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758A - 행거 - Google Patents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758A
KR20090111758A KR1020090015320A KR20090015320A KR20090111758A KR 20090111758 A KR20090111758 A KR 20090111758A KR 1020090015320 A KR1020090015320 A KR 1020090015320A KR 20090015320 A KR20090015320 A KR 20090015320A KR 20090111758 A KR20090111758 A KR 2009011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vertical portion
folding
vertica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167B1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강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강재
Priority to KR102009001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6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04B9/205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by means of a resilient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상단; 상기 상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상단과 평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단; 상기 제1수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하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되도록 구비된 접철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행거에 따르면, 상기 접철홈과 접철공의 구성으로 인하여, 채널부재를 가압하는 접철부의 접철되는 부분(경계부분B)의 인장강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맨손으로도 상기 접철부를 용이하게 접철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행거, 엠바, 패널, 걸림턱, 엠보

Description

행거{Hanger}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에 사용되는 천정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천정 패널 고정 장치인 엠바(M-Bar)와 채널부재 및 행거 등에서 채널부재와 결합되어 천정패널 등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오피스텔 등 건축물 천장의 전기배선으로 인하여 미관상 좋지 못한 부분을 은닉시켜 주거나 감전으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천정패널은 시공된다.
이러한 천정패널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슬라브 하측에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고정부재의 하측으로 채널부재 및 엠바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와 채널부재를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행거를 사용하게 되는데, 행거에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부재와 행거가 연결되며 행거의 내측으로 채널부재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천정 패널 고정 장치에 사용되는 행거로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행거가 적용된 천정 패널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또 다른 형태를 갖는 종래의 행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행거(1,2)는 상단(20,20')과, 상단(20,20')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수직부(30)와, 상단(20,20')과 평행하며 제1수직부(30)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단(40)과, 제1수직부(30)와 평행방향으로 대응되어 서로 마주보며 하단(40)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수직부(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단(20,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40)과 서로 마주보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20,20')은 행거(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볼트(6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행거(1,2)가 채널부재(70)에 슬라이딩하여 끼워 넣어지고 채널부재(70)의 크립부재(71)에 슬라이딩하여 채널부재(70)와 엠바(80)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제1수직부(30)는 상단(20,20')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제1고리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2수직부(50)는 제1수직부(30)의 2개의 제1고리삽입홀(31)과 대응되게 제2고리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행거는 고리로 행거(1,2)와 채널부재(70)를 지지하며 고정하기 때문에 고리를 따로 제작하여야 하고, 고리를 행거(1,2)의 고리 삽입홀(31,51)에 끼워넣기 위해 구부리기 위한 별도의 작업시간과 인력을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고리삽입홀(31,51)이 형성된 행거(1,2)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의 제1수직부(30)와, 제2수직부(50)가 서로 대응되도록 비슷한 길이를 갖게 됨으로써, 그 길이만큼 불필요한 행거재료가 쓰이게 된다.
또한, 종래의 행거의 일 예 중에서 행거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높이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2)의 상단(20')이 하단(40)과 서로 마주보고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볼트(60)를 행거(2)에 고정할 때, 고리로 인하여 나사 조임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사 조임을 위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수직부(30)의 길이방향으로 부재를 더 늘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행거(1,2)의 고리삽입홀(31,51)에 걸어지는 고리가 덜렁거려 행거(1,2)와 채널부재(70)의 결합된 고정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행거(1,2)의 상단(20,20')에서 나사결합되는 볼트(60)의 조임이 견고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재 또는 공구를 이용함이 없이 행거와 채널부재를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행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리를 구부리기 위한 시간과 인력을 줄이며, 행거와 채널부재와의 안정적인 고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상단; 상기 상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상단과 평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단; 상기 제1수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하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접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홈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공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공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의 방향은 상기 하단과 마주보는 방향이거나, 서로 반대의 방향인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경계부분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분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공이 형성되어, 상기 접철홈 및 접철공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부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된 제1보강엠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과 제1수직부가 연결되는 경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된 제2보강엠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의 적어도 상하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며 접철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행거에 따르면,
첫째, 접철홈과 접철공의 구성으로 인하여, 채널부재를 가압하는 접철부의 접철되는 부분(경계부분B)의 인장강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맨손으로도 상기 접철부를 용이하게 접철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 다.
둘째, 고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행거와 채널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고리를 행거의 고리삽입홀에 넣고 구부리는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고리를 따로 제작하지 않음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고리를 행거의 고리삽입홀에 넣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행거와는 달리 행거의 고리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길게 제작되므로, 행거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비가 절감된다.
다섯째, 행거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높이기 위해 행거의 상단이 하단과 마주해 있는 경우에, 고리의 존재로 인하여 볼트를 행거에 고정할 때 나사 조임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고리가 없으므로 나사 조임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나사 조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의 행거가 불필요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작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여섯째, 종래의 기술에서 고리의 안정적이지 못한 고정을, 본 발명의 경우 행거의 걸림턱으로 인하여 고정을 안정적이게 한다.
