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759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759B1
KR101343759B1 KR1020120055228A KR20120055228A KR101343759B1 KR 101343759 B1 KR101343759 B1 KR 101343759B1 KR 1020120055228 A KR1020120055228 A KR 1020120055228A KR 20120055228 A KR20120055228 A KR 20120055228A KR 101343759 B1 KR101343759 B1 KR 10134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uckle
lock arm
lock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575A (ko
Inventor
백지숙
백난희
백지혜
손지원
Original Assignee
백지숙
손지원
백지혜
백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숙, 손지원, 백지혜, 백난희 filed Critical 백지숙
Priority to KR102012005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759B1/ko
Priority to EP13167862.5A priority patent/EP2666383B1/en
Priority to US13/900,371 priority patent/US9232833B2/en
Publication of KR2013013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51Resilient element [e.g., with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의 로크아암과 그 중간의 중앙의 로크아암을 갖는 플러그부재와 챔버 내에 상기 로크아암이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소켓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의 선단에는 걸림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재의 중앙에는 중앙 로크아암이 결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수단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과 걸림부의 결합과 더불어 또 다른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의도하지 않은 외부의 접촉이나 압력에 의해 쉽게 버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리는 한 손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복, 가방 및 헬멧과 같은 다양한 물품에 부착되는 벨트나 스트랩의 자유단부에 장착되는 플러그부재 및 소켓부재로 구성되어 상호 부재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상술한 것처럼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구로서 착탈이 용이하며 이러한 체결구는 플라스틱 재질을 일체로 성형시켜 탄성적인 결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버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플러그부재(10)와 소켓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재(10)는 몸체의 기부(11)로부터 직선적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로크아암(12)을 가지며, 이 로크아암(12)의 선단 외측으로 각각 체결부가 돌출되어 있고, 각 로크아암(12)의 사이에는 상기 기부(11)로부터 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안내로드(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부재(20)는 선단으로부터 개방된 챔버(21)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부재(10)를 수용하도록 되면서 양 측벽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상기 로크아암(12)이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플러그부재(10)를 상기 소켓부재(20)의 선단 입구로부터 챔버(2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플러그부재(10)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로크아암(12)의 외측면이 소켓부재(20)의 내측벽에 미끄러지면서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되고, 그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구멍(22)에 위치되면서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면서 안착하여 상호 체결된다.
그 후 상기 버클을 해체시킬 경우에는 상기 소켓부재(20)의 구멍(22)으로 노출된 플러그부재(10)의 로크아암(12)을 양 외측으로부터 가압하여 각 로크아암이 소켓부재(20)의 구멍(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서 플러그부재(10)를 외측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각 플러그부재(10)와 소켓부재(20)는 서로 분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버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양 측면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이나 접촉에 의해서도 자칫 의도하지 않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기밀이나 보안을 요구하는 결합물, 예를 들면 총기 등의 무기를 수납하는 벨트라던가, 위험한 상황에서의 배낭이나 기타 부착물의 착용에 사용되는 경우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의도하지 않는 분리에 의해 매우 위급한 문제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은 보안 기능을 갖는 버클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플러그부재(10)와 소켓부재(20)로 구비되면서 플러그부재(10)의 로크아암(12)이 소켓부재(20)의 챔버(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소켓부재(20)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구멍(22)에 탄성 결합됨으로써 결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플러그부재(10)의 중간에는 상측으로 탄성을 가지며 상·하로 탄력 작용하는 걸림편(30)이 더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편(30)과 일체로 작용하는 누름버튼(31)이 근접하여 구비되어 있고, 소켓부재(20)에는 상기 플러그부재(1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림편(30)이 위치하는 일단에 걸림구멍(25)이 챔버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부재(20)에 플러그부재(10)가 끼워져서 결합되면, 플러그부재(10)의 로크아암(12)과 걸림편(30)이 이중으로 소켓부재(2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소켓부재(20)로부터 플러그부재(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부재(10)의 로크아암(12)을 양 외측으로부터 가압하여 구멍(2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31)을 눌러서 걸림편(30)을 걸림구멍(25)과의 결합 상태로부터 해제하여야만 플러그부재(10)를 소켓부재(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이러한 도 2의 버클은 분리를 위하여 이중의 조작을 하여야만 하므로 나름대로 충분한 보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은 종래 보안기능을 갖는 버클은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지적된다.
