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825A -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825A
KR20090117825A KR1020097020359A KR20097020359A KR20090117825A KR 20090117825 A KR20090117825 A KR 20090117825A KR 1020097020359 A KR1020097020359 A KR 1020097020359A KR 20097020359 A KR20097020359 A KR 20097020359A KR 20090117825 A KR20090117825 A KR 2009011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illumination
opening
subst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따께 세가와
다쯔야 오리하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고체 촬상 소자(5, 8)의 수광면에 각각 결상하는 광학 유닛(4, 7)과, 광학 유닛(4, 7)의 각 렌즈틀(4d, 7d)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조명 기판(19a, 19f)을 구비한다. 렌즈틀(4d, 7d)은, 상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고, 이 끝이 가늘어진 상단부로부터 조명 기판(19a, 19f)의 각 개구부에 각각 삽입된다.
Figure P1020097020359
캡슐형 내시경, 위치 결정부, 케이스, 광학 유닛, 제어부, 고체 촬상 소자

Description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CAPSULE TYPE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자 등의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도입되고, 이 피검체의 체내 정보를 취득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시경의 분야에서, 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삼킴형의 캡슐형 내시경이 등장되어 있다. 캡슐형 내시경은, 장기 내부의 관찰(검사)을 위해 환자 등의 피검체의 입으로부터 연하 등에 의해 장기 내부에 도입되고, 그 후 연동 운동 등에 의해 장기 내부를 이동하면서,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이하, 체내 화상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소정 간격, 예를 들면 0.5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촬상하고, 최종적으로는 피검체의 체외로 자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이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존재하는 동안, 이 캡슐형 내시경에 의해 촬상된 체내 화상은, 무선 통신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체외의 수신 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이러한 수신 장치는, 이 피검체에 의해 휴대되고, 이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도입된 캡슐형 내시경이 무선 송신한 체내 화상군을 수신하고, 수신한 체내 화상군을 기록 매체에 보존한다.
이러한 수신 장치의 기록 매체에 보존된 체내 화상군은, 워크 스테이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공급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이 기록 매체를 통하여 취득한 피검체의 체내 화상군을 표시한다.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은,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체내 화상군을 관찰함으로써, 이 피검체를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슐형 내시경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투명한 광학 돔을 단부에 구비한 캡슐형 케이스를 갖고, 이 캡슐형 케이스의 내부에, 광학 돔 넘어로 장기 내부를 조명하는 LED 등의 조명부와, 이 조명부에 의해 조명된 장기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결상하는 광학 유닛과, 이 광학 유닛에 의해 결상된 장기 내부의 화상(즉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CCD 등의 촬상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명부 및 촬상부는, 리지드 회로 기판(이하, 간단히 리지드 기판이라고 함)인 조명 기판 및 촬상 기판에 각각 실장된 양태로 캡슐형 케이스에 내장된다. 또한, 이러한 조명 기판 및 촬상 기판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하, 간단히 플렉시블 기판이라고 함)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896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492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캡슐형 내시경에 내장되는 광학 유닛은, 조명 기판의 조명부에 의해 조명된 장기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군과, 이러한 렌즈군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렌즈틀을 갖는다. 이 렌즈틀에 의해 유지된 렌즈군은, 조명 기판의 조명부에 의해 광학 돔 넘어로 조명된 장기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 의 수광면에 대해 결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이 렌즈틀의 하단부는 렌즈군의 하단부와 촬상부의 수광면을 대향시키는 양태로 촬상부에 대해 고정되고, 이와 같이 하단부에 촬상부를 고정한 렌즈틀은, 렌즈군의 상단부와 광학 돔을 대향시키는 양태로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그러나, 전술한 원통 형상의 렌즈틀을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삽입할 때, 조명 기판의 개구부와 렌즈틀 상단부의 외주와의 위치 정렬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상기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틀은,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고, 끝이 가늘어 진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조명 기판은,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상기 렌즈틀에 상기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렌즈틀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일단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렌즈틀은,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을 경사시킨 상기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 기판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상기 렌즈틀에 상기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렌즈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렌즈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와의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은, 상기 렌즈틀의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은, 상기 조명 기판의 상기 개구부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가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에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가 서로 접촉을 회피하면서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서로 접촉을 회피하면서 삽입 가능한 형상은, 상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는 상기 렌즈틀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 형상을 갖는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조명 기판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은,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는 조명 기판을 절곡하는 스텝과,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에, 상기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삽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은,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는 조명 기판을 절곡하는 스텝과,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에, 상기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삽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조명부에 의해 조명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의 외형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에, 이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렌즈틀의 끝이 가늘어진 일단부로부터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이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할 때에 개구부와 렌즈틀의 상단부의 외주를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렌즈틀의 상단부와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결과,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를 조명 기판 외주의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부를 조명 기판에 형성하고, 이 절곡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렌즈틀에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조명 기판을 회전시켜서, 이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가령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이어도,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할 때에 개구부와 렌즈틀의 상단부의 외주를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렌즈틀의 상단부와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결과,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향 F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향 B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4는 제어 기판에 전원계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5는 캡슐형 내시경의 케이스 내부에 접어진 양태로 배치되는 일련의 회로 기판을 전개한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6은 위치 결정부의 판 형상부에 부착한 렌즈틀과 조명 기판과의 부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7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과 조명 기판과의 부착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방향 F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방향 B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
도 11은 위치 결정부의 판 형상부에 부착한 원통 형상의 렌즈틀과 조명 기판과의 부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12는 외주의 편측에만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을 구비한 캡슐형 내시경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부호의 설명>
1, 21 : 캡슐형 내시경
2 : 케이스
2a : 통 형상 몸통부
2b, 2c : 광학 돔
3a∼3d, 6a∼6d : 발광 소자
4, 7, 24, 27 : 광학 유닛
4a, 4b, 7a, 7b : 렌즈
4c, 7c : 조리개부
4d, 7d, 24d, 27d : 렌즈틀
5, 8 : 고체 촬상 소자
9a : 무선 유닛
9b : 안테나
10 : 제어부
11a : 자기 스위치
11b, 11c : 콘덴서
11d : 전원 IC
12a, 12b : 전지
13a, 13b : 접점 용수철
14, 15 : 위치 결정부
14a, 15a : 판 형상부
14b, 15b : 돌기부
16, 17, 36 : 하중 받이부
18a, 18b : 전원 기판
19a, 19f, 29a, 29f : 조명 기판
19b, 19e : 촬상 기판
19c : 제어 기판
19d : 무선 기판
20 : 일련의 회로 기판
20a, 20b :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
A1∼A5 : 연장부
CL : 중심축
E1, E2 : 상단부
H1∼H4 : 개구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피검체의 체내 정보의 일례인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기능과, 촬상한 체내 화상을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캡슐형 내시경을,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의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향 F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향 B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1)은, 방향 F측(전방측)의 체내 화상과 방향 B측(후방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2안 타입의 캡슐형 내시경이며,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도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캡슐형의 케이스(2)를 갖고, 이 케이스(2)의 내부에,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기능과,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기능과, 이러한 촬상 기능에 의해 촬상된 체내 화상을 외부에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3a∼3d)를 실장 한 조명 기판(19a)과, 발광 소자(3a∼3d)에 의해 조명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결상하는 광학 유닛(4)과, 광학 유닛(4)에 의해 결상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즉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5)를 실장한 촬상 기판(19b)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1)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6a∼6d)를 실장한 조명 기판(19f)과, 발광 소자(6a∼6d)에 의해 조명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결상하는 광학 유닛(7)과, 광학 유닛(7)에 의해 결상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즉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8)를 실장한 촬상 기판(19e)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1)은 케이스(2)의 내부에,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5, 8)에 의해 촬상된 각 체내 화상을 안테나(9b)를 통하여 외부에 무선 송신하는 무선 유닛(9a)을 실장한 무선 기판(19d)과, 이러한 촬상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실장한 제어 기판(19c)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1)은, 케이스(2)의 내부에, 복수의 발광 소자(3a∼3d, 6a∼6d)와 고체 촬상 소자(5, 8)와 무선 유닛(9a)과 제어부(10)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계, 즉 자기 스위치(11a) 등의 각종 회로 부품과, 전지(12a, 12b)와, 전원 기판(18a, 18b)과, 이러한 전지(12a, 12b)와 전원 기판(18a, 18b)을 통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점 용수철(13a, 13b)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1)은, 케이스(2)의 내부에, 케이스(2)의 전단을 이루는 광학 돔(2b)에 대한 발광 소자(3a∼3d) 및 광학 유닛(4)의 각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4)와, 케이스(2)의 후단을 이루는 광학 돔(2c)에 대한 발광 소자(6a∼6d) 및 광학 유닛(7)의 각 상 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15)와, 접점 용수철(13a)의 탄성력을 받아 위치 결정부(14)를 광학 돔(2b)에 대해 고정하는 하중 받이부(16)와, 접점 용수철(13b)의 탄성력을 받아 위치 결정부(15)를 광학 돔(2c)에 대해 고정하는 하중 받이부(17)를 갖는다.
