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226A -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226A
KR20090108226A KR1020080033532A KR20080033532A KR20090108226A KR 20090108226 A KR20090108226 A KR 20090108226A KR 1020080033532 A KR1020080033532 A KR 1020080033532A KR 20080033532 A KR20080033532 A KR 20080033532A KR 20090108226 A KR20090108226 A KR 2009010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ny flower
extract
peony
flower extract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603B1 (ko
Inventor
노 복 박
종 군 박
연 옥 정
현 종 김
Original Assignee
한국농업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업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농업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약 꽃을 채취하여, 꽃 그대로 또는 동결건조 전처리하는 단계와,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와, 미백 기능을 갖는 추출물을 선정하여 분석 및 세포독성을 실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미백 기능을 갖는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은 폐기되는 작약 꽃을 재활용하는 측면과 작약 꽃의 유효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미백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백, 화장료, 추출물, 작약

Description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Extracts of Paeoniae radix flower with white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약 꽃을 주 기재로 하고, 이것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제조한 추출물로서 미백 기능이 탁월하고 독성이 전혀 없는 고기능성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약(芍藥, Jakyak, Paeoniae radix)은 참작약 및 동속 식물의 뿌리로서 매우 중요한 생약 중의 하나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며, 2회 삼출 겹잎으로 작은 잎은 타원형이며, 톱니는 없다. 꽃은 줄기 끝에 한 개씩 나며, 5~6월에 흰 꽃이 핀다. 생약으로는 뿌리를 말린 것이며, 생지는 산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3월과 8월에 땅속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치조(治操), 양혈제(凉血劑), 보혈(補血), 익비(益脾), 지통(止痛)에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수렴완화(收斂緩和), 진경(鎭痙), 진통제(鎭痛劑)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계지가화균약탕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과실은 골돌과로서 1~3개이고, 뿔 모양으로 홍색의 성숙하지 않은 종자와 흑색의 성숙한 종자가 노출된다. 번식은 분근을 하거나 종자를 이용한다. 약용으로 쓰이는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Ranuculaceae) 작약속(Paeonia)에 속하는 약용작물로서 초본인 작약과 목본인 모란으로 구분된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약은 식물 분류 면에서 적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백작약(Paeonia obovata Max.) 및 산작약(Paeonia japonica Miyabe et Takeda)으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적작약의 변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윤평섭, 한국원예식물도감, 1995).
작약은 1,200여 년 동안 중요한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는 염증, 진통 및 진경의 목적으로 주로 무월경의 조절, 외상치료, 비출혈, 염증, 종기 및 상처 치료, 가슴과 늑골부위의 통증완화 등의 치료 목적으로 처방되어 왔다. 작약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 진통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며, 주성분인 peoniflorin에 관한 활성도 등 다수가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면역조절작용, 항알러지작용, 항염증작용, 인지능력향상효과, 신경근 저지 활성, 항혈전, 항응고, 항경련 효과 등 수많은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 피부색의 흑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것은 여러 가지의 외적(자외선, 복용약물, 자극성 피부 외용제), 내적(호르몬, 염증반응 인자, 싸이토카인)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되는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alanocyte)의 활동성과 분포이다. 인체 내의 멜라닌 세포에서는 티로시나아제 등의 효소가 작용, 생체 내에 항상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한 산화반응을 통하여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생성하게 된다. 이 멜라닌 색소는 색소세포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주변의 각질화 세포에 널리 분배됨으로써 피부의 색을 결정하게 된다.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등의 피부색소 이상증상은 색소세포의 멜라닌 생성이 이상적으로 활성화되어 과도하게 생성 침착되어 야기된다. 이러한 과 색소 침착은 피부미용의 관점에서 심각한 정신적 부담을 주어 정상적인 사회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예로부터 동양권의 여성들은 하얗고 고운 피부를 선호해왔고,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 왔다. 피부 색소 이상증상 치료와 미용의 욕구 충족을 위한 미백제의 개발은 예로부터 많이 있어왔다.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및 이들의 유도체 등과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및 의약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나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배합 시 미백효과의 불충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작약 추출물을 주 기재로 함에 따라 색소 침착으로 인하여 칙칙해진 피부에 미백 기능을 촉진하고, 작약 꽃의 유효성분을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피부 트러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약 꽃을 채취하여, 꽃 그대로 또는 동결건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전처리를 거친 작약 꽃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단계를 통해 수득 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을 지표물질인 peoniflorin이 분말시료 kg 당 20,731 mg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약 꽃 추출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작약 꽃 추출물을 24 내지 244 ppm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단계 : 원료 전처리 공정
작약 꽃을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 다음 작약 꽃 그대로 또는 동결건조하는 전처리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단계는 작약 꽃을 동결건조하지 않고 꽃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또는 -45℃에서 5~8시간 동안 동결냉동한 후, 기기의 연속조작에 의해 35℃, 5 mTorr에서 48~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동결건조 시스템 처리를 사용하여 전처리하는 방법이다.
