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833A -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 - Google Patents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833A
KR20090110833A KR1020097014534A KR20097014534A KR20090110833A KR 20090110833 A KR20090110833 A KR 20090110833A KR 1020097014534 A KR1020097014534 A KR 1020097014534A KR 20097014534 A KR20097014534 A KR 20097014534A KR 20090110833 A KR20090110833 A KR 2009011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teerable
sectors
communication channe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543B1 (ko
Inventor
리차드 첸
홍 자이
춘-팅 초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11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안테나(740)는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고; 만일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며; 그리고 만일 제 1 비콘이 발견되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한다. 안테나(740)는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 상으로 제 1 및 제 2 비콘을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제 1 및 제 2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안테나(740)는 동일한 통신 채널을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슈퍼 프레임의 상이한 시간 슬라이스는 제 1 비콘, 제 2 비콘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된다. 제 2 디바이스(C, D)는 만일 추가적인 섹터로부터 비 제 1 비콘(non-primary beacon)을 수신한다면 추가적인 섹터로 추가적인 비콘을 보낸다.
섹터, 채널, 비콘, 통신, 데이터

Description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본 발명은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0/885,192호(대리인 특허 관리 번호 제007839호), 제60/885,184호(대리인 특허 관리 번호 제007837호), 및 제60/885,187호(대리인 특허 관리 번호 제00783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2007년 1월 16일자로 출원되었고,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모두 병합된다.
본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 있는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발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스펙트럼이 연결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점점더 중요하게 됨에 따라, 이 스펙트럼은 점점더 혼잡하게 되어 무선 액세스 및/또는 상호 작용 포인트에 대하여 문제점을 생성할 수 있다. 냉장고, 세탁기, 장난감 등과 같은 보통의 디바이스 타입에서의 디바이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통신의 아이디어가 스펙트럼에서의 문제를 보일 뿐만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까지 연결성을 확장하는 것은 반드시 임의 서비스 품질(QoS) 필수조건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연결성이 신뢰성이 있을 필요가 있다는 점과 저렴해야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문제를 보인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문제의 상이한 부 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몇 개의 태스크 그룹을 가지는 IEEE 802.15 워킹 그룹의 주제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향성 안테나가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고, 전송 전력 필수 조건을 감소시키며, 고 전송 주파수(예를 들면, 60Ghz)를 이용할 때 더 높은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공간 재사용을 이용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된 WPAN은 이후 여기에 참조된 지향성 WPAN 또는 D-WPAN으로 명명된다.
안테나 설계의 복잡성 및 하드웨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일부 안테나는 고정된 전송 방향을 갖거나 또는 단지 한 방향쪽으로 전송을 선택한다. 이들 안테나는 일반적으로는 독립적으로 전송 방향을 변경시킬 수 없으며,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지향성 안테나의 배향을 조작함으로써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서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한 쌍의 무선 디바이스(A, B)를 갖는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도시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A, B)의 각각으로부터 고정 지향성 빔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거리가 증가할 수 있고/거나 전송 전력 및 콤포넌트 비용이 위에 논의된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와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지향성 안테나는 2개의 빌딩 사이에서와 같은 2개 위치 사이에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를 확장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각 빌딩은 LAN 또는 이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는 높은 신뢰성을 갖지만 이 빌딩 사이에서 고정(예를 들면, 유선) 시스템을 실행할 필요없이도 이 빌딩 사이에 LAN을 가교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방향으로 통신 빔을 형성하고/거나 섹터(1, 2, 3, 4)를 보여주는 전송 표시 패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때때로 빔 방향을 조종/스위칭할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2개의 디바이스(C, D)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고정 지향성 또는 도 2에 도시된 조종 가능한 지향성 디바이스인 단지 하나의 타입의 디바이스만으로 구성되는 D-WPAN은 동질성 D-WPAN으로 명명된다.
고정 지향성 및 조종 가능한 지향성 디바이스가 공동 존재하고 한정된 채널 세트로 서로 통신할 필요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또한 있다. 이러한 타입의 D-WPAN은 이질성 D-WPAN으로서 명명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다. 한 쌍의 디바이스 간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채널에서 전체 데이터 기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채널은 다른 디바이스/어플리케이션에 이용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디바이스는 비공유 디바이스로서 명명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 무선 채널을 점유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 전송 매체의 시간 공유를 허용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디바이스는 이 매체를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함으로써 전송 매체를 공유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가 주어진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전송 매체의 전송 능력 모두를 점유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공유 디바이스로서 명명된다.