케이스(2)는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도입하기 쉬운 크기의 캡슐형 케이스이며, 통 형상 구조를 갖는 통 형상 몸통부(2a)의 양측 개구단에 광학 돔(2b, 2c)을 부착함으로써 실현된다. 통 형상 몸통부(2a)는 광학 돔(2b, 2c)에 비해 큰 외경 치수를 갖고, 이러한 광학 돔(2b, 2c)을 양측 개구단부 근방의 내주면에 감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통 형상 몸통부(2a)의 양측 개구단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광학 돔(2b, 2c)을 감합하였을 때에 광학 돔(2b, 2c)의 끝면과 당접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 형상 몸통부(2a) 단차부에 광학 돔(2b, 2c)의 각 끝면을 당접시킴으로써, 통 형상 몸통부(2a)에 대한 광학 돔(2b, 2c)의 각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광학 돔(2b, 2c)은,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돔 부재이며, 광학 돔(2b, 2c)의 개구단 근방의 외주면에는, 통 형상 몸통부(2a)의 개구단 근방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광학 돔(2b)은, 통 형상 몸통부(2a)의 전방측(도 1에 도시한 방향 F측) 개구단 근방의 내주면에 감합되고, 이 내주면의 볼록부와 광학 돔(2b)의 오목부를 계지함으로써 통 형상 몸통부(2a)의 전방측 개구단에 부착된다. 이 경우, 광학 돔(2b)의 끝면은, 전술한 통 형상 몸통부(2a)의 내주면에서의 단차부와 당접한 상태이다. 이러한 광학 돔(2b) 은, 캡슐형의 케이스(2)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전단부)를 형성한다. 한편, 광학 돔(2c)은 통 형상 몸통부(2a)의 후방측(도 1에 도시한 방향 B측) 개구단 근방의 내주면에 감합되고, 이 내주면의 볼록부와 광학 돔(2c)의 오목부를 계지함으로써 통 형상 몸통부(2a)의 후방측 개구단에 부착된다. 이 경우, 광학 돔(2c)의 끝면은, 전술한 통 형상 몸통부(2a)의 내주면에서의 단차부와 당접한 상태이다. 이러한 광학 돔(2c)은, 캡슐형의 케이스(2)의 일부(구체적으로는 후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통 형상 몸통부(2a) 및 광학 돔(2b, 2c)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의 각 구성부를 액밀하게 수용한다.
발광 소자(3a∼3d)는, 방향 F측에 위치하는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소자(3a∼3d)는 LED 등의 발광 소자이며,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인 조명 기판(19a)에 실장된다. 이 경우, 발광 소자(3a∼3d)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에 삽통한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후술함)을 둘러싸도록 조명 기판(19a)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3a∼3d)는, 소정의 조명광(예를 들면 백색광)을 발광하고, 전단측의 광학 돔(2b) 넘어로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한다.
또한, 조명 기판(19a)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의 수량은,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데에 충분한 광량의 조명광을 발광 가능하면, 특히 4개로 한정되지 않고, 1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발광 소자(3a∼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a)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하는 경우, 이러한 복수의 발광 소자는,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에 삽통한 광학 유닛(4)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 의 각 위치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유닛(4)은, 전술한 발광 소자(3a∼3d)에 의해 조명된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이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결상한다. 이러한 광학 유닛(4)은, 예를 들면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렌즈(4a, 4b)와, 렌즈(4a, 4b)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부(4c)와, 이러한 렌즈(4a, 4b) 및 조리개부(4c)를 유지하는 렌즈틀(4d)에 의해 실현된다.
렌즈(4a, 4b)는, 전술한 발광 소자(3a∼3d)에 의해 조명된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이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면에 결상한다. 조리개부(4c)는, 이러한 렌즈(4a, 4b)에 의해 집광되는 반사광의 밝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조인다(조정한다). 렌즈틀(4d)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 구조를 갖고, 통 내부에 렌즈(4a, 4b) 및 조리개부(4c)를 유지한다. 이러한 렌즈틀(4d)은, 조명 기판(19a)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통된 양태로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후술함)의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된다. 이 경우, 렌즈틀(4d)은 상단부(렌즈(4a) 측의 개구단부) 및 몸통부를 조명 기판(19a) 측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하단부를 계지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고정된 렌즈틀(4d)은, 위치 결정부(14)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위치(즉 광학 돔(2b)에 대한 바람직한 상대 위치)에 렌즈(4a, 4b)를 유지한다. 이러한 렌즈(4a, 4b)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 CL과 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렌즈틀(4d)에 유지되는 렌즈(4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 이 다리부를 갖고, 이 다리부를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측 소자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렌즈(4b)와 고체 촬상 소자(5)와의 광축 방향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렌즈(4b)의 다리부가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측 소자면에 당접한 상태에서, 렌즈틀(4d)의 하단부와 촬상 기판(19b)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클리어런스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전되고, 이 접착제에 의해, 렌즈틀(4d)의 하단부와 촬상 기판(19b)이 접착된다. 또한, 이러한 접착제 및 렌즈틀(4d)은, 렌즈(4a, 4b) 및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면에 대해 불필요한 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차광한다.
고체 촬상 소자(5)는, 수광면을 갖는 CCD 또는 CMOS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이며, 전술한 발광 소자(3a∼3d)에 의해 조명된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체 촬상 소자(5)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인 촬상 기판(19b)에 실장(예를 들면 플립 칩 실장)되고, 이 촬상 기판(19b)의 개구부를 통하여 렌즈(4b)와 수광면을 대향시킨다. 이 경우, 고체 촬상 소자(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광측 소자면과 렌즈(4b)의 다리부를 당접시키고, 촬상 기판(19b)과 렌즈틀(4d)의 하단부와의 접착에 의해, 이 렌즈(4b)의 다리부와의 당접 상태를 유지하면서 광학 유닛(4)에 대해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5)는, 전술한 렌즈(4a, 4b)에 의해 집광된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면을 통하여 수광하고, 이러한 렌즈(4a, 4b)에 의해 수광면에 결상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즉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한다.
발광 소자(6a∼6d)는, 방향 B측에 위치하는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 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소자(6a∼6d)는 LED 등의 발광 소자이며,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인 조명 기판(19f)에 실장된다. 이 경우, 발광 소자(6a∼6d)는,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f)의 개구부에 삽통한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후술함)을 둘러싸도록 조명 기판(19f)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6a∼6d)는, 소정의 조명광(예를 들면 백색광)을 발광하여, 후단측의 광학 돔(2c) 넘어로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한다.