즉, 한 손으로 소켓부재(20)를 잡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플러그부재(10)의 로크아암(12)을 양 측으로부터 가압하면서 동시에 다른 손으로 누름버튼(31)을 누르면서 플러그부재(10)를 당기는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하여 신속한 조작이 어렵고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종래 보안기능을 갖는 버클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사용시 내부에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며,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 또한 용이하지 못하여 미관상 좋지 못하고, 조작이 불량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버클에 있어서의 소켓부재는 내부에 챔버를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특히 보안용으로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접촉이나 압력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된 버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분리시에는 한 손으로 간단하게 분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버클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클을 구성하는 소켓부재가 보다 견고한 강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부의 전방 방향으로 양 단과 중앙에 각각 연장된 세 개의 로크아암들로 구성된 플러그부재와;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안내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양 측면에 상기 양 단의 로크아암이 삽입되는 챔버가 형성된 소캣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은 기부의 중앙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은 기부 중앙에 상기 기부 높이보다 높게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은 그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박스형으로, 상기 안내홈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그 밑면에 걸림수단으로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상부에 확장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은 그 외측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선단부 외측면에 버클의 분리를 위한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소캣의 양 측벽에 상기 챔버와 관통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노출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구멍의 일측 가장자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상기 요홈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의 로크아암의 진입측은 경사면으로 되고, 반대측은 직각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양 측벽 윗면 가장자리에 상기 날개부가 안내되어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부의 후방으로 스트랩(S1)의 자유단부를 걸어서 감는 크로스 바아 및 스트랩 후킹 바아가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캣부재는 상판과 하판이 마주하여 그 외측이 측벽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그 내측에 상기 플러그부재를 안내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접촉이나 압력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된 버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분리시에는 한 손으로 간단하게 분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버클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클을 구성하는 소켓부재가 보다 견고한 강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 버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안기능을 갖는 버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재와 플러그부재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부재와 플러그부재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은 대별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각각 도 1에서의 종래 버클에서와 같이 스트랩(S1,S2)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플러그부재(100)는 기부(101)의 후방으로 스트랩(S1)의 자유단부를 걸어서 감는 크로스 바아(102) 및 스트랩 후킹 바아(103)가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스 바아(102) 및 스트랩 후킹 바아(103)에 엇갈리게 스트랩(S1)을 감아서 스트랩(S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다르게는 크로스 바아(102)만 구비하여 스트랩(S1)의 자유단을 감아서 재봉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부(101)의 전방으로는 양단에 동일한 방향으로 로크아암(105)이 연장되어 있고, 중앙에 동일한 방향으로 로크아암(110)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105)은 플러그부재(100)의 중앙에 대하여 서로 대칭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105)은 기부(10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기부(101)로부터 얇은 두께를 가지고 연장되어 그 단부는 확장된 형태를 가지며, 그 외측 중간에 걸림턱(1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106)으로부터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외측면이 버클의 분리를 위한 누름부(107)로 된다.
따라서, 양단의 로크아암(105)은 얇은 탄성을 갖은 부분과 선단의 확장된 부분으로 구분되며 그 중간에 상기 걸림턱(106)이 형성된다.
플러그부재(100)의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중간에는 중앙의 로크아암(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이 기부(101)로부터 기부(101) 높이보다 높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 밑면에는 걸림수단으로서 요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은 기부(101)에 대하여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 단부는 기부(101)에 대하여 약간의 휨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윗면에는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보다 확장된 형태의 날개부(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날개부(112)는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전방과 양 측으로 확장 돌출되어 있다.
소켓부재(200)는 상판(201)과 하판(202)이 마주하여 그 외측이 측벽(20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그 내측에 플러그부재(100)를 안내 수용하는 챔버(205)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스트랩(S2)의 자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크로스 바아(206)가 후방에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이 소캣부재(200)에도 플러그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스트랩 후킹 바아가 더 구비되어 스트랩을 조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소캣부재(200)의 중간에는 플러그부재(100)의 진행 방향으로 길게 안내홈(2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내홈(210)은 상기 챔버(205)를 양 측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되어 그 앞과 뒤 및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안내홈(210)은 그 폭이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을 거부감 없이 밀착 안내 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이 쉽게 유도될 수 있도록 입구의 바닥면은 경사면(211)을 형성하고 있고, 입구의 측면도 바깥쪽으로 확장된 형태로 되어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진입을 쉽게 하도록 하고 있다.
