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086B1 -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086B1
KR101702086B1 KR1020160116448A KR20160116448A KR101702086B1 KR 101702086 B1 KR101702086 B1 KR 101702086B1 KR 1020160116448 A KR1020160116448 A KR 1020160116448A KR 20160116448 A KR20160116448 A KR 20160116448A KR 101702086 B1 KR101702086 B1 KR 10170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transformer
bracket
elongat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1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는 변전라인을 형성하는 전주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회전과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배전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변압기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밀어올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Distribution Plate for Mounted Powe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라인을 형성하는 전주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회전과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배전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변압기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밀어올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변전라인은 전선의 보호와 감전사고 등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탑 또는 전주 등과 같은 고도한 곳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소는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받으므로 변전라인이 상기 외력에 의해 빈번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주와의 고정부분이나 연결부분이 와해되거나 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변전라인의 해짐은 변전라인과 전주 간의 단선을 야기할 수 있고, 심할 경우 피복이 벗겨지면서 합선 또는 누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정기적인 검사와 변전라인의 교체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 및 교체와 관리는 해당 변전라인의 단전을 전제로 하므로 해당 세대들의 전기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불편이 불가피했다.
변전라인은 변압기 설치를 위해 배전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전주의 상단에 올라가 볼트 등을 체결수단으로 하여 플레이트를 전주에 고정하므로 작업이 번거롭우며, 배전 플레이트를 미리 설치하는 경우에 까치 등이 둥지를 짓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전라인을 형성하는 전주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회전과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배전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변압기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밀어올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는,
전주(10) 일측에 결합되는 전주결합대(110)와, 상기 전주결합대(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다단으로 펼쳐져 길이가 신장되거나 신축되는 다단연결부재(2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1 거치대(11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부재(300)에 의해 결합되는 제2 거치대(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대(114)는 하단 끝단에 직각 절곡되어 결합된 변압기거치대(115)와, 상기 변압기거치대(115)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변압기고정대(11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2 거치대(114)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대(304)와, 상기 제1 거치대(112)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작동신호에 의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301)와, 상기 제2 거치대(114)의 배면에 고정된 곡면 형태의 기어부(310)와 상기 기어부(310)에 맞물려 결합된 구동기어(308)와 상기 구동기어(308)와 상기 모터(301)를 연결하는 체인부재(303)와, 상기 모터(301)의 회전력이 상기 체인부재(303)를 거쳐 상기 구동기어(308)에 전달되면 제2 거치대(114)가 상하로 회전하는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배전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배전 플레이트를 밀어올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를 마찰력이나 누르면서 팽팽하게 고정 지지하는 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며 송전선로의 안착 공간의 눌러지는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송전선로가 절곡된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를 도 1 내지 도 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100)는 전주(10)에 상단 일측에 고정 배치되고, 변압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단으로 밀어올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변압기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펼쳐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전주(10)는 양쪽으로 파지부재(400)와 애자(20, 22)를 관통하여 송전선로(12)가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배전 플레이트(100)는 전주(10) 일측에 결합되는 전주결합대(110)와, 상기 전주결합대(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단연결부재(2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1 거치대(11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부재(300)에 의해 결합되는 제2 거치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2 거치대(114)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다단연결부재(200)는 상기 전주결합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된다.
제2 거치대(114)는 하단 끝단에 직각 절곡되어 결합된 변압기거치대(115)와, 상기 변압기거치대(115)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변압기고정대(116)를 포함한다.
제2 거치대(114)와 변압기거치대(115)의 연결부분과 변압기거치대(115)와 변압기고정대(116)의 연결부분은 힌지부재(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힌지부재(120)는 변압기가 탑재되는 변압기거치대(115) 또는 변압기고정대(116)의 연결부분이 브라켓(124)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축(121)이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힌지부재(120)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도록 복수개의 오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22)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결착부재(123)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변압기거치대(115) 또는 변압기고정대(116)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회전부재(300)는 모터(301), 제1 연결대(304), 제2 연결대(305), 구동기어(308) 및 기어부(31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대(304)는 제1 거치대(112)와 제2 거치대(114)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연결대(305)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모터(301)는 상기 제1 거치대(112)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작동신호에 의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301)는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등이 포함될 것이다.
기어부(310)는 제2 거치대(114)의 배면에 고정되어 모터(301)의 회전력이 체인부재(303)를 거쳐 구동기어(308)에 전달되면 제2 거치대(114)가 상하로 회전되도록 한다.
