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279A -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279A
KR20090116279A KR1020080042129A KR20080042129A KR20090116279A KR 20090116279 A KR20090116279 A KR 20090116279A KR 1020080042129 A KR1020080042129 A KR 1020080042129A KR 20080042129 A KR20080042129 A KR 20080042129A KR 20090116279 A KR20090116279 A KR 2009011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worktable
work table
static electricity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차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08004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279A/ko
Publication of KR2009011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형성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상기 워크테이블 상부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워크테이블, 전도성 수지

Description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Worktable of display panel testing device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형성하여 정전기를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여러 단계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때, 조립공정, 불량요인 수리공정 등 각 제조 공정이 진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상태를 검사하는 소정의 점등 상태 검사 공정을 진행하여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양질의 제품만 출하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면과 수평인 공급부에 공급하면, 공급부는 지면과 경사지게 회동하고, 이송부는 공급부에 공급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부로 이동한다. 검사부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검사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가 점등되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외부로 그 빛을 발산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육안으로 보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색상, 불량 화소율 등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을 판정한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챔버의 내측을 흑암 처리한 후, 자동화에 의해 카메라로 워크테이블의 상측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한다.
워크테이블 상측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될 때, 금속으로 형성된 워크테이블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촉하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정전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워크테이블 상면을 불소코팅을 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워크테이블의 입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얼라인먼트 스테이지(미도시) 상측에 내부 중앙에 홀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홀에 워크테이블(120)이 장착된다. 워크테이블(120) 상면에는 검사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위치하게 되는데, 워크테이블(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접촉하는 접촉부(130)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130)는 불소 코팅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워크테이블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테이블(120)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되는 접촉부(130)은 불소 코팅이 되어있다.
하지만 불소 코팅은 누적 접촉으로 인해 코팅된 부분이 비교적 빨리 마모되어 정전기가 다시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따라서 워크테이블 자체를 교체하거나 재코팅을 하기 위해서 워크테이블을 옮기는 조취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촉하는 부분에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교체형으로 제작하여 접촉부가 마모된 경우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서 접촉부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워크테이블 상면에는 상기 접촉부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워크테이블 상면으로부터 0.2 내지 2.0 mm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있 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상기 워크테이블 상부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워크테이블 상부는 워크테이블 하부와 탈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워크테이블 하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워크테이블 하부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워크테이블이 장착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촉하는 부분에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형성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교체형으로 제작하므로 워크테이블을 이동하지 않고도 접촉부를 교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접촉부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장치의 워크테이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토 프로브(Auto Probe)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촉하여 사용하는 모든 워크테이블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1의 입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은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안착되는 워크테이블(220), 디스플레이 패널(240)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230) 및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240)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워크테이블(220)은 플레이트부(210)의 홀에 장착된다. 워크테이 블(220)은 내측이 개구된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워크테이블(220) 상면에는 검사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안착된다.
본 발명의 접촉부(230)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제작된다. 접촉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접촉할 경우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발생된 정전기에 의해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셀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접촉부(230)는 제전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촉부(230)를 형성하는 전도성 수지는 전도성을 가지며, 여기서 전도성이란 절연성 수지와 대비되는 넓은 의미로서 반전도성 수지와 협의의 전도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성 내지 반전도성 수지를 얻는 수단, 즉 절연 재료인 베이스 수지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베이스 수지에 금속이나 탄소재료 등의 전도성 필러(filler)를 분산시키는 방법, 혹은 베이스 수지에 대전 방지 폴리머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만, 표면에 대전 방지제를 코팅하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절연재료인 베이스 수지 및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상기 전도성 필러나 대전 방지 폴리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흠집을 내지 않는 정도의 표면 경도와 재질을 갖는 전도성 수지인 베이스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수지는 대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하를 천천히 제전하므로, 종래의 전도성 코팅에서 급속한 전하의 이동으로 인한 소자의 파괴 염려가 적어진다.
본 발명의 광원부(미도시)는 워크테이블(220)의 내부 후방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240)로 광원을 제공한다.
광원은 냉음극관, 냉음극 형광램프, 외부전극 형광램프, 고휘도 LED 등의 램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1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230)가 장착되어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접촉부를 확대한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제작된 접촉부(23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흡착하는 다수개의 진공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테이블(220)에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안착되면 고정핀(310)이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가압하기 전에 진공홀(32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고정된다.
워크테이블(2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되어 있고, 접촉부(230)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직접 접촉할 경우에는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워크테이블(220)과 디스플레이 패널(240) 사이에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23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 크테이블의 접촉의부 제작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3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되어있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홈을 파고, 그 홈에 접촉부(230)인 전도성 수지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작된다. 접촉부(230)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 워크테이블(220) 상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과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첩촉부(230)가 올라오는 높이는 0.2 ~ 2m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mm 이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촉부(230)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기존의 얇은 불소 코팅과 전도성 수지의 마모 속도가 같다고 하여도 마모되어 교체해야 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수지보다 경도가 좋은 알루미늄 소재가 접촉부(230)를 제외한 워크테이블(220)을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도 강하다. 그리고 접촉부(230)만 전도성 수지로 제작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교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교체형 접촉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부(230)는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촉부(230)가 디스플레이 패널(240)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워크테이블을 교체하거나 코팅을 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서 접촉부(230) 모양의 변경이 용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입체도이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실시예 2는 워크테이블(220) 상면에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230)를 따로 형성하는 실시예 1과는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240)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부(220a)가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워크테이블 상부(220a)는 워크테이블 상부(220a)를 지지하는 워크테이블 하부(220b)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워크테이블 하부(220b)는 금속 또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접촉부 단면도 1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부(220a)가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워크테이블 상부(220a)를 지지하는 워크테이블 하부(220b)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접촉부 단면도 2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부(220a)가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워크테이블 상부(220a)를 지지하는 워크테이블 하부(220b) 또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워크테이블의 입체도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워크테이블의 접촉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1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1의 접촉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접촉부의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접촉부의 제작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교체형 접촉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접촉부 단면도 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실시예 2의 접촉부 단면도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플레이트부 220 : 워크테이블
220a : 워크테이블 상부 220b : 워크테이블 하부
230 : 접촉부 240 : 디스플레이 패널
310 : 고정핀 320 : 진공홀

