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43B1 -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5443B1 KR101415443B1 KR1020127033127A KR20127033127A KR101415443B1 KR 101415443 B1 KR101415443 B1 KR 101415443B1 KR 1020127033127 A KR1020127033127 A KR 1020127033127A KR 20127033127 A KR20127033127 A KR 20127033127A KR 101415443 B1 KR101415443 B1 KR 101415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arms
- spring
- contact spring
- m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1)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정합 플러그(300)의 정합 접촉부(301)와 클램핑하여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공된 두 개의 접촉 아암(2, 2')으로서, 최초에 근원 영역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연장하고 그후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그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에서 서로 이격되게 굴곡되는 두 개의 접촉 아암(2, 2')과, 브리지(4)로서, 그를 통해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이 그 각각의 근원 영역에서 연결되는 브리지(4)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솔더 연결부(5)로서, 브리지(4)와 직접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솔더 연결부(5)를 포함한다. 접촉 스프링(1)은 접촉 아암(2, 2')의 단부 영역(21, 21')에서 시작하여 정합 플러그(300)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을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절연체 내에 배열 및 장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 기술(SMT)의 형태로 납땜하기 위한 목적의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에 관한 것이며, 접촉 스프링은 두 개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고,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정합 접촉부에 클램핑되어 그와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접촉 아암은 각각 근원 영역에서 시작하여 자유 기립 단부 영역에서 종결되며 실질적으로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을 지향하며 특히 서로를 향해 연장하고, 그 자유 기립 단부 영역 상에서 서로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또한, 접촉 스프링은 브리지를 포함하고, 이 브리지를 통해 두 개의 접촉 아암이 그 각각의 근원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고, 접촉 스프링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납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과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솔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을 지향하는"은 접촉 스프링이 접촉 아암의 자유 기립 단부 영역 상에서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를 보유하기 위해 그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접촉 스프링은 특히 인쇄 회로 기판의 양 측부에 SMT를 사용하여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끼우기 위해 필요하다.
예로서, 문헌 EP 1 170 827 A2는 라커(rocker) 형태이며, 따라서, 접촉 스프링이 복수의 지점에서 동일 접촉력으로 정합 접촉부와 접촉하는 것을 보증하는 접촉 스프링을 개시하고 있다.
문헌 JP07-169523 A는 소켓 접촉부를 위한 접촉 스프링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접촉 스프링은 두 개의 접촉 아암을 가지며, 이 접촉 아암들은 브리지에 의해 그 근원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삽입 되는 정합 접촉부의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다. 접촉 스프링은 소위 "프레스-인(press-in)" 프로세스를 사용한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을 위해 핀 형태의 솔더 연결부를 갖는다. 이 프로세스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납땜되는 핀 형태의 솔더 연결부를 제공한다.
문헌 US 7,621,784 B2는 SMT 용례를 위해 설계된 접촉 스프링을 개시하고 있다. SMT 프로세스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한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이 어떠한 문제도 없이 양 측부 상에 배치되며 따라서 증가된 결합 밀도를 초래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문헌은 정합 접촉부를 위한 삽입 방향이 접촉 아암이 개방 및 폐쇄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솔더 연결부 상의 기계적 부하를 피하는 것을 의도한다. 접촉 스프링은 접촉 아암 하에 두 측부 각각 상에 솔더 연결부를 가지며, 절연체 내로 삽입되고, 내부에 보유되며, SMT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납땜되는 것을 의도한다.
그러나,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직각으로 플러그 커넥터 소켓 내로 삽입되는 정합 커넥터를 제공하는 배열은 다수의 용례에 부적합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접촉 스프링을 제시하는 목적에 기초하며, 이 접촉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정합 접촉부가 삽입될 때에도 인쇄 회로 기판과 그 솔더 연결부 사이의 기계적 응력 및 힘을 피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하게 정합 접촉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 목적은 제1 솔더 연결부가 브리지 상에 직접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형이 제2항 내지 제9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SMT를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 개의 이런 접촉 스프링은 양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두 개의 대향 접촉 영역에 납땜될 수 있으며, 단일 정합 플러그의 두 개의 정합 접촉부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특히 정합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도 인쇄 회로 기판과 솔더 연결부 사이에 어떠한 일정한 기계적 응력도 작용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두 개의 아암의 힘이 브리지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솔더 연결부에서 서로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정 장점은 접촉 스프링과 정합 접촉부 사이 및 접촉 스프링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 양자 모두에서 특히 큰 전기적으로 유효한 접촉 영역에 기인한 높은 전기 전도성이다.
