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146B1 -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146B1
KR101490146B1 KR1020097014591A KR20097014591A KR101490146B1 KR 101490146 B1 KR101490146 B1 KR 101490146B1 KR 1020097014591 A KR1020097014591 A KR 1020097014591A KR 20097014591 A KR20097014591 A KR 20097014591A KR 101490146 B1 KR101490146 B1 KR 10149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channel
data
list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536A (ko
Inventor
홍 차이
춘-팅 초우
리차드 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10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MULTI-CHANNEL DIRECTIONAL DEVICES WITH BEACONS}
본 출원은 모두 2007년 1월 16일 출원되고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 번호 60/885,184호, 60/885,187호(대리인 관리 번호 007838), 및 60/885,192호(대리인 관리 번호 007839)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혼합된 타입의 지향성 단말기들을 발견하고 그러한 지향성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스펙트럼이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무선 액세스 및/또는 상호작용 포인트들에 관한 문제점들을 생성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점점 더 혼잡해지고 있다. 냉장고, 세탁기, 장난감 등과 같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에 관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통신의 개념은 스펙트럼에서의 문제를 제시할 뿐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성을 확장하는 것은, 비록 반드시 임의의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사항이 아니 더라도 그러한 연결성이 신뢰할 수 있을 필요가 있고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제시한다. WPAN들(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고 이러한 문제점의 상이한 부분들에 초점을 맞추는 몇몇 태스크 그룹들(task groups)을 가지는 IEEE 802.15 작업 그룹(working group)의 주제이다.
IEEE 802.11 작업 그룹들 하에서와 같은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는 개인용 컴퓨팅과 같은 태스크들에 관해 바람직하고, LAN(local area network) 내의 데이터 전송은 아직 WPAN에게 요구되지 않는 QoS의 적어도 일부 양상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더 비용이 많이 드는 성분들을 요구한다. 또한, 무지향성 안테나들의 전력 요구 조건은 통상 더 낮은 전력과 더 짧은 거리 송신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WPAN 응용예들에 관해서는 이 안테나들이 적합하지 않게 한다.
무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한 종래의 무선 디바이스는, 도 1에서 원형 송신 범위(10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패킷을 모든 방향으로 방송한다. 바로 알 수 있는 것처럼, 오직 한 번에 한 방향 쪽으로 송신하는 지향성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지향성 안테나는 훨씬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가지고, 도 1의 원뿔 모양의 송신 범위(11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더 긴 거리까지 송신한다. 물론 무지향성 안테나의 범위와 유사한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할 때에는 전력이 덜 필요하다.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단순화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공간 재사용이라는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형성된 WPAN을 지향성 WPAN이라고 부르고, 이후 D-WPAN(Directional WPAN)이라고 부른다.
무선 스펙트럼은 종종 다수의 채널로 분할된다. 디바이스들은 다른 채널들을 통한 통신을 간섭하지 않고, 한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데 반해, 동일한 채널을 통한 2개의 동시 송신은 서로 간섭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것은 수배로 처리량(throughput)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안테나 설계의 복잡성과 하드웨어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 안테나는 고정된 송신 방향들을 가지거나 오직 한 방향 쪽으로 송신하는 것을 선택한다. 이들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송신 방향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오직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서로 통신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는 한 쌍의 무선 디바이스(1,2)를 지닌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하고, 이 경우 지향성 안테나는 서로 마주보아 무선 디바이스(1,2)가 각각의 안테나의 통신 범위 내에 있거나, 안테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특히, 제 1 디바이스(1)의 제 1 안테나 범위(210)는 제 2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제 2 디바이스(2)의 제 2 안테나 범위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되고 바로 알 수 있는 것처럼, 안테나(1,2) 각각으로부터의 고정된 지향성 빔을 이용함으로써, 통신의 거리 또는 범위는 증가되고/증가되거나 전력 및 성분 비용들이 위에서 논의된 무지향성 안테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된 지향성 안테나는 2개의 건물 사이에서와 같이 2개의 위치 사이의 LAN을 확장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에서는, 각 건물이 LAN이나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 디바이스는 높은 신뢰도를 통해 그리고 건물 사 이에 고정된{예컨대, 결선된(wired)} 시스템을 가동할 필요성 없이, 건물 사이에 LAN들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고정된 지향성 빔 대신, 무선 디바이스는 완전한 원 또는 360°범위를 커버할 다양한 섹터들을 통해 조종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이한 방향 또는 섹터 쪽으로 조종될 수 있는 지향성 빔을 가질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나 빔의 조종은,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 번호 60/885,192호(대리인 관리 번호 007839)에 개시된 것과 같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를 지닌 2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할 수 있기 전에, 이러한 2개의 무선 디바이스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작용해야 한다. 서로 통신하기를 원하는 2개의 디바이스는 상이한 채널들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디바이스는 또한 통신 및 간섭이 위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통신을 위한 채널 이용 가능성의 상이한 관점을 가질 수 있다. 선택된 채널 상의 2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공통의 이용 가능한 채널을 찾고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들이 서로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방법, 통신 프로토콜, 및 디바이스의 목적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과 디바이스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며, 제어 정보로부터,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고,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 영역들은, 이후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과 특정 예들은 오직 예시의 목적을 위해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이들 및 다른 특성, 양상, 및 장점은 이어지는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 잘 이해된다.