보통 서로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지향성 디바이스는 이 디바이스간 실제 데이터 전송이 시작될 수 있기 전에 서로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절차는 D-WPAN에서 이웃 또는 디바이스 발견으로 명명된다. 동질성 D-WPAN을 위한 이웃 발견의 솔루션이 있는데, 이는 결국 공동 존재하는 혼성 타입의 지향성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고정 지향성 디바이스이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인 영역을 공유하는 디바이스) 사이에서 분리된 연결을 야기하며, 이후 이는 이질성 D-WPAN으로서 명명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디바이스(A, B)는 서로를 향한 안테나를 구비한 고정 지향성 디바이스이고, 따라서 서로 연결된다.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인 디바이스(D)의 전원이 켜지면, 이 디바이스는 모든 그 자신의 섹터를 스캔하지만 이들의 안테나의 지향성으로 인해 디바이스(A 또는 B)의 전송을 청취할 수 없다. 그러므로, 디바이스(D)는 디바이스(A 또는 B)에 연결되지 않는다. 디바이스(C)의 전원이 켜진 나중에, 디바이스(C)는 그 섹터(4)에 있는 디바이스(D)를 청취할 수 있고 그 섹터(1)에 있는 디바이스(B)를 청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디바이스(C)는 디바이스(D)와의 통신하고 디바이스(D)와 D-WPAN을 형성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B)에 말하고 따라서 디바이스(A 및 B)에 의해 형성된 D-WPAN에 합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의 경우에서도, 디바이스(A, B, C, D)간의 연결은 사실상 분리된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고/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디바이스간 분리된 연결을 야기하는 것을 피하는 이질성 D-WPAN 환경에서 발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통신 프로토콜 및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안테나는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고; 만일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며; 그리고 제 1 비콘이 발견된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한다. 안테나는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 상으로 제 1 및/또는 제 2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안테나는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제 1 및/또는 제 2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동일한 통신 채널을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할 수 있다. 안테나는 제 1 비콘을 위해 슈퍼 프레임의 제 1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제 2 비콘을 위해 슈퍼 프레임의 제 2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슈퍼 프레임의 제 3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및 고정 지향성 비콘은 Richard Chen, Chun-Ting Chou 및 Alireza Seyedi에 의한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WIRELESS DEVICES"라고 명칭된 미국 특허 출원(대리인 특허 관리 번호 제009299US호)에 따라 전송되며, 이 출원의 내용(subject matter)은 여기 전체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참고로 병합된다.
이 디바이스는 비공유 섹터에서의 통신 채널을 공유하지 않는 비공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안테나는 비공유 섹터와 다른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의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비콘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 안테나는 만일 제 1 비콘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에서 발견되고,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또는 제 2 안테나 디바이스로부터의 비콘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에서 검출된다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는 최대 20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일 수 있으며 상이한 사이즈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제 1 비콘의 청취를 반복하고 제 1 비콘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만일 안테나가 제 1 비콘의 수신을 중지한다면 제 1 디바이스가 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를 목적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와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질성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및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및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질성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및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및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이질성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 가능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는 다음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지는 경우 위에 기술된 특징 및 이점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을 예시하게 될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다. 이하 설명에서, 제한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설명을 목적으로, 아키텍처, 인터페이스, 기술 등과 같은 예시적인 세부 사항이 기술된다. 그러나, 이들 세부 사항을 벗어나는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여전히 이해되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명료화를 목적으로, 잘 알려진 디바이스, 회로, 기술 및 방법의 세부화된 설명은 본 시스템의 설명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된다.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포함되고 본 시스템의 범위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시스템의 설명을 단순화하려는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동작가능하게 연결"이라는 용어 및 이의 낱말 형성 요소(formatives)는 본 시스템에 따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의 부분 간 연결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동작 가능한 연결은 2개 이상의 디바이스 간 유선 연결 및/또는 무선 연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연결은 디바이스 또는 이의 부분 간 단방향 및/또는 쌍방향 통신 경로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의 문제를 해소한다.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는 이질성 환경에서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순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 가지 솔루션은 모든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모든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의 모든 섹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각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그 안테나를 조종할 수 있는 최대 20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를 가질 때, 엄청난 오버헤드를 초래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청취하는 섹터의 개수에 양호한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가해지므로(struck on), 그러므로 복수의 섹터에서 제어 정보에 의해 초래된 오버헤드는 통신 범위 내에 있는 D-WPAN 디바이스사이에서의 연결성을 최대화시키면서도 감소된다.