기계적으로, 두 개의 접촉 스프링이 양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의 두 개의 대향 접촉 영역 상에 유리하게 납땜되고, 동시에 단일 정합 플러그의 두 개의 정합 접촉부와 동시에 접촉할 때, 삽입 프로세스 동안 솔더 연결부 상의 축방향 모멘트가 대부분 회피되며, 그 이유는 정합 플러그의 축방향 정렬이 삽입 프로세스 동안 변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또한, 플러그 커넥터 소켓 상에 어떠한 레버 효과도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접촉 스프링은 추가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 제1 솔더 연결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브리지 상에 직접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솔더 연결부를 갖는다. 이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 스프링 사이에 생성되는 더 큰 전체적 접촉 영역을 초래하며, 따라서, 이 연결부의 전도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는 이 연결이 더욱 기계적으로 강인해지게 한다.
제1 솔더 연결부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 소켓의 부분인 절연체 상의 하부 안내 리세스 내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안내 영역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절연체 내에 접촉 스프링을 위치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지게 하기 때문이다.
각 접촉 아암이 접촉 아암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하는 안내 요소를 갖는 것이 또한 유리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절연체 내로의 접촉 스프링의 삽입이 더 용이해지게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접촉 스프링이 이들 접촉 안내 요소의 영역에서 가시부(barb)를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이 가시부에 의해, 접촉 스프링은 삽입 이후 증가된 마찰력으로 절연체 내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안내 슬롯이 절연체 내에 제공되고 절연체가 적절한 지점에서 탄성 변형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로, 가시부는 그 자체가 이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묻혀진다.
또한, 접촉 아암이 추가적 스프링 아암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스프링 아암은 이들이 접촉 아암의 단부 영역 상에서 시작하고, 각 경우에 하나의 자유 기립 단부를 향해 정합 플러그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접촉 아암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이 경우에, 스프링 아암의 자유 기립 단부는 또한 접촉 아암의 자유 기립 단부 영역에 추가로, 정합 접촉부와 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는 접촉 아암과 삽입 정합 접촉부 사이의 전체적 전기적 유효 접촉 영역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또한, 이와 연계된 전도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접촉 스프링은 스탬핑 및 벤딩 기술을 사용하여 타출(stamped out)되고 탄성 재료 상에 형성된다.
대응 방식으로, 추가적 스프링 아암은 접촉 아암의 재료로부터 타출된다.
이 경우에, 자유 영역이 타출 프로세스 동안 스프링 아암의 재료와 접촉 아암의 재료 사이에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아암의 형상과 접촉 아암의 형상은 따라서 서로 독립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삽입된 정합 접촉부가 탄성 변형을 유발할 때 가능한 작은 기계적 응력만을 초래한다.
특히, 스프링 아암의 자유 기립 단부가 접촉 아암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비용 효율적 방식을 사용하여 접촉 스프링의 숙련된 디자인에 의해 로커의 효과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합 접촉부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이때, 정합 접촉부와 접촉 아암의 단부 영역 사이의 압력 및 스프링 접촉부의 자유 기립 단부와 정합 접촉부 사이의 압력 양자 모두가 증가된다. 이는 서로 다른 폭의 정합 접촉부의 경우에도 모은 접촉 영역에서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증한다.
