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514A -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 - Google Patents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514A
KR20090106514A KR1020097014383A KR20097014383A KR20090106514A KR 20090106514 A KR20090106514 A KR 20090106514A KR 1020097014383 A KR1020097014383 A KR 1020097014383A KR 20097014383 A KR20097014383 A KR 20097014383A KR 20090106514 A KR20090106514 A KR 2009010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eb
carrier strip
contact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398B1 (ko
Inventor
톰 레데르만
레토 스퇴리
로저 몰
Original Assignee
멀티-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멀티-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10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접촉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탄성의 캐리어 스트립(11)과,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웹 부재(17)를 포함하며, 상기 웹 부재는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2개의 대향 표면 간의 전기 접촉을 구축한다. 더욱 복잡한 설계에서는, 웹 부재(17)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평면(M1)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구성된다.
Figure P1020097014383
캐리어 스트립, 웹 부재, 접촉 클립, 플러그, 소켓

Description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CONTACT ELEMENT AND USE OF SUCH A CONTACT ELEMENT IN A PLUG CONNECTION}
본 발명은 전기 접속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접촉 층판(contact lamellar) 형태의 접촉 부재가 오랫동안 알려져 왔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2개의 표면 사이의 비교적 큰 간극을 충분히 높은 전류를 이용하여 신뢰적이고 영구적인 방식으로 브리지(bridging)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접촉 부재 및 층판은,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스프링 방식으로 토션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 안쪽으로 다시 푸시될 수 있는 일직선의 웹(web) 부재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씩 차례로 앞뒤로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스트립을 기반으로 한다. 제1 접촉 층판의 경우, 접촉을 구성하는 웹 부재가 스탬핑/벤딩 프로세스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의 스트립 재료로 직접 형성된다(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3,453,587호를 참조). 이들 접촉 층판은 따라서 단일 부품(single-component) 접촉 부재이다.
이들 접촉 부재는, 스탬핑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 자체로부터 형성되는 웹 부 재의 기하학적 치수 결정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스프링 특성과 우수한 전기 전도 및 접촉 형성 특성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 재료를 선택하도록 제한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되는 웹 부재의 전기적 특성이 최적화되면서 캐리어 스트립의 스프링 기능 또한 최적화될 수 있도록, 캐리어 스트립 및 웹 부재를 별도의 파트(2-부품 접촉 부재)로서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웹 부재의 치수 결정에 있어서의 증가된 자유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접촉 거리를 브리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접촉 부재 또는 접촉 층판은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4,456,325호 및 유럽 특허 EP-A2-0 254 770 또는 EP-A1-1 119 070에 개시되어 있다.
EP-A1-1 119 070에서는 V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만곡되는 접촉 클립이 웹 부재로서 사용되며, 이들 접촉 클립은 자유 단부에 클램핑 풋(clamping foot)이 구비되어 있고,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된다. 하위측의 면 상에는, 클램핑 풋이 각각의 경우에서의 접촉 지점을 통해 하나의 접촉 영역과 전기 접촉을 이룬다. 접촉 클립의 선단은 추가의 접촉 지점에서 반대측의 다른 접촉 영역과 접촉을 이룬다. 플러그 결합 방향의 전면에 있는 접촉 클립의 가지(limb)는, 플러그 접속부가 삽입될 때에 접촉 클립이 캐리어 스트립의 방향에서 완만하게 슬라이드하는 방식으로 압박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플러그 결합 방향의 배면에 있는 접촉 클립의 가지는 필적할만한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 가지는 접촉 부재의 폭을 증가시키며, 이것은 소형화에 대해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부품 접촉 부재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더 작은 외부 치수로 더욱 간소한 구성을 갖거나 더 많은 전류를 전송할 수 있는 접촉 층판 형태의 접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1의 모든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는, 전기 접촉을 구성하는 개개의 웹 부재(web element)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중심 평면에 대해 비대칭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필수로 한다. 그 결과, 더 적은 폭으로 단위 길이당의 접촉 지점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웹 부재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클램핑 풋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되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상기 웹 부재가 상기 클램핑 풋에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촉 핀을 가지며, 상기 접촉 핀의 핀 선단이 중심 평면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다른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웹 부재를 위한 캐리어 스트립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웹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아암은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각각의 상기 웹 부재가 자신의 자유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기 웹 부재는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촉 핀은, 상기 클램핑 풋이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하나의 변(leg)의 끝에 배치되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핀 선단은 직각을 이루는 다른 변 및 빗변(hypotenus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클램핑 풋의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에서의 상기 웹 부재가 접촉 러그(contact lug)를 통해 클램핑 방식으로 상기 캐리어 스트립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스트립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에의 상기 웹 부재의 클램핑 타입의 부착에 추가하여, 상기 캐리어 스트립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과 상기 클램핑 풋 간에 인터록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록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스트립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에 구멍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풋이 대응하는 양각부를 통해 상기 구멍부와 결합한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풋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가 상기 스프링 아암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1열의 상기 웹 부재를 가지며, 이에 관련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그에 대응하여,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중앙에서 이어지는 하나의 웹을 포함하며, 또한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고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평행한 2개의 열의 상기 웹 부재를 가지며, 이에 관련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그에 대응하여,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웹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웹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웹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이 중앙 접속부를 통해 단부에서 쌍으로 서로 연결될 때에, 접촉 지점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압 접속부는, 각각의 경우에서 플러그 접속 방향의 후방에 있는 웹 부재가 플러그 접속 프로세스 동안 복원 가능하게 압박되고, 완전하게 플러그 접속된 상태에서는 2개의 대향 표면 간에 전기 접촉을 독립적으로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특히 이롭다.