본 시스템에 따르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전원 켜짐시 초기 스캔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의 역할을 결정하여 모든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의 모든 섹터로 비콘을 전송하는 오버헤드를 피한다. 본 시스템에 따르면, 디바이스 발견은 공통 제어 채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 통신은 상이한 데이터 채널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채널은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셋업되는 시간 슬라이스를 가지고 이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동작은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선택 프로세스를 가지는 흐름도를 보여주며, 이 흐름도에서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로서 동작할지를 결정한다.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현재의 선택 절차는 D-WPAN에 단지 하나의 제 1 디바이스가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구현된다. 본 시스템에 따라, 각 디바이스는 도시 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이어야 하는지를 전원 켜짐시 결정한다.
이 프로세스는 그 후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단계(420) 동안 전원이 켜질때(이후, 켜있는 디바이스(turning-on device)), 단계(410) 동안 시작한다. 켜있는 디바이스는 먼저 그 디바이스의 각 조종 가능한 섹터에 대한 그 청취 빔(listening beam)을 조종하고 또 다른 디바이스가 이미지 제 1 디바이스로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비콘을 찾아 단계(430) 동안 각 조종 가능한 섹터(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섹터(1, 2, 3, 4))를 Tscan 기간 동안 청취한다. 일실시예에서, 슈퍼 프레임의 전형적인 지속 기간은 50ms(예를 들면, WiMedia 초광대역 기반 라디오를 위한 Ecam368 사양서에서는 64ms) 내지 100ms(예를 들면, WiFi 라디오)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슈퍼 프레임은 스트리밍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하기 위해 16.67 ms(비디오 프레임의 지속 기간)만큼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자연히, 다른 지속 기간 및 범위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청구항은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으면 임의의 특정 범위 또는 값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Tscan은 적어도 슈퍼 프레임의 지속 기간일 수 있지만, 그러나 더 길 수 있다.
단계(440)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각 섹터에서의 Tscan 이후 검출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어떤 비콘도 없는 경우, 단계(450) 동안 켜있는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비콘 기간을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켜있는 디바이스는 모든 슈퍼 프레임에서 비콘 기간(예를 들면, 16.67ms)동안 모든 그 조종 가능한 섹터로서 비콘을 전 송한다. 이후, 프로세스는 시스템 상태에서의 일부 변화가 발생할 때까지 단계(460) 동안 이 켜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종료되며, 이 일부 변화는 이를 테면 제 1 디바이스(예를 들면, 이전의 켜있는 디바이스)가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거나 또는 전원이 꺼지는 것, 또는 비공유 제 1 디바이스가 모든 그 섹터로 제 1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비콘을 이전에 수신했던 제 2 디바이스는 이 제 1 비콘의 수신을 중단할 것이다.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는 그 조종 가능한 섹터의 각각에서의 또 다른 제 1 비콘 청취를 시작할 수 있고 그 후 그 디바이스의 켜짐에 관해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계속할 수 있다. 동시에 제 1 디바이스가 되도록 2개 이상의 제 2 디바이스가 선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는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에 관한 청취를 겪기 전에 랜덤한 일정 시간 기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기 기간은 상이할 것 같은데, 이는 각 기간이 랜덤하게 선택되고, 따라서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가 제 2 디바이스 중 또 다른 하나에 앞서 제 1 디바이스가 될 것 같기 때문이다. 상태에서의 다른 변화는 당업자에게 쉽게 일어날 것이며 본 시스템에 의해 포함되기 위해 의도된다.