도 1은 무지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의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는 한 쌍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닌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2개의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수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커닝 프로토콜의 2가지 국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비커닝 프로토콜의 상이한 국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다음에 나오는 일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과 그것의 적용예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은 전혀 아니다. 다음에 나오는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고, 설명된 시스템과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를 통해 보여진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현재 개시된 시스템과 방법을 실시할 수 있게 충분히 상세히 설명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및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설명을 간단하게 할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operatively coupled)"이라는 용어와 그것의 형성 요소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들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부분들 사이의 연결을 가리킨다. 예컨대, 동작 가능한 결합은 디바이스들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부분들 사이의 단방향 및/또는 양방향 통신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2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유선 연결 및/또는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된 의미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서 참조 번호들의 첫 번째 숫자(들)는, 여러 도면들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성분들이 동일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식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도면 번호에 대응한다. 게다가,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공지된 디바이스, 회로, 및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설명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공통 제어 채널로서 고정된 채널을 사용한다. 디바이스들은 서로에게 통지하고 서로를 검출하며, 서로 통신하기를 바라는 2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공통의 이용 가능한 채널을 찾기 위해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한다. 시간을 공유하는 디바이스들과 시간을 공유하지 않는 디바이스 모두를 지원하는 비커닝(beaconing)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이 경우 시간을 공유하는 것은 동일한 채널(들)을 통해 2개 이상의 송신기-수신기 쌍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슬롯들로 시간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라인(timeline)에서 3개의 국면(phase)을 가지는 비커닝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국면은 이웃 발견, 자원 발견, 및 데이터 통신이다. 이웃 발견 단계에서는, 디바이스들이 공통의 제어 채널에서 작용한다. 자원 발견 국면에서는,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기를 바라는 디바이스들에 공통이고 이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데이터 통신 국면에서는, 디바이스들이 선택된 채널에서 서로 통신을 행한 다.
이들 3가지 국면을 더 논의하기 전에,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프레임 구조가 설명된다. 도 3은 각 디바이스{도 1에 도시된 2개의 디바이스(1,2)와 같은}가 수퍼프레임 구조를 유지하는 수퍼프레임 구조(300)를 도시한다. 각 수퍼프레임(300)은 비컨 기간(310)과 데이터 송신 기간(320)을 포함한다. 하나의 비컨 기간(310)은 다수의 비컨 슬롯(330)을 포함한다.
비록 다음의 설명이 서로 통신하는 2개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지만, 3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또한 서로 통신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네트워크에는 오직 2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그것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1,2)와 같이 고정된 방향을 사용한다면, 연관된 수퍼프레임(4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디바이스(1,2)와 연관된 2개의 비컨 슬롯(410,42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에서, 비컨 기간(310)은 제 1 디바이스(1)의 비컨 프레임(410)과 다수의 빈 비컨 슬롯(430)이 후속하는 제 2 디바이스(2)의 비컨 프레임(420)으로 시작한다.
이웃 발견 국면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1,2)가 임의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전에, 서로 쪽으로 그것들의 지향성 안테나를 스위칭/조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서로 쪽으로 지향성 안테나를 조종하는 이러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2가지 옵션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는 사람들에 의한 수동 조작이다. 나머지 것은 자동 조종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동 조종의 다양한 수단에 직접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하는 설명에서 2가지 디바이스(1,2)가 이미 서로 쪽으로 그것들의 안테 나를 스위칭/조종하고, 예컨대 비컨 슬롯(410,420) 동안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된 비컨들을 통해 서로를 찾는다고 가정된다. 지향성 안테나 또는 빔의 조종과 이웃 발견은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 번호 60/885,192호(대리인 관리 번호 007839)와 60/885,187호(대리인 관리 번호 007838)에 개시된 것처럼 수행될 수 있다.