또한, 조명 기판(19f)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의 수량은,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데에 충분한 광량의 조명광을 발광 가능하면, 특히 4개로 한정되지 않고, 1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발광 소자(6a∼6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f)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하는 경우, 이러한 복수의 발광 소자는 조명 기판(19f)의 개구부에 삽통한 광학 유닛(7)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의 각 위치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유닛(7)은, 전술한 발광 소자(6a∼6d)에 의해 조명된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이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결상한다. 이러한 광학 유닛(7)은, 예를 들면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렌즈(7a, 7b)와, 렌즈(7a, 7b)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부(7c)와, 이러한 렌즈(7a, 7b) 및 조리개부(7c)를 유지하는 렌즈틀(7d)에 의해 실현된다.
렌즈(7a, 7b)는, 전술한 발광 소자(6a∼6d)에 의해 조명된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이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면에 결상한다. 조리개부(7c)는, 이러한 렌즈(7a, 7b)에 의해 집광되는 반사광의 밝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조인다(조정한다). 렌즈틀(7d)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 구조를 갖고, 통 내부에 렌즈(7a, 7b) 및 조리개부(7c)를 유지한다. 이러한 렌즈틀(7d)은, 조명 기판(19f)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통된 양태로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후술함)의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된다. 이 경우, 렌즈틀(7d)은 상단부(렌즈(7a) 측의 개구단부) 및 몸통부를 조명 기판(19f) 측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판 형상부(15a)의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하단부를 계지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에 고정된 렌즈틀(7d)은, 위치 결정부(15)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위치(즉 광학 돔(2c)에 대한 바람직한 상대 위치)에 렌즈(7a, 7b)를 유지한다. 이러한 렌즈(7a, 7b)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 CL과 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렌즈틀(7d)에 유지되는 렌즈(7b)는, 전술한 광학 유닛(4)의 렌즈(4b)와 마찬가지로 다리부(도 1을 참조)를 갖고, 이 다리부를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측 소자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렌즈(7b)와 고체 촬상 소자(8)와의 광축 방향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렌즈(7b)의 다리부가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측 소자면에 당접한 상태에서, 렌즈틀(7d)의 하단부와 촬상 기판(19e)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클리어런스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전되고, 이 접착제에 의해 렌즈틀(7d)의 하단부와 촬상 기판(19e)이 접착된다. 또한, 이러한 접착제 및 렌즈틀(7d)은 렌즈(7a, 7b) 및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면에 대해 불필요한 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차광한다.
고체 촬상 소자(8)는, 수광면을 갖는 CCD 또는 CMOS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이 며, 전술한 발광 소자(6a∼6d)에 의해 조명된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체 촬상 소자(8)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인 촬상 기판(19e)에 실장(예를 들면 플립 칩 실장)되고, 이 촬상 기판(19e)의 개구부를 통하여 렌즈(7b)와 수광면을 대향시킨다. 이 경우, 고체 촬상 소자(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광측 소자면과 렌즈(7b)의 다리부를 당접시키고, 촬상 기판(19e)과 렌즈틀(7d)의 하단부와의 접착에 의해, 이 렌즈(7b)의 다리부와의 당접 상태를 유지하면서 광학 유닛(7)에 대해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고체 촬상 소자(8)는, 전술한 렌즈(7a, 7b)에 의해 집광된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면을 통하여 수광하고, 이러한 렌즈(7a, 7b)에 의해 수광면에 결상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즉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한다.
무선 유닛(9a) 및 안테나(9b)는, 전술한 고체 촬상 소자(5, 8)에 의해 촬상된 방향 F측 또는 방향 B측의 각 체내 화상을 외부에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유닛(9a)은,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인 무선 기판(19d)에 실장되고, 전술한 고체 촬상 소자(8)를 실장한 촬상 기판(19e)과 대향하는 양태로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다. 안테나(9b)는,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의 면 상에 고정된 조명 기판(19f) 상에 고정 배치되고, 무선 기판(19d) 및 조명 기판(19f) 등을 통하여 무선 유닛(9a)과 접속된다. 이 경우, 안테나(9b)는, 후단측의 광학 돔(2c)과 대향하는 조명 기판(19f)의 외연부이며 전술한 발광 소자(6a∼6d)에 비해 외측에 고정 배치된다.
무선 유닛(9a)은, 고체 촬상 소자(5)에 의해 촬상된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를 취득한 경우, 그 때마다, 취득한 화상 신호에 대해 변조 처리 등을 행하여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9b)를 통하여 외부에 송신한다. 한편, 무선 유닛(9a)은 고체 촬상 소자(8)에 의해 촬상된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를 취득한 경우, 그 때마다, 취득한 화상 신호에 대해 변조 처리 등을 행하여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9b)를 통하여 외부에 송신한다. 이러한 무선 유닛(9a)은 제어부(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와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교대로 생성하고, 생성한 각 무선 신호를 교대로 송신한다.
제어부(10)는, DSP 등의 프로세서이며,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리지드 기판인 제어 기판(19c)에 실장된 상태에서 케이스(2) 내부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제어부(10)는, 제어 기판(19c) 및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조명 기판(19a, 19f), 촬상 기판(19b, 19e) 및 무선 기판(19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조명 기판(19a)에 실장된 발광 소자(3a∼3d)와, 조명 기판(19f)에 실장된 발광 소자(6a∼6d)와, 촬상 기판(19b, 19e)에 각각 실장된 고체 촬상 소자(5, 8)와, 무선 기판(19d)에 실장된 무선 유닛(9a)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발광 소자(3a∼3d)의 발광 동작에 동기하여 고체 촬상 소자(5)가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소정 시간마다 촬상하도록, 발광 소자(3a∼3d)와 고체 촬상 소자(5)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0)는 발광 소자(6a∼6d)의 발광 동작에 동기하여 고체 촬상 소자(8)가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소정 시간마다 촬상하도록, 발광 소자(6a∼6d)와 고체 촬상 소자(8)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이러한 방향 F측의 체내 화상과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교대로 무선 송신하도록, 무선 유닛(9a)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화이트 밸런스 등의 화상 처리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를 갖고, 고체 촬상 소자(5)가 촬상한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와 고체 촬상 소자(8)가 촬상한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제어 기판(19c)에는 제어부(10)가 실장된 기판면과 반대측의 기판면에 전원계의 회로 부품, 즉 자기 스위치(11a) 등의 각종 회로 부품이 실장된다. 도 4는, 제어 기판(19c)에 전원계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19c)의 일 기판면에는, 전원계의 회로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자기 스위치(11a)와 콘덴서(11b, 11c)와 전원 IC(11d)가 실장된다. 이 경우, 콘덴서(11b, 11c) 및 전원 IC(11d)는 제어 기판(19c)에 표면 실장되고, 자기 스위치(11a)는, 그 양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에 의해 전원 IC(11d)를 걸치는 양태로 제어 기판(19c)에 실장된다. 이러한 자기 스위치(11a)는 소정 방향의 외부 자장을 인가함으로써 온 오프 상태를 절환하고, 온 상태의 경우에, 발광 소자(3a∼3d, 6a∼6d)와 고체 촬상 소자(5, 8)와 무선 유닛(9a)과 제어부(10)에 대해 전지(12a, 12b)로부터의 전력을 공급 개시하고, 오프 상태의 경우에, 이러한 전지(12a, 12b)로부터의 전력을 공급 정지한다. 한편, 전원 IC(11d)는, 이러한 자기 스위치(11a)를 통한 각 구성부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 는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다.
