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989Y1 -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989Y1
KR200373989Y1 KR20-2004-0029439U KR20040029439U KR200373989Y1 KR 200373989 Y1 KR200373989 Y1 KR 200373989Y1 KR 20040029439 U KR20040029439 U KR 20040029439U KR 200373989 Y1 KR200373989 Y1 KR 200373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board
frame
groove
protrusion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섭
Original Assignee
김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섭 filed Critical 김윤섭
Priority to KR20-2004-0029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과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며, 마루판이 폭방향으로 신축될 때 연결부재가 같이 가변되어 마루판과 마루판의 체결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루판조립체는, 사각판체의 마루판과, 상기 마루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측마루판과 타측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마루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통체로 상부면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개구된 통체의 상부면까지 돌출된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데,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루판은 저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면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판체의 4측면에는 각각 측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돌기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루판의 측홈에 삽입되는 걸림바가 측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걸림바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 결합돌기와 걸림바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세로바로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내부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고, 상기 마루판의 요홈에 대응되는 연결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는 프레임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마루판조립체는 마루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내부 중앙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는 걸림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는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에 틈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 시공이 간편하고 마루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루판의 신축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A floor assembly for connecting means}
본 고안은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과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며, 마루판이 폭방향으로 신축될 때 연결부재가 같이 가변되어 마루판과 마루판의 체결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건축 자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많은 종류의 건축 자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자재 중바닥재로 사용되는 마루판은 바닥에 받침 부재로 긴 장선(長線)을 설치한 후 그 위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루판 설치방법은 단순 결합에 의한 것으로, 마루판 자체가 함수률에 따라 폭이 변화됨으로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52658호에서 걸림구 및 돌기가 형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마루판의 틈을 제거하고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는 마루판 조립체를 제시한 바 있다.
즉, 도 6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장소의 바닥에 프레임(3)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돌출부(3a)에 연결구(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연결구의 걸림구(2b) 및 돌기(2c)는 마루판(1)의 측홈(1b) 및 요홈(1a)에 각각 결합함으로서 마루판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루판(1)의 결합은 프레임(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구(2)에 의해 마루판의 틈과 들뜸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구 본체(2a)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c)가 두 마루판의 요홈(1a)에 각각 결합됨으로서 마루판과 마루판의 틈을 발생하지 않게 하고, 연결구의 걸림구(2b)가 두 마루판의 측홈(1b)에 각각 결합되어 마루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2) 자체가 프레임(3)의 돌출부(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함수률에 의한 마루판 폭의 가변에 따라 같이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마루판 폭의 변화와 무관하게 연결구(2)의 체결력에 의해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의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마루판 조립체는 마루판에 가해진 하중이 연결구를 통해서 프레임으로 전달됨으로 상기 연결구에는 하중이 집중되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구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연결구를 프레임 내부면(수직단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연결구가 마루판의 일정부분만 지지하고 있어 하중의 편중에 의한 파손문제는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루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내부 중앙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는 걸림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는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에 틈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 시공이 간편하고 마루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루판의 신축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 3c, 3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마루판 시공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 마루판 시공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루판조립체 20 : 프레임
21 : 돌출부 22 : 수용부
23 : 결합홈 24, 24' : 연장부
30 : 걸림부재 31, 31' : 걸림바
32 : 세로바 33 : 결합돌기
40 : 연결부재 41 : 연결돌기
42 : 암나사부 43 : 수나사부
50 : 마루판 51 : 측홈
52 : 요홈 60 : 간격조절판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조립체는,
사각판체의 마루판과, 상기 마루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측마루판과 타측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마루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통체로 상부면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개구된 통체의 상부면까지 돌출된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데,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루판은 저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면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판체의 4측면에는 각각 측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돌기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루판의 측홈에 삽입되는 걸림바가 측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걸림바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 결합돌기와 걸림바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세로바로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내부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고, 상기 마루판의 요홈에 대응되는 연결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는 프레임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은 상부가 개구된 세모모양의 단면을 갖는 "" 형태 또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모양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설되는 걸림부재의 결합돌기도 상기 결합홈의 내부면과 동일/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양 이외에 걸림부재가 걸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바는 판형태로 형성되고, 세로바를 중심으로 양측 걸림바 각각의 중단부가 굴곡된 "⊂" 또는 "⊃"의 형태로 접혀 형성되어 일정한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하단에 면상에서 돌출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두 연장부가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간격조절판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간격조절판의 길이만큼 프레임과 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분리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일측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연결부재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정도에 따라 연결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 3c, 3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마루판 조립체(10)는 설치되는 장소에 기초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30) 및 연결부재(40)와 상기 걸림부재 및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마루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최종적으로 표출되는 마루판 간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장소에 기초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각통체로 상부면 중앙 일부분이 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일부분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부의 개구된 부분까지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프레임의 내부는 양측면의 수용부(22)와 중앙의 돌출부(21)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1)의 상부면은 프레임의 개구된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3)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으로 개구된 사각모양의 단면을 갖는 ""형태 또는 상측이 개구된 세모모양의 단면을 갖는 ""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태는 후술되는 걸림부재(3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부재(30)가 상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홈(23)의 상부가 하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형태 이외에 결합홈의 폭을 상부가 하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양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부(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두 연장부(24, 24') 사이의 공간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조절판(60)이 결합된다. 상기 간격조절판(60)은 프레임의 설치 간격만큼 각재 또는 기타부재를 설치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설치함으로서 일방향이 긴 프레임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재(30)는 도 3a, 도 3b,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는 결합돌기(33)와 상기 결합돌기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된 세로바(32)와 상기 세로바의 교차되게 형성된 걸림바(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30)는 걸림바(31)가 후술되는 마루판(50)의 측홈(51)에 삽입되어 마루판이 들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부재(30) 자체가 마루판과 같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재의 결합돌기(33)를 상술한 프레임의 결합홈(23)과 동일/유사한 형태인 단면이 사각형 또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돌기(33)가 프레임의 결합홈(23)에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30)는 프레임의 결합홈 선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 마루판 측홈(51)에 삽입하기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바(31)는 마루판 길이방향의 측홈(51)에만 결합되는 "I"자형태 또는 마루판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동시에 결합되는 "ㅜ"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고, 걸림부재(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금속재질의 코어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3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바(31)를 판형태로 형성하고, 세로바(32)를 중심으로 양측 걸림바(31) 각각의 중단부를 "⊂" 또는 "⊃"의 형태로 접어서 걸림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굴곡이 형성된 걸림부재의 걸림바(31)는 이에 대응되는 마루판의 측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측홈이 어느정도 두께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걸림바(31)의 탄성에 의해 강한 체결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20)의 양 수용부(22)에 대칭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부면에 연결돌기(41)가 다수 돌출형성되어 마루판(5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52)에 각각 삽설된다. 상기 연결돌기(41)는 연결부재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부재의 상면 일측이 프레임에 일부 파지되어 있으므로,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만 연결돌기(41)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재(40)도 상기 걸림부재(3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선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마루판이 폭방향으로 가변되는 것에 비례하여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분리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분리된 일측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타측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암나사부(42)와 수나사부(43)의 결합정도에 따라연결부재(4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돌기(41)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돌기(41)와 대응되는 마루판의 요홈 간격을 연결부재의 결합조절길이만큼 유동성 있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루판(50)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측면에 걸림부재의 걸림바(31)를 삽입할 수 있는 측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연결부재의 연결돌기(41)가 삽입되는 요홈(5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마루판 조립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프레임(20)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양 수용부(22)에는 연결부재(40)를 중앙의 결합홈(23)에는 걸림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여 마루판(5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돌기(41)는 일측마루판과 타측마루판에 각각 삽설되어 마루판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돌기(33)는 마루판의 측홈(51)에 삽설되어 마루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루판의 저면은 프레임 상부인 돌출부(21)면과 프레임의 개구된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마루판(50)에 가해지는 하중이 프레임(20)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장착이 용이하고 지지력이 우수한 마루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는,
마루판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내부 중앙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는 걸림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는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에 틈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 시공이 간편하고 마루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루판의 신축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3)