자원 발견 국면은 이웃 발견 국면 다음에 온다. 2개의 디바이스가 이웃 발견 국면에서 서로 찾은 후,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교환을 하기 위한 충분한 자원을 지닌 공통 채널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일단 2개의 디바이스(1,2)가 서로 마주보기 위해 그것들의 지향성 안테나를 수동으로 조종하거나 자동으로 조종함으로써 서로를 찾으면, 디바이스(1,2)는 모든 다음 절차에서 서로 쪽 방향을 향하게 된다.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고 표시하기 위해 공통의 제어 채널에서 정보를 교환한 후에는, 디바이스(1,2)가 제어 채널 외의 채널들을 하나씩 스캐닝하기 시작한다. 각 디바이스(1,2)는 그 채널에서 작용하는 다른 기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송신된 비컨들과 데이터 프레임들을 검출하기 위해, 기간(Tscan) 동안 한 채널에 머물러 있는다. 채널 스캔 기간(Tscan)은 하나의 수퍼프레임 길이에 하나 이상의 비컨 슬롯의 길이를 더한 길이 이상임을 주목해야 한다. 특별한 한 채널에 관한 채널 스캔 기간(Tscan) 후에는, 제 1 디바이스가 이러한 특별한 채널이 나머지 또는 제 2 디바이스(2)와의 그것의 의도된 통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린다. 이러한 특별하거나 현재 스캐닝된 채널의 이용 가능성을 결정하게 되면, 제 1 디바이스(1)가 또 다른 채널을 스캐닝한다. 그러한 스캐닝은 디바이스(1,2) 둘 모두에 의해, 디바이스(1,2)가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디바이스(1,2) 각각이 이용 가능한 채널들의 목록을 형성할 때까지 반복된다.
디바이스(1,2) 둘 모두가 모든 채널들을 스캐닝하고, 채널들의 이용 가능성을 결정한 후에는, 디바이스(1,2)가 제어 채널로 되돌아오고, 그것들 각각의 비컨 슬롯(410,420) 및/또는 그것들 각각의 데이터 송신 기간(320)들 동안, 디바이스(1,2)는 그들 사이에서 선택된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2개의 목록들로부터의 채널의 선택을 위해 이용 가능한 채널들의 목록들을 (제어 채널에서) 교환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1,2)는 비컨 슬롯(140,420)이나 데이터 송신 기간(320)을, 디바이스(1,2)가 제어 채널로 되돌아온 후 제어 채널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의 목록들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국면, 즉 데이터 통신 국면(도 5에서는 520, 도 6에서는 660)에서는, 디바이스(1,2)가 이미 새롭게 선택된 채널(만약 그것이 공통 제어 채널과 상이하다면)로 스위칭하고, 또한 새로운 채널(C1) 국면에서 비컨들을 송신하며, 도 5에서는 참조 번호(520,530)로, 도 6에서는 참조 번호(660)로 도시된 것처럼, 새로운 채널(C1) 국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시작한다.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새롭게 선택된 채널이 제어 채널 및/또는 그러한 제어 채널 외의 채널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2개의 목록에 하나 이상의 공통 채널이 존재한다면, 디바이스(1,2)는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고, 데이터 송신 기간(320) 동안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선택된 채널로 점프한다. 데이터 송신 기간(320) 동안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선택된 채널은, 디바이스(1,2)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 충분한 자원을 가지는 한 그러한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임의의 채널들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 발견 절차에서는, 디바이스(1,2)가 제어 채널 외의 채널의 선택을 선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능하다면(예컨대, 제어 채널 외의 이용 가능한 공통 채널들이 존재한다면),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과 비컨들 사이의 가능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디바이스(1,2)가 특히 공유하지 않는 디바이스들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 채널 외의 공통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2개의 디바이스(1,2)에 의해 형성된 2가지 목록 모두에 포함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채널에 관한 스캔 결과들은 공유하지 않는 이용 가능성(non-sharing availability), 공유만 하는 이용 가능성(sharing-only availability), 또는 2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쪽으로 향하는 방향들에서 이용중인(busy) 것일 수 있다. 이들 방향에서 어떠한 통신도 이루어지지 않고/않거나 그러한 통신을 알리기 위해 어떠한 비컨도 검출되지 않는다면, 그 채널은 공유하지 않는 이용 가능성인 것으로 생각 또는 분류되고 이용 가능한 채널 목록(들)에 올려진다. 공유하지 않는 이용 가능한 채널은 이들 방향에서 2개의 공유하지 않는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유하는 통신을 알리는 비컨들만이 검출된다면, 스캐닝 결과나 채널이 공유만의 이용 가능성으로서 생각되고 이용 가능한 채널 목록(들)에 그렇게 분류되고/올려진다. 공유만 이용 가능한 채널은 오직 공유하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공유하지 않는 통신을 알리는 임의의 비컨들이 어떤 채널에서 검출되면, 스캐닝 결과 또는 그 채널은 바쁘고, 이러한 채널은 이들 방향에서의 임의의 종류의 통신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2개의 디바이스(1,2)가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기 전에, 2개의 디바이스(1,2)는 그들이 수퍼프레임(410)의 비컨 기간(310)들 동안 비컨 송신을 위해 사용하는 비컨 슬롯(410,420)을 예약한다. 2개의 디바이스(1,2)는 그것들이 수퍼프레임(410)들의 데이터 송신 기간(320) 동안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공통 채널의 결정과 선택을 위해 다른 채널들의 스캐닝을 마친 후, 이용 가능한 채널 목록들을 교환하는 것과 같이, 제어 채널에서 비컨들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들 비컨 슬롯(410,420)을 사용한다.