구체적으로, 평행한 2개의 열의 상기 웹 부재는, 그 열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심 평면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웹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클램핑 풋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되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상기 웹 부재는 상기 클램핑 풋에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촉 핀을 가지며, 상기 접촉 핀의 핀 선단이 상기 열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심 평면에 바로 인접하여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다른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이 유용하다.
플러그 및 소켓을 포함하는 플러그 접속에서의 접촉 부재의 사용으로서, 상기 접촉 부재는, 핀 선단이 플러그 접속 방향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플러그의 외측 또는 상기 소켓의 내측 상의 리세스에 배치된다.
접촉 부재가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를 가질 때에는, 상기 접촉 부재가 가이드 러그에 의해 리세스 내의 측방 하위절단부에 안내되는 것이 이롭다.
접촉 부재의 다른 바람직한 사용으로서, 접촉 부재가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일측부 상에 웹 부재를 지나 돌출한다.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가이드 러그에 의해 리세스 내의 하나의 측방 하위절단부에 안내된다. 이 경우, 가이드 러그는 열(row)로 배열되며, 가이드 러그의 열은 하위절단부 내로 돌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열의 비대칭형의 웹 부재를 갖는 접촉 부재의 다양한 세부구성을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g)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촉 부재에 측면 가이드 러그(guide lug)를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를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c)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접촉 부재와 종래 기술의 접촉 부재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평행한 열의 비대칭 웹 부재를 갖는 접촉 부재의 다양한 세부구성을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g)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접촉 부재에 측면 가이드 러그를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c)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접촉 부재와 종래 기술의 접촉 부재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접촉 부재가 구비되는 플러그 접속을 위한 플러그 접속 프로세스를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c)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여기서 접속 부재는 플러그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4에 따른 접촉 부재가 구비되는 플러그 접속을 위한 플러그 접속 프로세스를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c)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여기서 접속 부재는 소켓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접촉 부재가 구비되는 플러그 접속을 위한 플러그 접속 프로세스를 복수의 부도면 (a) 및 (b)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여기서 접속 부재는 플러그(9a) 또는 소켓(9b)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플러그 접속에서의 허용 가능한 각도 편차 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1열의 비대칭형 웹 부재를 갖는 접촉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플러그 내에 있거나 플러그 내에 설치될 접촉 부재의 다양한 세부구 성을 2개의 부도면 (a) 및 (b)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소켓 내에 있거나 소켓 내에 설치될 접촉 부재의 다양한 세부구성을 2개의 부도면 (a) 및 (b)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열의 비대칭형 웹 부재를 갖는 접촉 부재의 다양한 세부구성을 복수의 부도면 (a) 내지 (g)로 도시하고 있다. 접촉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적합한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스프링 탄성 캐리어 스트립(11)과,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또한 2개의 대향 표면(도 9의 26, 27 또는 46, 47) 간의 전기 접촉을 구축하기 위해 캐리어 스트립의 표면에 직각을 이루며 복원 가능하게 압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캐리어 스트립(11)에 부착되는 복수의 웹 부재(17)(도 1의 (g))를 포함한다.
전기 도전성이 높은 재료(예컨대, 구리)로 구성되고 표면 처리(예컨대, 은도금)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웹 부재(17)는,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중심 평면 M1(도 1의 (b))에 대하여 비대칭 방식으로 형성된다. 웹 부재는 각각 2개의 클램핑 풋(18, 19)을 가지며, 클램핑 풋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고, 이 클램핑 풋을 통해 웹 부재가 캐리어 스트립(11)에 부착되고, 이 클램핑 풋을 통해 웹 부재가 2개의 대향 표면(26, 27 또는 46, 47)(도 9)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웹 부재(17)는 클램핑 풋(18, 19)에 연결되는 삼각형상의 접촉 핀(20)을 가지며, 접촉 핀의 핀 선단(21)이 중심 평면 M1(도 1의 (b))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2개의 대향 표면(26, 27 또는 46, 47)의 다른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룬다. 접촉 핀(20)의 삼각형 형상에 의해 웹 부재(17)는 요구된 비대칭 형태를 갖게 된다. 핀 선단(21)으로부터 클램핑 풋(18)까지 이어지는 경사부(22)는, 도 9에 따른 접촉 부재가 플러그 접속(26, 27 또는 46, 47)에 설치될 때에 웹 부재(17)의 완만한 압박을 발생시킨다.
웹 부재의 스프링 동작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스프링 아암(13, 14)을 갖는 웹 부재(17)용 캐리어 스트립(11)에 의해 달성되며, 스프링 아암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웹(12)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고, 토션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며, 이들의 자유 단부가 클램핑 풋(18, 19)을 통해 각각의 웹 부재(17)에 부착된다. 해제된 상태에서 다소 비틀어져 있는 스프링 아암(13, 14)(도 1의 (g)에서의 높이 h1)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웹 부재(17)가 높은 정도의 중첩을 나타내게 되고, 접촉 부재의 단위 길이당 높은 레벨의 접촉 및 전류 밀도를 제공한다. 도 1의 (g)에 따르면, 접촉 부재(10)는 접촉이 이루어질 2개의 표면 간의 최대 높이 h2를 보상(compensate)할 수 있고, 웹 부재(17)가 저울 방식(manner of scale)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될 때 최소 높이 h3가 달성된다.
