-up, 16)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드 후프(5) 주위에서 축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싸지며, 삼각형 횡단면(17)의 비드 에이펙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후프(5) 상에 배열된다". Stephens씨는 비드 코어가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형성되는 것을 공개하지 못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 2003/0106627호("Tonezzer")는 (i) 비드 코어(110), (ii) 비드 필러(111) 및 (iii) 타이어 바디 (게다가 110, 111로 Tonezzer씨의 도 1에 도시된 부품)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공개한다. Tonezzer씨의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코어(110)는 (i) 대략 직사각형의 기저부 섹션 및 (ii) 기저부 섹션의 한 상측 상에서 테이퍼진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형태를 가진 벌집형 타이어 비드이다. Tonezzer씨의 타이어 비드의 테이퍼진 섹션은 (i) 이의 가장 좁은 섹션에서 가로지르는 2개의 권취부(turn)이며, (ii) 벌집형 형상을 가지고 및 (iii) 2개의 테이퍼진 측면(단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아님)을 가진다.
미국 특허 출원 2005/0161141("Nakagawa")호는 (i) 타이어 바디 부분(6), (ii) 비드 코어(5) 및 (iii) 비드 에이펙스(8)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공개한다. Nakagawa씨의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kagawa씨의 비드 코어와 Nakagawa씨의 비드 에이펙스는 Nakagawa씨의 타이어 바디로 조립되기에 앞서 타이어 비드로 사전 조립된다.
미국 특허 출원 2006/0108053호("Hart")는 공기 타이어 제조 장치의 워크스테이션에서 에이펙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공개한다. Hart씨의 방법에서,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비드 영역 부품들은 타이어 제조 장치의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서 인-프로세스 카카스(in-process carcass) 내로 제조되어진다. Hart씨는 비드 코어가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제조되는 것을 공개하지 못한다.
미국 특허 출원 2007/0113954호("Downing")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공개한다. Downing씨가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 ...의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서 타이어 부품들의 조립체를 공개한다. 제 1 비드(114a)와 선택적 에이펙스(116a)는 토가드(toeguard, 140a), 라이너(liner, 112) 및 플라이 단부(122) 위에 장착된다. 그 뒤 플라이(130)의 제 2 층은 제 2 플라이 층의 한 단부(134)가 제 2 비드(114b) 내에 위치되는 반면 제 2 단부(132)는 이로부터 외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제 2 비드(114b)와 선택적 에이펙스(116b)는 제 2 토가드(140b), 라이너(112) 및 플라이(130)의 제 2 층 위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비드는 타이어 제조 드럼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공개문은 다음과 같이 이해가 되는데, Downing씨의 방법은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를 타이어 비드 조립체로 우선적으로 사전 조립하고, 그 뒤 타이어 비드를 타이어 바디로 조립한다.
그 외의 다른 다양한 타이어 비드 조립 방법 및/또는 타이어 비드 형상은 하기 문헌 (i) 미국 특허 제 6,228,198호 ("Powell"), (ii) 미국 특허 제 6,363,988호("Yasufuku"), (iii) 미국 특허 제 6,413,342호("Yun"), (iv) 미국 특허 제 6,524,416호("Kubinski"), (v) 미국 특허 출원 제 2003/0029573호("Franke") 및 (vi) 미국 특허 출원 제 2007/0256790호("Nijhuis")에 공개된다.
European Rubber Journal에서(여기서 "the First ERJ Article"인 David Shaw, ERJ staff씨의 Vol. 187, No. 2: March/ April 2005) "VMl and Marangoni to offer flexible tyre building system"라는 명칭의 공개된 논문은 최근 개발된 타이어 제조 조립 공정(여기서 "ERJ 공정")을 기술한다. ERJ 공정은 타이어 제조 공정이 상당히 자동화된 셀들을 이용한다. ERJ 공정에서,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는 타이어 비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전조립되고, 그 뒤 이러한 사전-조립된 타이 어 비드 조립체는 타이어 제조 공정으로 제공된다. ERJ 공정에서 이용되는 타이어 비드는 종래의 타이어 비드, 단일의 와이어 또는 웨프트리스이다. 사전-조립된 타이어 비드 조립체가 ERJ 공정에서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는 (i) 추가 타이어 비드 조립 장치, (ii) 추가 타이어 비드 조립 시간, (iii) 추가 타이어 비드 조립 비용 및/또는 (iv) 증가된 공정 복잡성이 요구된다.