Claims (8)

  1.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워크테이블 상면에 장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테이블 상면에는 상기 접촉부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워크테이블 상면으로부터 0.2 내지 2.0 mm 두께로 형성된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4.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상기 워크테이블 상부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 진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테이블 상부는 워크테이블 하부와 탈부착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테이블 하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테이블 하부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테이블이 장착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
    을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
KR1020080042129A 2008-05-07 2008-05-07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KR20090116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29A KR20090116279A (ko) 2008-05-07 2008-05-07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29A KR20090116279A (ko) 2008-05-07 2008-05-07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79A true KR20090116279A (ko) 2009-11-11

Family

ID=4160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29A KR20090116279A (ko) 2008-05-07 2008-05-07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2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51A (ko) 2018-01-18 2019-07-26 김정화 아몰레드 검사용 지지 장치
KR102440761B1 (ko) 2022-05-04 2022-09-05 정영국 정전기 방지 작업 테이블 및 정전기 방지 시스템
KR102541974B1 (ko) * 2022-08-24 2023-06-13 주식회사 디팜스 Esd 특성을 갖는 테스트 캐리어 지그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51A (ko) 2018-01-18 2019-07-26 김정화 아몰레드 검사용 지지 장치
KR102440761B1 (ko) 2022-05-04 2022-09-05 정영국 정전기 방지 작업 테이블 및 정전기 방지 시스템
KR102541974B1 (ko) * 2022-08-24 2023-06-13 주식회사 디팜스 Esd 특성을 갖는 테스트 캐리어 지그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4098B (zh) 微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修复方法
CN101097352B (zh) 背光单元及使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模块
US81626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2881652B (zh) 用于amoled面板制造的分割掩模框架组件制造装置
CN1471702A (zh) 发光板及其内部件的测试方法
CN102308670B (zh) 有机电致发光显示器的修复方法
US7980717B2 (en) Light source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2011137795A (ja) アレイテスト装置{apparatusfortestingarray}
KR20030090841A (ko) 백 라이트
TWI445123B (zh) 適於承載平面顯示器之承座、製作承座之方法以及具有承座之化學汽相沉積裝置
KR20090116279A (ko) 정전기 방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워크테이블
CN110797353A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0764628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CN105182692B (zh) 基板曝光平台及曝光机
KR101030033B1 (ko) 엘이디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
JP2006098296A (ja) 表示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KR101269446B1 (ko) 기판 검사 및 리페어 장치
KR100918870B1 (ko)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타일링된 대면적 면발광 램프
KR10200948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1269443B1 (ko) 기판 검사 및 리페어 장치
KR101549640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검사장치용 프로브블럭
KR100664576B1 (ko) 원판 수명 및 점등검사 지그장치
KR101317173B1 (ko) 기판 검사 및 리페어 장치
KR100764627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100797637B1 (ko) 히팅 스테이지 및 이를 사용한 박막증착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