접촉 부재(1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접촉 러그(23)(도 1의 (f))를 위에서 만곡시킴으로써 클램핑 풋(18, 19)의 영역에 클램핑되는 스프링 아암(13, 14)에 의해 개개의 웹 부재(17)(도 1의 (b))가 사전 준비된 캐리어 스트립(11(도 1의 (a)) 에 부착된다. 클램핑은 캐리어 스트립(11)과 웹 부재(17) 간의 가압-끼워맞춤 연결(force-fitting connection)을 형성한다. 캐리어 스트립(11) 또는 스프링 아암(13, 14)에의 웹 부재(17)의 클램핑 타입 부착에 추가하여, 캐리어 스트립(11) 또는 스프링 아암(13, 14)과 클램핑 풋(18, 19) 간에 인터록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연결은, 적합한 지점에서 캐리어 스트립(11) 또는 스프링 아암(13, 14)에 구멍부(16)를 형성하고, 접촉 러그(23)의 대응하는 양각부(embossment)를 통해 클램핑 풋(18, 19)을 상기 구멍부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양각부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다른 유형의 인터록 연결도 가능하다.
접촉 부재(10)를 설치 위치(도 2의 (b); 도 9)에 신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클램핑 풋(18, 19)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5)가 스프링 아암(13, 14)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부재(10)가 플러그(27)의 외측 또는 소켓(46)의 내측에 있는 리세스(28)에 배치될 때, 접촉 부재는 가이드 러그(15)(도 2 및 도 9)에 의해 리세스(28) 내의 측면 하위절단부(29)에 안내된다. 그러나, 도 3에 의하면, 측방의 가이드 러그가 없는 접촉 부재(20') 또한 가능하며, 접촉 부재가 도 2의 (a)에 따라 소켓에 약하게 설치될 때에는 하위절단부 없이도 간략한 리세스(28)에 삽입된다.
그러나, 도 1∼3 및 도 9의 비대칭 단일 웹 변형예 대신에, 본 발명은 도 4∼8 및 도 10에 따른 비대칭 2-웹 변형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접촉 지점의 수가 2배가 된다. 이 경우, 접촉 부재(30)의 캐리어 스트립(31)(도 4의 (a)) 은, 웹(32, 32') 및 웹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34, 34' 또는 35. 35')을 갖는 도 1의 (a)에 따른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캐리어 스트립(11)을 포함하며, 2개의 웹(32, 3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34', 35')은 중심 평면 M3에 위치된 중앙 연결부(33)을 통해 끝단에서 쌍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 부재(30)의 경우에는,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평행한 2개의 열의 웹 부재(36, 37)가 제공되며, 각각의 웹 부재는 캐리어 스트립(도 4의 (b))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클램핑 풋(38, 39 또는 42, 43)을 가지며, 이 클램핑 풋을 통해, 웹 부재가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되고, 웹 부재가 2개의 접촉 지점에서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된다. 2개의 평행한 열의 웹 부재(36, 37)는 열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심 평면 M3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설계 및 배치된다.
각각의 웹 부재(36, 37)는 클램핑 풋(38, 39 또는 42, 43)에 연결되는 삼각형의 접촉 핀(20)을 가지며, 접촉 핀의 핀 선단(40, 44)이 열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심 평면 M3에 바로 근접하여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접촉 지점을 갖는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다른 하나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접촉 핀(20)은 클램핑 풋(38, 39 또는 42, 43)이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하나의 변(leg)의 끝에 배치되는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핀 선단(40 또는 44)은 직각을 이루는 다른 변 및 빗변(hypotenuse)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인접한 웹 부재(38, 39)의 접촉 핀(20)은 서로에 대해 미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중심 평면 M3는 미러 평면으로서 작용한다.
도 1의 (f) 및 (e)와 도 4의 (f) 및 (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웹 부재(17 또는 36, 37)는 경사부(22 또는 41, 45) 및 핀 선단(21 또는 40, 44)을 따라 라운드 처리된 부분(25)을 갖는다. 이 라운드 처리된 부분은, 플러그 결합 프로세스(도 7 내지 도 9)의 과정에서의 탄성 압박 동안 웹 부재(17 또는 36, 37)의 피봇을 용이하게 한다. 플러그 결합 프로세스는 플러그 접속의 접촉 부분 상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48 또는 49)에 의해 추가로 용이하게 되며, 상기 접촉 부분의 하나의 에지가 삽입되는 동안 전면 웹 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드한다.
도 4의 접촉 부재(30)의 경우에 공통 캐리어 스트립(31)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웹 부재(36, 37)의 특별한 특징은, 접촉 부재(31)와의 플러그 접속을 위한 삽입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는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으며, 2개의 스프링이, 중심 평면 M3(중앙 접속부 33)에서,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고 내측으로 지향되는 스프링 아암(34', 35')의 기계적인 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삽입 동안, 접촉 부재(31)의 전면 웹 부재는 복원 가능하게 압박되도록(도 7의 (a)→(b) 또는 도 8의 (a)→(b)) 먼저 캐리어 스트립을 향해 피봇된다. 중앙 접속부(33)에 의해, 이러한 피봇 움직임은, 각각 후방에 있고 또한 마찬가지로 압박되는 인접한 웹 부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접촉 부재에 대해 이동되는 접촉 부분(도 7의 26; 도 8의 47)은 어떠한 문제도 없이 후면 웹 부재의 핀 선단 위에 슬라이드할 수 있다.