예약 메시지{비컨 슬롯(410,420)을 예약하기 위한}는 수퍼프레임(410)들의 데이터 송신 기간(320) 동안 데이터 통신을 하고 데이터 교환을 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1,2)에 의해 {비컨 기간(310) 동안} 송신된 비컨들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는 비컨 기간(310) 동안과 같은 스캐닝 기간 동안 그들 자체의 비컨들에서 그들을 위한 슬롯들의 예약을 (동시에 또는 다르게) 알릴 수 있다. 제어 채널에 어떠한 다른 디바이스도 존재하지 않으면, 비컨 슬롯(410,420)을 예약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 송신 기간(320)에 걸친 데이터 통신을 바라는 2개의 디바이스(1,2)는 본래의 비컨 슬롯을 계속해서 사용하여, 그러한 2개의 디바이스(1,2)가 데이터 송신 기간(320)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 각 목록들에서의 분류 및 포함을 위해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의 스캐닝을 마친 후, 제어 정보(목록들과 궁극적으로는 선택된 데이터 통신 채널과 같은)를 교환한다.
도 5는 비커닝 프로토콜의 마지막 2개의 국면, 즉 자원 발견 국면(510)과 데이터 송신 국면(520)과 연관된 데이터 송신 기간(DP)(320)과 비컨 기간(BP)(310)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수퍼프레임(300)의 예(500)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 채널{및 채널(1,2)}을 포함하는 총 3개의 채널이 존재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한 선택된 채널은 도 5에서 참조 번호(530)로 도시되어 있는 채널 1이다.
도 6은 3개의 채널(C0,C1,C2)과 비커닝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3가지 상이한 국면들 동안, 2개의 디바이스(N1,N2)에 의한 3개의 채널(C0,C1,C2)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 발견 국면(610)에서 통신하기를 원하는 2개의 디바이스(N1,N2) 모두는 서로 마주보는 자신들의 고정된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거나, 서로 쪽으로 그것들의 지향성 안테나를 조종/스위칭한 다음, 자원 발견 국면(510)이 개시된다. 이웃 발견 국면(610) 동안, 그리고 자원 발견 국면(510)의 시작시, 무선 네트워크(N1,N2)의 노드들 또는 디바이스들 모두가, 참조 번호(62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제어 채널(C0)을 통해, 수퍼프레임(들)(400)의 비컨 기간(들)(BP)(410)의 그들 각각의 비컨 슬롯(410,420)에서 예약 비컨들을 포함하는 비컨들을 송신하는 것과 같이, 방송하고 통신한다.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디바이스(N1,N2)가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고 알리는 비컨 슬롯(410,420)에서의 비컨들과, 비컨 슬롯(410,420)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신호들과 같은 다른 제어 정보를 송신한 후, 2개의 디바이스(N1,N2)는 서로 쪽으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모든 채널을 스캐닝한다. 예컨대, 2개의 디바이스(N1,N2)는 먼저 참조 번호(63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제 1 채널 1(C1)을 스캐닝한 다음, 참조 번호(640)로 도시된 것처럼, 제 2 채널 2(C2)를 스캐닝한다. 일단 이 예에서는 제어 채널(C0)과 2개의 다른 채널(C1,C2)인 모든 채널이 스캐닝되고, 이용 가능성과, 공유, 비공유 또는 이용중인/이용 가능하지 않은 채널들, 서비스의 품질, 채널 용량 등과 같은 타입과 같은 관련 정보가 모든 채널에 대해 얻어지고, 분류되며, 2개의 디바이스(N1,N2)의 목록들에 포함된다면, 2개의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C0)로 되돌아가고, 수퍼프레임의 비컨 부분(DP)(310)의 (예약되거나 예약되지 않은) 비컨 슬롯(410,420)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예컨대, 2개의 디바이스(N1,N2)가 각각의 비컨 슬롯(410,420) 동안 제어 채널(C0) 상에서 그것들의 목록을 송신하고 교환하며, 참조 번호(650)로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 통신을 위해 공통의 이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예에서, 2개의 디바이스(N1,N2)는 참조 번호(660)로 도시된 것처럼, 제 1 채널 1(C1)을 선택하고 제 1 채널 1(C1)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데이터 통신은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부분(DP)(320)에 걸쳐 수행된다.