제2단계 : 유효성분 추출공정
상기 원료 전처리 단계를 거친 작약 꽃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추출용매로는 물, C1 내지 C3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 액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50 내지 80%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의 양은 전처리 된 시료에 50 내지 80%의 에탄올을 시료대비 4 내지 10배로 가한다.
상기 추출방법은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온에서 1 내지 5일 동안 암(暗)조건으로 정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지 용액의 온도는 실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작약 꽃의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 침지 시간은 1 내지 5일로 작약 꽃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될 수 있다.
제3단계 : 추출물 여과공정
상기 작약 꽃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고형분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현탁액을 1~2회 여과한다.
제4단계 : 여과액 농축공정
상기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다. 본 발명의 농축공정은 여과된 추출물을 분말이 될 때까지 40~45℃, 5~10 rpm의 조건으로 진공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 : 세포독성 실험단계
본 발명은 상기 제4단계에서 제조된 농축액으로부터 미백 기능을 갖는 추출물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세포독성을 실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포 독성 실험은 어떤 화합물이 세포에 어느 정도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일반적으로 Cytotoxicity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MTT assay, XTT assay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포르마잔을 색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방법으로, 세포 독성 실험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작약 꽃 추출물은 폐기되는 작약 꽃을 재활용하는 친환경적인 효과와 작약 꽃 유효성분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미백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실시예 1]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작약 꽃은 전북 남원 운봉면에서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채취한 후, -5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이용하였다. 추출용액으로는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최대로 추출하는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특히, 화장료의 원료가 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식품 및 화장료 원료 추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추출방법으로는 정치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조건으로는 용매비를 4~10배로 하고, 상온에서 1~5일간 50~8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모든 실험구는 천연물이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박으로 감싸 처리하였다. 또한, 전처리로는 작약 꽃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동결건조를 선택하여 이용하였다.
추출물의 제조공정도는 도 1과 같다. 정치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1~2회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분말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작약 꽃 원료 250g 으로부터 분말 추출물 17g 을 얻을 수 있었다.
[ 실시예 2]
증류수 90 중량%, 1, 3-부틸렌 글리콜 9.8 중량% 및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작약 꽃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를 첨가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수 50ml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작약 꽃 추출물의 미백 기능 효과 측정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중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에서 형성되어 멜라닌 세포의 수상돌기를 통해 각질형성세포로 옮겨지는데, 특히, 피부색은 멜라닌 세포 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 멜라닌 소체의 크기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포로써 결정된다. 멜라닌의 과잉생산이 기미, 주근깨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멜라닌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산화반응에 의한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생합성된다.
작약 꽃 추출물의 미백 기능 효과를 측정해 보기 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미백 기능에 대한 대조물질로는 흔히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arbutin)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은 1~5일 동안 추출한 작약 꽃 추출물을 티로시 나아제 저해활성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시료의 장기보관을 목적으로 하는 전처리로써 동결건조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구인 알부틴은 모두 2배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2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알부틴 JY1(24시간 침지구) JY2(48시간 침지구)
농도(ppm) 50 100 200 50 100 200 50 100 200
저해율(%) 2 28 59 23 100 100 100 100 100
도 2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JY1(24시간 침지구)와 JY2(48시간 침지구)는 모든 실험에서 알부틴보다 미백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 처리구인 JY1의 경우는 50ppm에서는 알부틴보다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냈으나, JY2보다는 현저히 미백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00ppm 농도에서는 JY1 및 JY2 모두 대조구인 알부틴보다 탁월한 효능을 보였고, 100ppm 농도 이상에서는 JY1 및 JY2가 모두 유사한 성적을 나타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처리를 동결건조로 처리한 실험구들에서도 동일하게 100ppm 이상에서는 알부틴에 비해 탁월한 미백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작약 꽃 추출물의 지표물질 분석
Wako 사로부터 구입한 순도 98%의 peoniflorin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였으며, HPLC 급 용매를 이용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질을 메탄올에 희석하여 20, 50, 70, 100 ppm으로 만들었다. 이 시료들을 각각 HPLC로 찍었을 때 피크의 면적이 정확히 비례한다면 그 직선을 이용하여 같은 머무름 값을 가진 피크의 면적으로 양을 가늠할 수 있다. 희석하여 특정 농도로 만든 각각의 샘플을 HPLC를 이용하여 30분간 전개한 후 230nm에서 피크를 얻었다. 시료의 양에 따라 피크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각 피크의 면적을 적분하여 검량에 사용하였다.