European Rubber Journal(Vol. 188, No. 6: Global Tyre report 2006, 여기서 "the Second ERJ Article")에서 "VMFs ultra-flexible tyre-making machine comes to life"이라는 명칭의 논문은 타이어 제조 시스템을 기술한다. 관련 배경 기술 부분에서 논의된 특정 문헌들에 대해서 언급하자면, 상기 논의된 사항들은 논의된 문헌들(예컨대 공개된 특허)이 특허법적인 목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허용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몇몇 또는 모든 상기 언급된 공개문들은 조만간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장차 충분히 개발된 주안점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고 및/또는 특허법의 목적에 대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특정의 공개문들은 배경 기술 부분에서 상기에 기술되며, 이러한 모든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일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보강식 상측 섹션 및 안정된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를 제공한다. 타이어 비드는 기저부 섹션에서 와이어 통로와 수직하게 배열된 와이어 통로를 가진 우-삼각형(right hand triangle)의 형태 또는 상측 섹션이 대략 와이어의 직경의 절반 정도로 기저부 섹션에 대해 내측을 향하여 최외측 와이어 통로를 스테핑(stepping)함으로써 형성되는 비-우 삼각형(non-right hand triangle)(예를 들어 등변, 이등변, 부등변, 등등)의 형태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상측 섹션 및 정렬된 와이어 통로의 몇몇의 로우(row) 및 칼럼(column)을 포함하는 기저부 섹션을 포함한다. 서보(servo) 또는 이와 유사한 제어 시스템이 비드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기 위한 제조 공정 동안 페이-온 헤드와 함께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적어도 한 측면 상에서 테이퍼진 상측 섹션과 상대적으로 넓은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타이어 비드는 신장부를 이용하지 않고 타이어 바디 내에 직접적으로 매립된다(정의 부분에 기술됨).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orthogonal wire center geometry)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한 테이퍼진 측면과 한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한 상측 섹션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한 테이퍼진 측면과 한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상측 섹션과 상대적으로 넓은 기저부 섹션을 포함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비드가 구비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타이어 비드는 신장부와 함께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다(embed).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orthogonal wire center geometry)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의 신장부는 상대적으로 길다.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가 타이어 조립 장치(예를 들어 타이어 제조 셀의 타이어 카카스 드럼)의 타이어 제조 드럼에서 타이어 바디로 조립되고,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가 타이어 바디 내부로 또는 상으로 삽입되기에 앞서 사전 조립되지 않는 타이어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기의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목적, 특징 및/또는 장점, 즉 (1) 타이어 제조 셀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비드 조립체를 제공함, (2) 현존하는 타이어 제조 공정으로 개장될 수 있는 타이어 비드 제조 공정을 제공함, (3) 필러 또는 에이펙스를 이용하지 않고 타이어에 대한 적합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일의 와이어 비드 프로파일을 제공함, (4) 타이어 비드 주변에서 타이어 바디 내에 공기를 가두지 않는 타이어 비드 조립 형상 및 공정이 제공됨, (5) 장치 비용이 감소되고, 타이어 제조 시간이 감소되며, 비용이 절감되고 및/또는 복잡성(complexity)이 감소되는 타이어 비드 조립체 및 해당 제조 공정을 제공함 및/또는 (6) 신장부(종종 에이펙스 또는 필러 또는 비드 필러로 언급됨)가 없는 타이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재료 비용 및/또는 제조 비용 및/또는 시간이 절약되는 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타이어는 타이어 바디 및 적어도 타이어 비드를 포함한다. 타이어 비드는 타이어 바디 내에 직접적으로 매립된다(정의 부분에 기술됨). 타이어 비드는 기저부 섹션 및 상측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측 섹션은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타이어는 타이어 바디, 적어도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를 포함한다. 타이어 비드는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다. 타이어 비드는 기저부 섹션 및 상측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측 섹션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과 하나의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한다. 신장부는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을 가진다. 신장부는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다. 신장부는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이 타이어 비드의 테이퍼진 측면을 대향하도록 방향설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한 단계는 타이어 제조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그 외의 다른 단계는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서 타이어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한 개시 스톡(starting stock)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치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그 외의 다른 단계는 타이어 제조 드럼 상으로 타이어 비드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그 외의 다른 단계는 상기 개시 스톡의 일부분을 뒤집어서 상기 타이어 비드가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 1의 종래 기술의 타이어 비드의 횡단면도.