물론, 단일 고정된 방향 또는 섹터에서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들 동작을 수행하는 대신, 자원 발견 국면이 또한 모든 방향으로 각 채널을 스캐닝할 옵션(option)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캐닝 디바이스(1,2)의 안테나들은 모든 방향 쪽으로 스위칭/조종될 수 있어야 한다. 각 방향에서, 지향성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기간(Tscan) 동안 머물러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식으로, 스캐닝 디바이스(1,2)는 모든 채널에서 모든 방향으로 채널 이용 가능성을 알고, 이는 3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통신을 포함하는, 더 많은 응용예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3 또는 데이터 통신 국면(520)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1,2)가 자원 발견 국면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각 수퍼프레임(300)의 데이터 송신 기간(DP)(320) 동안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물론,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신하기 위해 임의의 바라는 주파수 범위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지향성 안테나들을 지닌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가 최소의 간섭으로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비교적 짧은 범위가 요구될 때에는 통상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가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디바이스들은 60㎓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다.
도 7은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흐름도(700)를 도시한다. 이 프로세스는 고정된 및/또는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1,2)가 전원을 공급받거나 턴온되고, 예컨대 수동으로 및/또는 자동으로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향하게 되는 행위(710) 동안 시작한다. 설명한 것처럼, 2개 이상의 디바이스(1,2)에 공통인 고정된 제어 채널은 행위(720) 동안 얻어지고 할당되는데, 이 경우 예약될 수 있는 비컨 슬롯(410,420)들과 같이, 제어 정보는 행위(730) 동안 제어 채널을 통해 교환된다. 행위(740) 동안에는, 제어 정보로부터 디바이스(1,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디바이스(1,2)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이 선택되고, 행위(750) 동안에는 선택된 데이터 채널을 통한 데이터 교환과 같이, 2개 이상의 디바이스(1,2)가 서로 통신한다.
서로 통신하는 디바이스(1,2)는 도 8에 도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되고/고정되거나 조종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는 안테나(810)를 가지는 디바이스(800)의 부분을 도시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시스템(800)의 부분은 또한 메모리(830), 디스플레이(840), 유선 연결(850),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60), 및 안테나(8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설명된 동작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와 함께 응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응용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동작 행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820)를 구성하기 위해, 프로세서(820)에 의해 수신된다. 동작 행위들에는 전원 공급, 비컨들에 관한 이용 가능한 채널들 및/또는 섹터들 찾기, 비컨들을 송신하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록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일지라도 디바이스(800)의 세부 사항은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소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800)는 정확하게는 응용예에 따라, 비록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더라도, 실시예들의 특별한 양상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또는 인터페이스(860)와 디스플레이(8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바이스(800)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60)를 통해 사용자 입력들을 제공하고, 통신을 위해 또 다른 디바이스 쪽으로와 같이, 바라는 방향 쪽으로 안테나(810)를 조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40)는 각 채널과 연관된 대역폭, 신호대 잡음비,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공유 채널 또는 비공유 채널 등을 포함하는 QoS 파라미터들과 같은 채널들의 다양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서로 통신하기를 바라는 디바이스(1,2) 모두에 의해 검출된 채널들의 목록 모두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채널들의 목록에 포함된 검출된 채널들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1,2) 모두에 이용 가능한 최 적의 채널은, 예컨대 QoS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선택과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선택된다.