기어부(310)는 원호의 형상으로 구동기어(30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은 모터(301)의 모터축(302)에 축 결합된 제1 폴리부재(302a)가 구동기어(308)과 기어축(306)에 축 결합된 제2 폴리부재(307)와 체인부재(303)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301)의 회전력이 구동기어(308)를 거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기어부(3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거치대(114)는 구동기어(308)의 정역 회전에 의하여 제2 거치대(114)와 힌지 결합된 제2 연결대(305)의 지지와 동시에 구동기어(308)가 기어부(31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된다.
모터(301)의 회전력은 모터축(302)에 연결된 제1 폴리부재(302a)에 전달되며, 제1 폴리부재(302a)는 체인부재(303)로 연결된 제2 연결대(305)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구동기어(308)의 제2 폴리부재(307)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 폴리부재(307)와 축 결합된 구동기어(308)가 회전되면, 구동기어(308)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기어부(31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제2 거치대(114)는 구동기어(308)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어부(310)에 의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된다.
제2 거치대(114)는 구동기어(308)의 회전과 구동기어(308)에 나사 결합된 기어부(310)의 회전으로 제2 거치대(114)의 중앙부에 위치한 제2 연결대(305)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단연결부재(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연결부재(200)는 전주결합대(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다단으로 펼쳐져 길이가 신장되거나 신축되는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및 제3 브라켓(23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및 제3 브라켓(230)는 연속적인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3 브라켓(230), 제2 브라켓(220), 제1 브라켓(210)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제1 브라켓(210)은 전주결합대(110)의 전면 중앙부에 제1 모터(215)가 매설되고, 상기 제1 모터(215)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볼스크류(213)가 제1 브라켓(210)의 내부 공간부(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상기 제3 브라켓(230)까지 연장된다.
제1 브라켓(210)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212)를 형성한 제1 원통하우징(2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통하우징(211)의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제1 너트블록부(214)로 막혀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제1 너트블록부(214)는 중심부에 제1 볼스크류(213)를 관통하는데, 제1 볼스크류(21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모터(215)가 구동되면, 제1 모터(215)에 결합된 제1 너트블록부(214)가 제1 볼스크류(213)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즉, 상기 제1 너트블록부(214)에 결합된 제1 원통하우징(211)이 제1 볼스크류(213)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2 브라켓(220)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222)를 형성한 제2 원통하우징(221)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제1 원통하우징(211)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며, 나머지 부분이 제1 원통하우징(2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2 원통하우징(221)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제2 너트블록부(224)로 막혀 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볼스크류(213)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통과된다.
제2 너트블록부(224)는 중심부에 제1 볼스크류(21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2 볼스크류(223)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 볼스크류(22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2 홈이 형성된다.
제2 볼스크류(223)는 일측 끝단에 제1 원통하우징(211)의 내부 공간부(212)에 위치한 제2 모터(225)가 결합되고, 제2 브라켓(220)을 관통하여 제3 브라켓(230)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너트블록부(224)는 제2 모터(225)의 구동으로 제1 볼스크류(213)와 제2 볼스크류(223)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즉 제2 모터(225)가 구동되면, 제2 너트블록부(224)에 결합된 제2 원통하우징(221)이 제1 볼스크류(213)와 제2 볼스크류(223)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3 브라켓(230)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232)를 형성한 제3 원통하우징(231)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제2 원통하우징(221)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며, 나머지 부분이 제2 원통하우징(22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3 원통하우징(231)은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제3 너트블록부(234)로 막혀 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볼스크류(213)가 관통하여 내부 공간부(232)에 위치한다.
제3 너트블록부(234)는 중심부에 제1 볼스크류(21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2 볼스크류(223)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 볼스크류(22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제3 볼스크류(233)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3 볼스크류(233)의 외주면 나사선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3 홈이 형성된다.
제3 볼스크류(233)는 일측 끝단에 제3 원통하우징(231)의 내부 공간부(232)에 위치한 제3 모터(235)가 결합된다.