접촉 아암 및/또는 각각의 연계된 스프링 아암 양자 모두는 서로에 관하여 대칭이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전체 접촉 스프링이 관련 대칭 평면에 관하여 거울면 대칭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 이유는 두 개의 접촉 스프링 절반부 중 하나의 최적화된 형상이 이 방식으로 또한 다른 접촉 스프링 절반부를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입방체 절연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측부 상에 연결 개구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접촉 스프링의 솔더 연결부가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을 형성한다. 이는 솔더 연결부를 삽입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에 안내 홈을 가지고, 그리고, 솔더 연결부의 안내 영역을 보유 하기 위한 하부 안내 리세스를 구비한다. 또한, 절연체가 접촉 스프링의 안내 요소의 안내 및 고정을 위해 안내 슬롯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이 경우에, 이들 안내 슬롯은 절연체의 탄성 변형가능 재료 내에 통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그 이유는 가시부가 자체적으로 기 변형가능한 재료 내에 특히 깊게 매설되고, 접촉 스프링이 절연체 내에 대응적으로 강하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또한, 절연체는 정합 접촉부의 삽입을 위한 접촉 개구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절연체는 인쇄 회로 기판에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리세스 내에 이를 고정하기 위해 안내 핀을 구비하며, 그리고, 열 투과 및 관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의 도 1a 내지 도 1c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1a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1c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그 대칭 평면 상에서 단면화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의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2a 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추가적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2c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그 대칭 평면 상에서 단면화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의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3a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추가적 스프링 아암 및 제2 솔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그 대칭 평면 상에서 단면화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한다.
제3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된 모든 접촉 스프링을 보유하도록 의도된 절연체가 도면의 도 4a 내지 도 4f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4a는 접촉 스프링을 위한 삽입 개구의 모습을 갖는 절연체를 도시하고, 도 4b는 정합 접촉부를 위한 삽입 개구의 모습을 갖는 절연체를 도시하고, 도 4c는 삽입 프로세스 동안 접촉 스프링을 구비하는 절연체를 도시하며, 도 4d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제1 솔더 연결부 사이에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의 모습을 갖는, 삽입 접촉 스프링을 구비한 절연체를 도시하며, 도 4e는 연계된 대칭 평면을 통한 단면의 형태로, 삽입된 접촉 스프링을 구비하는 그 대칭 평면을 따라 절단 개방된 절연체를 도시한다.
제4 양호한 예시적 실시예가 도 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소켓과,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과, 하나의 정합 플러그를 포함하는 배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의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2a 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추가적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2c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그 대칭 평면 상에서 단면화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의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3a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추가적 스프링 아암 및 제2 솔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으로부터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경사 시점 방향으로부터 그 대칭 평면 상에서 단면화된 접촉 스프링의 3차원 예시도를 도시한다.
제3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된 모든 접촉 스프링을 보유하도록 의도된 절연체가 도면의 도 4a 내지 도 4f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4a는 접촉 스프링을 위한 삽입 개구의 모습을 갖는 절연체를 도시하고, 도 4b는 정합 접촉부를 위한 삽입 개구의 모습을 갖는 절연체를 도시하고, 도 4c는 삽입 프로세스 동안 접촉 스프링을 구비하는 절연체를 도시하며, 도 4d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제1 솔더 연결부 사이에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의 모습을 갖는, 삽입 접촉 스프링을 구비한 절연체를 도시하며, 도 4e는 연계된 대칭 평면을 통한 단면의 형태로, 삽입된 접촉 스프링을 구비하는 그 대칭 평면을 따라 절단 개방된 절연체를 도시한다.
제4 양호한 예시적 실시예가 도 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소켓과,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과, 하나의 정합 플러그를 포함하는 배열을 도시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
도 1a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접촉 스프링(1)을 도시한다. 도 1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에서 접촉 스프링(1)을 예시한다. 도 1c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그 대칭 평면으로 절단된 접촉 스프링(1)을 예시한다.