도 2는 제 2의 종래 기술의 타이어 비드의 횡단면도.
도 3은 타이어 제조 라인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비드의 제 1 실시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비드의 제 2 실시예의 거울상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감싸지기 전 타이어 카카스 상에 위치된 본 발명의 타이어 비드의 대표도.
도 7은 감싸지기 전 타이어 카카스 상에 위치된 본 발명의 타이어 비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타이어 비드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타이어 비드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 타이어 비드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4 타이어 비드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를 포함한 타이어 제조 드럼의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5 타이어 비드 조립체의 상면도.
도 14는 종래의 비드 라인 윈더의 투시도.
도면에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며, 도 3은 (i) 렛-오프 스트랜드(let-off stand, 12)(상기 렛-오프 스트랜드로부터 타이어 비드(15) 를 형성하는 와이어(14)가 초기에 제조 라인으로 공급됨), (ii) 예열기(preheater, 16), (iii) 압출기(extruder, 18)(와이어를 코팅하기 위함), (iv) 롤러 조립체(roller assembly, 20)(조립된 비드의 곡률과 일치되도록 와이어의 형태를 형성함), (v) 페이-온 헤드(pay-on head, 22) 및 (vi) 타이어 카카스 드럼(tire carcass drum, 24)을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조립체(tire building assembly, 10)를 도시한다. 상기 페이-온 헤드는 서보(servo) 또는 이와 균등한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페이-온 헤드는 타이어 카카스가 조립되는 타이어 카카스 드럼 상으로 와이어를 공급한다. 신장부(extension) 또는 에이펙스(apex)는 타이어 카카스 드럼으로 공급되기 전 타이어로 사전조립되지 않는다.
페이-온 헤드(22)용 컨트롤러는 선호되는 기하학적 형상의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로서 비드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그램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페이-온 헤드는 도 4, 5A 및/또는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비드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그램된다. 특히, 횡단면 프로파일은 비드(15)를 형성하기 위하여 타이어 카카스 드럼 주위에서 와이어의 반복적인 권취부(turn)에 의해 형성된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각각 도시된 각각의 3개의 횡단면 프로파일(15, 15', 15")은 (i) 기저부(26, 26', 26")와 (ii) 상측 섹션(28, 28', 28")을 포함한다. 기저부는 사전 정해진 개수의 직교 및 횡방향으로 정렬된 로우(row)와 칼럼(column)을 가지며, 이러한 배열은 본 명세서에서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orthogonal wire center geometry)"으로 불린다. 바람직하게 비드(15, 15', 15")의 기저부 섹션(26, 26', 26")이 모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 만 기저부 섹션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그 외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 연속된 로우를 가로지르는 보다 작은 개수의 와이어를 가지는 상측 섹션은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된다(taper). "상측" 및 "상측을 향하는"의 용어는 단지 조립된 타이어에서 도 4, 5A 및 도 5B에 도시된 타이어 비드의 배향을 언급하는 것이며, "상측" 섹션은 횡단면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방향설정된다(정의 부분에 기술됨). 도 4, 5A 및 도 5B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테이퍼들은 단일의 와이어가 가로지르는 로우로 하향 테이퍼지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테이퍼진 상측 섹션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비드(15', 15")는 전체적으로 이의 기저부 섹션 및 상측 섹션에서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을 따른다. 비드(15)는 직교 기저부 섹션을 갖지만 벌집형 상측 섹션(하기에서 언급됨)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이 기저부 및 상측 섹션에 대해 선호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저부 섹션 및/또는 상측 섹션에 벌집형 또는 그 외의 다른 비-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서, 타이어 비드(15)와 상측 섹션(28)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형태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각각의 와이어는 와이어의 직경의 대략 절반 정도로 기저부 섹션(26) 내에서 최외측 와이어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step), 비드가 상부를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층에 대해 보다 작은 개수의 반경방향 와이어 통로가 제공된다(즉 기저부 섹션(26)의 상측 층이 4개의 와이어 통로를 가진다면, 그 다음의 층은 2개의 와이어 통로를 가지며, 상측 섹션(28)의 상측은 단일의 와이어 통로를 가진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이어 비드(15)는 로우 내에서 각각의 와이어 권취부가 이의 하부의 로우에서 대응 와이어 권취부의 상측에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지며, (i) 정확한 직교 매트릭스(true orthogonal matrix)(기저부 섹션(26)과 상측 섹션(28)에서)와 (ii) 기저부 섹션(26)에서 정확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이는 반복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의 기술적인 목표는 한 둥근 와이어가 그 외의 다른 와이어의 상측에서 밸런스가 유지되는 동안 비드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는 데 있다(wind). 