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268A -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268A
KR20090118268A KR1020080043954A KR20080043954A KR20090118268A KR 20090118268 A KR20090118268 A KR 20090118268A KR 1020080043954 A KR1020080043954 A KR 1020080043954A KR 20080043954 A KR20080043954 A KR 20080043954A KR 20090118268 A KR20090118268 A KR 20090118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pulley
rotating member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158B1 (ko
Inventor
배성준
박영준
김상휘
조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1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U-shaped, e.g. 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에 고정되며,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스터드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스터드 볼트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걸리는 도르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를 사용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의 고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해체가 손쉬우며, 도르래에 대한 여러 방향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꼬임 등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와이어 컨트롤, 자율이동장치, 스터드 볼트, 고정수단, 회전부재, 도르래

Description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 WIRE OF A WIRE CONTROLLED MOBILE PLATFORM}
본 발명은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의 고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해체가 손쉬우며, 와이어의 꼬임 등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형화 추세에 따라 선체를 이루는 블록들을 조립하여 제작되는데, 이러한 블록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블록 내부를 도장하거나 블록 내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블록 내부에서 원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장치는 일 예로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가 있다.
종래의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는 본체(11)에 도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20)가 설치되고, 본체(11)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12)가 블록(1) 내부의 정해진 위치, 예컨대 꼭지점 부위마다 설치되되, 이러한 와이어(12) 각각을 감거나 풀도록 하는 윈치(미도시)가 본체(1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는 블록(1) 내에서 본체(11)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른 와이어(12) 각각에 대한 감기는 정도나 풀리는 정도를 산출하여 와이어(12) 각각에 해당하는 윈치를 구동시킴으로써 본체(11)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의 와이어(1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선체 블록(1)의 벽면이나 T 바(bar)로 이루어진 론지부에 와이어(12)의 고정을 위한 부품을 장착한 후, 장착된 와이어 고정 부품에 와이어(1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고정 부품을 선체 블록의 내부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이러한 와이어 고정 부품은 선체 블록에 장착된 상태로 방치할 수 없기 때문에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를 해체시 선체 블록면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해체 작업에 과다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와이어 고정 부품이 선체 블록의 종류에 상관없이 호환이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일회용인 경우 선박의 건조 과정마다 추가적인 기계 부품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선박의 건조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와이어의 컨트롤 측면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 부품을 사용할 경우 와이어를 다양한 방향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와이어에서 고정 부품에 접하는 부위가 마모되어 심지어는 단선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의 고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해체가 손쉬우며, 와이어에 대한 여러 방향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는 선체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에 고정되며,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스터드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스터드 볼트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걸리는 도르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를 사용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의 고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해체가 손쉬우며, 도르래에 대한 여러 방향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꼬임 등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 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100)는 선체 블록(1)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stud bolt; 2)에 고정되며,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와이어(12)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스터드 볼트(2)에 고정되는 고정수단(110)과, 고정수단(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120)와, 회전부재(120)에 고정되는 연결수단(130)과, 연결수단(130)에 설치되어 와이어(12)가 걸리도록 회전 지지하는 도르래(140)를 포함한다.
고정수단(110)은 선체 블록(1)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2)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되고, 회전부재(1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고정수단(110)은 회전부재(120)가 스터드 볼트(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스터드 볼트(2)가 나사 체결되어 관통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착되는 회전부재(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고정너트(111)와, 스터드 볼트(2)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부재(1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고정너트(112)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너트(111)는 외주면에 장착되는 회전부재(12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111a)가 형성된다.
제 2 고정너트(112)는 제 1 고정너트(111)로부터 돌출되는 스터드 볼트(2)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부재(1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1 고정너 트(111)의 플랜지(111a)와 함께 회전부재(120)의 양측을 지지한다.
한편, 제 1 고정너트(111)와 제 2 고정너트(112) 사이에 와셔(washer; 113)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고정수단(110), 구체적으로는 제 1 고정너트(111) 외주면에 장착됨으로써 스터드 볼트(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제 1 고정너트(111)와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수단(130)은 회전부재(120)에 단순히 고정되어 도르래(140)가 회전부재(120)에 설치되도록 매개하는 역할만을 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처럼 스터드 볼트(2)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재(120)에 장착됨으로써 도르래(140)에 대한 회전 자유도가 증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르래(140)가 설치되는 프레임(131)과, 프레임(131)의 양단을 회전부재(120) 양측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132)과, 도르래(140)에 마주 대하도록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와이어(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롤러(133)를 포함한다.
