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676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676A
KR20090112676A KR1020097015988A KR20097015988A KR20090112676A KR 20090112676 A KR20090112676 A KR 20090112676A KR 1020097015988 A KR1020097015988 A KR 1020097015988A KR 20097015988 A KR20097015988 A KR 20097015988A KR 20090112676 A KR20090112676 A KR 2009011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ing
male
female
mounting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445B1 (ko
Inventor
마나부 요시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11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Landscapes

  • Buck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해지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 중 한쪽과, 연결대상인 상대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 버클에 있어서, 수부재 및 암부재 중 한쪽은, 상기 상대부재에 상기 장착부를 통해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상기 결합할 때 서로 대향되는 측인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높아지는 경사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중 다른쪽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한 것이다.
버클, 결합부, 장착부, 끼움편부, 플랜지부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클에 관해, 특히 수부재 및 암부재가 각각의 상대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한쪽을 다른쪽으로 끌어들여 결합조작하는 태양(態樣)에 적합한 것이다.
도 7(a)는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버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의 버클은, 수부재(래치(latch)부재)(1)가 덮개(F)의 단부에 장착되어, 수납체(C)의 개구측(開口側)에 장착되어 있는 수부재(래치 유지부재)(2)에 결합되는 예이다. 여기서, 수부재(1)는, 결합부로서 평판부(3)와 이 평판부(3)의 중앙부에 コ형 노치(notch)(5)로 요동가능하게 구획된 가동편(6)을 갖고, 또한, 장착부로서 덮개(F)의 대응부에 걸리는 기부(基部)(4)를 갖고 있다. 부호 7은 평판부(3)의 선단(先端)에 설치된 V형 노치(7), 부호 9는 노치(7) 내의 양측에 설치되어 슬릿(8)을 통해 변형되는 박육부(薄肉部)(9)이다. 한편, 암부재(2)는, 피(被)결합부로서 평판부(3)를 수용하는 오목부(11)와 コ형 노치(12)로 요동가능하게 구획된 압압편(押壓片)(13)을 갖고, 또한, 장착부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내면에 돌설(突設)한 복수의 돌기를 갖고, 각 돌기가 수납체(C)의 관통공(貫通孔)으로부터 이면측(裏面側)으로 돌출되고, 또한 수납체 이면에 배치되는 이판(裏板), 또는 스페이서 및 이판에 의해 걸림으로써 수납체(C)에 소정 강도로 장착된다.
이상의 버클은, 수부재의 평판부(3)가 암부재의 오목부(11)에 가동편(6)의 탄성변위를 수반하여 끼워지는 동시에, 가동편(6)이 압압편(13)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덮개(F)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합은, 압압편(13)을 아래로 누름조작함으로써, 가동편(6)이 결합부로부터 벗어나서 해제된다. 그러면, 평판부(3)는, 박육부(9)의 스프링작용 등에 의해 오목부(11) 내로부터 밀려나가는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ㆍ암부재가 상면측(上面側)에 있는 압압편(13)의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되는 타입이므로, 업퍼릴리스(Upper release) 타입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b)는 특허문헌1의 실시예2에 개시되어 있는 버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의 버클(SR)은, 끈(W')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암부재(1)가, 폭이 넓은 천(S)에 장착되어 있는 수부재(2)에 결합되는 예이다. 여기서, 수부재(2)는, 결합부로서 좌우의 끼움편부(다리부)(2a, 2a)를 갖고, 또한, 장착부로서 각 끼움편부(2)의 기부(2e)에 일체화된 틀형상체(20)을 갖고, 이 틀형상체(20)가 천(S)과 띠형상체(W)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양측을 봉착(縫着)(H)함으로써 천(S)이나 띠형상체에 장착된다. 부호 2c는 끼움편부(2a)에 설치되어 있는 돌부(突部)이다. 한편, 암부재(1)는, 편평통(偏平筒)형상을 이루고, 피결합부로서 각 끼움편부(2a)를 앞 개구로부터 수용가능한 공간부, 및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는 측면에 설치되어 끼움편부(2a)의 일부를 누름조작 가능하게 하는 창부(窓部)(걸림 창)(1b)를 갖고, 또한, 장착부로서는 띠형상체(W) 등의 단부를 접어올려 걸어서 고정하는 구 성이다.