이는 와이어가 비드 포머(bead former) 상으로 감겨짐에 따라 와이어 상에서 백 텐션(back tension)을 감소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백 텐션은 하부의 층 내에서 와이어의 상측으로부터 와이어를 잡아당기지 않는다. 또한, 페이-온-헤드(포머의 각각의 회전 시 와이어를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와이어를 조종하는 부분)는 와이어의 운동이 높이(height)와 측면 방향 움직임(side ways movement)에 있어서 서보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어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정은 본 발명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또한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기저부 및/또는 상측 섹션 내에)을 가진 와이어 비드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A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타이어 비드(15')의 횡단면 프로파일은 기저부 섹션(26') 및 상측 섹션(28')을 포함한다. 상측 섹션은 이의 각각의 로우 내에서 기저부 섹션(26') 내의 최외측(도 5A에서 우측 방향) 와이어 통로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되는 최외측(도 5A에서 우측 방향) 와이어 통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테이퍼진(untapered)"는 비테이퍼진 측면 상에 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기저부 섹션의 가장 긴 로우까지 연장되는 상측 섹션의 연속적인 로우를 의미한다. 몇몇의 비테이퍼진 측면 상측 섹션 로우들은 상측 섹션이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지며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 섹션 내에서 와이어 중심들이 정렬되지 않음으로 인해 다소 가변적인 거리로 연장될 때와 같이 꽤 멀리 연장될 수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직사각형 기저부 실시예(15')에서, 기저부 섹션 로우들은 외측(도 5A에서 우측 방향)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장된다. 비-직사각형 기저부에 따른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테이퍼진 상측 섹션 로우들은 가장 멀리 연장된 기저부 섹션 로우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저부 섹션이 둥근 바닥을 가진다면 상측 섹션의 비테이퍼진 측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둥근 바닥의 전체 반경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타이어 비드(15') 내에서, 상측 섹션의 내측(도 5A에서 좌측 방향) 측면 상에 몇몇의 와이어 통로가 제공된다. 상측 섹션의 각각의 로우는 기저부 섹션(26') 내에서 대응 와이어 통로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지만 기저부 섹션의 대응 로우와 같이 내측(도 5A에서 좌측 방향) 방향으로 멀리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내측 측면 상에서 테이퍼지고, 오히려 상측 섹션은 이의 테이퍼진 측면 상에서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일반적으로, 상측 섹션(28')은 테이퍼진 측면(30')과 비테이퍼진 측면(32')을 가진다. 보다 상세히, 필수적으로 상측 섹션(28')은 직사각형/정방형 기저부 섹션(26')의 상측에 형성된 우-삼각형(right hand triangle)을 포함한다. 상측 섹션(28)과 같이 상측 섹션(28')은 에이펙스 또는 그 외의 다른 비드 필러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바와 같이 비드를 보강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5B의 타이어 비드(15")는 테이퍼진 측면(30")과 비테이퍼진 측면(32")이 도 5A의 대응 측면(30', 32')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뒤집힌 것을 제외하고 도 5A에 따라 상기 언급된 유사한 타이어 비드(15')이다.
도 3에 도시된 타이어 제조 조립체(10) 내에서, 페이-온 헤드(22)는 상기 First ERJ article에서 그리고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 셀로 일체구성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부품들이 라인 밖에서 제조될 필요 없이 완전한 타이어가 단일의 완전 자동식 타이어 조립 장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비드(15, 15', 15")가 타이어 카카스 드럼(종종 타이어 제조 드럼으로 불림)으로 이러한 부품들을 공급하기 전에 비드 및 신장부를 사전조립하지 않고 타이어 고정을 위해 필요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전 조립된 비드 및 신장부(타이어 비드 조립체로 불림)는 필요치 않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페이-온 헤드(22)에 대해 프로그램가능한 서보 또는 그 외의 다른 컨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비드 제조 공정은 자동화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 제조 셀을 구동하기 위한 노무비용이 추가되지 않는다.