제3 너트블록부(234)는 제3 모터(235)의 구동으로 제1 볼스크류(213), 제2 볼스크류(223), 제3 볼스크류(233)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3 너트블록부(234)가 이동하면 이에 따라 제3 너트블록부(234)에 결합된 제3 원통하우징(231)이 제1 볼스크류(213), 제2 볼스크류(223), 제3 볼스크류(233)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및 제3 브라켓(230)를 동시에 신장하거나 신축하기 위해서 제1 모터(215), 제2 모터(225), 제3 모터(235)를 동시에 구동하거나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및 제3 브라켓(230)의 일부를 신장하거나 신축하기 위해서 제1 모터(215), 제2 모터(225), 제3 모터(235)의 일부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300)를 이용하여 제2 거치대(114)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단연결부재(200)를 이용하여 제1 거치대(11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전주(10)에서 배전 플레이트(100)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파지부재(4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재(400)는 송전선로(24)가 내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01)와, 상기 케이스(401)의 내측의 좌측단부에서 내측면 상부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상부지지부(402)와, 내측면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하부지지부(403)와, 상기 케이스(401)의 내측의 우측단부에서 내측면 상부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상부지지부(430)와, 내측면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하부지지부(431)를 포함한다.
케이스(401)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내측상부지지부(402)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내측면 상부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상부누름지지부(410)와, 내측면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하부누름지지부(4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누름지지부(410)는 제1 하부누름지지부(411)보다 길이가 짧게 하여 형성된다.
케이스(40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내측상부지지부(43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내측면 상부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상부누름지지부(420)와, 내측면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하부누름지지부(4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누름지지부(420)는 제2 하부누름지지부(421)보다 길이가 짧게 하여 형성된다.
케이스(401)의 내측에는 제1 내측상부지지부(402)와 제1 상부누름지지부(410)의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면 천장면에 제1 상부스프링지지대(404)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스프링지지대(404)의 일측에 코일스프링(405)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05)에 제1 하부스프링지지대(406a)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부스프링지지대(406a)의 하부에 롤러(406)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406)는 송전선로(24)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며 송전선로(24)가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코일스프링(405)의 탄력으로 송전선로(24)를 지지 고정해준다.
케이스(401)의 내측에는 제1 상부누름지지부(410)와 제2 상부누름지지부(420)의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면 바닥면에 제2 하부스프링지지대(412)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스프링지지대(412)의 일측에 코일스프링(413)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3)에 제2 상부스프링지지대(414)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상부스프링지지대(414)의 하부에 롤러(415)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415)는 송전선로(24)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눌러주며 송전선로(24)가 하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코일스프링(413)의 탄력으로 송전선로(24)를 지지 고정해준다.
케이스(401)의 내측에는 제2 상부누름지지부(420)와 제2 내측상부지지부(430)의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면 천정면에 제3 상부스프링지지대(422)가 결합되고, 상기 제3 상부스프링지지대(422)의 일측에 코일스프링(423)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23)에 제3 하부스프링지지대(424)가 결합되며, 상기 제3 하부스프링지지대(424)의 하부에 롤러(430)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425)는 송전선로(24)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며 송전선로(24)가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코일스프링(423)의 탄력으로 송전선로(24)를 지지 고정해준다.
송전선로(24)는 상기 제1 내측상부지지부(402)와 상기 제1 내측하부지지부(403)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되고, 상기 룰러(406)가 하방으로 누르면서 팽팽하게 지지 고정되고, 상기 제1 상부누름지지부(410)와 상기 제1 하부누름지지부(411)의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고, 상기 룰러(415)가 상방으로 누르면서 팽팽하게 지지 고정되고, 상기 제2 상부누름지지부(420)와 상기 제2 하부누름지지부(421)의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고, 상기 룰러(425)가 하방으로 누르면서 팽팽하게 지지 고정되며, 상기 제2 내측상부지지부(430)와 상기 제2 내측하부지지부(431)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주 12: 송전선로
20, 22: 애자 100: 배전 플레이트
110: 전주결합대 112: 제1 거치대
114: 제2 거치대 115: 변압기거치대
116: 변압기고정대 120: 힌지부재
200: 다단연결부재 300: 회전부재
400: 파지부재

Claims (2)

  1. 삭제