프레임(131)은 도르래(140)가 장착되는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U자 형상을 가지며, 양단이 회전축(132)에 의해 회전부재(120)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회전축(132)은 프레임(13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부재(120)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조립의 편리성을 위하여 프레임(13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부재(120) 양 측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탈 방지 롤러(133)는 도르래(140)에 마주 대하여 도르래(140)와 일렬을 이룸으로써 도르래(140)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2)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프레임(132)에 마련되는 롤러축(133a)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르래(140)는 연결수단(130)의 프레임(131)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와이어(12)가 걸리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31)으로부터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2)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와이어(12)를 설치시 선체 블록(1)의 내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2)에 제 1 고정너트(111)를 나사 체결한 다음, 도르래(140)가 설치된 연결수단(1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120)를 제 1 고정너트(111)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제 1 고정너트(111)로부터 돌출되는 스터드 볼트(2) 끝단에 와셔(113)와 제 2 고정너트(112)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회전부재(120)가 스터드 볼트(1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런 다음, 도르래(140)에 와이어(12)를 설치하고, 필요한 수만큼의 와이어(12) 설치를 반복함으로써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를 선체 블록(1) 내부에 설치하게 되고,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의 구동으로 인해 와이어(12)를 지지하는 도르래(140)가 회전을 일으키더라 도 회전부재(120)가 고정수단(110)으로부터 스터드 볼트(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수단(130)이 회전부재(120)로부터 스터드 볼트(2)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와이어(12)의 꼬임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와이어(12)가 설치되는 도르래(140) 자체의 회전 1자유도와 회전부재(120) 및 연결수단(130)의 프레임(131)에 의한 회전 2자유도의 조합에 의한 3축에 대한 회전 3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2)의 꼬임 등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사용을 마치게 되는 경우 고정수단(110)을 스터드 볼트(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스터드 볼트(2)의 경우 그라인딩(grinding)에 의해 제거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200)는 스터드 볼트(2)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수단(210)과, 고정수단(210)에 스터드 볼트(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 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220)와, 스터드 볼트(2)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재(220)에 장착되는 연결수단(230)과, 연결수단(230)에 설치되어 와이어(12)가 걸리는 도르래(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고정너트(211,212)와 와셔(213)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210)과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22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100)의 고정수단(110)과 회전부재(12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연결수단(230)은 도르래(240)가 장착되는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U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231)의 양단이 회전축(232)에 의해 회전부재(220)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231)이 스터드 볼트(2)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232)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23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부재(220)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조립의 편리성을 위하여 프레임(23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부재(220) 양측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230)은 도르래(240)가 직접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250)와 도르래 브라켓(260)을 매개로 도르래(240)가 설치된다.
클램프(250)는 연결수단(230)의 중심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르래 브라켓(260)이 연결되는 제 1 클램핑부재(251)와, 연결수단(230)의 프레임(231)을 사이에 두고 제 1 클램핑부재(251)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어 양측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제 2 클램핑부재(252)를 포함한다.
도르래 브라켓(260)은 클램프(250)의 제 1 클램핑부재(251)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되고, 도르래(2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하여 도르래(240)의 축 양단을 지지하고, 도르래(240)로부터 와이어(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롤러(261)의 축 양단을 회전 지지함으로써 이탈 방지 롤러(261)가 와이어(12)를 사이에 두고 도르래(240)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와이어(12)를 설치시 선체 블록(1)의 내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2)에 제 1 고정너트(211)를 나사 체결한 다음, 클램프(250)와 도르래 브라켓(260)에 의해 도르래(240)가 설치된 연결수단(2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220)를 제 1 고정너트(211)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제 1 고정너트(211)로부터 돌출되는 스터드 볼트(2) 끝단에 와셔와 제 2 고정너트(212)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회전부재(220)가 스터드 볼트(1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런 다음, 도르래(240)에 와이어(12)를 설치하고, 필요한 수만큼의 와이어(12) 설치를 반복함으로써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를 선체 블록(1) 내부에 설치한다.
따라서, 선체 블록(1)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2)를 사용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 도 1에 도시)의 와이어(12)를 신속 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 고정장치(200)의 해체가 손쉬우며, 도르래(240) 자체의 회전 1자유도와 회전부재(220) 및 연결수단(230)에 의한 회전 2자유도의 조합에 의한 3축에 대한 회전 3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2)의 꼬임 등을 방지하여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10)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수단(230)으로부터 클램프(250)의 착탈을 통한 도르래(24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고정수단 111,211 : 제 1 고정너트
111a : 플랜지 112,212 : 제 2 고정너트
113,213 : 와셔 120,220 : 회전부재
130,230 : 연결수단 131,231 : 프레임
132,232 : 회전축 133,261 : 이탈 방지 롤러
133a : 롤러축 140,240 : 도르래
250 : 클램프 251 : 제 1 클램핑부재
252 : 제 2 클램핑부재 260 : 도르래 브라켓