도 6은 감싸지기 이전에(wrap) 타이어 카카스 상에 위치된 본 발명의 타이어 비드의 도면이다. 도 7은 감싸진 이후 타이어 카카스 상에 위치된 본 발명의 타이어 비드의 도면이다.
안정된 기저부 섹션(26, 26',26")과 보강식 상측 섹션(28, 28',28")을 포함하는 도 4, 5A 및 도 5B에 도시된 기하학적 형상은 하기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하며, 이러한 장점은 (i) 신장부가 필요 없음, (ii)부품들을 타이어 드럼으로 공 급하기 전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를 사전 조립할 필요가 없음 및/또는 (iii) 타이어를 제조하는 동안 소량의 공기 또는 어떠한 공기도 타이어 바디 내에 가둬지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3가지의 장점들은 하기 3 문단에 언급될 것이다.
상기 장점(i)에 대해, 몇몇의 타이어 설비 내에서 양면 테이퍼(double sided taper)이든 단면 테이퍼(single sided taper)이든지 테이퍼진 타이어 비드는 개별 신장부 부분이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승용차용 몇몇의 타이어는 타이어 비드의 테이퍼진 상측 섹션이 신장부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 타이어-관련 기능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신장부가 제공될 필요가 없도록 성능 요구사항과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신장부가 제거될 때, 타이어 비드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이며, 그 뒤 이를 제조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윈더(winder)만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와이어로 제조된 타이어 비드에 대해 제조 시간, 제조 비용 및/또는 복잡성이 감소된다.
상기 장점(ii)에 대하여, 심지어 신장부를 필요로 하는 타이어 설비는 타이어 카카스 드럼 바로 위에서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성능 특성(performance characteristic)을 가진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비드 조립체는 사전-조립된 타이어 비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에이펙스 또는 그 외의 다른 비드 필러를 타이어 비드로 재봉함으로써(stitch) 사전-조립된다. 상기 장점(ii)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측면과 비테이퍼진 측면을 가진 상측 섹션을 포함하는 타이어 비드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하기에 기술되어 지는 것과 같이, 타이어 카카스 드럼 상에서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를 조립할 필요가 없지만 이러한 조립 방법이 비용, 시간 및/또는 신뢰성의 관점에서 최적일 때 이는 본 발명의 타이어 비드 형상으로 인해 구현될 수 있다.
장점 (ii)에 관하여 추가적으로, 항시 타이어의 크기는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가 서로 사전조립되는 종래의 타이어 조립 라인에서 가변되며, 이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되는 절차이다. 비드 장치, 신장 장치 및 타이어 조립체는 통상적인 셋-업 시(set-up) 리셋되어야 한다. 이는 제조 공정에서 노동력이 추가되며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새로운 스타일의 비드와 고무 신장부가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조립 장치에서 직접적으로 제조된다면, 그 뒤 오직 타이어 조립 장치만이 리셋된다. 심지어 상대적으로 빠른 변환 시간(change-over time) 동안 비드/신장부의 매개변수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장점(ii)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시스템은 타이어 조립 장치의 일부분이며, 오직 필요시에만 비드를 제조하며 어떠한 초과적인 공정 스톡(stock)도 제조될 필요가 없다.
장점(iii)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타이어 바디가 뒤집히고 타이어 비드 및/또는 신장부가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기 전에 하기의 위치, 즉 (a)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 사이, (b) 타이어 비드와 타이어 바디 사이 및/또는 신장부와 타이어 바디 사이로부터 공기가 배출된다.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과 하나의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한 상측 섹션을 가진 도 5A 및 도 5B의 타이어 비드 형상은 타이어의 일체성(integrity)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둬진 공기를 감소시키는(장점 iii) 데 특히 도움이 된다. 보다 특히, 가둬진 공기(trapped air)는 타이어 몰드 내에서 가열되 거나 또는 경화될 때 타이어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는 신장부를 가진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신장부를 가지지 않는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장점(iii)은 상대적으로 긴 신장부가 요구되는 실시예에서 특히 선호된다.