일곱째, 본 발명의 상단의 상하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 발명은 행거의 상단의 나사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행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행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도 5의 L-L선에 의한 행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접철부의 형태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행거의 접철부가 동작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3의 행거와 채널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행거가 적용된 천정패널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100)는 상단(110), 제1수직부(120), 하단(130), 제2수직부(140) 및 접철 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단(110)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볼트(6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슬라브(천정 벽면)의 드릴링된 홈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단(110)의 볼트삽입공(11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볼트삽입공(111)에 볼트(60)를 끼워 넣은 후 볼트(60)에 나사를 끼워 돌려넣음으로써 볼트(60)와 상기 상단(110)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60)와 상단(110)을 나사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볼트삽입공(111)에 삽입되어 볼트삽입공(11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60)의 타단부에 상기 나사를 끼워 돌려넣어서 나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행거(100)의 상부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삽입공(111)에 볼트(60)가 삽입되기 전에 상부나사(61a)가 상기 볼트(60)에 삽입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볼트삽입공(111)에 삽입되어 노출된 볼트(60)의 타단부에 하부나사(61b)가 삽입결합됨으로써, 상기 행거(100)를 상기 볼트(60)의 길이방향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위치는 상기 상부나사(61a)와 하부나사(61b)의 회전정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110)의 적어도 상하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113)은 상단(110)의 일측면 상에 일정 형상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요철(凹凸)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일정 형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무늬를 갖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 밖에 일자형, 십자형,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113)은, 상기 상부나사(61a) 및 하부나사(61b)와 상기 요철에 의한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목적으로 구비된 구성으로서, 상기 상단(110)의 상부면과 상부나사(61a) 또는 상기 상단(110)의 하부면과 하부나사(61b)의 상호 나사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단(110)의 방향은 상기 하단(130)과 마주보는 방향이거나,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단(110)의 일단은 상기 제1수직부(120)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되, 상기 상단(1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은 도 6a과 같이 제2수직부(140)의 반대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직부(140)를 향하는 방향 즉, 상기 하단(130)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120)는, 상기 상단(110)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21)이 형성되는 방향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21)의 끝단이 행거(100)와 삽입체결되는 채널부재(70)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직부(120), 하단(130), 제2수직부(140) 및 접철 부(150)의 각 내부면이 형성하는 공간 방향 즉, 제2수직부(140)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1수직부(12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된 제1보강엠보(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엠보(122)는 상기 제1수직부(120)에 휨모멘트가 작용될 때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제1보강엠보(122)가 돌출되는 방향이 제2수직부(140)를 향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 방향으로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보강엠보(122)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휨모멘트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제1수직축(120)의 인장강도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보강엠보(122)가 형성되는 수량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110)과 제1수직부(120)가 연결되는 경계부분(A)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 및 돌출되어 형성된 제2보강엠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보강엠보(112)는 앞서 설명한 제1보강엠보(122)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계부분(A)에 휨모멘트가 작용될 때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제2보강엠보(112)가 함몰되는 방향이 상기 제2수직부(14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수직부(140) 방향으로도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보강엠보(112)는 상단(110)과 제1수직부(120)를 직각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상기 경계부분(A)을 제2수직부(140)의 반대방향으로 함몰시켜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분(A)의 함몰된 부분의 반대 면에는 돌출된 형태로 상기 제2보강엠보(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철부(150)는, 상기 제2수직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제2수직부(140)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된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150)는, 상기 제1수직부(120), 하단(130) 및 제2수직부(140)의 각 내부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체결되는 채널부재(70)의 일측부를 가압하여 행거(100)와 채널부재(70)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부(15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제1수직부(120) 방향으로 접철되되, 제2수직부(140)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B)이 접철되어 상기 채널부재(70)의 모서리 부분(경계부분(B)와 채널부재(70)가 접촉되는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부(140)와 접철부(150)가 이루는 일정각도(θ)는, 상기 하단(130)의 크기 및 형태, 접철부(15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150)는, 상기 제2수직부(140)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B)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홈(151)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홈(151)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2수직부(140)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철홈(151)은 상기 제2수직부(140)와 접철부(150)가 상기 경계부분(B)를 기준으로 접철되되, 상기 경계부분(B)이 갖는 인장강도가 낮아지도록 구비된 구성으로서,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맨손으로도 상기 접철부(150)를 제2수직부(140)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접철부(150)의 경계부분(B)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공(152)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공(152)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140)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철공(152)은, 상기 접철홈(151)과 마찬가지로, 상기 경계부분(B)이 갖는 인장강도가 낮아지도록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접철공(152)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접철홈(151) 및 접철공(152)은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홈(151)과 접철공(152)이 상기 경계부분(B)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철홈(151)과 접철공(152)이 각각의 형태 및 형성되는 수량은, 상기 경계부분(B)에 가해지는 인장강도를 낮추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철하되, 상기 접철부(150)가 상기 채널부재(70)의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상기 행거(100)와 채널부재(70)의 결합이 견고한 상태가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접철부의 형태 및 동작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행거와 채널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행거(100)는 접철부(150)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θ)로 접철되어 상기 접철부(150)의 끝단부가 제1수직부(120)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9에 도시된 접철부(150) 보다 길이가 짧은 접철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철부(150')가 직각으로 접철 가능하여, 상기 채널부재(70)의 모서리 부분은 물론 상부면까지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접철부(150')의 구성을 통해, 상기 행거(100)와 채널부재(70)의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행거가 적용된 천정패널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행거와 다른 형태를 갖는 종래의 행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행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행거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6a는 도 5의 L-L선에 의한 행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접철부의 형태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행거의 접철부가 동작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3의 행거와 채널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행거가 적용된 천정패널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접철부의 형태 및 동작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행거와 채널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행거 110...상단
111...볼트삽입공 112...제2보강엠보
120...제1수직부 121...걸림턱
122...제1보강엠보 130...하단
140...제2수직부 150...접철부
151...접철홈 152...접철공

