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806A -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806A
KR20090109806A KR1020080035219A KR20080035219A KR20090109806A KR 20090109806 A KR20090109806 A KR 20090109806A KR 1020080035219 A KR1020080035219 A KR 1020080035219A KR 20080035219 A KR20080035219 A KR 20080035219A KR 20090109806 A KR20090109806 A KR 2009010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source
source unit
output
diffra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897B1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펌웨어뱅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웨어뱅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filed Critical 펌웨어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9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원부들과, 상기 음원부들 중 제1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2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회절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원부들로부터 출력된 소리들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음량을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주름관을 더 포함함으로써 저음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35219
오디오 출력 장치, 스피커, 음원, 회절판, 보강 간섭, 주름

Description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Portable speaker}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로, 오디오 출력 장치도 소형화를 지양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를 지양하는 한편 음량을 더욱 풍부하게, 그리고 저음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색의 소리를 출력하고자 하는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음량, 즉 큰 소리를 효과적으로 출력하고, 저음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리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원부들과, 상기 음원부들 중 제1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2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회절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원부와 상기 제2 음원부는 서로 소리 출력 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절판은 상기 제2 음원부의 소리 출력면과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원부와 상기 제2 음원부는 소리 출력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절판은 상기 제2 음원부의 소리 출력면과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제2 음원부와 상기 회절판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상기 제2 음원부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회절판에 의해 회절된 소리가 서로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상기 제2 음원부와 상기 회절판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제1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상기 제2 음원부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회절판에 의해 회절된 소리가 서로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상기 제2 음원부와 상기 회절판의 거리를 연산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음원부의 동작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음원부들로부터 출력된 소리 중 저음의 소리를 안내하는 주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내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복수의 음원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풍부한 음량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원부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회절판을 이용하여 회절시켜 신호겹침 증폭 현상을 유도한다. 따라서 풍부한 음량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관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주파수의 소리에 비해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상대적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저음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폴더 형의 휴대폰과 같이 접을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예시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폴더 형의 오디오 출력 장치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서 소리가 출력되며, 중앙에 구동핀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본체와 연결되는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내부에 전지를 장착할 수 있어 상기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USB, 아답터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살펴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들은 구동핀(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핀(130)을 축으로 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이 서로 분리 및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프레임(110)에 소리가 출력되는 좌측 개구부(111)가, 우측 프레임(120)에는 우측 개구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전원 버튼, 플레이 버튼 등의 다양한 기능 키들(122)이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공급받는 단자, USB 단자, 어댑터 단자 등(1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면서 소리의 음량이 풍부하고, 저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역의 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한다. 즉, 제한된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전원부(10), 조작부(20), 메모리(30), 마이크(40), 신호 처리부(50), 증폭부(60), 음원부(70), 구동부(80), 회절판(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는 오디오 출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0)는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건전지, 충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USB, 어댑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가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곳으로, 전원 ON/OFF, 음악 재생,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형태로는 버튼, 터치 패드, 리모트 콘트롤러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음원부(70)와 회절 판(90)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0)는 오디오 신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절판(90)과 음원부(70)의 거리를 연산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상기 회절판(90)에 의한 회절 정도 등에 따라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의 소리가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상기 거리를 자동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마이컴(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부(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회절판(90)과 음원부(70)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거리를 자동 연살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마이컴(40)은 메모리(3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부(50)로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50)는 마이컴(4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에 더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50)는 디코더, 오디오 이퀄라이저(equalizers: EQs), 저주파수 확장기, 압신기(commander: 억제기 compressor와 확장기 expander의 결합체), 잡음 감소 시스템 (dbx, Dolby), 잡음 게이트(noise gate) 회로, 그리고 시간 지연 (time delay) 장치, 다중효과 처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60)는 신호 처리부(50)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오디오 신호를 음원부(70)에서 재생할 수 있는 신호의 크기로 증폭한다.
음원부(70)는 증폭부(6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재생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라면, 소리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원부(70)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음원부(7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원부(7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다른 음원부(70)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음원부(70)에서 출력된 소리는 회절판(90)에 의해 회절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음원부(70)로부터 출력된 소리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원부(70)는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음원부(71) 및 제2 음원부(75)에 각각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며, 따라서 상기 음원부들(71, 75)로부터 동일한 소리가 출력된다. 이어서,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회절판(90)에 의해 회절되어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소리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소리를 크게 출력하기 위하여는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그 출력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2 음원부(75)에 대항하여 회절판(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음원부(75)에서 소리가 출력되는 면과 상기 소리가 부딪히는 회절판(90)의 면이 서로 대항하도록 상기 회절판(9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절판(90)은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대부분 수용하여, 그 출력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부딪히는 면이 오목 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부(70)와 회절판(90)의 구성 및 배치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부(80)는 조작부(2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음원부(75)와 상기 회절판(90)의 거리를 조절한다. 사용자는 조작부(2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마이컴(40)을 통해 구동부(8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8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거리를 조절한다. 또는 마이컴(40)을 통해 자동 연산된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90)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80)는 랙/피니언, 레일, 등의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회절판(90)은 상기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반사하고 증폭하며 출력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회절판(90)은 컵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소리를 증폭 할 수 있도록 메카폰 처럼 상단의 지름과 하단의 지름이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재질은 종이와 얇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소리 울림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제한된 공간에서 음원부를 복수 개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다른 하나의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량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음원부와 회절판을 구비하는데,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제1 음원부(71)로 부터의 소리와 제2 음원부(75)로부터의 소리에 대해 보강 간섭을 일으켜 음량을 증가함을 예시한다.