이상의 버클(SR)은, 암부재(1)가 수부재(2)에 접근되어, 각 끼움편부(2a)가 암부재(1)의 앞 개구로부터 공간부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돌부(2c)가 암부재측의 창부(1b)에 탄성결합된다. 이 결합은, 창부(1b)에 노출되는 끼움편부(2a)의 대응부를 손가락으로 내측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각 끼움편부(2a)가 결합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ㆍ암부재가 암부재의 측면에 있는 끼움편부(2a)의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되는 타입이므로, 사이드릴리스 타입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평8-103304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개2003-28460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각 버클은, 수부재 및 암부재가 한쪽을 다른쪽에 끼워넣는조작에 의해 결합하고, 또한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되기 때문에 간이(簡易)하고 또한 사용성이 뛰어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 만족할 수 없었다.
(가)종래구조에서는, 수부재 및 암부재 중 한쪽을 다른쪽으로 결합할 때의 끼움조작성이 다음의 이유로 나빠진다. 즉, 도 7(a)의 구조에서는, 암부재(2)가 수납체(C)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부(11), 즉 평판부(3)를 수용하는 앞 개구 및 공간부가 장착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암부재(2)에 대하여 수부재(1)를 가까이했을 때 손가락 끝 등이 수납체측에 닿기 쉽고, 또한 평판부(3)를 오목부(11) 내에 수납체(C)의 장착면과 거의 평행상태로 작동하여 끼우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끼움조작하기 어려워진다. 도 7(b)의 구조에서는, 결합부인 끼움편부(2a)가 장착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수부재(2)가 천(S)에 장착된 상태로 수부재(2)에 암부재(1)를 가까이했을 때 손가락 끝 등이 천측에 닿기 쉽고, 또한 암부재를 천측의 장착면과 거의 평행이동하여 끼움편부(2a)를 내측으로 수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끼움조작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끼움조작성은, 버클이 컴팩트화되거나 편평화(偏平化)될수록 문제가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나)사이드릴리스 타입은,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상태로부터 암부재의 측부로부터의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할 때의 조작성이 다음의 이유로 나빠진다. 즉, 이것은, 도 7(b)로부터 추측되는 바와 같이, 창부(1b)가 편평통형상의 대응부를 결여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대는 면적이 좁고, 끼움편부(2a)를 내측으로 눌러넣을 때 힘이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해제조작성은, 예를 들면, 조작자가 힘이 약한 아이나 노인이거나, 장갑을 끼고 있는 상태에서 행할 경우에 문제가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여, 간명(簡明)하고 또한 양산성(量産性)을 유지하면서, 결합할 때의 끼움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결합해제할 때의 사이드로부터의 누름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대부재로의 장착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하여 용도확대를 도모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상기 과제(가)를 해소하는 것이며,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해지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 중 한쪽과, 연결대상인 상대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중 한쪽은, 상기 상대부재에 상기 장착부를 통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상기 결합할 때 서로 대향되는 측인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높아지는 경사형태로 설치하여,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중 다른쪽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下向)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상기 과제(나)를 해소하는 것으로,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해지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 중 한쪽과, 연결대상인 상대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결합부로서 요동가능한 끼움편부를 갖고 있는 한편, 상기 암부재는 편평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결합부로서 상기 끼움편부를 앞 개구로부터 수용가능한 공간부 및 이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끼움편부의 일부를 누름조작 가능하게 노출하는 창부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창부의 상측에 돌설되어 상기 누름조작할 때 손가락 등을 대는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는 모자차양형상의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상대부재에 대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본 발명의 제3 관점),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대부재와 같은 