적분 값을 바탕으로 적분 값에 따른 시료 양의 검량식을 도출하면, 검량선은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방정식은 y=1.45×104x + 5.85×103와 같다.
결정계수(R2)는 0.9996으로 1에 가까우므로 각 샘플의 피크의 적분 값을 잘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검량식을 바탕으로 230nm에서 시료를 분석했을 때 머무름 값이 6.883분을 나타내는 피크의 적분 값으로 시료 중 peoniflorin의 양을 계산할 수 있었다.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농축한 작약 꽃 분말 30mg을 메탄올 10mL에 녹인 후, 45 μm 막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으며, HPLC (Waters 2695)분석 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작약 꽃 추출물의 지표물질 분석 조건
Column SYMMETRY C18 (4.6 m I.d. × 150 mm, 5 μm)
Detector Photodiode array (PDA, Waters 2996)
Eluants Water:Acetonitrile= 85:15
Flow rate 1 mL/min Injection volume 20 ㎕
Wavelength 230 nm Temperature Ambient
그 결과 도 4와 같은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작약 꽃 농축 분말 1kg당 20,731mg peoniflorin이 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작약 꽃 1송이(7 g)로부터 peoniflorin 10.3 mg을 얻을 수 있었다.
< 실험예 3> 작약 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
세포 독성 실험은 어떤 화합물 (천연물, 기타 화학물질)이 세포에 어느 정도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실험으로, 이는 Cytotoxicity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MTT assay, XTT assay 등의 방법이 있다. 그 중 MTT assay의 방법은 세포 독성 실험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MTT assay는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살아있는 세포에 MTT를 처리하면 MTT가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리덕테이즈(reductase)에 의해 포르마잔(formazan)이라 불리는 크리스탈이 형성되는데, 죽은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가 이미 깨져있기 때문에 리덕테이즈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포르마잔을 색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이다.
1. HaCaT 세포를 배양한다.
2. 세포가 80% 정도 자라면 계대배양(96 well plate) 한다.
3. 원심분리기로 모은 세포의 상층액을 버리고 새 용매를 넣어줘 천천히 풀어준다.
4. Haemocytometer에 12㎕만 떨어뜨린 후 현미경으로 Cell Counting을 한다.
5. 세포를 1개의 well당 2*105cell/500㎕가 되도록 넣어준다.
6.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7. 24시간이 지나면 1X PBS로 세척 한 후 처리하고자 하는 시료를 농도에 맞게 용매와 혼합하여 잘 섞어준 후 2시간 동안 배양한다.
8. 배지와 시료를 걷어내고, PBS로 세척을 한다. MTT 솔루션(solution)을 처리한 후에 알루미늄 박으로 덮고, 3~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한다.