도 3에 따르면,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접합 되어 있고, 상기 제2 음원부(75)의 소리 출력면에 대항하여 회절판(9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음원부(71, 75)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제1 음원부(71)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71-1)과 상기 하우징(71-1)의 개방된 면을 덮는 더스트캡(7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71-1)과 더스트캡(71-2)은 내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스트캡(71-2)에는 소리가 출력되는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1-1)의 내부에는 배치되어 하우징(71-1) 또는 더스트캡(71-2)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요크(7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요크(71-3)를 지지하는 판스프링(71-4), 상기 하우징(71-1)에서 개방된 면에 배치된 다이어프램(71-5), 상기 요크(71-3)와 다이어프램(71-5)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코일(71-6), 상기 요크(71-3)의 내부면에 설치된 마그네트(71-7)가 구비된다.
제2 음원부(75)도 상기 제1 음원부(71)와 같이 하우징(75-1), 더스트캡(75-2), 요크(75-3), 판스프링(75-4), 다이어프램(75-5), 보이스코일(75-6), 마그네트(71-7)를 구비한다.
이러한 음원부(70)의 출력 동작을 제1 음원부(71)를 대표로 설명한다. 먼저, 전기적 입력 신호를 통해 보이스코일(71-6)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하우징(71-1)의 내부에 구비된 요크(71-3)와 마그네트(71-7)에 소정의 자기력이 발생한다. 상기 자기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기 요크(71-3)와 마그네트(71-7)가 하우징(71-1) 및 더스트캡(71-2) 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으로 인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이스코일(71-6) 및 다이어프램(71-5)이 진동하게 되고, 따라서 판스프링(71-4)의 단부에 걸쳐진 요크(71-3)와 마그네트(71-7)가 진동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마그네트(71-7)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이 플레임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하의 움직임을 유도 해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는 서로 대항하여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음원부(71)의 하우징(71-1)과 제2 음원부(75)의 하우징(75-1)이 서로 등을 지고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원부(71)의 더스트캡(71-2)과 제2 음원부(75)의 더스트캡(75-2)은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각각 소리가 반대 방향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2 음원부(75)의 더스트캡(75-2)이 배치된 면과 대항하여 회절판(90)이 배치된다. 회절판(90)은 재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가능하면 많이 수용하도록 움푹 패인 콘(cor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상기 콘의 움푹 패인 면에 의해 회절되고, 회절된 소리는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소리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소리를 청취하여 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2 음원부(75)와 상기 회절판(90) 사이의 거 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소리가 증폭되는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주파수, 회절판(90)에 의해 회절각 등을 고려하여 상기 거리를 자동 연산할 수 있으며, 자동 연산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음원부(75)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는 서로 접하여 있으므로, 상기 제2 음원부(75)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음원부(71)도 자동으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회절판(90)에 의해 회절되어 그 출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b2), (b3)와 같은 형태로 그 출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b1), (b2), (b3)의 소리들은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a1), (a2), (a3)의 소리들과 간섭을 일으켜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간섭이 보강간섭이면 음량은 커질 것이며, 상쇄간섭이라면 음량을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오디오 출력 장치는 다양한 음량을 낼 수 있다.
보강 간섭을 일으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음량부(75)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등의 조작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지만 자동으로 연산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연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소리(a1)와 상기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어 회절판(90)에 의해 회절되는 시점에서의 소리(b1)의 위상이 동일한지 반대인지 판단하고, 동일하다면 소리 (a1)과 소리 (b1)의 경로차를 계산한다. 경로차는 파동의 이동 거리차를 의미한다. 상기 이동 거리차가 반파장(λ/2)의 짝수배이면 보강간섭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역으로 계산하여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이동 거리차를 반파장(λ/2)의 짝수배로 정하고, 이에 따라 가능한 이동 거리차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 거리차로부터 제1 음원부(71)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2 음원부(75)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제2 음원부(75)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음원부(75)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도 4a는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소리 (a1)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따르면 상기 소리 (a)은 x의 진폭 크기를 갖는다. 도 4b는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된 소리 (b1)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음원부(71)와 같이 x의 진폭을 갖는다. 상기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동일한 소리를 출력하므로 (a1) 소리와 (b1) 소리는 동일한 진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1) 소리는 회절판(90)에 의해 회절되어 (a1) 소리와 간섭을 일으키는데, 보강 간섭을 일으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이 2배로 증가된다. 소리의 진폭이 커짐은 소리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그 음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서 제2 음원부(75)를 제1 음원부(71)와 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2 음원부(5)와 대항하여 배치함으로써, 소리의 회절 및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음량을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음원부를 이동하는 구동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은 제2 음원부(75)와 회절판(90)의 거리를 조절하여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90)로 본 실시 예에서 랙과 피니언(Rack & Pinion)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목한 홈을 구비하는 콘 형상의 회절판(90)을 지지하고, 상기 회절판(90)으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91a)와 제2 지지부(91b)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 각각에 상기 제1 지지부(91a)와 제2 지지부(91b)를 각각 통과하는 제1 고리(92a)와 제2 고리(92b)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는 서로 하우징이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의 하우징 외벽에 랙(93)이 장착되고, 상기 랙(93)에 대응하여 피니언(94)이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94)은 모터를 구비하며, 오디오 출력 장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회절판(9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94)를 이용하여 제2 음원부(75)와 회절판(9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저음을 출력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프레임 내부에 제1 음원부(71)와 제2 음원부(75)가 배치되고, 제2 음원부(75)의 소리 출력 면에 대항하여 회절판(9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음원부(71)로부터 출력된 소리와 상기 제2 음원부(75)로부터 출력되어 회절판에 의해 회절된 소리, 상기 소리들이 간섭된 소리 등이 주름관(95)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95)은 우퍼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저음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주름관(95)은 소리를 안내하는 관으로써, 그 내벽이 삼각형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리들이 주 름관(95)을 통과하면 주파수가 높은 소리는 상기 주름관(95)에 갇히게 되며, 주파수가 낮은 소리만이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저음을 용이하게 출력가능함으로써 우퍼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소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설명하는 소리 크기 증폭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음원부를 이동하는 구동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저음을 출력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주름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전원부, 20: 조작부, 30: 메모리,
40: 마이컴, 50: 신호 처리부, 60: 증폭부,
70: 음원부, 71: 제1 음원부, 75: 제2 음원부,
80: 구동부, 90: 회절판 95: 주름관