장점(iii)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의 한 중요한 장점에 따르면, 타이어 비드와 타이어 에이펙스는 타이어 바디가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바람직하게 고무 신장부)를 매립하기 위해(embed) 뒤집힐 때, 공기가 가둬지지 않고(trapping) 셀 기초 제조 조립체 라인 내에서 타이어 카카스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장점(iii)은 도 8 내지 도 12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신장부가 타이어 비드의 테이퍼진 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신장부(42a 내지 42d) 및 타이어 비드(40a 내지 40d)의 횡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신장부(42a 내지 42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부가 가질 수 있는 횡단면 프로파일의 범위의 4개의 실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i) 블래더(bladder, 52), (ii) 신장 워크피스(54) 및 (iii) 타이어 비드 워크피스(56)를 포함하는 타이어 카카스 드럼(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 드럼(50))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비드 워크피스는 한 측면 상에서 테이퍼지고 그 외의 다른 측면 상에서 테이퍼지지 않은 상측 섹션(58) 및 직사각형 기저부 섹션(57)을 포함한다. 블래더는 이의 평평한 튜브 개시 스톡 형상으로부터 타이어 바디의 형태를 형성하고 및/또는 부품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팽창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필수적으로 비례척으로 도시되지 않음)은 신장 워크피스와 타이어 비드 워크피스 사이에 형성된다. 블래더가 팽창될 때, 공기는 상기 2개의 피스들이 종래의 형상에 따라 구성될 때 상기 2개의 피스들 사이에 가둬질 수 있다. 그러나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가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파일을 가질 때, 신장부의 연결 표면과 상측 섹션의 테이퍼진 측면은 공기를 가두지 않고 함께 배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타이어 카카스 드럼으로 부품들을 공급하기에 앞서 타이어 비드 조립체로 타이어 비드와 신장부를 사전조립하지 않을지라도,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여전히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심지어 타이어 비드 및 신장부가 타이어 비드 조립체로 사전조립되는 실시예에서, 타이어 비드가 타이어 신장부와 접촉하는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도 5A, 5B 및 도 8 내지 도 11의 타이어 비드 형상은 여전히 공기가 가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사전-조립된 (i) 타이어 비드(4Oe)와 (ii) 신장부(42e)를 포함하는 타이어 비드 조립체(46)를 도시한다. 비드와 신장부는 타이어 비드가 테이퍼진 측면(도 13에서 신장부에 의해 감춰진)을 가지는 영역(44)에서 서로 접촉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사전 조립된 타이어 비드 조립체는 종래의 포머를 포함하는 종래의 비드 라인 윈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종래의 비드 라인 윈더(bead line winder)는 장치 사이클 당 6개의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포머를 포함하는 종래의 비드 라인 윈더(48)는 도 14에 도시된다.
상기 언급된 몇몇의 지점 상에서 반복하고(repeate) 및/또는 팽창하기 위하여, 항시 각각의 타이어 내에 2개의 신장부와 2개의 타이어 비드가 제공된다. 신장부의 크기 및 형태는 승용차용 타이어 설비에 보다 선호되는 도 4에 도시된 짧은 프로파일을 가진 타이어 타입으로 가변된다. 낮은 프로파일 형상인 고성능 승용차 용 타이어는 바람직하게 매우 짧은 에이펙스 프로파일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비드 형상은 (i) 와이어의 직경, (ii) 와이어의 코팅 및/또는 (iii) 와이어 중심 형상(예를 들어 직교, 벌집형)에 의존하여 상측 섹션의 테이퍼진 측면 내에 경사면(slope)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비드 와이어의 직경은 한 타이어의 형상으로부터 타이어 설계자에 의해 제조된 궁극적인 선택에 따른 그 외의 다른 타이어 형상으로 가변된다.