소재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상대부재와 같은 소재 또는 융점이 비슷한 소재를 코팅하여 표면에 갖고 있는 구성(본 발명의 제4 관점)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수부재와 암부재의 결합조작에서, 수부재 및 암부재 중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접근하면서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통해 결합하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품에 비해 끼움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어, 그에 의해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조특징으로서는, 결합부 또는 피결합부의 형성부를, 장착부의 장착면에 대하여 앞측이 뒤측보다 높아지는 경사상태로 하는 것 뿐이므로, 간이하고, 경비증가를 수반하지 않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사이드릴리스 타입의 결합해제 조작에서, 암부재측 측면의 창부에 노출하고 있는 수부재측 끼움편부를 내측으로 누름조작할 때, 손가락의 맞닿음부로서, 창부를 구획하고 있는 상연부(上緣部)와 함께 그 위의 세로벽부에 걸쳐, 보다 넓은 부분에 손가락을 맞댄 상태에서 누름조작이 가능하므로, 손가락을 통한 누르는 힘을 부여하기 쉬워져,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양호하게 누름조작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가 창부의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누름조작하는 개소(箇所)가 보다 명확해진다고 하는 이점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는, 결합해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암부재(나아가서는 버클)의 박형화(薄型化) 및 경량화(輕量化)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지극히 유효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서는, 형태예에 나타낸 암부재와 같이, 모자차양형상의 플랜지부를 사용하여, 봉제고정, 접착고정, 용착고정 등 장착수단의 선택지를 늘리고, 그에 의해 설계자유도를 확대하며, 더욱이 상대부재에 대한 맞닿음면적도 늘려서 고정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서는, 또한 수지재료로서 상대부재와 같은 소재 또는 융점이 비슷한 소재를 적어도 표면에 갖고 있으면, 용착고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의 (a)와 (b)는 형태예의 수ㆍ암부재를 연결한 버클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고, (a)는 수ㆍ암부재의 연결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암부재 단품을 나타내며,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수부재 단품을 나타내며, (a)는 배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4(c)의 B-B선 단면도, (b)는 암부재의 하면도, (c)는 수부 재와 암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종래 버클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최적인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의 (a)(b)와 도 2의 (a)(b)는 사용태양을 나타내고, 도 3은 수ㆍ암부재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4의 (a)~(d)와 도 5의 (a)~(d)는 암부재 또는 수부재를 단품으로 나타내고, 도 6의 (a)~(c)는 암부재 단품과 수부재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구조특징, 작용특징, 변형예의 순서로 상술한다. 또한, 기본작용은 구조특징과 함께 밝히고, 작용특징에서는 발명의 골자가 되는 중요한 작용에 한정해 언급한다.
(개요)형태의 버클(3)은, 수부재(1) 및 암부재(2)로 구성되고, 또한 사이드릴리스 타입의 예인데, 예를 들면, 암부재(2)가 수납체(4)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되고, 수부재(1)가 덮개측의 띠부재(5)(벨트나 끈 그들과 유사한 부재를 포함한다) 등의 피장착부에 장착되어, 덮개가 띠부재(5)를 통해 수납체(4)에 수부재(1) 및 암부재(2)의 결합을 통해 연결가능하게 한다. 물론, 버클(3)의 용도, 즉 상대부재는 수납체(3)와 덮개나 띠부재(5)의 조합이외라도 좋다. 환언하면, 수부재(1) 및 암부재(2)는, 후술하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 중 한쪽을 각각 갖고, 한쪽이 다른쪽으로 접근되거나, 서로 접근되면 결합하고, 또한, 암부재(2)의 사이드로부터의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점, 양자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종래품과 같다. 주된 창작점은, 수부재(1) 및 암부재(2) 중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 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접근하면서 결합가능하게 한 구성과, 암부재(2)에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26)를 부설한 구성과, 암부재(2)에 모자차양형상의 플랜지부(25)를 설치한 구성과, 암부재(2)에 수부재(1)를 결합할 때의 위치 잡기용의 가이드구성 등에 있다. 세부(細部)는 이하와 같다.
(구조특징)수부재(1)는, 도 3 및 도 5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재(2)에 대응한 크기로, 뒤에서부터 앞측으로 향해, 띠부재(5)를 장착하는 장착부(10)와, 결합부를 구성하여 암부재(2) 내에 끼워넣어지는 한쌍의 끼움편부(15)와, 암부재(2) 내에 각 끼움편부(15)를 끼워넣을 때 센터링하는 가이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부재(1)는, 마모특성이나 반발탄성 등이 뛰어난 폴리아세탈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품이다.