전지(12a, 12b)는, 전술한 발광 소자(3a∼3d, 6a∼6d), 고체 촬상 소자(5, 8), 무선 유닛(9a) 및 제어부(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지(12a, 12b)는, 예를 들면 산화은 전지 등의 버튼형 건전지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 받이부(16, 17)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태로 위치 결정부(14)의 단부와 하중 받이부(17)의 단부에 의해 파지된다. 여기서, 이러한 전지(12a, 12b)에 각각 대향하는 하중 받이부(16, 17)의 각 면에는, 플렉시블 기판 등을 통하여 제어 기판(19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기판(18a, 18b)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전원 기판(18a, 18b)에는, 도전성의 접점 용수철(13a, 13b)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하중 받이부(16, 17)의 사이에 배치된 전지(12a, 12b)는, 접점 용수철(13a, 13b)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14)의 단부와 하중 받이부(17)의 단부에 의해 파지되고, 수축 상태의 접점 용수철(13a, 13b) 및 전원 기판(18a, 18b)을 통하여 제어 기판(19c) 상의 전원계의 회로 부품(자기 스위치(11a), 콘덴서(11b, 11c) 및 전원 IC(11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는 전지의 수량은, 필요한 전력을 공급 가능한 정도이면 되고, 특히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결정부(14)는, 발광 소자(3a∼3d)를 실장한 조명 기판(19a)과 광학 유닛(4)이 고정 배치되고, 전단측의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 고정된다. 이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 고정한 위치 결정부(14)는, 광학 돔(2b)과 발광 소자(3a∼3d)와 광학 유닛(4)과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여, 광학 돔(2b)에 대한 발광 소자(3a∼3d) 및 광학 유닛(4)의 바람직한 각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14)는,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되는 판 형상부(14a)와, 이 판 형상부(14a)를 광학 돔(2b)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14b)에 의해 형성된다.
판 형상부(14a)는, 광학 돔(2b)의 내경 치수에 맞춘 외경 치수를 갖는 대략 원반 형상의 판 부재이며,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하는 외주면을 갖는다. 또한, 판 형상부(14a)에는, 전술한 조명 기판(19a) 및 광학 유닛(4)이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판 형상부(14a)는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된 경우에 광학 돔(2b)에 대향하는 면 상에 조명 기판(19a)을 고정 배치한다. 또한, 판 형상부(14a)는 조명 기판(19a)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대략 면 중심부에 갖고, 이 관통 구멍에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을 삽입 고정(예를 들면 감합 고정)한다. 또한, 이러한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에 삽입 고정된 렌즈틀(4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에 삽통한 양태로 조명 기판(19a) 측으로 상단부 및 몸통부를 돌출시킨다. 이러한 판 형상부(14a)는, 렌즈틀(4d)의 상단부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발광 소자(3a∼3d)의 각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렌즈틀(4d)과 발광 소자(3a∼3d)와의 위치 관계를 고정한다.
돌기부(14b)는, 전술한 판 형상부(14a)로부터 돌기하고,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에 계지하여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판 형상부(14a)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4b)는 판 형상부(14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조명 기판(19a)가 고정 배치된 판 형상부(14a)의 면의 이면으로부터 돌기한다. 이러한 돌기부(14b)는, 광 학 돔(2b)의 내경 치수에 맞춘 외경 치수(즉 판 형상부(14a)와 동등한 외경 치수)의 통 형상 구조를 갖고, 이 통 형상 구조의 개구단부에,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와 계합하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돌기부(14b)는, 전술한 판 형상부(14a)와 함께 광학 돔(2b)의 내주면에 감합되면서,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에 플랜지부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14b)는 광학 돔(2b)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판 형상부(14a)를 고정한다.
위치 결정부(15)는, 발광 소자(6a∼6d)를 실장한 조명 기판(19f)과 광학 유닛(7)이 고정 배치되고, 후단측의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 고정된다. 이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 고정한 위치 결정부(15)는, 광학 돔(2c)과 발광 소자(6a∼6d)와 광학 유닛(7)과의 위치 관계를 고정하여, 광학 돔(2c)에 대한 발광 소자(6a∼6d) 및 광학 유닛(7)의 바람직한 각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15)는,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되는 판 형상부(15a)와, 이 판 형상부(15a)를 광학 돔(2c)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15b)에 의해 형성된다.
판 형상부(15a)는, 광학 돔(2c)의 내경 치수에 맞춘 외경 치수를 갖는 대략 원반 형상의 판 부재이며,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하는 외주면을 갖는다. 또한, 판 형상부(15a)에는, 전술한 조명 기판(19f) 및 광학 유닛(7)이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판 형상부(15a)는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된 경우에 광학 돔(2c)에 대향하는 면 상에 조명 기판(19f)을 고정 배치한다. 또한, 판 형상부(15a)는 조명 기판(19f)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대략 면 중심 부에 갖고, 이 관통 구멍에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을 삽입 고정(예를 들면 감합 고정)한다. 또한, 이러한 판 형상부(15a)의 관통 구멍에 삽입 고정된 렌즈틀(7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f)의 개구부에 삽통한 양태로 조명 기판(19f) 측으로 상단부 및 몸통부를 돌출시킨다. 이러한 판 형상부(15a)는, 렌즈틀(7d)의 상단부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발광 소자(6a∼6d)의 각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렌즈틀(7d)과 발광 소자(6a∼6d)와의 위치 관계를 고정한다.
돌기부(15b)는, 전술한 판 형상부(15a)로부터 돌기하고,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에 계지하여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판 형상부(15a)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5b)는 판 형상부(15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조명 기판(19f)가 고정 배치된 판 형상부(15a)의 면의 이면으로부터 돌기한다. 이러한 돌기부(15b)는 광학 돔(2c)의 내경 치수에 맞춘 외경 치수(즉 판 형상부(15a)와 동등한 외경 치수)의 통 형상 구조를 갖고, 이 통 형상 구조의 개구단부에,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와 계합하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돌기부(15b)는, 전술한 판 형상부(15a)와 함께 광학 돔(2c)의 내주면에 감합되면서,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에 플랜지부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15b)는 광학 돔(2c)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판 형상부(15a)를 고정한다.
하중 받이부(16)는, 전술한 접점 용수철(13a)의 탄성력(탄발력)을 받고, 이 탄성력에 의해 위치 결정부(14)를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에 압압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중 받이부(16)는 위치 결정부(14)의 돌기부(14b)의 내주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외연부를 계합시키는 대략 원반 형상의 판 부재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12a)에 대향하는 면 상에 전원 기판(18a) 및 접점 용수철(13a)을 갖는다. 이러한 하중 받이부(16)는, 전술한 접점 용수철(13a)의 수축에 수반하여 발생한 접점 용수철(13a)의 탄성력을 받고, 이 접점 용수철(13a)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14b)의 플랜지부를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에 압압 고정한다. 이 경우, 하중 받이부(16)는 광학 돔(2b)의 개구단부에 대해 돌기부(14b)를 압압 고정함으로써, 이 돌기부(14b)와 일체적인 판 형상부(14a)를 광학 돔(2b)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감합 고정한다.
또한, 이러한 하중 받이부(16)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기판(19b)에 실장된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하중 받이부(16)가 돌기부(14b)의 내주측 단차부에 계합된 경우, 이러한 하중 받이부(16) 및 위치 결정부(1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4b)의 다리부에 당접한 상태의 고체 촬상 소자(5)와, 렌즈틀(4d)의 하단부에 대해 고정된 상태의 촬상 기판(19b)을 배치하는 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하중 받이부(17)는, 전술한 접점 용수철(13b)의 탄성력(탄발력)을 받고, 이 탄성력에 의해 위치 결정부(15)를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에 압압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중 받이부(17)는 케이스(2)의 통 형상 몸통부(2a)의 내경 치수에 비해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갖는 통 형상 구조부를 갖고, 이 통 형상 구조부의 한쪽의 개구단측에, 전술한 전지(12b)에 대향하는 판 형상부를 갖는 부재이다.