이러한 절차의 예시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며, 이들 도면은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및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및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이질성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A 및 B)는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이고, 이와 같이 서로 쪽으로 향하는 빔과의 통신 위치를 위하여 설정되지만, 그러 나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A, B)가 "온라인"되는 순서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 왜냐하면 이들 디바이스는 본 시스템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로서 지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설명을 단순화할 목적으로, 사이즈 등에서 유사하게 할당되는 4개 섹터로 전송하는 능력을 가지는 각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 D)가 도시된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명백하게 더 많은 섹터가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 D)에 이용 가능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20개 이상의 섹터), 일부 경우에서, 하나 이상의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 보다도 더 많거나 더 적은 섹터로 전송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특징 중 어느 것도 위와 같이 특별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청구항의 제한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도 5에 관하여 위에 포함된 설명에 따르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는 켜지고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A, B)가 켜지고 잠시 이후 전송을 시작한다.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어떤 비콘도 비콘 청취 기간 동안 임의 조종 가능한 섹터(1, 2, 3, 4)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는 이후 조종 가능한 섹터(1, 2, 3, 4)의 각각에 비콘 전송을 시작한다. 그 잠시 이후,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켜진다. 기술된 바와 같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모든 조종 가능한 섹터(1, 2, 3, 4)를 스캔하고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의 조종 가능한 섹터(2)에서 제 1 디바이스(C)로부터의 비콘을 발견한다. 따라서,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제 2 디바이스와 같이 동작하기, 즉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로부터의 제 1 비콘이 발견되었던 그 섹터(2)으로 그 제 2 비콘을 전송하기를 시작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는 타이밍도로부터 보여지는데, 이 타이밍도에서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로부터의 비콘이 그 후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의 섹터(2)로 그 비콘을 전송하는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에 의해 수신된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하게,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A, B)가 확립된 이후 예시적으로 시작된다.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는 켜지고 먼저 제 1 비콘을 위하여 모든 조종 가능한 섹터를 청취한다(수신한다). 어떤 제 1 디바이스도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의 켜짐에 앞서 확립되지 않으므로,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는 제 1 디바이스가 되고 타이밍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조종 가능한 섹터상에 제 1 비콘을 전송한다. 그 후,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가 켜진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모든 조종 가능한 섹터를 스캔하고 제 1 디바이스(C)로부터의 비콘을 발견한다. 따라서,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제 2 디바이스와 같이 동작하기, 즉 제 1 비콘이 발견되었던 섹터로 그 제 2 비콘을 전송하기를 시작한다. 덧붙여, 모든 섹터의 켜있는 스캐닝 동안,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가 디바이스(D)가 제 1 디바이스(C)를 발견했던 곳과 다른 섹터에 있는 그 섹터(1)에 있는 고정 지향성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B)에 의해 전송된 비콘을 발견하기 때문에,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B)로부터의 비콘을 청취하는(예를 들면, 수신하는) 섹터(1)로 추가적인 비콘을 전송한다. 디바이스(A)의 빔이 디바이스(B)를 포인팅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A)의 빔 각도는 디바이스(D)가 A의 빔에서 커버되지 않고, 따라서 디바이스(D)는 디바이스(A)로부터 비콘을 수신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냄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조종 가능하지 않 은 디바이스(A, B) 중 하나가 제 1 디바이스(예를 들면,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와 동일한 섹터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D)는 (제 1 )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C)로부터의 비콘을 발견하는 결과로서 그 섹터에서 비콘을 개시할 것이고, 그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에 추가적인 제 2 비콘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비공유 제 2 디바이스가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경우에서,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비공유 제 2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을 쉽게 하기 위해 비시간 공유 섹터와 다른 섹터로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어떤 의미에서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로 그 자신을 강등시킬 수 있다. 이 공간 재사용은, 다른 디바이스로 하여금, 비공유 제 2 디바이스가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송신을 중단한, 사실상 다른 디바이스가 이 섹터를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중단한 섹터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채널로부터 분리된 전용 데이터 채널이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비공유 제 1 디바이스의 데이터 통신은 제어 채널과 다른 채널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이 비공유 제 1 디바이스는 또한 비시간 공유 섹터와 다른 섹터로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여 이 비공유 제 1 디바이스가 이 비시간 공유 섹터로의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 이후 공간적 재사용에 편의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가 상이한 비콘 그룹으로부터의 비콘을 청취하는 경우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Chun-Ting Chou, Hongqiang Zhai 및 Richard Chen에 의한 "APPARATUS AND METHOD FOR MERGING BEACON TRANSMISSION AND RECEPTION"으로 명칭된 미국 가출원(2008년 1월 15일 출원된 PCT 특허 출원번호 제 IB2008/050128호) 또는 2007년 1월 16일에 출원된 미국가특허출원번호 제60/885167호에 따라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콘 그룹을 결합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들 출원의 각각에 대한 내용은 여기에 그 전체가 진술된 것과 같이 참조로 여기에 병합된다.