9. MTT 솔루션을 걷어내고 DMSO 50㎕를 넣어준 후, shaking incubater에서 20분 동안 섞어 준 후, ELISA로 측정한다.
실험 결과는 도 5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ppm) 0 0.48 2.4 4.8 24 48 244 480
세포의 양 0.438 0.432 0.430 0.436 0.461 0.449 0.452 0.429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Y축은 살아있는 세포의 양으로, 단위는 (*104cell)로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살아있는 세포의 수가 많은 것이다. X축은 작약 꽃 추출물의 농도이며, 0은 작약 꽃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부분이고, 그 다음부터는 0.48, 2.4, 4.8, 24, 48, 244, 480ppm의 농도로 처리한 것이다. 이 농도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추출물을 DMSO로 녹였기 때문이다. DMSO는 세포에 독성으로 나타나지만, 일정 농도(0.4% 미만)로 처리하게 되면 세포의 독성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DMSO가 0.4%가 되는 그 농도를 480ppm 가장 높은 농도로 잡고, 1/2, 1/5로 희석해가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약 꽃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농도 0.48ppm, 2.4ppm, 4.8ppm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작약 꽃 추출물 농도가 24ppm, 48ppm, 244ppm에서는 살아있는 세포가 증가된 것으로 보아, 이는 세포 독성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로 추측할 수가 있다. 하지만, 그래프를 보면 480ppm에서는 수치(0.429)가 음성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는 작약 꽃 추출물의 양이 많아지면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위의 실험자료만 가지고 본다면 24~244ppm에서는 작약 꽃 추출물은 기능성 실험에 이용할 수 있는 농도의 범위로 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재배 후 폐기되는 작약 꽃을 재활용하는 측면과 작약 꽃 유효성분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미백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산업적으로 원료 확보 및 제품 생산 활성화에 크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약 꽃 추출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약 꽃을 그대로 추출한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약 꽃을 동결건조 처리하여 제조한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약 꽃 추출물의 지표물질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약 꽃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작약 꽃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피부 미백용 화장수의 샘플 사진이다.

Claims (9)

  1. 작약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a) 작약 꽃을 채취하여, 꽃 그대로 또는 동결건조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작약 꽃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통해 수득 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농축액에서 미백 기능을 갖는 추출물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세포독성을 실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원료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또는 -45℃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동결냉동한 후, 기기의 연속조작에 의해 35℃, 5 mTorr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동결건조 시스템 처리를 사용하는 전처리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전처리 된 시료에 50 내지 80%의 에탄올을 시료대비 4 내지 10배로 가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5일 동안 암(暗)조건으로 정치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농축은 여과된 추출물을 분말이 될 때까지 40 내지 45℃, 5 내지 10 rpm의 조건으로 진공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작약 꽃 추출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표물질(peoniflorin)이 분말시료 kg 당 20,731 mg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약 꽃 추출물.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작약 꽃 추출물을 24 내지 244 ppm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33532A 2008-04-11 2008-04-11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32A KR100993603B1 (ko) 2008-04-11 2008-04-11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32A KR100993603B1 (ko) 2008-04-11 2008-04-11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226A true KR20090108226A (ko) 2009-10-15
KR100993603B1 KR100993603B1 (ko) 2010-11-10

Family

ID=4155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532A KR100993603B1 (ko) 2008-04-11 2008-04-11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6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47B1 (ko) * 2013-09-12 2015-07-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를 제거한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신촉진용 조성물
CN112823779A (zh) * 2019-11-20 2021-05-21 国立山林科学院 木槿花花瓣提取物的制备方法及木槿花花瓣提取物的用途
CN114376952A (zh) * 2021-12-31 2022-04-22 浙江大学 一种芍药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518009A (zh) * 2022-09-14 2022-12-27 宿州学院 一种含芍药花提取液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498980B1 (ko) * 2022-03-02 2023-02-1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17B1 (ko) 2016-06-02 2023-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6840B1 (ko) * 2018-07-09 2020-06-25 대한민국 무궁화 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무궁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조성물
KR102327946B1 (ko) 2021-06-04 2021-11-18 한국콜마주식회사 작약꽃추출물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또는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9193A (ko) 2022-01-12 2023-07-20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작약꽃, 회화나무꽃, 푸른연꽃, 샤프란꽃, 수레국화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에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47B1 (ko) * 2013-09-12 2015-07-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를 제거한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신촉진용 조성물
CN112823779A (zh) * 2019-11-20 2021-05-21 国立山林科学院 木槿花花瓣提取物的制备方法及木槿花花瓣提取物的用途
CN114376952A (zh) * 2021-12-31 2022-04-22 浙江大学 一种芍药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98980B1 (ko) * 2022-03-02 2023-02-1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5518009A (zh) * 2022-09-14 2022-12-27 宿州学院 一种含芍药花提取液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603B1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03B1 (ko) 미백 기능을 갖는 작약 꽃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0122094B1 (ko) 정제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EP2787958B1 (en) Chelidonium majus extract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promotion of skin regeneration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7639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효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7237B1 (ko) 싱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0684B1 (ko)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9301A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487655B1 (ko) 새싹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067023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90018100A (ko)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12907B1 (ko) 더덕 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529542B1 (ko)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040076103A (ko) 항산화 및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0589B1 (ko) 부게꽃나무 또는 돌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