이러한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는, 케이스(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그 다른 쪽의 개구단부를 위치 결정 부(15)의 돌기부(15b)의 개구단부(플랜지부)에 계합시킨다. 이 경우,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 및 위치 결정부(1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 및 자기 스위치(11a) 등의 회로 부품을 실장한 제어 기판(19c)과, 무선 유닛(9a)을 실장한 무선 기판(19d)과, 렌즈(7b)의 다리부에 당접한 상태의 고체 촬상 소자(8)와, 렌즈틀(7d)의 하단부에 대해 고정된 상태의 촬상 기판(19e)을 배치하는 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하중 받이부(17)의 판 형상부는,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의 일 개구단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12b)에 대향하는 면 상에 전원 기판(18b) 및 접점 용수철(13b)을 갖는다. 또한, 하중 받이부(17)의 판 형상부는, 전술한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한 제어 기판(19c)에 실장되어 있는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하중 받이부(17)의 판 형상부는, 전술한 접점 용수철(13b)의 수축에 수반하여 발생한 접점 용수철(13b)의 탄성력을 받고, 이 접점 용수철(13b)의 탄성력에 의해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를 위치 결정부(15)의 돌기부(15b)의 개구단부에 압압한다.
이러한 통 형상 구조부 및 판 형상부를 갖는 하중 받이부(17)는, 전술한 접점 용수철(13b)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15b)의 플랜지부를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에 압압 고정한다. 이 경우, 하중 받이부(17)는 광학 돔(2c)의 개구단부에 대해 돌기부(15b)를 압압 고정함으로써, 이 돌기부(15b)와 일체적인 판 형상부(15a)를 광학 돔(2c)의 내주면에서의 소정 위치에 감합 고정한다.
다음으로, 캡슐형 내시경(1)의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는 일련의 회로 기판(구체적으로는, 조명 기판(19a, 19f), 촬상 기판(19b, 19e), 제어 기판(19c) 및 무선 기판(19d))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캡슐형 내시경(1)의 케이스(2) 내부에 접어진 양태로 배치되는 일련의 회로 기판을 전개한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한 플렉시블 기판 또는 리지드 기판의 각 기판면을 표면측의 기판면(표면 기판면)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도시된 표면 기판면의 이면을 이면측의 기판면(이면 기판면)이라고 정의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1)의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는 일련의 회로 기판(20)은, 조명 기판(19a)과 촬상 기판(19b)을 연결한 양태의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과, 리지드 기판인 제어 기판(19c)과, 무선 기판(19d)과 촬상 기판(19e)과 조명 기판(19f)을 연결한 양태의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b)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실현된다.
조명 기판(19a)은 캡슐형 내시경(1)의 방향 F측의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조명 기판(19a)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복수의 발광 소자(3a∼3d)가 실장되고, 이러한 발광 소자(3a∼3d)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조명 기판(19a)의 기판면 중심부에는, 고체 촬상 소자(5)에 다리부를 당접한 상태의 렌즈(4b)를 갖는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H1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 기판(19a)은,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인 연장부 A1을 통하여 촬상 기판(19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상 기판(19b)은, 방향 F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촬상 기판(19b)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고체 촬상 소자(5)가 플립 칩 실장되고, 또한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필요에 따라서 실장된다. 또한, 촬상 기판(19b)에는, 도 5의 점선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립 칩 실장된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면에 방향 F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입사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특별히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촬상 기판(19b)의 이면 기판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촬상 기판(19b)의 개구부를 통하여 고체 촬상 소자(5)의 수광측 소자면에 렌즈(4b)의 다리부를 당접시킨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촬상 기판(19b)은,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인 연장부 A2를 통하여 제어 기판(19c)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기판(19c)은, 자기 스위치(11a) 등의 전원계 및 제어부(10)에 필요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리지드 기판이다. 제어 기판(19c)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제어부(10)가 실장되고, 또한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필요에 따라서 실장된다. 한편, 제어 기판(19c)의 이면 기판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계의 회로 부품인 자기 스위치(11a), 콘덴서(11b, 11c) 및 전원 IC(11d)가 실장된다. 이러한 제어 기판(19c)은, 후술하는 무선 기판(19d)의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인 연장부 A3을 통하여 무선 기판(19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특별히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 기판(19c)은 플렉시블 기판 등(도시 생략)을 통하여, 전술한 전원 기판(18a, 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무선 기판(19d)은 방향 F측의 체내 화상과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순차적으로 외부에 무선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무선 기판(19d)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무선 유닛(9a)이 실장된다. 또한, 특별히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무선 기판(19d)은,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f)의 외연부에 고정 배치된 안테나(9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무선 기판(19d)은,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인 연장부 A4를 통하여 촬상 기판(19e)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상 기판(19e)은, 방향 B측의 체내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촬상 기판(19e)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고체 촬상 소자(8)가 플립 칩 실장되고, 또한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필요에 따라서 실장된다. 또한, 촬상 기판(19e)에는, 도 5의 점선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립 칩 실장된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면에 방향 B측의 피검체 내부로부터의 반사광을 입사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특별히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촬상 기판(19e)의 이면 기판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촬상 기판(19e)의 개구부를 통하여 고체 촬상 소자(8)의 수광측 소자면에 렌즈(7b)의 다리부를 당접시킨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촬상 기판(19e)은,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인 연장부 A5를 통하여 조명 기판(19f)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조명 기판(19f)은, 캡슐형 내시경(1)의 방향 B측의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조명 기판(19f)의 표면 기판면에는, 전술한 복수의 발광 소자(6a∼6d)가 실장되고, 이러한 발광 소자(6a∼6d)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조명 기판(19f)의 기판면 중심부에는, 고체 촬상 소자(8)에 다리부를 당접한 상태의 렌즈(7b)를 갖는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H2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은, 전술한 조명 기판(19a) 및 촬상 기판(19b)을 갖는 일체적인 플렉시블 기판이며, 제어 기판(19c)에 접속하기 위한 연장부 A2를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촬상 기판(19b)과 조명 기판(19a)을 연장부 A1을 통하여 접속한 기판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b)은, 전술한 무선 기판(19d)과 촬상 기판(19e)과 조명 기판(19f)을 갖는 일체적인 플렉시블 기판이며, 제어 기판(19c)에 접속하기 위한 연장부 A3을 외연부로부터 연장된 무선 기판(19d)과 촬상 기판(19e)을 연장부 A4를 통하여 접속한 기판 구조와, 이 촬상 기판(19e)과 조명 기판(19f)을 연장부 A5를 통하여 접속한 기판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캡슐형 내시경(1)의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는 일련의 회로 기판(20)은, 이러한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 20b)과 제어 기판(19c)을 연장부 A2, A3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캡슐형 내시경(1)은, 도 5에 도시한 일련의 회로 기판(20)을 제작하고, 이 제작한 일련의 회로 기판(20)과 위치 결정부(14, 15)와 하중 받이부(16, 17)와 전지(12a, 12b)를 조합함으로써 기능 유닛을 제작하고, 이 제작한 기능 유닛 을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제조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의 조명 기판(19a) 및 촬상 기판(19b)에 대해 필요한 부품을 실장하고, 제어 기판(19c)에 대해 필요한 부품을 실장하고,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b)의 무선 기판(19d), 촬상 기판(19e) 및 조명 기판(19f)에 대해 필요한 부품을 실장한다. 이 경우,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에서, 조명 기판(19a)의 표면 기판면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3a∼3d)가 실장되고, 촬상 기판(19b)의 표면 기판면에는 고체 촬상 소자(5)와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촬상 기판(19b)의 이면 기판면에는 고체 촬상 소자(5)와 렌즈(4b)의 다리부를 당접시키는 양태로 광학 유닛(4)이 실장된다. 또한,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b)에서, 조명 기판(19f)의 표면 기판면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6a∼6d)와 안테나(9b)가 실장되고, 촬상 기판(19e)의 표면 기판면에는 고체 촬상 소자(8)와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촬상 기판(19e)의 이면 기판면에는 고체 촬상 소자(8)와 렌즈(7b)의 다리부를 당접시키는 양태로 광학 유닛(7)이 실장된다. 한편, 제어 기판(19c)의 표면 기판면에는 제어부(10)와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제어 기판(19c)의 이면 기판면에는 자기 스위치(11a) 등의 전원계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다. 이러한 일련의 플렉시블 기판(20a, 20b)과 제어 기판(19c)을 접속함으로써, 일련의 회로 기판(20)이 제작된다.