도 7은 본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 가능한 안테나(740)를 갖는 디바이스(700)의 부분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본 시스템(700)의 부분은 메모리(720), 디스플레이(730), 유선 연결(750),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70), 트랜시버(744)를 통한 조종 가능한 안테나(74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744)는 수신기(743) 및 송신기(745)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시스템(700)이 예를 들면 적절한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 다른 이러한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720)는 알고리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술된 동작에 관련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가 프로세서(710)가 본 시스템에 따라 운영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신된다. 이 운영 동작은 전원 켜기, 비콘을 위한 이용 가능한 섹터 검색하기, 비콘 전송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700)의 세부 설명은 여기의 논의를 단순화하기 위해 소개되지 않지만, 그러나 이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정확하게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디바이스(700)는 사용자 입력(770) 및 디스플레이(730)를 포함하여 비록 운영을 위해 요구되지는 않지만 이들 실시예의 특정 측면을 손쉽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의 운용 동작은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은 디바이스(700)에 적용가능할 수 있는 임의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730)의 제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770)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독립형이거나, 또는 임의의 동작가능한 링크를 통하여 프로세서(710)와 통신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일부, 휴대 정보 단말기, 이동 전화기, 셋톱 박스, 텔레비전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70)는 본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 내에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스(710)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명백하게,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디스플레이(730), 조종 가능한 안테나(740) 및/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70)는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가령 복수의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 및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의 시동 및 발견을 포함하여 이질성 통신 시스템을 설정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을 위해 안테나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부분일 수 있다.
본 시스템의 방법은 특히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본 시스템에 의해 설명 및/또는 구상되는 개별적인 단계 또는 동작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물론 프로세서(710)와 연결되는 메모리(720) 또는 다른 메모리와 같은 집적 칩, 주변 디 바이스 또는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여기에 개시된 방법, 운영 동작, 및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710)를 구성한다. 메모리는 예를 들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및 프로세서(710) 사이 분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적인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분산 또는 단일일 수 있다. 메모리는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71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주소 지정 가능한(addressable) 공간으로부터 판독 또는 이 주소 지정 가능한 공간 내에 주소에 기록될 수 있는 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히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로, 유선 연결(750)(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의 유선 연결) 및/또는 안테나(740)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정보가 여전히 메모리(720) 내에 있는데, 왜냐하면 프로세서(710)는 본 시스템에 따라 동작 가능한 연결(740, 75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710)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하거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70)로부터의 입력 신호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에 응답하여 동작을 실행하고 메모리(720) 내에 저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 지정 또는 범용 사용용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710)는 본 시스템에 따라 실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이거나 또는 많은 기능 중 하나만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 부분, 복수의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이용 하여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전용 또는 다목적 집적 회로를 이용하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추가적인 변형은 당업자에게 쉽게 발생할 것이며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포함된다. 본 시스템의 동작을 통하여, 이질성 네트워크가 개시되고 동작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위의 논의는 본 시스템을 단지 예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고 임의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예 그룹으로 첨부된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또한 수많은 변형 및 대안적인 실시예가 다음에 이어지는 청구항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시스템의 더 넓고 의도된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업자에 의해 발명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덧붙여, 여기에 포함된 단원의 부분 표제(section headings)는 리뷰를 돕기 위한 의도이고, 본 시스템의 범위를 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첨부된 청구항을 해석할 때, 다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a) "포함"이라는 단어는 소정 청구항에서 열거된 것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동작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b) "단수"의 구성요소라는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 청구항에서의 임의 참조 부호는 이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d) 수개의 "수단"은 동일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아이템으로 구현된 구조 또는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e) 개시된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는 하드웨어 부분(예를 들면, 독립적인(discrete) 또는 집적된 전자 회로), 소프트웨어 부분(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이의 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f) 하드웨어 부분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부분의 하나 또는 둘 다로 구성될 수 있다.