안내홈(210)의 바닥면에는 걸림돌기(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돌기(212)는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 진입측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고, 반대측은 직각면으로 되어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진입은 쉽게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요홈(111)이 걸림돌기(212)에 걸리게 되면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후퇴가 제한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소캣부재(200)의 상기 챔버(205)에 플러그부재(100)가 끼워지게 되면 플러그부재(100)의 양단의 로크아암(105)은 안내홈(210)에 의해 분할된 양 측의 각 챔버(205)로 진입되고, 중앙의 로크아암(110)은 상기 안내홈(210)에 진입 안내되며, 완전히 결합되면 플러그부재(100)의 기부(101)가 챔버(205)의 입구에 위치되고, 이 때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은 상기 안내홈(210)에 결합되어 안내홈(210)의 전체를 메우는 형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요홈(111)과 안내홈(210)의 걸림돌기(212)가 결합된다.
안내홈(210)의 양 측벽 윗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 날개부(112)가 안내되어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부재(100)와 소캣부재(200)가 결합되었을 때, 안내홈(210)은 상기 날개부(112)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며, 날개부(112)의 윗면은 소캣부재(200)의 윗면과 평형을 이루면서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210)은 소캣부재(200)의 챔버(205)를 완전히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소캣부재(200)의 상단에서 약간의 깊이로 형성되어 챔버(205)의 상단 중앙이 약간 눌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떠한 형태이든 안내홈(210)은 소캣부재(200)의 전체적인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수단이 된다.
소캣부재(200)의 챔버(205)의 입구는 그 폭이 플러그부재(100)의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양 외측 폭과 대략 일치하게 되며, 챔버(205)는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양 측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챔버(205)에 플러그부재(100)가 결합될 때 양단의 로크아암(105)이 좁아지는 챔버(205)의 측벽에 의해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삽입이 진행되어 충분한 탄력을 내포하게 된다.
소캣부재(200)의 양 측벽에는 구멍(215)이 형성되어 챔버(205)와 관통되어 있는데, 이 구멍(215)은 플러그부재(100)와의 결합시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선단부 즉, 누름부(107)가 노출되는 부분이며, 챔버(205)를 통과할 때 양단의 로크아암(105)이 내측으로 눌려지다가 상기 구멍(215)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멍(215)에 안착 되는 것이다.
이 때 구멍(215)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림부(216)가 되며, 이 걸림부(216)에 양단의 로크아암(105) 걸림턱(106)이 걸려서 플러그부재(100)와 소캣부재(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구멍(215)은 상판(201)과 하판(202)의 일부를 잠식한 형태로 되어 플러그부재(100)와의 분리시에 양단의 로크아암(105) 누름부(107)를 누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멍(215)은 상판(201)과 하판(202)을 잠식하는 형태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플러그부재(100)와의 분리시에 양단의 로크아암(105)을 누름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어내는 조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캣부재(200)의 챔버(205)가 안내홈(210)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구성이어서 양단의 로크아암(105)이 내측으로 밀려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과도한 눌림에도 양단의 로크아암(105)과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저촉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소켓부재(200)의 챔버(205)에 플러그부재(100)의 로크아암(105)을 삽입하게 되면, 챔버(205)의 양 내측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챔버(205)의 내부에서 양단의 로크아암(105)이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진행하여 구멍(215)의 위치에 다다르면 양단의 로크아암(105)이 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로크아암(105)의 누름부(107)가 구멍(215)에 돌출하여 안착 된다.