프로세서(820)의 동작 행위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이 디바이스(800)에 적용 가능하게 되는 임의의 콘텐츠와 같은 임의의 다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840)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860)은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또는 접촉에 민감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독립적인 것이거나, 개인용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기, 셋톱 박스, 텔레비전 또는 임의의 동작 가능한 링크(link)를 통해 프로세서(810)와 통신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부분과 같은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6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다른 요소들 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 프로세서(860)와 상호작용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분명히,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동작을 위해,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디스플레이(840), 안테나(810) 및/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60)는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안테나 디바이스나 다른 디바이스의 부분일 수 있고,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동작에는 시작(start-up), 발견 및 복수의 조종 가능한 디바이스와 조종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설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설명 및/또는 계획된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단계들이나 행위들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한 프로 그램은 물론 집적된 칩, 주변 디바이스나 메모리(830)나 프로세서(820)에 결합된 다른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동작 행위들, 및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820)를 구성한다. 메모리들은, 예컨대 프로세서(820)와 안테나 사이에 배포될 수 있고, 또 다른 프로세서들이 제공되고, 또한 배포될 수 있으며, 유일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들은 전기, 자기 또는 광학 메모리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이들의 임의의 결합물 또는 다른 타입들의 저장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82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어드레스 지정 가능한 공간에서의 어드레스로부터 읽을 수 있거나 그러한 어드레스에 기록될 수 있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기에 충분히 널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로, 유선 연결(850)(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의 유선 연결) 및/또는 안테나(810)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정보는 여전히, 예컨대 메모리(830) 내에 있는데, 예컨대, 이는 프로세서(820)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동작 가능한 연결(810,850)로부터 이 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820)는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고/제공하거나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응답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60)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동작들을 수행하고, 메모리(8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해 동작 가능하다. 프로세서(820)는 응용예-특정(application-specific) 또는 일반적인 용도(general-use)의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2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이거나, 많은 기능들 중 하나만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는 범용(general-purpose)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프로그램 부분, 다수의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거나, 전용 집적 회로 또는 다목적 집적 회로를 이용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추가 변형예가 생길 수 있고 이러한 추가 변형예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된다.
물론, 위 실시예들이나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것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 및/또는 프로세스와 결합되거나 분리 및/또는 분리된 디바이스나 디바이스 부분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예시하려고 의도된 것이고, 임의의 특별한 실시예나 실시예들의 그룹으로 첨부된 청구항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특별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어지는 청구항들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더 넓고 의도된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다수의 수정예와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고안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a) "포함하는" 이라는 단어는 주어진 청구항에서 열거된 것 외의 다른 요소 또는 행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b) 요소 앞에 오는 단수 표현은 복수의 그러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다;
c) 청구항에서의 임의의 참조 부호(sign)는 그것들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d) 여러 개의 "수단(means)"은 동일한 아이템(item) 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구조 또는 기능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e) 임의의 개시된 요소는 하드웨어 부분(예컨대, 분리되고 통합된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부분(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이들의 임의의 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f) 하드웨어 부분은 아날로그 부분과 디지털 부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로 구성될 수 있다;
g) 임의의 개시된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부분은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함께 결합되거나 추가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h) 특별히 표시되지 않는 한 행위 또는 단계의 어떠한 특정 시퀀스도 요구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및
i) 어떤 요소의 "복수의"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주장된 요소를 포함하고, 요소들 개수의 임의의 특별한 범위를 암시하는 것은 아닌데, 즉 복수의 요소는 2개의 요소처럼 적은 것일 수 있고, 헤아릴 수 없는 개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혼합된 타입의 지향성 단 말기들을 발견하고 그러한 지향성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3)

  1.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스캐닝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캐닝에 기초하는,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통신하는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채널과는 다른 데이터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는 단계로서,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과 비컨들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특징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찾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들의 제 1 세트의 제 1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된 채널들의 제 1 세트와 제 1 특징들을 제 1 목록에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들의 제 2 세트의 제 2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된 채널들의 제 2 세트와 제 2 특징들을 제 2 목록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특징들과 상기 제 2 특징들 각각은 대역폭, 신호 대 잡음비 및 심벌간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목록과 상기 제 2 목록에 이용 가능하고 공통인 이용 가능한 채널들로부터 데이터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하는 단계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통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공유된 채널과 공유되지 않은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인,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서로에게 통지하고 서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된 비컨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 동안 교환되고, 데이터는 상기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기간 동안 교환되는, 통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비컨들을 교환하기 위한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에서 비컨 슬롯들을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들은 비컨 기간의 제 1 비컨 슬롯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비컨과, 비컨 기간의 제 2 비컨 슬롯에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비컨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디바이스들과의 공유를 위해 시간 슬롯들로 분할되는, 통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통신 방법.
  13.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스캐닝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스캐닝에 기초하며,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채널과는 다른 데이터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되,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과 비컨들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특징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찾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채널들의 제 1 세트의 제 1 특징들을 결정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된 채널들의 제 1 세트와 제 1 특징들을 제 1 목록에 포함시키고,
    채널들의 제 2 세트의 제 2 특징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된 채널들의 제 2 세트와 제 2 특징들을 제 2 목록에 포함시키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을 교환함으로써
    데이터 채널을 찾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특징들과 상기 제 2 특징들 각각은 대역폭, 신호 대 잡음비 및 심벌간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목록과 상기 제 2 목록에 이용 가능하고 공통인 이용 가능한 채널들로부터 데이터 채널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목록과 상기 제 2 목록을 교환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서로에게 통지하고 서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된 비컨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 동안 교환되고, 데이터는 상기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기간 동안 교환되는, 통신 시스템.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채널을 통해 비컨들을 교환하기 위한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에서 비컨 슬롯들을 예약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들은 비컨 기간의 제 1 비컨 슬롯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비컨과, 비컨 기간의 제 2 비컨 슬롯에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비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 13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디바이스들과의 공유를 위해, 시간 슬롯들로 분할되는, 통신 시스템.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통신 시스템.