g) 개시된 디바이스 또는 이의 부분 중 어느 하나는 특별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추가 부분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h) 동작 또는 단계의 어떤 특정한 시퀀스도 특별하게 지정되지 않으면 요구되지 않는다.
i) "복수"의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청구된 구성요소의 2개 이상을 포함하며, 임의의 특정 범위 개수의 구성요소를 암시하지는 않는데, 즉 복수의 구성요소는 단 2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수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 있는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발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통신 프로토콜 및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안테나는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고; 만일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며; 그리고 제 1 비콘이 발견된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한다.

Claims (24)

  1.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는 단계;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비콘이 발견되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콘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 상으로 전송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전 송되되,
    상기 동일한 통신 채널은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되고, 슈퍼 프레임의 제 1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비콘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2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2 비콘을 위해 이용되며,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3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비공유 섹터에서의 통신 채널의 비공유인 비공유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비공유 섹터와 다른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의 상기 제 1 디바이스 비콘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 1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에서 발견되고, 고정 또는 제 2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의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에서 검출된다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만일 상기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 1 비콘의 수신을 중지한다면 제 1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제 1 비콘을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키는 방법.
  7.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의 턴온을 제어하기 위해 배열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부분;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부분; 및
    제 1 비콘이 발견되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부분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상으로 전송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전송되되,
    상기 동일한 통신 채널은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되고, 슈퍼 프레임의 제 1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비콘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2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2 비콘을 위해 이용되며,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3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는 비공유 섹터에서의 통신 채널의 비공유인 비공유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비공유 섹터와 다른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비콘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11. 제 7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 1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에서 발견되고, 고정 또는 제 2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의 비콘이 상기 복 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에서 검출된다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12. 제 7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비콘을 수신하기를 중지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비콘 중 하나를 청취 및 전송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13.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700)로서,
    안테나(740)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는,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고;
    만일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며; 그리고
    만일 제 1 비콘이 발견되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안테나(740)는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 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전송되되,
    안테나(740)는 상기 동일한 통신 채널을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740)는 상기 제 1 비콘을 위해 슈퍼 프레임의 제 1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비콘을 위해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2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3 소정 시간 슬라이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안테나(740)는 비공유 섹터에서의 통신 채널의 비공유인 비공유 안테나로서 구성되고,
    안테나(740)는 상기 비공유 섹터와 다른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비콘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안테나(740)는, 만일 상기 제 1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에서 발견되고, 고정 또는 제 2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C, D, A, B) 중 하나로부터의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에서 검출된다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8. 제 13 항에 있어서,
    안테나(740)는 만일 안테나(740)가 상기 제 1 비콘을 수신하기를 중지한다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비콘 중 하나를 청취 및 전송하기를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
  19. 조종 가능한 안테나 디바이스를 동조시켜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제 1 비콘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을 청취하는 단계;
    제 1 비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 제 1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비콘이 발견되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 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 상으로 전송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콘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동일한 통신 채널 상으로 전송되되,
    상기 동일한 통신 채널은 시간 슬라이스로 분할되고, 슈퍼 프레임의 제 1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1 비콘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2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제 2 비콘을 위해 이용되며, 상기 슈퍼 프레임의 제 3 소정 시간 슬라이스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비공유 섹터에서의 통신 채널의 비공유인 비공유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공유 섹터와 다른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각각으로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 비콘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23. 제 19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 1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1 섹터에서 발견되고, 고정 또는 제 2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로부터의 비콘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에서 검출된다면, 상기 복수의 조종 가능한 섹터 중 제 2 섹터로 제 2 디바이스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24. 제 19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 1 비콘이 수신되는 것을 중지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비콘 중 하나를 청취 및 전송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프로토콜.