  2. 전주(10) 일측에 결합되는 전주결합대(110)와, 상기 전주결합대(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다단으로 펼쳐져 길이가 신장되거나 신축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펼쳐져 길이가 신장되거나 신축되고 연속적인 신축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3브라켓(230), 제2 브라켓(220), 제1 브라켓(210)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210), 상기 제2 브라켓(220), 상기 제3 브라켓(230)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 공간부(212)를 형성한 제1, 2, 3 원통하우징(211, 221, 2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3 원통하우징(211, 221, 231)의 일단이 제1, 2, 3 너트블록부(214, 224, 234)로 막혀 있으며, 상기 제1, 2, 3 너트블록부(214, 224, 234)는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볼스크류(213, 223, 233)가 관통되고, 일측 끝단에 모터(215, 225, 235)가 체결 구성되는 다단연결부재(2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1 거치대(11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부재(300)에 의해 결합되는 제2 거치대(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대(114)는 하단 끝단에 직각 절곡되어 결합된 변압기거치대(115)와, 상기 변압기거치대(115)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변압기고정대(11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거치대(114)와 상기 변압기거치대(115)의 연결부분 및 상기 변압기거치대(115)와 상기 변압기고정대(116)의 연결부분은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도록 복수개의 오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22)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결착부재(123)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변압기거치대(115) 또는 변압기고정대(116)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120)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제1 거치대(112)와 상기 제2 거치대(114)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대(304)와, 상기 제1 거치대(112)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작동신호에 의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301)와, 상기 제2 거치대(114)의 배면에 고정된 곡면 형태의 기어부(310)와 상기 기어부(310)에 맞물려 결합된 구동기어(308)와 상기 구동기어(308)와 상기 모터(301)를 연결하는 체인부재(303) 및 상기 체인 부재에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모터(301)의 회전력이 상기 체인부재(303)를 거쳐 상기 구동기어(308)에 전달되면 제2 거치대(114)가 상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KR1020160116448A 2016-09-09 2016-09-09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KR10170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48A KR101702086B1 (ko) 2016-09-09 2016-09-09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48A KR101702086B1 (ko) 2016-09-09 2016-09-09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086B1 true KR101702086B1 (ko) 2017-02-07

Family

ID=5810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48A KR101702086B1 (ko) 2016-09-09 2016-09-09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3804A (zh) * 2020-09-24 2020-12-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嵩县供电公司 一种防触电防盗的配电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492A (ja) * 1995-04-27 1996-11-12 Tokiyoshi Kuroda 多段伸縮アーム装置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20090119040A (ko) * 2008-05-15 2009-11-19 이정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 회전시스템
KR101104868B1 (ko) * 2011-05-25 2012-01-17 (주)한동엔지니어링 변압기 인출형 변전라인의 배전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492A (ja) * 1995-04-27 1996-11-12 Tokiyoshi Kuroda 多段伸縮アーム装置
KR20090119040A (ko) * 2008-05-15 2009-11-19 이정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 회전시스템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1104868B1 (ko) * 2011-05-25 2012-01-17 (주)한동엔지니어링 변압기 인출형 변전라인의 배전 플레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3804A (zh) * 2020-09-24 2020-12-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嵩县供电公司 一种防触电防盗的配电箱
CN112103804B (zh) * 2020-09-24 2022-06-10 国网河南省电力公司嵩县供电公司 一种防触电防盗的配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743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CN101436766A (zh) 母线槽插接箱锁紧装置
KR101519549B1 (ko) 사용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지지완금
KR101702086B1 (ko) 변압기 탑재형 배전 플레이트
CN214479459U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配接器
ATE324549T1 (de) Deckenstativeinheit
CN110902475A (zh) 一种矿物绝缘电缆生产线用卷盘收卷装置
CN211089012U (zh) 一种电器柜用电力布线槽
CN210619828U (zh) 一种防火电缆收卷装置
CN102588719A (zh) 一种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监控装置
CN215335453U (zh) 一种电动葫芦自动化生产加工用车间监测设备
CN215300089U (zh) 一种新型地铁隧道电缆支架
CN104421883A (zh) 转动灯架装置
CN213484405U (zh) 一种电缆多环境适配用方向调节装置
CN209767030U (zh) 一种电力维修用易于调节的电缆安装支架
CN110783817A (zh) 配电网砼杆智能分界开关安装固定支架
CN219867154U (zh) 一种具有夹持机构的控制器连接底座
CN113346428B (zh) 一种接线端子的接线盒
CN219717814U (zh) 一种电力输送装置
CN213809610U (zh) 一种泵站控制柜
CN220107274U (zh) 一种电气柜边板安装结构
CN217215683U (zh) 一种弱电工程信号线缆延长装置
CN219833674U (zh) 一种多管线共用支架
CN212784544U (zh) 一种电力施工电缆铺设辅助装置
CN217478706U (zh) 一种放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