정의
하기 정의는 청구항의 해석 및 청구항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의 실시예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한 참조는 언급된 특징을 포함하는 모든 청구된 실시예 또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제 3 및 등등("서수"):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서수들은 단지 (예를 들어 군의 다양한 요소들을) 분간하거나 또는 식별하도록 사용되며, 이서수들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숫자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한한다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타이어: 압축된 유체(예를 들어 압축된 공기)를 수용하며, 휠 조립체로 끼워맞춤되기에 적합한 가요성의 임의의 부재이며, 이의 형태에 따라 타이어는 각을 이루는 방향, 반경방향, 축방향 및 중심 축이 형성되며,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타이어는 (i) 타이어가 끼워맞춤되기에 적합한 휠 조립체의 타입, (ii)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는 차량 및 그 외의 다른 장치의 타입, (iii) 타이어의 재료, (iv) 타이어 의 크기, (v) 트레드의 존재 및/또는 트레드의 타입 및/또는 (vii) 구성 부분 또는 재료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타이어 바디: 임의의 비드 또는 신장부를 제외한 타이어의 모든 부분을 의미하며, 타이어 바디는 트레드, 벨트 및/또는 카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가 없는 한, 횡단면, 횡단면의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을 따라 평면을 절단한 타이어의 횡단면을 언급하며,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횡단면은 각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횡단면은 본 명세서에서 각 위치를 명시하지 않으며, 횡단면 방향은 타이의 횡단 방향을 따르는 방향, 예를 들어 Stephens의 특허에서 횡단면 방향은 각각의 도면에서 도면부호 6으로부터 도면부호 7로 이동되는 도 1 및 도 2에서 해칭 영역의 중심선을 따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직접적으로 매립된이라는 용어는 신장부가 타이어 비드와 함께 매립되지 않고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제공된 정의들이 (사전 및/또는 기술적 어휘집과 같은 문헌에 일반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이고 평이하며 일반적인 의미들과 일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정의들은 본질적으로 보완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공된 정의들이 (사전 및/또는 기술적 어휘집과 같은 문헌에 일반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이고 평이하며 일반적인 의미들과 불일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정의들은 조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공된 정의들은 몇몇 특징에 있어서 통상적이고, 평이하며 및 일반적인 의미에 비해 넓다면, 상기 정의들은 이에 따라 청 구항을 폭 넓게 하는 것으로 고려되어 질 수 있다.
특허권자가 허용법 하에서 사전 편집자로 행동하는 경우, 상기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 청구항에 도시된 모든 용어는 통상적이며, 평이하고 및 일반적인 의미(일반적으로 사전 및/또는 기술 용어 사전과 같은 문헌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로 고려되어질 수 있으며,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일치되지는 않지만 기술적 특징과 일치되는 가장 폭 넓은 정의는 조정될 수 있다.
게다가 그 외의 다른 경우 청구항에서 사용된 어휘에 명확하게 제공되지 않는 한, 방법 단계 내 단계 또는 공정 청구항들은 단지, 청구항에서 인용된 단계들의 순서는 단지 불가능성 또는 극한의 가능성 문제들이 인용된 단계 순서가 (또는 인용된 단계 순서의 일부분) 사용됨을 나타내는 점을 고려할 때와 동일한 시간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단계 순서에 대한 폭 넓은 해석은 청구된 단계의 대안의 시간 순서가 본 명세서에 특히 기술되고 언급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이용되어 진다.

Claims (20)

  1. -타이어 바디,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직접적으로 매립된 하나 이상의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 비드는 상측 섹션과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상측 섹션은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직접적으로 매립된 제 2의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이어 비드는 상측 섹션과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상측 섹션은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위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경화되지 않은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직교 와이어 중심 형 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어는 승용차의 용도로 크기가 형성되고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섹션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과 하나의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섹션은 2개의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0. -타이어 바디,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 적어도 타이어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 비드는 상측 섹션과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측 섹션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과 하나의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고,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이 상기 타이어 비드의 상기 테이퍼진 측면을 대향하도록 방향설정되고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된,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을 가진 신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비드는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위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직교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와이어 타이어 비드는 벌집형 와이어 중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는 경질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7. -타이어 제조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타이어 빌딩 드럼 상에서 타이어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한 개시 스톡(starting stock)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배열 단계 이후 타이어 비드를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개시 스톡의 일부분을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타이어 비드가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단계 이후 상기 타이어 제조 드럼으로 신장부를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신장부는 상기 뒤집는 단계에서 상기 타이어 비드와 함께 상기 타이어 바디 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비드는 상측 섹션과 기저부 섹션을 포함하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상측 섹션은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과 하나의 비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을 가지며, 상기 뒤집는 단계에서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인터페이스 표면이 상기 타이어 비드의 상기 테이퍼진 측면을 대향하도록 방향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타이어 비드를 공급하는 단계는 단일의 와이어로부터 상 기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 타이어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7005714A 2007-02-15 2008-02-15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20090118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996307P 2007-02-15 2007-02-15