KR1020097014534A 2007-01-16 2008-01-16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 KR10147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519207P 2007-01-16 2007-01-16
US60/885,192 2007-01-16
PCT/IB2008/050157 WO2008087595A2 (en) 2007-01-16 2008-01-16 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833A true KR20090110833A (ko) 2009-10-22
KR101472543B1 KR101472543B1 (ko) 2014-12-16

Family

ID=3960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534A KR101472543B1 (ko) 2007-01-16 2008-01-16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25659B2 (ko)
EP (1) EP2104993A2 (ko)
JP (1) JP5306229B2 (ko)
KR (1) KR101472543B1 (ko)
CN (1) CN101584153B (ko)
WO (1) WO20080875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1662B1 (en) 2005-10-04 2013-04-02 Pico Mobile Networks, Inc. Beacon based proximity services
UA95093C2 (uk) 2005-12-07 2011-07-11 Нікомед Фарма Ас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кальцієвмісної сполуки
WO2008087592A2 (en) 2007-01-16 2008-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channel directional devices with beacons
CN101388678B (zh) * 2007-09-10 2013-02-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麦克风信标系统中保护设备的初始化方法及保护设备
US8942210B2 (en) 2008-11-12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NZ592528A (en) 2008-11-17 2013-05-31 Nycomed Pharma As Improved dissolution stability of calcium carbonate tablets
US8675715B2 (en) * 2009-12-23 2014-03-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of 60 GHZ band modem
US9380401B1 (en) * 2010-02-03 2016-06-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ignaling schemes allowing discovery of network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network modes
WO2011141844A1 (en) * 2010-05-14 2011-1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stic directional discovery of wireless devices
EP2870801B1 (en) * 2012-07-06 2021-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s, a receiver and methods therein
KR20150115931A (ko) * 2013-02-07 2015-10-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지향성 송신을 이용한 장거리 디바이스 검색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634A (ja) * 1995-05-31 1996-12-13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通信装置
JP3111966B2 (ja) * 1998-01-30 2000-11-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4167367B2 (ja) *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4072653A (ja) * 2002-08-09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US6928283B2 (en) * 2002-09-20 2005-08-09 Interdigiti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beacon acquisition performance with time slot and antenna sector reuse
ATE422803T1 (de) * 2002-09-30 2009-02-15 Ipr Licensing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tennenlenkung für ein wlan
JP4108495B2 (ja) * 2003-01-31 2008-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局発見処理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GB0313473D0 (en) * 2003-06-11 2003-07-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figuring a radio network for selective broadcast
JP2005064671A (ja) * 2003-08-08 2005-03-10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8306002B2 (en) * 2004-04-05 2012-1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 comprising multiple beacons in each communications superframe
US20060040701A1 (en) * 2004-08-18 2006-02-23 Staccato Communications, Inc. Beacon group merging
JP2006121156A (ja) * 2004-10-19 2006-05-11 Nippon Signal Co Ltd:The 無線通信システム
JP4651419B2 (ja) * 2005-03-11 2011-03-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DE602006010217D1 (de) * 2005-09-14 2009-12-17 Panasonic Corp N piconets
US8498237B2 (en) * 2006-01-1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evice capability and/or setup information
US8320942B2 (en) * 2006-06-13 2012-11-27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s for use in millimeter-wave peer-to-peer networks and methods for adaptive beam steering
US7515577B2 (en) * 2006-06-29 2009-04-0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acon transmi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6229B2 (ja) 2013-10-02
WO2008087595A2 (en) 2008-07-24
US20100135224A1 (en) 2010-06-03
KR101472543B1 (ko) 2014-12-16
JP2010516149A (ja) 2010-05-13
EP2104993A2 (en) 2009-09-30
CN101584153B (zh) 2012-10-10
CN101584153A (zh) 2009-11-18
US8325659B2 (en) 2012-12-04
WO2008087595A3 (en)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543B1 (ko) 혼성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를 위한 디바이스 발견
KR101490146B1 (ko)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US99615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5059125B2 (ja) 指向性アンテナによる無線ネットワークの多重チャネル上での隣接システム発見
KR1023051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733833B2 (en) Self-configuring, self-optimi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5073066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アソシエーションおよび再アソシエーションを実行するための構成
TWI468034B (zh) 通訊裝置及用於通訊裝置中之管理無線資源之方法
JP2011514058A (ja) 高周波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全方向性通信および指向性通信の組み合わせ
US10855351B1 (en) Hybrid directional antenna system
JP61439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434350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81978B2 (ja) デュアルビーコン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同期化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8148279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50350B2 (en) Directional scan and connection mechanism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10913378B (zh) 基于触发的即时通信的操作优化
JP6895732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8102497A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