  23. 통신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와 추가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스캐닝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스캐닝과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한 채널들의 제 2 세트에 대한 스캐닝에 기초하며,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채널과는 다른 데이터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되,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과 비컨들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특징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찾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들의 제 1 세트의 제 1 특징들을 결정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된 채널들의 제 1 세트와 제 1 특징들을 제 1 목록에 포함시키고,
    제 1 목록과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채널들의 제 2 세트와 채널들의 제 2 세트의 제 2 특징들을 포함하는 제 2 목록을 상기 추가 디바이스와 교환함으로써
    데이터 채널을 찾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특징들과 상기 제 2 특징들 각각은 대역폭, 신호 대 잡음비 및 심벌간 간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목록과 상기 제 2 목록에 이용 가능하고 공통인 이용 가능한 채널들로부터 데이터 채널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목록과 상기 제 2 목록을 교환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서로에게 통지하고 서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된 비컨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 동안 교환되고, 데이터는 상기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기간 동안 교환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채널을 통해 비컨들을 교환하기 위한 수퍼프레임의 비컨 기간에서 비컨 슬롯들을 예약하도록 더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들은 비컨 기간의 제 1 비컨 슬롯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비컨과, 비컨 기간의 제 2 비컨 슬롯에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비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1. 제 23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디바이스들과의 공유를 위해, 시간 슬롯들로 분할되는, 통신 디바이스.
  3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지향성 안테나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통신 디바이스.
  33.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에 공통인 제어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1 세트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들의 제 2 세트를 스캐닝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교환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세트의 채널들의 스캐닝과 상기 제 2 세트의 채널들의 스캐닝에 기초하며,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채널과는 다른 데이터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모두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채널을 찾되,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과 비컨들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특징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찾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7014591A 2007-01-16 2008-01-15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KR10149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518407P 2007-01-16 2007-01-16
US60/885,184 2007-01-16
PCT/IB2008/050136 WO2008087592A2 (en) 2007-01-16 2008-01-15 Multi-channel directional devices with beac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536A KR20090109536A (ko) 2009-10-20
KR101490146B1 true KR101490146B1 (ko) 2015-02-05

Family

ID=3953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591A KR101490146B1 (ko) 2007-01-16 2008-01-15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6865B2 (ko)
EP (1) EP2123077B1 (ko)
JP (1) JP5558108B2 (ko)
KR (1) KR101490146B1 (ko)
CN (1) CN101611644B (ko)
WO (1) WO200808759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903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들의 채널들을 스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421B2 (en) * 2007-01-19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hannel selection and bandwidth reservation
US8509159B2 (en) 2007-01-1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US8503968B2 (en) * 2007-01-19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111647B2 (en) * 2007-06-08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dual-beacon mechanism for two device types
US8208392B2 (en) * 2007-08-13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beam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infrastructure based wireless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s
US8917675B2 (en) * 2007-08-20 2014-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contention access periods
US8594050B2 (en) * 2007-12-28 2013-11-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KR101602906B1 (ko) 2008-07-30 2016-03-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초광대역 디바이스들의 호환성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기술들
EP2342930B2 (en) 2008-09-25 2020-09-30 Koninklijke Philips N.V. Directional discovery protocol with coordinated channel selection
US8817676B2 (en) * 2008-11-03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tation-to-station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US8385362B2 (en) * 2009-01-09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ion-based medium access schemes for directional wireless transmission with asymmetric antenna system (A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861445B2 (en) * 2009-03-11 2014-10-14 Sony Cororation Multi-channel single radio communication in home mesh network
US8811903B2 (en) 2009-05-28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Spectrum assignment for networks over white spaces and other portions of the spectrum
KR101691661B1 (ko) * 2009-08-10 2016-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향성 안테나 사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된 장치들의 지원을 통한 공간 재활용 방법과 그 장치
KR101612552B1 (ko) * 2009-09-22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형식 비콘 운용 방법
KR101754098B1 (ko) 2009-11-13 2017-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중재자 장치, 릴레이 장치, 소스 장치 및 데스티네이션 장치의 통신 방법
US8861446B2 (en) * 2010-02-03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nnel selection
JP5488062B2 (ja) * 2010-03-10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967726B2 (en) 2010-05-14 2018-05-0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stic directional discovery of wireless devices