접촉 스프링(1)은 스탬핑 및 벤딩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접촉 스프링(1)은 서로 대칭적인 접촉 아암(2, 2')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연계된 안내 요소(3, 3')를 구비한다. 또한, 접촉 스프링은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을 그 근원(source) 영역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4)를 구비한다. 두 개의 미소하게 굴곡된 접촉 아암(2, 2')의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은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Z)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을 지향하며, 특히, 미소하게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은 단부 영역(21, 21')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를 보유하기 위해,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Z)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안내 요소(3, 3')의 영역에서, 접촉 스프링(1)은 가시부(31, 31')를 가지며, 이들은 증가된 마찰력으로 절연체(100) 내에 접촉 스프링을 보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쇄 회로 기판(200) 상에 납땜을 위한 제1 솔더 연결부(5)가 브리지(4)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제1 솔더 연결부(5)는 두 개의 접촉 아암(2, 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 제1 솔더 연결부(5)는 그 자유 기립 단부에 안내 영역(51)을 구비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
도 2a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접촉 스프링(1)을 도시한다. 도 2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에서 이 접촉 스프링을 예시한다. 도 2c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대칭 평면에서 절단되어 있는 접촉 스프링(1)을 예시한다.
접촉 스프링(1)은 스탬핑 및 벤딩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및 탄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접촉 스프링(1)은 두 개의 서로 대칭적인 접촉 아암(2, 2')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연계된 안내 요소(3, 3')를 갖는다. 또한, 접촉 스프링은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을 그 근원 영역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4)를 구비한다. 두 개의 미소하게 굴곡된 접촉 아암(2, 2')의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은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Z)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을 지향하며, 특히, 미소하게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은 단부 영역(21, 21')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를 보유하기 위해,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Z)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두 개의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이 3개 측부 상에서 접촉 아암으로부터 타출되며, 그래서, 이들은 자유 기립 상태로 존재한다. 접촉 아암(2, 2')의 단부 영역(21, 21')에서, 이들 스프링 아암(6, 6')은 그에 연결된다. 그곳으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아암(2, 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이 각 경우에 하나의 자유 기립 단부가 정합 플러그의 삽입 방향(Z)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안내 요소(3, 3')의 영역에서, 접촉 스프링(1)은 증가된 마찰력으로 절연체(100) 내에 접촉 스프링을 보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시부(31, 31')를 구비한다.
인쇄 회로 기판(200) 상에 납땜을 위한 제1 솔더 연결부(5)가 브리지(4)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제1 솔더 연결부(5)는 두 개의 접촉 아암(2, 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 제1 솔더 연결부(5)는 그 자유 기립 단부에 안내 영역(51)을 구비한다.
제3 예시적 실시예
도 3a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접촉 스프링(1)을 도시한다. 도 3b는 실질적 수직 시점 방향에서 이 접촉 스프링을 예시한다. 도 3c는 경사 시점 방향에서, 대칭 평면에서 절단되어 있는 접촉 스프링(1)을 예시한다.
접촉 스프링(1)은 스탬핑 및 벤딩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및 탄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접촉 스프링(1)은 두 개의 서로 대칭적인 접촉 아암(2, 2')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연계된 안내 요소(3, 3')를 갖는다. 또한, 접촉 스프링은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을 그 근원 영역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4)를 구비한다. 두 개의 미소하게 굴곡된 접촉 아암(2, 2')의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은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Z)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을 지향하며, 특히, 미소하게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은 단부 영역(21, 21')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를 보유하기 위해, 정합 접촉부의 삽입 방향(Z)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두 개의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이 3개 측부 상에서 접촉 아암으로부터 타출되며, 그래서, 이들은 자유 기립 상태로 존재한다. 접촉 아암(2, 2')의 단부 영역(21, 21')에서, 이들 스프링 아암(6, 6')은 그에 연결된다. 그곳으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아암(2, 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이 각 경우에 하나의 자유 기립 단부가 정합 플러그의 삽입 방향(Z)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안내 요소(3, 3')의 영역에서, 접촉 스프링(1)은 증가된 마찰력으로 절연체(100) 내에 접촉 스프링을 보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시부(31, 31')를 구비한다.