  1. 사각판체의 마루판과, 상기 마루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측마루판과 타측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마루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통체로 상부면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개구된 통체의 상부면까지 돌출된 돌출부(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데,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루판(50)은 저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면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요홈(52)이 형성되고, 판체의 4측면에는 각각 측홈(5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돌기(33)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루판의 측홈(51)에 삽입되는 걸림바(31)가 측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33)와 걸림바(31)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 결합돌기(33)와 걸림바를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세로바(32)로 형성된 걸림부재(30)와; 상기 돌출부(21)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내부의 양측 수용부(2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고, 상기 마루판의 요홈(52)에 대응되는 연결돌기(41)가 상부에 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는 프레임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40);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양측면에는 상하단에 면상에서 돌출된 연장부(24, 24')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두 연장부가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간격조절판(60)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간격조절판의 길이만큼 프레임과 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분리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일측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타측연결부재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43)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결합정도에 따라 연결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조립체.
KR20-2004-0029439U 2004-10-18 2004-10-18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KR200373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439U KR200373989Y1 (ko) 2004-10-18 2004-10-18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439U KR200373989Y1 (ko) 2004-10-18 2004-10-18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989Y1 true KR200373989Y1 (ko) 2005-01-21

Family

ID=4944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439U KR200373989Y1 (ko) 2004-10-18 2004-10-18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9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67B1 (ko) 2005-07-29 2007-05-11 (주)이프인테리어 마루판 조립체
KR100760960B1 (ko) 2006-09-25 2007-09-21 (주)이프인테리어 배관 일체형 마루판 조립체
KR102078394B1 (ko) * 2019-06-24 2020-04-07 (주) 대현목재 개별 보수가 용이한 데크 고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67B1 (ko) 2005-07-29 2007-05-11 (주)이프인테리어 마루판 조립체
KR100760960B1 (ko) 2006-09-25 2007-09-21 (주)이프인테리어 배관 일체형 마루판 조립체
KR102078394B1 (ko) * 2019-06-24 2020-04-07 (주) 대현목재 개별 보수가 용이한 데크 고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278B1 (en) Flooring panel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US20080184656A1 (en) Slab bolster coupling
EP2893100A1 (en) Concealed grid ceiling system
JPH0515857B2 (ko)
KR100979167B1 (ko) 행거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200373989Y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KR101562824B1 (ko)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
RU247465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вух перекрещивающихся с-образных профилей
US20060169849A1 (en) Quick joint without bolts or accessories for cable hangers
JP5116298B2 (ja) 床板固定金具
KR101061713B1 (ko) 천장판의 고정 구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100554003B1 (ko) 탄성교량받침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KR20170100158A (ko) 측 방향 슬라이딩 체결방식으로 잠김 조립되는 분리형 너트
JP2014140743A (ja) すのこベッドフレーム用ブラケット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KR200343583Y1 (ko) 천정구조물의 클립
KR102079810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2005282170A (ja) 床材の固定構造
JP2000240177A (ja) 通気用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