US8406694B2 (en) * 2010-06-11 2013-03-26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discovery protocol
US8509105B2 (en) 2010-06-23 2013-08-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network coordination
US20130094459A1 (en) 2011-10-14 2013-04-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eacon Slot Allocation in Prime
JP5891037B2 (ja) * 2012-01-06 2016-03-2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US9584179B2 (en) * 2012-02-23 2017-02-28 Silver Spring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hannel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JP5435111B2 (ja) * 2012-03-30 2014-03-05 横河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9292864B2 (en) * 2012-06-20 2016-03-22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synched distributed advertisement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JP5406351B2 (ja) * 2012-09-06 2014-02-0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313641B2 (en) * 2012-09-17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and communicating within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WO2015168850A1 (zh) * 2014-05-05 2015-11-12 华为终端有限公司 Wi-Fi网络连接方法、Wi-Fi控制器及Wi-Fi设备
CA3165436A1 (en) * 2020-01-27 2021-08-05 Michel Veillette Method and system for multi-channel beaconing in a time slotted channel hopping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423A (ja) * 2003-03-31 2004-10-28 Brother Ind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050185732A1 (en) 2004-02-25 2005-08-25 Nokia Corporation Multiscale wireless communication
JP2006504346A (ja) * 2002-10-25 2006-02-02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リンクの確立及び不均衡なトラフィックロードの処理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20070248114A1 (en) 2006-04-20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for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86A (ja) * 1994-06-30 1996-01-19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167367B2 (ja) *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6760373B2 (en) * 2001-08-02 2004-07-06 A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arrier modulation using multi-tap frequency-domain equalizer and decision feedback
JP2003234683A (ja) * 2002-02-06 2003-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適応通信装置
US20050259617A1 (en) * 2004-05-06 200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time reservation in distribu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050288015A1 (en) 2004-06-25 2005-12-29 Shahrnaz Azizi Intelligent channel scann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1128231B1 (ko) * 2004-08-19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및 멀티캐스트(mbms) 서비스를 위한 단말 분포 제어방법
KR100742611B1 (ko) * 2004-11-01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 임펄스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무선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8243779B2 (en) * 2005-04-29 2012-08-14 Alcatel Lucent Method of quality-based frequency hopping in a wirelesscommunication system
US7480515B2 (en) * 2005-09-29 2009-01-20 Tzero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of media access control (MAC) superframes
KR100785853B1 (ko) * 2006-06-05 2007-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US8320942B2 (en) * 2006-06-13 2012-11-27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s for use in millimeter-wave peer-to-peer networks and methods for adaptive beam steering
WO2008087596A2 (en) 2007-01-16 2008-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eighbor discovery over multiple channels for wireless networks with directional antennas
EP2104993A2 (en) 2007-01-16 2009-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346A (ja) * 2002-10-25 2006-02-02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リンクの確立及び不均衡なトラフィックロードの処理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2004304423A (ja) * 2003-03-31 2004-10-28 Brother Ind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050185732A1 (en) 2004-02-25 2005-08-25 Nokia Corporation Multiscale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248114A1 (en) 2006-04-20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for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903A1 (ko) * 2021-12-10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들의 채널들을 스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1644B (zh) 2013-11-06
WO2008087592A2 (en) 2008-07-24
CN101611644A (zh) 2009-12-23
US8446865B2 (en) 2013-05-21
KR20090109536A (ko) 2009-10-20
EP2123077B1 (en) 2015-11-18
WO2008087592A3 (en) 2008-09-12
EP2123077A2 (en) 2009-11-25
JP5558108B2 (ja) 2014-07-23
JP2010516148A (ja) 2010-05-13
US20100111006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46B1 (ko) 비컨을 지닌 다채널 지향성 디바이스
US8498250B2 (en) Neighbor discovery over multiple channels for wireless networks with directional antennas
US1056797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8325659B2 (en) 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CN103369638B (zh) 通信装置
JP544012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384590B1 (en) Method for device capability advertising and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KR20080088572A (ko) 대역 외 채널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2017063310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5162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923900B (zh) 对通向双频带wi-fi直连自治组所有者的wi-fi直连客户端连接进行频带转向
JP2019161373A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端末管理装置
US2009025224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unication system
KR101469991B1 (ko) 지그비 네트워크 조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201427A (ja) 通信装置、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14648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16163A (ja) 子無線局及び親無線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