인쇄 회로 기판(200) 상에 납땜을 위한 제1 솔더 연결부(5)가 브리지(4)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제1 솔더 연결부(5)는 두 개의 접촉 아암(2, 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 제1 솔더 연결부(5)는 그 자유 기립 단부에 안내 영역(51)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접촉 스프링은 제2 솔더 연결부(7)를 구비하며, 이는 제1 솔더 연결부(5)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어, 대향하게 직접적으로 브리지(4)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이는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접촉 스프링(1) 사이에 더 큰 전체 접촉 영역이 생성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이 연결의 전도성을 증가시킨다.
접촉 스프링(1)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 소켓(8)에 속하는 관련 절연체(100)는 제1, 제2 및 제3 예시적 실시예의 공통적 특징이다.
도 4a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체(100)는 입방체형이며,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을 위한 접촉 개구(106)를 구비한다. 또한, 절연체는 인쇄 회로 기판(200) 내에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리세스 내에 고정되는 두 개의 안내 핀(107, 107')을 구비하고, SMT를 사용한 납땜 동안 관찰 및 열 투과를 위해 추가적 윈도우(108)를 구비한다.
도 4b의 예시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체(100)는 인쇄 회로 기판(200)에 장착되는 측부 상에 연결 개구(101)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개구(101)는 인쇄 회로 기판(200) 상의 제1 솔더 연결부(5)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이는 제1 솔더 연결부(5)의 용이한 삽입 및 안내를 위한 안내 홈(102)을 구비하고, 솔더 연결부(5)의 안내 영역(51)을 보유하기 위한 하부 안내 리세스(103)를 구비한다. 또한, 절연체(100)가 접촉 스프링의 안내 요소(3, 3')를 안내 및 고정하기 위해 안내 슬롯(104, 104')을 구비하는 것도 유리하다. 이 경우에, 이들 안내 슬롯(104, 104')은 절연체(100)의 탄성 변형가능 재료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는 접촉 스프링(1)이 장착 개구(105)를 통해 절연체(100) 내로 삽입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솔더 연결부(5)는 특히 안내 홈(102) 내로 삽입된다. 저촉 스프링(1)이 추가로 삽입됨에 따라, 솔더 연결부(5)의 안내 영역(51)은 절연체(100)의 안내 리세스(103) 내로 삽입된다. 동시에, 접촉 스프링(1) 상의 가시부(31, 31')가 이 영역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절연체(100)의 재료 내에 자체적으로 매설되는 상태로, 안내 요소(3, 3')는 절연체(100) 내의 연계된 안내 슬롯(104, 104') 내로 추진된다.
도 4e는 끼워진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접촉 개구(106)의 시점에서 그 대칭 평면에서 절단된 상태로 도시한다. 이 경우, 연결 개구(101)를 특히 잘 관찰할 수 있으며, 솔더 연결부(5)가 그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솔더 연결부(5)의 안내 영역(51)이 안내 리세스(103)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제4 예시적 실시예
도 5는 인쇄 회로 기판(200)과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소켓(8)을 구비한 배열을 도시한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 소켓(8)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에지의 두 측부 상에서 대향 배열되며, SMT를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200) 상의 대향 연결부에 그 각각의 접촉 스프링(1) 상의 솔더 연결부(5, 7)에 의해 납땜되어 있다. 절연체(100)의 접촉 개구(106, 106')는 이 경우에 인쇄 회로 기판(200)의 에지에 위치된다.