Claims (4)

  1. 소리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원부들; 및
    상기 음원부들 중 제1 음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2 음원부로부터의 소리의 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회절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원부와 상기 제2 음원부는 서로 소리 출력 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절판은 상기 제2 음원부의 소리 출력면과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부들로부터 출력된 소리 중 저음의 소리를 안내하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내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KR1020080035219A 2008-04-16 2008-04-16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978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19A KR100978897B1 (ko) 2008-04-16 2008-04-16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19A KR100978897B1 (ko) 2008-04-16 2008-04-16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06A true KR20090109806A (ko) 2009-10-21
KR100978897B1 KR100978897B1 (ko) 2010-08-31

Family

ID=4153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19A KR100978897B1 (ko) 2008-04-16 2008-04-16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975A (ja) * 1984-12-28 1986-07-15 Fujitsu Ten Ltd 超音波センサ
KR19980076003A (ko) * 1997-04-04 1998-11-16 김충지 초음파를 이용한 스피커(loudspeaker)
KR19990010191A (ko) * 1997-07-15 1999-02-05 윤종용 반도체장치
KR20000067321A (ko) * 1999-04-27 2000-11-15 정완진 스피커의 광대역 음향파 정형 및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97B1 (ko)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943B2 (en) Mechanically actuated panel acoustic system
JP4840060B2 (ja) ヘッドホン、ノイズ低減処理システム及びノイズ低減処理方法
JP5610903B2 (ja) 電気音響変換器
JP4289343B2 (ja) スピーカ駆動装置
JP6251458B1 (ja) 音響装置
JPWO2009047968A1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KR20080101657A (ko) 체감진동 소형 음향리시버
US11871193B2 (en) Microphone system
EP2791754B1 (en) Pad-type device case providing enhanced audio functionality and output
JP2008537374A (ja) 音声データ処理装置、音声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要素及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媒体
JP3198476U (ja) 音域切替イヤホン
KR100978897B1 (ko) 휴대용 오디오 출력 장치
KR101559658B1 (ko) 스피커 장치
JP2015056705A (ja) ヘッドホン用増幅器およびヘッドホン再生装置
KR100758133B1 (ko) 사용자 특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및 재생방법
JP2006157597A (ja) 音響装置
JP5781194B2 (ja) マイクロホン
WO2014021178A1 (ja) 音場支援装置および音場支援システム
JP4505428B2 (ja) 騒音キャンセルヘッドフォン、及び騒音キャンセル制御モード切替方法
KR20070089325A (ko) 보청기 호환 이동통신단말기
JP2021081627A (ja) 電子機器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JP2006094149A (ja) 増幅装置
JP2002101499A (ja) 音響再生装置
KR200404811Y1 (ko) 외부 입력 단자를 가지는 카오디오 시스템 및 차량용외장형 앰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