비대칭 웹 부재에서 핀 선단이 중앙으로 이동됨에 따른 추가의 장점, 즉 접촉 부분 간의 더 큰 각도 편차(각도 α)가 삽입 동안 허용될 수 있다는 장점은 도 10으로부터 명백하다.
접촉 부재(10 또는 10')와 동일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도 3의 LA-CU 타입의 공지의 접촉 부재 ST1 간의 비교에 의해, (폭이 대략 동일하다면) 실질적으로 단위 길이당 더 많은 접촉 지점 및 그에 따라 더 큰 전류 밀도가 본 출원에 따른 해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촉 부재(30 또는 30')와 동일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LA-CU 타입의 공지의 접촉 부재 ST1 및 도 6의 EP-A1-1 119 077에 공지된 접촉 부재 ST2 간의 비교에 의해(ST2에 대한 비교에서는 폭이 감소된 것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단위 길이당 더 많은 접촉 지점 및 그에 따라 더 큰 전류 밀도가 본 출원에 따른 해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T1과는 대조적으로, 폭이 다소 더 작으며, 단위 길이당 접촉 지점의 수가 현저히 높아 진다.
이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개의 도전성 금속 표면을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신규의 접촉 부재는, 2개의 상이한 재료로 생성되는 2개의 부품이 개별적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을 담당한다. 접촉 부재의 특별한 기하학적 형상은, 기존의 접촉 부재에 대한 전기적 성질 및 공차 범위가 작은 공간에서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2가지 변형예의 접촉 부재가 존재한다:
ㆍ 비대칭 단일-웹 변형예는, 상대 부분(mating piece)에 대한 상위 접촉 지점이 캐리어 스트립의 스트립 폭의 중심에 있지 않고, 그 결과 작은 공간에서의 더 큰 작업 영역이 달성된다.
ㆍ 대칭 2중-웹 변형예는, 단일-웹 변형예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2개의 비대칭적 웹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경사지도록 스프링 작용 스트립 상에 하나 다음에 다른 하나가 장착되며, 상대 부분에 대한 2개의 상위 접촉 지점이 캐리어 스트립의 스트립 폭의 중심에 위치되며, 2개의 웹 부재가 개별적으로 스프링 작용되는 동시에 중앙 접속부를 통한 결합에 의해 충분히 큰 영향을 가져, 측면의 조화로운 압박(플러그 접속)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신규의 접촉 부재는 이하의 특징적인 성질 및 장점에 의해 구분된다.
ㆍ 스프링 작용된 캐리어 스트립과 도전성 웹 부재로의 분리에 의한 최적화된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
ㆍ 웹 부재 또는 접촉 클립의 복잡한 적층 가능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한 작은 그리드 패턴.
ㆍ 큰 공차 및 각도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합리적으로 큰 작업 영역.
ㆍ 2중-웹 변형예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웹 부재가 개별 웹 변형예의 2개의 부재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큰 각도 편차를 허용함.
ㆍ 최적화된 작업 영역 대 폭의 비율.
ㆍ 각각의 개별 웹 부재에 대한 3 지점 접촉(2개의 접촉 지점은 저부에 있고, 1개의 접촉 지점은 상단에 있음).
ㆍ 중앙 회전 조인트에 의한 작은 폭.
ㆍ 특히, 2중-웹 변형예의 경우에서의 현저하게 증가된 전류 밀도.
ㆍ 향상된 설치 옵션.
ㆍ 소켓 및 플러그에의 설치가 가능함.
ㆍ 웹 부재 또는 접촉 클립의 일측부(중앙 대신) 상의 상대 부분에의 상위 접촉 지점의 부착은 더 작은 폭을 갖는 작업 영역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접촉 웹의 경사(gradient)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작업 영역 대 폭의 비율을 최적화함.
ㆍ 웹 부재 또는 접촉 클립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이들이 적층 가능하게 됨. 그 결과, 더 작은 그리드 패턴이 가능함.
ㆍ 2중-웹 변형예의 경우에, 스트립 폭의 중앙에서의 2개의 접촉 지점은 최적화된 각도 공차 범위를 허용함.
ㆍ 2중-웹 변형예의 경우에, 2개의 회전 조인트의 중앙 연결은, 제2 웹 부재가 압박 프로세스 동안 일측부(플러그 결합)로부터의 제1 웹 부재에 의해 예압(precompressed)되도록 함. 이에 의해 조화된 매끄러운 삽입 프로세스가 보장됨.
ㆍ 이와 동시에, 2중-웹 변형예의 경우에, 2개의 웹 부재는 2개의 상위 접촉 지점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독립적임. 그 결과, 접촉 및 그에 따라 전류 밀도가 현저히 증감됨.
전술한 장점을 적용한 접촉 부재의 제3 실시예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예시 실시예들의 특징 또는 부분적 특징이 추가의 변형예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때에는 이하의 예시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접촉 부재(100)의 제3 예시 실시예는, 필수적으로, 캐리어 스트립(11)과,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웹 부재(117)를 포함한다. 캐리어 스트립(111) 및 웹 부재(117)는 전술한 예시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접촉 부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탄성(spring-elastic)의 캐리어 스트립(111)과,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또한 2개의 대향 표면 간에 전기 접촉을 구축하기 위해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에 직각을 이루며 탄성 복원 가능한 방식으로 캐리어 스트립에 부착되는 복수의 웹 부재(117)를 포함한다. 가이드 러그(115)는 개개의 스프링 아암(113)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웹 부재(117)의 클램핑 풋(118)을 지나 바람직하게는 한쪽으로만 측방으로 돌출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러그(115)는 다른 언급된 특징(특히 웹 부재의 비대칭적 설계)에 독립되는 별개의 발명이 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제3 예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러그(115)의 길이가 전술한 예시 실시예의 가이드 러그의 길이와 상이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러그(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캐리어 스트립(111)의 제1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15)는, 캐리어 스트립(111)의 제2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보다 길다. 제1 측부는 예컨대 캐리어 스트립(111)의 중심축 M의 우측에 있는 측면이고, 이 경우에서는 제2 측부는 중심축 M의 좌측에 있는 측면이다.