두 개의 정합 접촉부(301)를 구비하는 단일 정합 플러그(300)가 인쇄 회로 기판(200)의 에지 위의 이들 접촉 개구(106, 106') 내로 동시에 삽입된다. 이는 정합 플러그(300)의 축방향 편향을 자동으로 피하게 하며, 어떠한 대응 기계적 레버 모멘트(lever moment)도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소켓(8, 8')의 솔더 연결부(5, 7) 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1 접촉 스프링
2, 2' 접촉 아암
21, 21' 접촉 아암의 단부 영역
3, 3' 안내 요소
31, 31' 가시부
4 브리지
5 제1 솔더 연결부
51 안내 영역
6, 6' 추가적 스프링 아암
7 제2 솔더 연결부
8, 8' 플러그 커넥터 소켓
100 절연체
101 연결 개구
102 안내 홈
103 안내 리세스
104, 104' 안내 슬롯
105 장착 개구
106 접촉 개구
107 안내 핀
108 윈도우
200 인쇄 회로 기판
300 정합 플러그
301, 301' 정합 접촉부
2, 2' 접촉 아암
21, 21' 접촉 아암의 단부 영역
3, 3' 안내 요소
31, 31' 가시부
4 브리지
5 제1 솔더 연결부
51 안내 영역
6, 6' 추가적 스프링 아암
7 제2 솔더 연결부
8, 8' 플러그 커넥터 소켓
100 절연체
101 연결 개구
102 안내 홈
103 안내 리세스
104, 104' 안내 슬롯
105 장착 개구
106 접촉 개구
107 안내 핀
108 윈도우
200 인쇄 회로 기판
300 정합 플러그
301, 301' 정합 접촉부
Claims (9)
- 한편으로는 절연체(100) 내에 배열 및 장착되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200) 내에 표면 장착 기술(SMT)의 형태로 납땜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소켓(8)을 위한 접촉 스프링이며,
접촉 스프링(1)은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을 포함하고, 이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정합 접촉부(301) 내에 클램핑되어 그와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접촉 아암(2, 2')은 각각 근원 영역에서 시작하여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에서 종결되며,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우선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그 자유 기립 단부 영역(21, 21')에서 서로 멀어지게 굴곡되도록 구성되며,
접촉 스프링(1)은 브리지(4)를 더 포함하고, 이 브리지를 통해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이 그 각각의 근원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며,
접촉 스프링(1)은 인쇄 회로 기판(200) 상에 납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솔더 연결부(5)를 포함하고,
제1 솔더 연결부(5)는 브리지(4) 상에 직접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정합 접촉부(301)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고 제1 솔더 연결부(5)는 2개의 접촉 아암(2, 2')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1)은 제2 솔더 연결부(7)를 추가로 구비하고, 제2 솔더 연결부는 제1 솔더 연결부(5)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브리지(4) 상에 직접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이 접촉 아암(2, 2')의 단부 영역(21, 21')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 아암(6, 6')은 이들이 접촉 아암(2, 2')의 이들 단부 영역(21, 21') 상에서 시작하여 각 경우에 자유 기립 단부를 갖는 정합 플러그(300)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접촉 아암(2, 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배열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 스프링 아암(6, 6')은 접촉 아암(2, 2')으로부터 타출되고, 스프링 아암(6, 6')은 이들이 접촉 아암(2, 2')의 단부 영역(21, 21')에서 시작하여 각 경우에 자유 기립 단부를 향해 정합 플러그(300)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접촉 아암(2, 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배열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1)은 탄성 재료로부터 타출 및 성형되는 접촉 스프링.
- 제5항에 있어서, 자유 영역은 접촉 스프링(1)이 타출될 때 스프링 아암의 재료와 접촉 아암의 재료 사이에 남아있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1)은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접촉 아암(2, 2')은 서로에 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접촉 스프링.