Claims (9)

  1.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상단;
    상기 상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상단과 평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단;
    상기 제1수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하단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접철부를 포함하는 행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홈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된 경계부분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공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공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방향은 상기 하단과 마주보는 방향이거나, 서로 반대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경계부분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분의 중앙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공이 형성되어,
    상기 접철홈 및 접철공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직부와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된 제1보강엠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과 제1수직부가 연결되는 경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 되어 형성된 제2보강엠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적어도 상하 어느 한 면에는 요철형태의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제2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며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KR1020090015320A 2009-02-24 2009-02-24 행거 KR10097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20A KR100979167B1 (ko) 2009-02-24 2009-02-24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20A KR100979167B1 (ko) 2009-02-24 2009-02-24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58A true KR20090111758A (ko) 2009-10-27
KR100979167B1 KR100979167B1 (ko) 2010-08-31

Family

ID=4153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320A KR100979167B1 (ko) 2009-02-24 2009-02-24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19B1 (ko) * 2018-04-20 2019-04-29 (주)유창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20190122545A (ko) * 2019-02-28 2019-10-30 (주)유창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102153885B1 (ko) * 2020-05-14 2020-09-10 제이앤티 주식회사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37Y1 (ko) * 2018-11-06 2019-05-07 이상권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CN111549959B (zh) * 2020-05-21 2021-06-29 台州市中港化建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上的三角卡片
CN111549960B (zh) * 2020-05-21 2021-07-27 浙江新华建设有限公司 一种便安装定位的龙骨三角卡片
CN111648517B (zh) * 2020-05-29 2021-09-03 广东新六维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上便捷式的龙骨连接件
KR102553618B1 (ko) 2021-02-09 2023-07-1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시공이 편리한 서스펜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509B2 (ja) * 1994-05-31 1998-11-11 株式会社オクジュー 天井下地用チャンネルの端部連結構造
KR200402360Y1 (ko) * 2005-09-16 2005-11-29 주식회사 대한강재 행거
KR100865088B1 (ko) * 2007-10-25 2008-10-23 김남영 천정 패널 고정용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19B1 (ko) * 2018-04-20 2019-04-29 (주)유창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20190122545A (ko) * 2019-02-28 2019-10-30 (주)유창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102153885B1 (ko) * 2020-05-14 2020-09-10 제이앤티 주식회사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167B1 (ko)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167B1 (ko) 행거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CN104372879B (zh) 线性表面覆盖系统
CN209891664U (zh) 扣接式踢脚线结构
KR10132675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TWI658191B (zh) 壁板的安裝具及建物的壁構造
JP2014202059A (ja) 野縁吊持用クリップ
KR101480343B1 (ko) 바닥 프로파일 장치
CN201546327U (zh) 墙板连接组件
CN106760340B (zh) 保温装饰挂板、保温装饰墙体及保温装饰墙体的生产方法
JP5025439B2 (ja) デッキプレート用吊り金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吊り構造
US20060169849A1 (en) Quick joint without bolts or accessories for cable hangers
JP6200285B2 (ja) 野縁受け
KR102294527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200402360Y1 (ko) 행거
KR20090023019A (ko) 케리어 찬넬 및 케리어 찬넬 행거
CN214402554U (zh) 建筑扣件装置
JP2016089555A (ja) 野縁吊持用クリップ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CN106638979B (zh) 上墙挂件的连接结构
KR200293493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JP2011202476A (ja) 金属サイディング用役物
KR200373989Y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TWI586879B (zh) Automatic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al high-strength embedded wall panels and wall panels
JP5671086B2 (ja) 屋根上物品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