이렇게 안착된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누름부(107)는 플러그부재(100)의 걸림턱(106)이 소켓부재(200)의 걸림부(216)에 서로 계합되어 자체적으로 유동됨이 없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동작이 진행됨과 동시에 플러그부재(100)의 중앙의 로크아암(110)은 소켓부재(200)의 안내홈(210)에 안내되어 진입되면서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선단부는 걸림돌기(212)에 접촉되면서 상측으로 밀렸다가 최종적으로 걸림돌기(212)의 구간을 벗어남과 동시에 원 상태로 복귀되면서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요홈(111)과 걸림돌기(212)가 결합되어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105)과 더불어 이중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의 로크아암(110)과 안내홈(210)은 서로 밀착되고, 안내홈(210) 상단의 안착부(213)에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날개부(112)가 안착되어 안내홈(210) 전체를 커버하게 되면서 소켓부재(200)의 윗면은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게 되어 일체감을 주게 된다.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는 세 지점에서 결합되어 있어서 어느 부분에 의도되지 않은 접촉이나 눌림 등의 작용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적인 수단으로서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또한, 소켓부재(200)로부터 플러그부재(100)를 분리할 때에는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외측으로부터 누름부(107)를 소켓부재(200)의 구멍(215) 내측으로 가압하면 로크아암(105)의 걸림턱(106)이 소켓부재(200)의 걸림부(216)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로크아암(105)의 누름부(107)가 챔버(205)의 내측벽에 접촉하게 되는데, 눌려진 로크아암(105)은 사실상 그 외측면이 중앙에 대하여 경사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챔버(205)의 내측벽 역시 입구로부터 좁아지는 경사 형태로 되어 있어서 로크아암(105)은 자체 탄발력으로 인해 챔버(205)로부터 벗어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러그부재(100)는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요홈(111)과 걸림돌기(212)의 결합으로 인해 소켓부재(200)와 분리되지 않는다.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를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105)을 양 측으로부터 가압해서 로크아암(105)의 걸림턱(106)이 소켓부재(200)의 걸림부(216)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조작과 동시에,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요홈(111)과 안내홈(210)의 걸림돌기(212)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조작을 함께 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로크아암의 두 곳과 중앙의 로크아암의 한 곳 즉, 세 곳에서 동시에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야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는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러한 세 곳의 분리 조작은 본 발명에서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러그부재(100)와 소켓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손이든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제외한 다른 손가락으로 양 측의 로크아암(105)을 가압하면서 검지손가락으로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선단부를 들어올리면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부재(100)는 소켓부재(200)의 챔버(205)로부터 후퇴하여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것이다.
물론, 양단의 로크아암(105)의 누름 조작과 중앙의 로크아암(110)의 선단을 들어올리는 조작을 한 손이든 두 손이든 사용하는 것은 임의적인 선택일 수 있으나 한 손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유용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각종 작업중이나 등반시 등과 같은 상황에서 한 손에는 다른 물건을 들고 있거나 무언가를 잡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 버클의 해제를 하기가 곤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한 손만으로 버클을 분리시킬 수 있다는 것은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중앙의 로크아암(110) 및 안내홈(210)의 길이나 형상 및 결합 상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중앙의 로크아암에 형성되는 걸림수단은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중앙의 로크아암(110) 밑면 전체가 홈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일부분만 홈 형태를 갖거나 또는 돌기의 형태로 되어 소켓부재(200)의 걸림돌기(212)와 걸려서 서로의 이탈이 제한되는 다양한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100 : 플러그부재 101 : 기부
102 : 크로스 바아 103 : 스트랩 후킹 바아
105 : 양단의 로크아암 106 : 걸림턱
107 : 누름부 110 : 중앙의 로크아암
111 : 요홈 112 : 날개부
200 : 소켓부재 201 : 상판
202 : 하판 203 : 측벽
205 : 챔버 206 : 크로스 바아
210 : 안내홈 211 : 경사면
212 : 걸림돌기 213 : 안착부
215 : 구멍 216 : 걸림부

Claims (8)

  1. 기부의 전방 방향으로 양 단과 중앙에 각각 연장된 세 개의 로크아암들로 구성된 플러그부재와;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안내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양 측면에 상기 양 단의 로크아암이 삽입되는 챔버가 각각 형성된 소캣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은 기부의 중앙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은 기부 중앙에 상기 기부 높이보다 높게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로크아암은 그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박스형으로, 상기 안내홈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그 밑면에 걸림수단으로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상부에 확장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로크아암은 그 외측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선단부 외측면에 버클의 