이 중, 장착부(10)에는, 걸기부(11)를 사이로 하여 앞 장착공(12)과 뒤 장착공(13)이 설치되어 있다. 걸기부(11)는, 띠부재(5)의 대응단부를 루프형상으로 거는 개소이다. 앞 장착공(12)은 걸기부(11)와 끼움편부(15)의 기부(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뒤 장착공(13)은 걸기부(11)와 후단부(10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기부(14)는 상하 모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4)의 전단면(前端面)에는, 각 끼움편부(15)가 양측 부근으로부터 돌설되고, 가이드부(18)가 좌우 중간부에 돌설되어 있다. 각 끼움편부(15)는, 선단측이 조금 내측으로 변위되어 있는 동시에, 기단측이 가늘게 도중(途中)에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보다 조금 앞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로 관통한 구멍(15a)과, 선단내측의 상하면에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딩용 볼록부(16)와, 기단측의 외측면에 돌설되어 있는 빠짐방지용 돌 부(17)를 갖고 있다. 가이드부(18)는, 앞에서 뒤를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V형부(18a)와, V형부(18a)의 정점으로부터 기부(14)의 앞까지 뻗어 있는 슬릿부(18b)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수부재(1)에는 띠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한 장착부(10)에는, 예를 들면, 도 2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부재(5)가 그 장착측 단부(5a)를 뒤 장착공(13)의 아래에서 위로 통한 후, 걸기부(11)의 외측으로부터 앞 장착공(12)의 위에서 아래로 통하여 띠부재(5)의 하면측의 대응부와 겹친 상태로 걸려짐으로써 장착된다.
암부재(2)는, 도 3과 도 4의 (a)~(d) 및 도 6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편평통형상이며, 내측의 공간부(22)가 대략 직사각형의 저벽(底壁)(20)과 역(逆)오목형의 외벽(21) 사이에 구획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측에 설치되어 공간부(22)에 통하고 있는 창부(23, 23)와, 외벽(21)의 주위 하측으로부터 모자차양형상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25)와, 각 창부(23)에 대응하여 돌설된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2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부재(2)는, 마모특성이나 성형성 등이 뛰어난 나일론6 등의 폴리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품이다. 이 수지는, 암부재(2)가 상대부재의 피장착면에 플랜지부(25)를 면접촉하여 용착고정한다고 하는 선택지를 유효하게 부여하기 위해, 상대부재 또는 상대부재의 피장착부와 같은 수지소재로 되어 있다. 단, 다른 구성으로서는, 상대부재의 피장착면에 맞닿는 부분(플랜지부(25) 및 저벽(20)의 하면(下面) 등)에 상대부재 또는 상대부재의 피장착부와 같은 수지소재, 또는 융점이 비슷한 수지소재를 코팅해도 좋다.
여기서, 외벽(21)은, 상면(21a)과 양측면(21b, 21b) 및 배면(21c)으로 이루어진다. 양측의 창부(23)는, 외벽 양측에서 전후 중간부분을 위로부터 저벽(20)까지 오려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20a는, 그 틀 빼기용으로 형성된 저벽(20)측의 관통공이다. 상면(21a)에는, 세로벽부(26)가 각 창부(23)의 상연부에 대응하여 위로 돌설되어 있다. 이 세로벽부(26)는, 외측면이 창부(23)의 상연부와 연속해서 설치되어, 결합해제 조작에서, 창부(23)의 상연부를 확장한, 즉 손가락 닿기용의 확장면으로서 기능한다.
저벽(20)은, 주위에 플랜지부(25)를 일체화하고 있는 동시에, 공간부(22)의 하측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개소에서,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간부(22)는, 도 2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20)의 하면으로부터 내면까지의 높이(두께)로서, 앞부분의 높이(t1)가 뒷부분의 높이(t2)보다 높게(두껍게) 형성되고, 그것에 대응하여 공간 안이 앞 개구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상태로 되어 있다. 같은 이유로, 외벽(21)의 창부(23)도, 저벽(20)의 하면이나 플랜지부(25)를 기준으로 하면, 앞에서부터 뒤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저벽(20)에는, 공간부(22) 내에 있는 상면에서, 좌우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벽부(案內壁部)(27)와, 안내벽부(27)의 양측에 일단 낮게 설치된 가이드 오목부(28)와, 안내벽부(27)의 뒤 양측에 설치된 빠짐공(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안내벽부(27)는, 상측이 외벽(11)의 상면(11a)에 접합되어, 공간부(12)를 좌우로 둘로 나누고 있고, 수부재의 끼움편부(15, 15)가 공간부(22)에 끼워넣어지는 과정에서, 가이드부(18)와 끼워맞추어 각 끼움편부(15)를 정규의 위치로 조정가능하게 한다. 