여기서,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은, 전술한 위치 결정부(14)에 대해 별체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14)(구체적으로는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하기 전에, 촬상 기판(19b)의 이면 기판면에 실장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촬상 기판(19b)과 렌즈틀(4d)의 하단부와의 클리어런스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촬상 기판(19b)에 렌즈틀(4d)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은, 촬상 기판(19e)의 이면 기판면에 실장되는 렌즈틀(7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일련의 회로 기판(20)과 위치 결정부(14, 15)와 하중 받이부(16, 17)와 전지(12a, 12b)를 조합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1)의 기능 유닛을 제작한다. 이러한 기능 유닛은, 도 1에 도시한 캡슐형 내시경(1) 중의 케이스(2)를 제외한 것(즉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닛)이다.
이러한 기능 유닛에서, 촬상 기판(19b)에 실장된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은,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된다. 이 판 형상부(14a)의 일면(광학 돔(2b)에 대향하는 면)에는 접합 부재로서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가 도포 혹은 첨부되고, 조명 기판(19a)은 개구부 H1에 렌즈틀(4d)을 삽통한 양태로 접합 부재에 의해 판 형상부(14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명 기판(19a) 및 촬상 기판(19b) 등이 부착된 위치 결정부(14)의 돌기부(14b)에는 하중 받이부(16)의 외연부가 계합된다. 이 경우, 하중 받이부(16)는, 이 촬상 기판(19b)의 고체 촬상 소자(5)에 대향하는 면의 이면에 전원 기판(18a) 및 접점 용수철(13a)을 배치하는 양태로 돌기부(14b)에 부착된다.
한편, 촬상 기판(19e)에 실장된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은,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된다. 이 판 형상부(15a)의 일면(광학 돔(2c)에 대향하는 면)에는 접합 부재로서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가 도포 혹은 첨부되고, 조명 기판(19f)은 개구부 H2에 렌즈틀(7d)을 삽통한 양태로 접합 부재에 의해 판 형상부(15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명 기판(19f) 및 촬상 기판(19e) 등이 부착된 위치 결정부(15)의 돌기부(15b)에는,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의 단부가 계합된다. 이 경우, 하중 받이부(17)는, 그 통 형상 구조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제어 기판(19c) 및 무선 기판(19d)을 배치함과 함께, 전술한 하중 받이부(16)의 전원 기판(18a) 및 접점 용수철(13a)에 대해 전원 기판(18b) 및 접점 용수철(13b)을 각각 대향 가능한 양태로 돌기부(15b)에 부착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기판(18a) 및 접점 용수철(13a)에 대해 전원 기판(18b) 및 접점 용수철(13b)을 각각 대향시키는 하중 받이부(16, 17)의 사이에는, 전지(12a, 12b)가 배치된다. 이 경우, 전지(12a, 12b)는, 서로의 +극과 -극을 접촉시킨 양태로 위치 결정부(14)의 돌기부(14b)와 하중 받이부(17)의 단부에 의해 파지된다. 이러한 전지(12a, 12b)는, 접점 용수철(13a, 13b)을 수축시킴과 함께, 이들 접점 용수철(13a, 13b)을 통하여 전원 기판(18a, 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캡슐형 내시경(1)의 기능 유닛이 제작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 유닛에 조립된 일련의 회로 기판(20)은, 소정의 양태로 접어져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를 통하여 조명 기판(19a)의 이면 기판면과 촬상 기판(19b)의 이면 기판면이 대향하고, 하중 받이부(16, 17) 및 전지(12a, 12b) 등을 통하여 촬상 기판(19b)의 표면 기판면과 제어 기판(19c)의 표면 기판면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19c)의 이면 기판면과 무선 기판(19d)의 이면 기판면이 대향하고, 무선 기판(19d)의 표면 기판면과 촬상 기판(19e)의 표면 기판면이 대향하고,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를 통하여 촬상 기판(19e)의 이면 기판면과 조명 기판(19f)의 이면 기판면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연장부 A1은, 위치 결정부(14)에 형성된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되고, 연장부 A2는, 위치 결정부(14)의 돌기부(14b) 및 하중 받이부(17)에 형성된 각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된다. 연장부 A3은, 하중 받이부(17)의 통 형상 구조부에 형성된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되고, 연장부 A4는, 하중 받이부(17)의 개구단부 및 위치 결정부(15)의 돌기부(15b)에 형성된 각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되고, 연장부 A5는, 위치 결정부(15)에 형성된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된다.
그 후, 전술한 기능 유닛은 캡슐형의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전술한 기능 유닛은 통 형상 몸통부(2a)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 기능 유닛을 수용한 통 형상 몸통부(2a)의 양측 개구단부에 광학 돔(2b, 2c)이 부착된다. 이 경우, 광학 돔(2b, 2c)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몸통부(2a)의 양측 개구단 근방의 각 내주면에 감합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슐형 내시경(1)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조명 기판(19a)과 렌즈틀(4d)과의 부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부착한 렌즈틀(4d)과 조명 기판(19a)과의 부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은, 일 단부(구체적으로는 렌즈(4a) 측의 개구단부인 상단부 E1)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고,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부착된다. 이 경우,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외경을 갖는 렌즈틀(4d)은, 끝이 가늘어진 상단부 E1로부터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렌즈틀(4d)의 상단부 E1의 외주와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을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결과 렌즈틀(4d)의 상단부 E1과 광학 돔(2b)을 대향시키는 양태로 판 형상부(14a)의 관통 구멍에 렌즈틀(4d)을 용이하게 감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감합 고정된 렌즈틀(4d)에는, 전술한 조명 기판(19a)이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a)은, 이 위치 결정부(14)에 형성된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한 연장부 A1에 연속하여, 판 형상부(14a)의 상면측(도 1에 도시한 광학 돔(2b)에 대향하는 면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이 연장부 A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19a)의 외주(외연부)의 일부에 연장된 플렉시블 기판부이며, 절곡함으로써 조명 기판(19a)을 판 형상부(14a)의 상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절곡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연장부 A1을 외주의 일부에 갖는 조명 기판(19a)은, 연장부 A1을 절곡하면서, 이 연장부 A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렌즈틀(4d)에 개구부 H1을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조명 기판(19a)은, 개구부 H1에 렌즈틀(4d)을 삽입하면서, 판 형상부(14a)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 H1에 렌즈틀(4d)을 삽입한 양태로 판 형상부(14a)의 상면에 조명 기판(19a)을 고정함으로써, 이러 한 렌즈틀(4d)과 조명 기판(19a)과의 부착이 완료된다.