분리를 위한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소캣부재의 양 측벽에 상기 챔버와 관통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노출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구멍의 일측 가장자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상기 요홈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의 로크아암의 진입측은 경사면으로 되고, 반대측은 직각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양 측벽 윗면 가장자리에 상기 날개부가 연장되어 밀착 결합 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후방으로 스트랩(S1)의 자유단부를 걸어서 감는 크로스 바아 및 스트랩 후킹 바아가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캣부재는 상판과 하판이 마주하여 그 외측이 측벽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그 내측에 상기 플러그부재를 안내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20055228A 2012-05-24 2012-05-24 버클 KR10134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228A KR101343759B1 (ko) 2012-05-24 2012-05-24 버클
EP13167862.5A EP2666383B1 (en) 2012-05-24 2013-05-15 Double locking buckle
US13/900,371 US9232833B2 (en) 2012-05-24 2013-05-22 Double locking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228A KR101343759B1 (ko) 2012-05-24 2012-05-24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575A KR20130131575A (ko) 2013-12-04
KR101343759B1 true KR101343759B1 (ko) 2013-12-19

Family

ID=4846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228A KR101343759B1 (ko) 2012-05-24 2012-05-24 버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32833B2 (ko)
EP (1) EP2666383B1 (ko)
KR (1) KR101343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00575C (en) * 2010-06-09 2017-04-18 Peter Dering Quick release camera moun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JP5997765B2 (ja) * 2012-05-25 2016-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WO2015005969A1 (en) * 2013-07-10 2015-01-15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assembly for securing a buckle housing to a component
US9709082B2 (en) * 2014-12-22 2017-07-18 Frank Hsu Buckl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42A (ja) 2003-08-12 2005-03-10 Ykk Corp バックル
JP2007020603A (ja) 2005-07-12 2007-02-01 Maazen Products:Kk 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5515A (en) * 1988-02-25 1989-05-02 Wolterstorff Jr Donald A Safety buckle
US5584105A (en) * 1996-01-11 1996-12-17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Quick disconnect buckle
US5774956A (en) * 1997-01-24 1998-07-07 Michaels Of Oregon Co. High-security buckle
US20010032379A1 (en) * 2000-04-21 2001-10-25 Chaw Khong Technology Co., Ltd., Taiwan, R.O.C. Luggage fastener
US7559126B2 (en) * 2004-03-26 2009-07-14 Paul Giampavolo Safety buckle with multiple orientation clasp
US6684466B2 (en) * 2001-12-17 2004-02-03 Ykk Corporation Of America Three point release buckle assembly
JP4203461B2 (ja) * 2004-11-02 2009-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WO2010082972A1 (en) * 2009-01-16 2010-07-22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8484814B2 (en) * 2010-03-10 2013-07-16 Illinois Tool Works Inc. Three point release buck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42A (ja) 2003-08-12 2005-03-10 Ykk Corp バックル
JP2007020603A (ja) 2005-07-12 2007-02-01 Maazen Products:Kk 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2833B2 (en) 2016-01-12
EP2666383B1 (en) 2016-01-13
EP2666383A1 (en) 2013-11-27
KR20130131575A (ko) 2013-12-04
US20130312233A1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7570C (en) Quick release buckle
US7219406B2 (en) Buckle with safety latch
US6154936A (en) Two-piece quick release buckle and strap adjuster
US7712196B2 (en) Belt lock
TWI403281B (zh) Side open buckle
EP3738460B1 (en) Buckle
KR102082439B1 (ko)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KR101343759B1 (ko) 버클
KR20170053183A (ko) 버클
US20120260474A1 (en) Side Release Buckle and Lock Member for Same
KR102177493B1 (ko) 버클
TWI603688B (zh) buckle
JP2017136285A (ja) バックル
WO2012173150A1 (ja) コードロック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US8464406B2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TWI486132B (zh) Buckle (a)
KR101317044B1 (ko) 버클
WO2013164888A1 (ja) フロントリリースバックル
JP2006204638A (ja) バックル
EP1206916A1 (en) Two-piece quick release buckle and strap adjuster
JP2022180259A (ja) 留具
TWM600560U (zh) 旁開扣
CA2509169A1 (en) Buckle with safety latch
US8495804B2 (en) Quick-release buckle for a shoulder strap and preventing unintentional release when tension is exerted by the shoulder 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