각 가이드 오목부(28)는, 앞측이 뒤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안내벽부(27)와의 간격이 앞에서부터 뒤쪽으로 감에 따라 점차 좁아져 있다. 이것은, 수부재측의 끼움편부(15, 15)가 공간부(22)에 끼워넣어지는 과정에서, 상기한 돌기(16)가 가이드 오목부(8)의 단면을 따라 이동되며, 그에 의해 양 끼움편부(15, 15)가 안쪽으로 갈수로 편부끼리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각 빠짐공(29)은 일부가 가이드 오목부(28)의 뒤쪽부분을 포함해 개구되어 있다. 이는, 양 끼움편부(15, 15)가 돌부(17)를 창부(23)에 결합하는 최종부근까지 끼워넣어지면, 돌기(16)를 빠짐공(29)으로 빠지게 하고, 그에 의해 편부끼리의 간격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가능하게 한다. 또한, 저벽(20)의 하면에는 도 6(b)와 같이 오목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21a)의 내면에도, 가이드 오목부(28)에 대응하는 오목부(21d)와, 빠짐공(29)에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암부재(2)는 수납체(4)의 피장착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플랜지부(25)는, 수납체(4)의 피장착면에 위치결정되어 봉제, 용착, 접착 등의 임의의 장착수단으로 장착된다. 환언하면, 이 구성에서는, 저벽(20)의 하면 및 플랜지부(25)가 암부재(2)의 장착면으로 되며, 더욱이 모자차양형상의 플랜지부(25)를 이용하여 장착수단의 선택지를 늘리거나, 장착면적을 확대하여 고정강도를 올리기 쉽도록 창작되어 있다.
(작용특징)이상의 버클(3)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부재(1)를 손에 파지(把持)한 상태에서 암부재(2)의 공간부(22)에 끼움조작함으로써, 끼움편부(15)(의 돌부(17))와 창부(23)가 결합하고, 그에 의해 수납체(4)에 대하여 덮개 등이 띠부재(5)를 통해 연결가능해진다. 이 경우, 이 구조에서는, 암부재의 공간부(22) 및 창부(23)를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설치하여, 암부재(1)를 수부재의 공간부(22)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끼워넣어지도록 했으므로, 끼움조작이 양호하게 되며, 과제로 든 바와 같은 끼움조작의 과정에서 손가락 끝이 수납체(4), 즉 암부재(2)를 장착하고 있는 상대부재에 닿는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보다 박형화나 경량화했다고 해도 끼움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해제 조작은, 각 창부(23)에 노출하고 있는 양측의 끼움편부(15)를 공간부(22) 내로 누름조작하는 점에서 종래와 같다. 단, 이 구조에서는, 창부(23)에 노출하고 있는 끼움편부(15)를 내측으로 눌러넣을 때, 손가락의 맞닿음부로서, 창부(23)를 구획하고 있는 상연부와 함께 그 위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세로벽부(26)에 걸쳐, 보다 넓은 부분에 손가락을 맞댄 상태에서 누름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누름조작으로서는, 손가락을 통한 누르는 힘을 부여하기 쉬워져, 가령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양호하게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되며, 힘이 약한 아이나 노인이라도 확실히 결합해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세로벽부(26)는, 누름조작하는 개소가 보다 명확해진다고 하는 이점, 결합해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암부재(2), 나아가서는 버클(3)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함에 있어서 지극히 유 효한 구성이 된다.
(변형예)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를 베이스로 하여 이하와 같이 변형가능하다. 즉, 이상의 수부재(1)는, 장착부로서 도 7(b)와 같은 틀형상체나 장착용 플랜지부를 형성해도 좋고, 그 경우, 이 틀형상체를 상대부재의 피장착면에 용착고정한다고 하는 선택지를 유효하게 부여함에 있어서, 상대부재 또는 상대부재의 피장착부와 같은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부재(1)로서는, 장착부로서 틀형상체나 장착용 플랜지부를 채용하는 동시에, 끼움편부(15) 및 가이드부(18)를 그 틀형상체나 장착용 플랜지부에 대하여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높아지는 경사상태로 설치하여, 후술하는 암부재(2)의 공간부(22)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접근하면서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버클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기술요소를 실질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세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하거나 전개가능한 것이다.
또한, 2007년 1월 2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1371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포함시키는 것이다.