여기서, 렌즈틀(4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 E1이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가지므로, 연장부 A1을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조명 기판(19a)과 상단부 E1의 외주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렌즈틀(4d)의 상단부 E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 A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판 형상부(14a)에 면 접촉할 때까지 조명 기판(19a)을 회전시킨 경우에 개구부 H1의 주연(즉 개구부 H1을 형성하는 조명 기판(19a)의 내주)에 의해 그려지는 궤적 M1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4d)은,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 H1과 상단부 E1의 외주와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연장부 A1을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조명 기판(19a)과 상단부 E1의 외주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개구부 H1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에 대해, 만약 렌즈틀(4d)이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원통 형상의 렌즈틀(4d)을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 H1에 삽입하는 경우, 조명 기판(19a)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대략 평행한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4d)의 상단부의 외주와 개구부 H1을 정확하게 위치 정렬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렌즈틀(4d)의 상단부의 외주와 개구부 H1과의 위치 정렬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도 6, 도 7을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4d)을 개구부 H1에 삽입하는 경우에 비해 연장부 A1의 길이를 길게 해야만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틀(4d)이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가짐으로써,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 H1과 렌즈틀(4d)의 상단부 E1의 외주를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결과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 H1에 렌즈틀(4d)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조명 기판(19a)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연장부 A1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방향 B측의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은, 전술한 방향 F측의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과 마찬가지로, 일단부(구체적으로는 렌즈(7a) 측의 개구단부인 상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으므로, 렌즈틀(4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부(15)의 판 형상부(15a)의 관통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틀(7d)의 외형을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명 기판(19f)의 개구부 H2에 렌즈틀(7d)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조명 기판(19f)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연장부 A5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에서는, 조명부에 의해 조명된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의 외형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에 형성한 개구부에 비해, 이 렌즈틀의 끝이 가늘어진 일단부의 외경 치수를 소직경으로 하고, 이 끝이 가늘어진 일단부로부터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이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할 때에 개구부와 렌즈틀의 상단부의 외주를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결과 이 렌즈틀의 상단부와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이 조명 기 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이러한 조명 기판과 렌즈틀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 기판의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연장부)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장치 규모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에 관한 기판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에서는, 조명 기판, 촬상 기판 및 무선 기판 등의 회로 기판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 기판으로서 리지드 기판을 채용한 캡슐형 의료 장치에 비해 장치 규모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코스트를 더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삽입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의 외형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조명 기판의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연장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부를 조명 기판에 형성하고, 이와 같이 확대 개방한 개구부에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삽입하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방향 F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방향 B측으로부터 광학 돔 넘어로 본 캡슐형 내시경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모식 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21)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1)의 광학 유닛(4, 7) 대신에 광학 유닛(24, 27)을 갖고, 조명 기판(19a, 19f) 대신에 조명 기판(29a, 29f)을 갖는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며,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광학 유닛(24)은, 전술한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4d) 대신에 렌즈틀(24d)을 갖는다. 이 이외, 광학 유닛(24)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광학 유닛(4)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렌즈틀(24d)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이 이외, 전술한 광학 유닛(4)의 렌즈틀(4d)과 마찬가지의 기능 및 구조를 갖는다. 한편, 광학 유닛(27)은, 전술한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7d) 대신에 렌즈틀(27d)을 갖는다. 이 이외, 광학 유닛(27)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광학 유닛(7)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렌즈틀(27d)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이 이외, 전술한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과 마찬가지의 기능 및 구조를 갖는다.
조명 기판(29a)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조명 기판(19a)의 개구부 H1(렌즈틀(4d)의 몸통부에 맞춘 대략 원형의 개구부) 대신에 개구부 H3을 갖는다. 개구부 H3은, 렌즈틀(24d)을 삽입 가능한 직경 치수의 개구를 더욱 확대 개방한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 H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틀(24d)의 외경 치수에 일치한 본래의 개구를, 조명 기판(29a)의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연장부 A1에 대해 원방측으로 길이 L1만큼 확대 개방함으로써 형성된다. 조명 기판(29a)은, 이러한 개구부 H3이 형성된 것 이외, 전술한 조명 기판(19a)과 마찬가지의 기능 및 구조를 갖는 다.
조명 기판(29f)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조명 기판(19f)의 개구부 H2(렌즈틀(7d)의 몸통부에 맞춘 대략 원형의 개구부) 대신에 개구부 H4를 갖는다. 개구부 H4는, 렌즈틀(27d)을 삽입 가능한 직경 치수의 개구를 더욱 확대 개방한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 H4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틀(27d)의 외경 치수에 일치한 본래의 개구를, 조명 기판(29f)의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연장부 A5에 대해 원방측으로 길이 L2만큼 확대 개방함으로써 형성된다. 조명 기판(29f)은, 이러한 개구부 H4가 형성된 것 이외, 전술한 조명 기판(19f)과 마찬가지의 기능 및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전술한 조명 기판(29a)과 렌즈틀(24d)과의 부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부착한 렌즈틀(24d)과 조명 기판(29a)과의 부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유닛(24)의 렌즈틀(24d)은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위치 결정부(14)의 판 형상부(14a)에 부착된다. 이 경우, 렌즈틀(24d)은, 이 판 형상부(14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감합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판 형상부(14a)에 감합 고정된 렌즈틀(24d)에는, 전술한 조명 기판(29a)이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기판(29a)은, 이 위치 결정부(14)에 형성된 절결부(도시 생략)에 삽통한 연장부 A1에 연속하여, 판 형상부(14a)의 상면측(도 8에 도시한 광학 돔(2b)에 대향하는 면측)에 배치된다. 또 한, 이 연장부 A1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곡함으로써 조명 기판(29a)을 판 형상부(14a)의 상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절곡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연장부 A1을 외주의 일부에 갖는 조명 기판(29a)은, 연장부 A1을 절곡하면서, 이 연장부 A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렌즈틀(24d)에 개구부 H3을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조명 기판(29a)은, 개구부 H3에 렌즈틀(24d)을 삽입하면서, 판 형상부(14a)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 H3에 렌즈틀(24d)을 삽입한 양태로 판 형상부(14a)의 상면에 조명 기판(29a)을 고정함으로써, 이러한 렌즈틀(24d)과 조명 기판(29a)과의 부착이 완료된다.