US60/889,963 2007-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903A true KR20090118903A (ko) 2009-11-18

Family

ID=3969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14A KR20090118903A (ko) 2007-02-15 2008-02-15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96812A1 (ko)
EP (1) EP2121354A1 (ko)
KR (1) KR20090118903A (ko)
CN (1) CN101595004A (ko)
BR (1) BRPI0806191A2 (ko)
RU (1) RU2009114227A (ko)
WO (1) WO2008101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08075T3 (es) 2013-04-09 2021-02-25 Cooper Tire & Rubber Co Talón de neumático
JP6988540B2 (ja) * 2018-02-14 2022-01-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3090487A3 (fr) * 2018-12-20 2020-06-26 Michelin & Cie Extenseur perfectionne et ensemble roulant comportant un tel extenseu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3683A (en) * 1977-12-27 1979-08-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orming a tire bead assembly
US4922985A (en) * 1986-06-24 1990-05-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and rim assembly
US4820563A (en) * 1987-08-13 1989-04-11 National-Standard Company Tire bead assembly
US5226460A (en) * 1989-09-08 1993-07-1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producing a bead core for pneumatic tires
US5253692A (en) * 1989-12-21 1993-10-1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Bead portion of a tire
US5058649A (en) * 1990-07-25 1991-10-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comprising a pentagonal bead core
EP0958153B1 (en) * 1997-01-30 2002-06-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eavy duty tire with specified bead design
US6422280B1 (en) * 1997-01-30 2002-07-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eavy duty tire with specified bead design
GB2325200A (en) * 1997-05-12 1998-11-18 A R T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t least two single wire tyre beads
US6524416B1 (en) * 1998-10-20 2003-02-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ress neutralization of an apex filler for a tire bead subassembly
JP3338663B2 (ja) * 1999-06-16 2002-10-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単線ビード製造装置
US7201199B2 (en) * 2000-01-27 2007-04-10 Pirelli Pneumatici S.P.A. Tire with bead core with hexagonal section
US6413342B1 (en) * 2000-02-15 2002-07-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forming a bead with an anchored trailing end
US20030029573A1 (en) * 2000-02-29 2003-02-13 Robert Franke Formation of tyre beads or the like
EP1201414B2 (en) * 2000-10-30 2019-12-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idewall of a pneumatic tire
JP4464700B2 (ja) * 2004-01-28 2010-05-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GB0412573D0 (en) * 2004-06-04 2004-07-07 A R T Formation of a tire bead assembly
US20060108053A1 (en) * 2004-11-19 2006-05-25 Hart James M Hot application of apex on a tire building machine
US7670449B2 (en) * 2005-11-22 2010-03-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with turned down ply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6812A1 (en) 2008-08-21
WO2008101174A1 (en) 2008-08-21
RU2009114227A (ru) 2011-03-20
BRPI0806191A2 (pt) 2011-08-30
EP2121354A1 (en) 2009-11-25
CN101595004A (zh)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429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RU221300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0410061C (zh) 制造轮胎的方法
US200601628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cass plies for a tire
US20050028918A1 (en) Method of making a tire for a vehicle wheel
US20020011297A1 (en) Tire for vehicle wheels
US9956823B2 (en) Geodes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308694B1 (en) Pneumatic tire
JP2012162204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
JP4708125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4932733B2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ラント
US99376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cycle tire
EP2338699A1 (en) Geodesic belted tire
KR20090118903A (ko) 테이퍼진 비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JP4381609B2 (ja) 自動車用タイヤのカーカス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カーカス構造体
US10894376B2 (en) Pneumatic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200094505A1 (en) Bead co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neumatic tire
JPH11286059A (ja) 空気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製造されたタイヤ
KR102576865B1 (ko) 다중 에이팩스 스트립이 적용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성형방법
JP2008524019A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ラント
CN116583415A (zh) 车辆充气轮胎中的胎圈环组件的钢丝芯及其制造设备
RU2337837C2 (ru) Шина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6044339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5431442B2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ラント
JP2019098640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