웹 부재(117)는, 경사부(122)가 장측 가이드 러그(longer guide lug)(115)를 향하고, 핀 선단(121)이 단측 가이드 러그(shorter guide lug)를 향하도록 캐리어 스트립(111)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부(122)의 측부 상의 장측 가이드 러그(115)는 필수적으로 중심축 M에 직각을 이루는 웹 부재(117)의 폭 B를 지나 돌출한다. 달리 말하면, 스프링 아암(113)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러그(115)는 클램핑 풋(118)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한다.
다른 구성으로서, 웹 부재(117)는 반대로 배치되어, 장측 가이드 러그(115)가 핀 선단(121)의 측부 상에 돌출하도록 될 수도 있다.
단측 가이드 러그의 길이는 웹 부재(117)의 폭 B을 지나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성으로서, 단측 가이드 러그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단측 가이드 러그가 웹 부재(117)의 폭 B를 지나 연장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가이드 러그는 그에 따라 양측부 상에 연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측 가이드 러그는 접촉 부재의 적어도 일측부에서 웹 부재(117)의 폭 B을 지나 돌출한다. 그 결과, 접촉 부재(100)의 최대폭은 장측 가이드 부재(115)의 돌출 길이 L 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접촉 부재의 최대폭은 웹 부재(117)의 폭 B와 가이드 부재(115)의 돌출 길이 L을 합한 것이 된다.
도 12의 (a) 및 (b)는 원통형 플러그(127) 및 소켓(126)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원통형 플러그(127)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접촉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L자형의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홈은 하나의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으로서, 예컨대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 는 다른 접촉 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128)에 마찬가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형태에서, 접촉 부재(100)는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15)를 가지며, 가이드 러그(115)는 특히 일측부 상에서 웹 부재(117)를 지나 돌출하며, 접촉 부재(100)는 가이드 러그(115)에 의해 리세스(128) 내의 하나의 측면 하위절단부(129)에 안내된다. 이 경우, 접촉 부재(100)는 리세스(128)에 위치되며, 가이드 러그(115)는 하위절단부(129) 내로 돌출한다.
도 12의 (a) 및 (b)는 리세스(128)가 배치되는 영역의 부분 단면 예시도이며, 단면은 원통형 플러그(127)를 통해 중앙으로 연장하고 있다. 리세스(128)는 원통형 플러그(127)의 표면(1271)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한다. 리세스(128)는 제1 측벽부(1280), 제2 측벽부(1281) 및 지지 표면(bearing surface)(128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리세스(128)는 깊이 TE와 폭 BE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깊이 TE는 웹 부재(117)의 부분들이 플러그(127)의 표면(1271)을 지나 돌출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리세스(128)는 측벽부(1280, 1281) 중의 하나 내로 연장하는 단지 하나의 하위절단부(129)를 갖는다. 따라서, 하위절단부(129)는 리세스(128)의 일측부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에서, 하위절단부(129)는 제2 측벽부(1281) 내로 연장한다. 이 경우, 하위절단부는 지지 표면(1282)의 방향에서 대응하는 측벽부(1280, 1281) 내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필수적으로 지지 표면(1282)과 정렬되는 것이 이롭다. 하위절단부(129)는 측벽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깊이 T를 갖는다. 깊이 T는 가이드 러그(115)의 돌출 부분의 길이 L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의 홈은 하위절단부(129)의 배치에 의해 L자형 홈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2의 (a)는, 접촉 부재(100)의 경우에, 접촉 부재가 본 발명에 따라 L자형 홈 또는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 내로 삽입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접촉 부재(100)는, 돌출 가이드 러그(115)의 부분이 하위절단부(129) 내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방식으로 리세스(128)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접촉 부재(100)는, 접촉 부재의 일부분이 제2 측벽부(1281)에 도달할 때까지 하위절단부(129)의 방향으로 푸시된다. 그 후의 단계에서, 접촉 부재(100)는 지지 표면(1282)의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다. 접촉 부재(100)가 리세스(128) 및 하위절단부(129) 내에 위치되는 즉시, 접촉 부재는 완전히 설치된다. 이 상태가 도 12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b)는 플러그(127)가 소켓(126) 내에 삽입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접촉 부재(100)와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 간에 움직임이 있다면, 접촉 부재(100)가 이 경우에는 멈춤부로서 작용하는 제1 측벽부(1280)의 방향으로 푸시된다. 따라서, 리세스(128)의 폭 BE는, 접촉 부재(100)의 최대폭 B보다 결코 넓지 않도록 치수가 정해질 것이다. 이에 의해, 접촉 부재(100)가 리세스에 의해 확고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의 (b)로부터, 다른 구성으로서 하위절단부가 제1 측벽부(128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접촉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면, 즉 핀 선단(21)이 플러그 결합 방향의 후방에 배치되면, 가이드 러그(115)는 웹 부재(117)의 다른 측 부 또는 클램핑 풋(119)을 지나 연장하여야 할 것이다.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전술한 리세스(128)의 제1 장점은, 접촉 부재(100)가 그 자신의 고유 응력에 의해 또한 가이드 러그(115)에 의해 리세스에 기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위절단부(129) 또는 L자형 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128)는, 접촉 부재가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 경로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특히 이롭다. 그 결과, 접촉 부재(100)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더 간편하고 그에 따라 더욱 신속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100)의 삽입이 다른 홈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간편하다. 또한, 고정 링 등과 같은 다른 고정 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가 원통형 플러그 상에 나타나 있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른 구성으로서,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세스(128)가 다른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의 (a) 및 (b)는 소켓(126) 내에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를 배치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 리세스(128)는 소켓의 표면(1261)을 리세싱하여 형성된다. L자형 홈은 이 경우에도 특히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L자형 홈, 즉 하위절단부(129)를 갖는 리세스(128)가 원통형 표면 내에 뿐만 아니라 평탄 표면에도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시 실시예에서,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접촉 부재, 특히 2개 의 열로 배치된 접촉 부재(30, 30')를, 일측부 상의 클램핑 풋을 지나 또는 웹 부재를 지나 돌출하는 하나의 개별 가이드 러그만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 10', 100 : 접촉 부재(접촉 층판)
11, 31, 111 : 캐리어 스트립
12, 112 : 웹
13, 14, 113, 114 : 스프링 아암
15, 115 : 가이드 러그
16 : 구멍부
17, 117 : 웹 부재
18, 19, 118, 119 : 클램핑 풋
20, 120 : 접촉 핀
21, 40, 44, 121 : 핀 선단
22, 41, 45, 122 : 경사부
23, 123 : 접촉 러그
24 : 만곡부
25 : 라우드 처리된 부분
26, 126 : 소켓
1261 : 소켓의 표면
27, 127 : 플러그