Claims (4)

  1.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해지는 결합부 및 피(被)결합부 중 한쪽과, 연결대상인 상대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중 한쪽은, 상기 상대부재에 상기 장착부를 통해 장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피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상기 결합할 때 서로 대향되는 측인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높아지는 경사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 중 다른쪽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통해 결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수부재 및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가 결합한 상태로부터 누름조작에 의해 결합해제가 가능해지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 중 한쪽과, 연결대상인 상대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결합부로서 요동가능한 끼움편부를 갖고 있는 한편, 상기 암부재는 편평통(偏平筒)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결합부로서 상기 끼움편부를 앞 개구로부터 수용가능한 공간부 및 이 공간부를 구획하고 있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끼움편부의 일부를 누름조작 가능하게 노출하는 창부(窓部)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창부의 상측에 돌설(突設)되어 상기 누름조작할 때 손가락 등을 대는 확대 손가락 닿기용 세로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모자차양형상의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상대부재에 대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면접촉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대부재와 같은 소재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상대부재와 같은 소재 또는 융점이 비슷한 소재를 코팅하여 표면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97015988A 2007-01-24 2008-01-18 버클 KR101415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3718A JP5171046B2 (ja) 2007-01-24 2007-01-24 バックル
JPJP-P-2007-013718 2007-01-24
PCT/JP2008/050605 WO2008090818A1 (ja) 2007-01-24 2008-01-18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76A true KR20090112676A (ko) 2009-10-28
KR101415445B1 KR101415445B1 (ko) 2014-07-04

Family

ID=3964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988A KR101415445B1 (ko) 2007-01-24 2008-01-18 버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71046B2 (ko)
KR (1) KR101415445B1 (ko)
CN (1) CN101616613B (ko)
TW (1) TWM340729U (ko)
WO (1) WO2008090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8022A (zh) * 2017-12-12 2018-04-20 浙江南泰科技有限公司 警用多功能腰带的自锁防脱卡扣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9704B (it) * 1984-06-01 1987-09-16 Itw Fastex Italia Spa Fibbia sganciabile particolarmente per borse cartelle e simili
JPS62178256U (ko) * 1986-05-06 1987-11-12
JPH02224701A (ja) * 1989-02-28 1990-09-06 Marukuni Iguma Hosohaba Orimono Kk ベルト端部固定構造
JPH07313212A (ja) * 1994-05-30 1995-12-05 Shoichi Yoshida 連結具
CN2343846Y (zh) * 1998-06-03 1999-10-20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旋转式调整压扣
JP4520655B2 (ja) * 2001-03-22 2010-08-11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2003284606A (ja) * 2002-03-28 2003-10-07 Nifco Inc 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を構成させる雌バックルおよびサイドリリースタイプのバックルを構成させる雄バックル
JP2005058442A (ja) * 2003-08-12 2005-03-10 Ykk Corp バックル
CN2774227Y (zh) * 2005-03-15 2006-04-26 倍腾国际股份有限公司 可任意角度扣接的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445B1 (ko) 2014-07-04
CN101616613B (zh) 2011-09-14
WO2008090818A1 (ja) 2008-07-31
JP2008178516A (ja) 2008-08-07
TWM340729U (en) 2008-09-21
JP5171046B2 (ja) 2013-03-27
CN101616613A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11B2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TWI424821B (zh) Side open buckle and its locking member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KR10067958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상단부 정지구
JP4174561B2 (ja) バックル
TWI421040B (zh) Zipper with the slider
KR20100121439A (ko) 슬라이드 어저스터
US10212992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20080196218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4977650A (en) Buckle assembly
JP6761639B2 (ja) バックル
KR20090112676A (ko) 버클
CN111150180B (zh) 拉链用连结件
KR101343759B1 (ko) 버클
JP6134791B2 (ja) 被着体と連結具の連結構造、及び連結具
KR20130042296A (ko) 케이스의 잠금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케이스
EP0375379B1 (en) Buckle
JP5179644B2 (ja) バックル
KR101584407B1 (ko) 파스너
JP2000157309A (ja) バックル
US20240253722A1 (en) Latch mechanism
WO2024047796A1 (ja) 連結具
KR0174658B1 (ko) 헤어클립
JP3921376B2 (ja) チャックスライダ及びこのチャックスライダを備えた密封袋
TW202007301A (zh) 拉鏈用滑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