Claims (5)

  1. 선체에 마련된 스터드 볼트에 고정되며,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스터드 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상기 스터드 볼트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도르래
    를 포함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터드 볼트가 관통하도록 나사 체결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 1 고정너트와,
    상기 제 1 고정너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스터드 볼트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고정너트
    를 포함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스터드 볼트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도르래가 장착되는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이 절곡되어 U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을 상기 회전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도르래에 마주 대함으로써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탈 방지 롤러
    를 포함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로부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롤러가 상기 도르래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는 도르래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KR1020080043954A 2008-05-13 2008-05-13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KR10097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54A KR100972158B1 (ko) 2008-05-13 2008-05-13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54A KR100972158B1 (ko) 2008-05-13 2008-05-13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68A true KR20090118268A (ko) 2009-11-18
KR100972158B1 KR100972158B1 (ko) 2010-07-26

Family

ID=4160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954A KR100972158B1 (ko) 2008-05-13 2008-05-13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05B1 (ko) * 2014-04-17 2016-02-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 부유체의 계류 및 이송 연결 부위의 충격하중 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81B1 (ko) * 1994-05-30 1996-1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행거장치
JPH10139382A (ja) 1996-11-08 1998-05-26 Maeda Corp 吊り上げ用滑車の保持装置
JP3805861B2 (ja) 1997-06-27 2006-08-09 大成建設株式会社 路下h鋼杭建込用滑車固定金具
JP2000296413A (ja) * 1999-04-14 2000-10-2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卓上elid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158B1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0344B2 (ja) 天吊りロボット
US10933524B2 (en) Arm fixing device and reducer replacement method
CN105736427A (zh) 风扇头部和家用电器
US20120103125A1 (en) Robot arm assembly
JPWO2014076806A1 (ja) 管内走行装置及び走行体
JP5523429B2 (ja) ロボット装置
KR100972158B1 (ko)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의 와이어 고정장치
KR20120122667A (ko) 무대장치
KR101264581B1 (ko) 360도 회전 전기 선풍기
KR101009530B1 (ko) 와이어의 고정장치
KR20140000174U (ko) 래싱 파이프 지그
JP6788952B2 (ja) 自走式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巻付け方法
JPH0630386Y2 (ja) 産業用ロボットアームの配線処理装置
JP2008023680A (ja) ロボットアーム用ブラケット及びロボットアーム
KR20150037350A (ko) 원터치 롤러 방식의 케이블 포설용 클램프
JP2007152500A (ja) 回転ジョイント構造
KR200428160Y1 (ko) 기둥연결 지지대
JP3951077B2 (ja) 工業用ロボット
KR101702086B1 (ko)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KR102496209B1 (ko) 실린더 설치장치
CN111256992A (zh) 一种悬臂式轴承试验台
JP2007024573A (ja) 監視装置
KR20140003544U (ko) 튜브 세척 장치
JP2009250344A (ja) オイルシール下半部ガイド用回転工具とこの工具を用いたオイルシール下半部の組立及び分解方法
KR20100111189A (ko) 와이어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컨트롤을 이용한 자율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