1271 : 플러그의 표면
28, 128 : 리세스
1280 : 제1 측벽부
1281 : 제2 측벽부
1282 : 지지 표면
29, 129 : 하위절단부
30, 30' : 접촉 부재(접촉 층판)
32, 32' : 웹
33 : 중앙 접속부
34, 34' : 스프링 아암
35, 35' : 스프링 아암
36, 37 : 웹 부재
38, 39 : 클램핑 풋
42, 43 : 클램핑 풋
46 : 소켓
47 : 플러그
48, 49 : 라운드 처리된 부분
α : 각도
h1,..., h3 : 높이
M1, M2, M3 : 중심 평면(웹 부재)
ST1, ST2 : 종래 기술

Claims (18)

  1. 접촉 부재(10, 10'; 30, 30'; 100)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탄성의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11, 31, 111)과,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웹 부재(web element)(17; 36, 37, 117)를 포함하며,
    상기 웹 부재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평면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에 부착되어,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1261, 1271) 간의 전기 접촉을 구축하며,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평면(M1, M2)에 대하여 비대칭 방식으로 형성되는,
    접촉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에 부착되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1261, 1271)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는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에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촉 핀(20, 120)을 가지며, 상기 접촉 핀의 핀 선단(21; 40, 44, 121)이 상기 중심 평면(M1, M2)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1261, 1271) 중의 다른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는,
    접촉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를 위한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웹(12; 32, 32', 112)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13, 14; 34, 34', 35, 35', 113, 114)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아암은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을 통해 각각의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가 자신의 자유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는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접촉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핀(20, 120)은,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이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하나의 변(leg)의 끝에 배치되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핀 선단(21; 40, 44, 121)은 직각을 이루는 다른 변 및 빗변(hypotenuse)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부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의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에서의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가 접촉 러그(contact lug)(23, 123)를 통해 클램핑 방식으로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4', 35, 35', 113, 114)을 둘러싸는, 접촉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4', 35, 35', 113, 114)에의 상기 웹 부재(17; 36, 37, 117)의 클램핑 타입의 부착에 추가하여,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4', 35, 35', 113, 114)과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 간에 인터록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제공되는, 접촉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인터록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31, 111) 또는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4', 35, 35', 113, 114)에 구멍부(16)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이 대응하는 양각부(embossment)를 통해 상기 구멍부와 결합하는, 접촉 부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풋(18, 19; 39; 43)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5)가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5)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 부재.
  9.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러그(15, 115)가 상기 스프링 아암(13, 14; 34, 35, 113, 114)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러그가 바람직하게는 일측부 상에만 상기 클램핑 풋(18, 19; 38, 39; 42, 43; 118, 119)을 지나 측방으로 돌출하는, 접촉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10, 100)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1열의 상기 웹 부재(17, 117)를 가지며,
    이에 관련된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111)은, 그에 대응하여,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캐리어 스트립(11, 111)의 중앙에서 이어지는 하나의 웹(12, 112)을 포함하며, 또한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고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13, 14, 113, 114)을 갖는, 접촉 부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30)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어 배열되는 평행한 2개의 열의 상기 웹 부재(36, 37)를 가지며,
    이에 관련된 상기 캐리어 스트립(31)은, 그에 대응하여,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웹(32, 32')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웹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34, 34'; 35, 35')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웹(32, 3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34', 35')이 중앙 접속부(33)를 통해 단부에서 쌍으로 서로 연결되는,
    접촉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압 접속부(33)는, 각각의 경우에서 플러그 접속 방향의 후방에 있는 웹 부재(36)가 플러그 접속 프로세스 동안 복원 가능하게 압박되고, 완전하게 플러그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간에 전기 접촉을 독립적으로 구축하도록, 설계되는, 접촉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평행한 2개의 열의 상기 웹 부재(36, 37)는, 그 열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심 평면(M3)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배치되는, 접촉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웹 부재(36, 37)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클램핑 풋(38, 39; 42, 43)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상기 캐리어 스트립(31)에 부착되며, 상기 클램핑 풋을 통해 상기 웹 부재가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중의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상기 웹 부재(36, 37)는 상기 클램핑 풋(38, 39; 42, 43)에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촉 핀(20)을 가지며, 상기 접촉 핀의 핀 선단(40, 44)이 상기 열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심 평면(M3)에 바로 인접하여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대향 표면(26, 27; 46, 47) 중의 다른 하나와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는,
    접촉 부재.