여기서, 조명 기판(29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 A1에 대해 원방측으로 길이 L1만큼 본래의 개구(렌즈틀(24d)의 외경 치수에 일치한 개구)를 확대 개방한 개구부 H3을 갖는다. 이러한 개구부 H3은, 연장부 A1을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조명 기판(29a)과 렌즈틀(24d)의 상단부 E2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렌즈틀(24d)의 상단부 E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 A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판 형상부(14a)에 면 접촉할 때까지 조명 기판(29a)을 회전시킨 경우에 개구부 H3의 주연(즉 개구부 H3을 형성하는 조명 기판(29a)의 내주)에 의해 그려지는 궤적 M2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확대 개방한 개구부 H3을 갖는 조명 기판(29a)은, 가령 렌즈틀(24d)이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이어도, 이 렌즈틀(24d)의 상단부 E2의 외주와 개구부 H3과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이 상단부 E2의 외주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개구부 H3에 렌즈틀(24d)을 용이하게 삽 입한다. 이 결과,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조명 기판(29a)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연장부 A1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방향 B측의 조명 기판(29f)은, 전술한 방향 F측의 조명 기판(29a)과 마찬가지로, 연장부 A5에 대해 원방측으로 길이 L2만큼 본래의 개구(렌즈틀(27d)의 외경 치수에 일치한 개구)를 확대 개방한 개구부 H4를 갖고 있으므로, 조명 기판(29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개구부 H4에 렌즈틀(27d)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연장부 A5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에서는, 조명 기판의 외주에 형성된 절곡부(연장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직경 치수의 개구를 확대 개방한 개구부를 조명 기판에 형성하고, 이 절곡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렌즈틀에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조명 기판을 회전시켜, 이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하도록 하고, 그 밖의 것을 전술한 실시 형태 1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가령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이어도,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삽입할 때에 개구부와 렌즈틀의 상단부의 외주를 용이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고, 이 결과 렌즈틀의 상단부와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이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이러한 조명 기판과 렌즈틀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조명 기판의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연장부)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짧게 할 수 있고, 이 결 과, 장치 규모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에 대한 기판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기판, 촬상 기판 및 무선 기판 등의 회로 기판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 기판으로서 리지드 기판을 채용한 캡슐형 의료 장치에 비해 장치 규모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기판 코스트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는, 일단부(상단부)가 끝이 가늘어지는 렌즈틀(4d, 7d)의 외형은, 전체 외주에 걸쳐서 테이퍼 형상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지는 렌즈틀(4d, 7d)은, 외주의 편측에만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틀(4d)의 외형은, 연장부 A1(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을 경사시킨 테이퍼 형상의 외형이어도 된다. 이 경우, 연장부 A1에 대해 동일 거리로 되는 렌즈틀(4d)의 외주상의 2직선을 경계로 하여, 연장부 A1에 대해 근방측의 렌즈틀(4d)의 외형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연장부 A1에 대해 원방측의 렌즈틀(4d)의 외형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 점은, 광학 유닛(7)의 렌즈틀(7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24d, 27d)을 조명 기판(29a, 29f)의 확대 개방한 개구부 H3, H4에 각각 삽입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같은 확대 개방한 개구부 H3, H4에 대해,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렌즈틀(4d, 7d)에 예시되는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을 삽입하여도 된다. 즉, 전술한 실시 형태 1과 실시 형태 2를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에서는,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촬상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고, 체내 정보의 일례인 체내 화상을 취득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체 내의 pH 정보를 체내 정보로서 계측하는 캡슐형 pH 계측 장치이어도 되고, 생체 내에 약제를 산포 또는 주사하는 기능을 구비한 캡슐형 약제 투여 장치이어도 되고, 체내 정보로서 생체 내의 물질(체 조직 등)을 채취하는 캡슐형 채취 장치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은,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는 캡슐형 의료 장치에 유용하고, 특히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이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광학 유닛의 렌즈틀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합하다.

Claims (12)

  1.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상기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틀은,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고, 끝이 가늘어진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판은,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상기 렌즈틀에 상기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렌즈틀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일단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틀은,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遠方側)을 경사시킨 상기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4.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 기판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상기 렌즈틀에 상기 개구부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렌즈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5.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렌즈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과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와의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은, 상기 렌즈틀의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을 회피 가능한 형상은, 상기 조명 기판의 상기 개구부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한 개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8. 피검체 내부에 도입되고, 상기 피검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그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가 조명한 상기 피검체 내부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군과 그 렌즈군을 유지하는 렌즈틀을 갖는 광학 유닛과,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렌즈틀을 삽입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를 실장하는 조명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를 절곡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가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에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렌즈틀의 상단부가 서로 접촉을 회피하면서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촉을 회피하면서 삽입 가능한 형상은,
    상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는 상기 렌즈틀과,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개구 형상을 갖는 상기 조명 기판의 개구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판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11.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는 조명 기판을 절곡하는 스텝과,
    일단부가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 렌즈틀에, 상기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삽입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12. 외주의 일부에 연장된 절곡부를 갖고, 렌즈틀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상기 절곡부에 대해 원방측으로 확대 개방된 조명 기판을 절곡하는 스텝과,
    상기 렌즈틀에, 상기 조명 기판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삽입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97020359A 2007-03-30 2008-03-28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90117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94891 2007-03-30
JP2007094891A JP5000356B2 (ja) 2007-03-30 2007-03-30 カプセル型医療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825A true KR20090117825A (ko) 2009-11-12

Family

ID=3980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359A KR20090117825A (ko) 2007-03-30 2008-03-28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16670A1 (ko)
EP (1) EP2135541A4 (ko)
JP (1) JP5000356B2 (ko)
KR (1) KR20090117825A (ko)
CN (1) CN101646381A (ko)
WO (1) WO2008120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57A1 (ko) * 2018-03-27 2019-10-0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357B2 (ja) * 2007-03-30 2012-08-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
CN102361585B (zh) 2009-03-23 2014-06-25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图像处理系统、外部装置以及图像处理系统的图像处理方法
JP5284846B2 (ja) * 2009-03-30 2013-09-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内観察システム、該生体内観察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2010240104A (ja) * 2009-04-03 2010-10-28 Olympus Corp 体内観察システム、該体内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CN102753081B (zh) * 2010-04-05 2015-06-24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胶囊型医疗装置的封装体
EP2649648A4 (en) * 2010-12-09 2014-05-21 Endochoice Innovation Ct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MULTI-CAMERA ENDOSCOPE
JP5907685B2 (ja) * 2011-08-31 2016-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5913870B2 (ja) * 2011-08-31 2016-04-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WO2014203604A1 (ja) * 2013-06-19 2014-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撮像ユニット
CN107854107A (zh) * 2017-12-26 2018-03-30 张佳凤 一种微痛临床用胃肠镜
CN110604535A (zh) * 2019-09-23 2019-12-24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核及胶囊内窥镜
CN112261399B (zh) * 2020-12-18 2021-03-16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内窥镜图像三维重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53A (ja) * 2003-02-18 2004-09-09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04065575A (ja) * 2002-08-06 2004-03-04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及びその組立方法
US7473218B2 (en) * 2002-08-06 2009-01-06 Olympus Corporation Assembling method of capsule medical apparatus
US7833151B2 (en) * 2002-12-26 2010-11-16 Given Imaging Ltd. In vivo imaging device with two imagers
JP4373180B2 (ja) * 2003-10-27 2009-11-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および撮像装置
WO2005067782A1 (ja) * 2004-01-19 2005-07-28 Olympus Corporation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3993566B2 (ja) 2004-01-22 2007-10-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
JP4024763B2 (ja) 2004-01-19 2007-12-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撮像装置及び内視鏡用撮像装置の組立方法
US7643865B2 (en) * 2004-06-30 2010-01-05 Given Imaging Ltd. Autonomous in-vivo device
US7608080B2 (en) * 2004-07-02 2009-10-27 Warsaw Orthopedic, Inc. Device for inserting implants
JP2007075261A (ja) * 2005-09-13 2007-03-29 Pentax Corp カプセル内視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84357B2 (ja) * 2008-12-09 2010-11-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31149B2 (en) * 2009-05-27 2011-04-26 Given Imaging Ltd. System for storing and activating an in vivo imaging caps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57A1 (ko) * 2018-03-27 2019-10-0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5541A4 (en) 2010-03-24
CN101646381A (zh) 2010-02-10
JP5000356B2 (ja) 2012-08-15
WO2008120762A1 (ja) 2008-10-09
US20100016670A1 (en) 2010-01-21
JP2008246147A (ja) 2008-10-16
EP2135541A1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7825A (ko)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87937B1 (ko) 캡슐형 의료 장치 및 캡슐형 의료 장치의 제조 방법
JP5000357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5340557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EP1769720B1 (en) Device introducable into a subject
US10517468B2 (en) Capsule medical device having positioning member with abutment surfaces
JP2005205077A (ja) カプセル型内視鏡
JP4515747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EP1618834A1 (en) Capsule endoscope and capsule endoscope system
CN102802499A (zh) 具有柔性电路板的体内感测装置及其组装方法
KR200446281Y1 (ko) 유연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캡슐 내시경
JP3981359B2 (ja) カプセル型内視鏡
JP4024763B2 (ja) 内視鏡用撮像装置及び内視鏡用撮像装置の組立方法
JP4533635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の製造方法
JP2008183455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4515100B2 (ja) 内視鏡用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