  15. 플러그(27, 47, 127) 및 소켓(26, 46, 126)을 포함하는 플러그 접속에서 청구항 2 및 청구항 10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접촉 부재의 사용으로서, 상기 접촉 부재(10, 10', 100)는, 핀 선단(21, 121)이 플러그 접속 방향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플러그(27, 127)의 외측 또는 상기 소켓(46, 126)의 내측 상의 리세스(28, 128)에 배치되는, 접촉 부재의 사용.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접촉 부재의 사용으로서, 상기 접촉 부재(30, 30', 100)는 플러그(27, 127)의 외측 또는 소켓(46, 126)의 내측 상의 리세스(28, 128)에 배치되는, 접촉 부재의 사용.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접촉 부재의 사용으로서, 상기 접촉 부재(10, 30, 100)는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5, 115)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러그(15, 115)에 의해 리세스(28, 128) 내의 측방 하위절단부(29, 129)에 안내되는, 접촉 부재의 사용.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접촉 부재의 사용으로서, 상기 접촉 부재(10, 30, 30', 100)는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러그(15, 115)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러그(15, 115)는 특히 일측부 상에 웹 부재(17; 36, 37; 117)를 지나 돌출하며, 상기 접촉 부재(10, 30, 100)는 상기 가이드 러그(15, 115)에 의해 리세스(28, 128) 내의 하나의 측방 하위절단부(129)에 안내되는, 접촉 부재의 사용.
KR1020097014383A 2007-01-31 2007-06-22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 KR101335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672007 2007-01-31
CH167/07 2007-01-31
US94365007P 2007-06-13 2007-06-13
US60/943,650 2007-06-13
PCT/CH2007/000313 WO2008092284A1 (de) 2007-01-31 2007-06-22 Kontaktelement sowie anwendung eines solchen kontaktelements in einer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514A true KR20090106514A (ko) 2009-10-09
KR101335398B1 KR101335398B1 (ko) 2013-12-02

Family

ID=3801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83A KR101335398B1 (ko) 2007-01-31 2007-06-22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57269B2 (ko)
EP (2) EP2115820B1 (ko)
JP (1) JP5073761B2 (ko)
KR (1) KR101335398B1 (ko)
CN (2) CN101584087B (ko)
BR (1) BRPI0720805A2 (ko)
CA (1) CA2673680C (ko)
MX (1) MX2009006832A (ko)
RU (1) RU2422957C2 (ko)
WO (1) WO2008092284A1 (ko)
ZA (1) ZA2009056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563A (ko) * 2016-05-25 2019-01-18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접촉 요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3957B (zh) * 2009-12-18 2013-11-27 张正周 一种导电用弹簧触指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JP5083847B1 (ja) * 2011-06-07 201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JP5717292B2 (ja) * 2011-08-30 2015-05-13 西日本電線株式会社 導体接続器
DE102011056852B4 (de) * 2011-12-22 2014-11-27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Hochstrom-Leistungseinheit
MX355111B (es) * 2013-03-18 2018-04-05 Stae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Elemento de contacto.
DE102013217068A1 (de) * 2013-08-27 2015-03-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onenstrahlunterstützte Herstellung von elektrischen Bauelementen
DE102014100421B3 (de) * 2014-01-15 2015-01-1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dessen Verwendung in einem Lastumschalter,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und Schalter, deren Verwendung in einem Laststufenschalter, Lastumschalter für Laststufenschalter sowie Regeltransformator
DE102014103638B4 (de) * 2014-03-17 2016-05-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CN104332742B (zh) * 2014-07-31 2017-01-1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源连接器的插针的导电簧
US9893450B2 (en) * 2015-09-25 2018-02-13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DE202015006807U1 (de) * 2015-09-29 2015-10-2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lamellenteil sowie Steckverbinder mit Kontaktlamellenteil
RU2628410C1 (ru) * 2016-04-11 2017-08-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енно-промышл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дножильного провода с контактом электросоединителя методом обжимки
USD830974S1 (en) * 2016-05-25 2018-10-16 Sta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Electrical contact element
US9991655B2 (en) * 2016-06-29 2018-06-0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tactor in power distribution assembly
CN106654608B (zh) * 2017-03-01 2022-06-28 郭培囵 一种弹性电气连接器
CN111032422B (zh) 2017-04-05 2023-10-20 申克运输系统有限责任公司 电池电动车辆的接触单元
US9912104B2 (en) * 2017-04-18 2018-03-06 Honeywell Federal Maunfacturing and Technologies, LLC Lightning arrestor connector with mesh dielectric structure
DE102017218326A1 (de) * 2017-10-13 2019-04-18 Robert Bosch Gmbh Hochstromverbindung
CN108923154A (zh) * 2018-08-16 2018-11-30 胡世勇 一种带弹性保持结构的端子接触弹片及其制造方法
CN109787010A (zh) * 2019-01-29 2019-05-21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母线槽用u形导体插接结构及过渡导电连接排的插接结构
DE102020202609A1 (de) * 2020-02-28 2021-09-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usförmige Kontaktfederhülse sowie elektrische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ungen mit solchen Kontaktfederhülsen
US11139600B1 (en) * 2020-06-23 2021-10-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High performance contact element
RU2754091C1 (ru) * 2020-12-02 2021-08-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контактного нажатия и площади контактирую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контактных элементов разъем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порционально проходящему по нему току
DE102021102864B3 (de) * 2021-02-08 2022-01-20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Federkontaktr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884C (ko) * 1965-11-06
DE2527681C3 (de) * 1975-06-21 1978-05-24 Multi-Contact Ag, Allschwil (Schweiz)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US4082411A (en) * 1976-05-06 1978-04-04 Amerace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tact assemblies thereof
CA1070792A (en) * 1976-07-26 1980-01-29 Earl A. Cooper Electrical connector and frequency shielding means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20557A (en) * 1977-08-22 1978-10-17 The Scott & Fetze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US4128293A (en) * 1977-11-02 1978-12-05 Akzona Incorporated Conductive strip
US4239318A (en) * 1979-07-23 1980-12-1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CH650108A5 (de) * 1980-03-13 1985-06-28 Sotax Ag Kontaktorgan.
DE3625864A1 (de) 1986-07-31 1988-02-04 Multi Contact Ag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US4720157A (en) * 1986-10-30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 means
DE3704873A1 (de) * 1987-02-16 1988-08-25 Dunkel Otto Gmbh Kontakteinrichtung
DE59206463D1 (de) * 1991-06-27 1996-07-11 Sotax Ag Kontaktorg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ontaktorgans
FR2684494B1 (fr) * 1991-11-29 1995-07-07 Souriau & Cie Bracelet de blindage pour connecteurs electriques, et connecteurs equipes d'un tel bracelet.
US5523527A (en) * 1994-12-22 1996-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liding electromagnetic control contact device
US5667413A (en) * 1995-11-13 1997-09-16 Alcoa Fujikura Ltd. Socket-type electrical connector
US5957465A (en) * 1997-06-17 1999-09-28 Sun Microsystems, Inc. Modular EMC PCI card gasket
US6062919A (en) * 1997-08-29 2000-05-1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high current-carrying capability and low insertion force
DE19913101A1 (de) * 1999-03-23 2000-10-19 Gruendl & Hoffmann Hochstromverbinder zur Kontaktierung elektrischer oder elektronischer Baugruppen
US6332618B1 (en) * 1999-09-20 2001-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uble sided gasket
CH694478A5 (de) * 2000-01-20 2005-01-31 Multi Holding Ag Kontaktelement.
FR2811147B1 (fr) * 2000-06-29 2002-12-06 Alstom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e lamelles de contact electrique et bande de lamelles de contact electrique
DE102004002921A1 (de) * 2003-02-21 2004-10-07 Multi-Holding Ag Bandförmiges Kontaktelemen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Anwendung eines solchen Kontaktelements
US7074096B2 (en) * 2003-10-30 2006-07-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with plural arch-shaped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563A (ko) * 2016-05-25 2019-01-18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접촉 요소
KR20190008951A (ko) * 2016-05-25 2019-01-25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접촉 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10947A (zh) 2012-07-25
EP2115820A1 (de) 2009-11-11
KR101335398B1 (ko) 2013-12-02
RU2009132184A (ru) 2011-03-10
MX2009006832A (es) 2009-08-13
US20100093230A1 (en) 2010-04-15
EP2966731B1 (de) 2017-05-10
WO2008092284A1 (de) 2008-08-07
ZA200905620B (en) 2010-10-27
CN101584087B (zh) 2012-05-23
EP2966731A1 (de) 2016-01-13
CA2673680A1 (en) 2008-08-07
JP2010517243A (ja) 2010-05-20
US8057269B2 (en) 2011-11-15
JP5073761B2 (ja) 2012-11-14
CN102610947B (zh) 2015-04-08
CA2673680C (en) 2015-06-23
RU2422957C2 (ru) 2011-06-27
EP2115820B1 (de) 2015-09-30
CN101584087A (zh) 2009-11-18
BRPI0720805A2 (pt)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398B1 (ko) 접촉 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 부재의 사용
US10236612B2 (en) Flat contact socket
JP528553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415443B1 (ko)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JP4652329B2 (ja) 犠牲アーク放電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US20090298315A1 (en)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00251965A (ja) 電気コネクタ
JP4077116B2 (ja) 電気端子
JP200512925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12787127B (zh) 电连接器
JP7118654B2 (ja) シールド載置体を備えた接続コネクタ装置と、壁貫通案内部とから成るアセンブリ
JP4663636B2 (ja) 可撓側壁と平坦な傾斜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US9276334B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JP7107708B2 (ja) コネクタ
KR20010040240A (ko) 플러그-인 콘택트
US20060281353A1 (en) Connector
JPH04218282A (ja) コネクタ
JP2006351288A (ja) コネクタ
JP200529410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KR20110026088A (ko) 웨지벌브용 소켓
JP2009104915A (ja) コネクタ
JP3523030B2 (ja) 端子構造
JP6915858B2 (ja) コネクタ
US645461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EP1929586B1 (en) Contact with latch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