-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1)은 관련 대칭 평면에 관하여 거울면 대칭 형태로 설계되는 접촉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0/072874 WO2011143807A1 (en) | 2010-05-18 | 2010-05-18 |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916A KR20130040916A (ko) | 2013-04-24 |
KR101415443B1 true KR101415443B1 (ko) | 2014-07-04 |
Family
ID=4499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3127A KR101415443B1 (ko) | 2010-05-18 | 2010-05-18 |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758068B2 (ko) |
EP (1) | EP2572405B1 (ko) |
JP (1) | JP5517180B2 (ko) |
KR (1) | KR101415443B1 (ko) |
CN (1) | CN102474032B (ko) |
WO (1) | WO201114380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7554A (ko) | 2018-07-13 | 2020-01-22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터미널 일체형 pcb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66005B2 (ja) * | 2010-11-03 | 2015-02-04 | ハルティング エレクトロニク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HARTING Electronics GmbH | プラグインコネクタソケット用の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 |
CN103022756B (zh) * | 2012-12-21 | 2016-01-13 | 丁青松 | 一种带有喇叭口的卡线器 |
JP2016046020A (ja) * | 2014-08-20 | 2016-04-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コンタクト部材 |
WO2016126751A1 (en) * | 2015-02-03 | 2016-08-11 | Fci Asia Pte. Ltd | Electrical contact |
DE102017121379B4 (de) * | 2017-09-14 | 2023-10-05 | Lisa Dräxlmaier GmbH | Klammerkontakt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von zumindest zwei kontaktelementen |
US10431912B2 (en) * | 2017-09-29 | 2019-10-01 | Intel Corporation | CPU socket contact for improving bandwidth throughput |
DE102018111733A1 (de) | 2018-05-16 | 2019-11-21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Leiterkartensteckverbindung |
CN110752466B (zh) * | 2018-07-23 | 2020-12-04 | 映兴电子股份有限公司 | 闸刀式连接器的端子结构 |
CN110752464B (zh) * | 2018-07-23 | 2020-12-04 | 映兴电子股份有限公司 | 连接器的导电端子结构 |
USD869400S1 (en) * | 2018-09-06 | 2019-12-10 | Dinkle Enterprise Co., Ltd. | Reinforced electrical contact |
CN113612050B (zh) * | 2020-05-05 | 2023-01-10 | 泰连服务有限公司 | 具有相等法向力的多个接触点的电触头 |
US11605914B2 (en) | 2020-05-05 | 2023-03-14 |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 Electrical contact with multiple contact points having equivalent normal force |
KR20210148750A (ko) * | 2020-06-01 | 2021-12-0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US11715898B2 (en) * | 2020-08-31 | 2023-08-01 | Molex, Llc | Highly reliable terminal and connector with a compact low profi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92076A (en) | 1975-06-10 | 1976-11-1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ircuit board socket |
US4045868A (en) | 1975-07-21 | 1977-09-06 | Elfab Corporation |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
KR20060126356A (ko) * | 2005-06-03 | 2006-12-07 |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 엘아이에프소켓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216401B (de) * | 1963-04-29 | 1966-05-12 | Ulrich Tuchel | Elektrischer Federkontakt |
JPH07169523A (ja) * | 1993-12-16 | 1995-07-04 | Nec Corp | コネクタ |
FR2730864B3 (fr) * | 1995-02-17 | 1997-04-30 | Amp France | Borne femelle electrique d'une seule piece |
JPH10189085A (ja) * | 1996-12-24 | 1998-07-21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プリント基板用雌端子の構造 |
CN2390295Y (zh) * | 1999-04-13 | 2000-08-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池连接器 |
CN1140013C (zh) * | 1999-11-11 | 2004-02-2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插座连接器 |
US6183269B1 (en) | 2000-01-27 | 2001-02-06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Termination adaptor for PCB |
GB0016790D0 (en) | 2000-07-07 | 2000-08-30 | Tyco Electronics Amp Es Sa | Electrical connector |
JP3614768B2 (ja) * | 2000-10-20 | 2005-01-2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バッテリコネクタ |
TW534506U (en) * | 2000-12-29 | 2003-05-21 | Hon Hai Prec Ind Co Ltd | Terminal for CPU socket connector |
CN1306662C (zh) * | 2003-08-27 | 2007-03-21 | 宣得股份有限公司 | 矩阵式连接器 |
CN2750524Y (zh) * | 2004-10-27 | 2006-01-04 |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 音频插座连接器 |
TWI312212B (en) * | 2005-08-01 | 2009-07-11 | Hon Hai Prec Ind Co Ltd | Low insertion force socket |
TWI341057B (en) * | 2005-09-12 | 2011-04-21 | Hon Hai Prec Ind Co Ltd | Conductive terminal |
JP4889118B2 (ja) | 2007-06-07 | 2012-03-07 | 株式会社ヨコオ | 電気コネクタ |
CN201112742Y (zh) * | 2007-09-13 | 2008-09-1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端子 |
CN201112767Y (zh) * | 2007-10-31 | 2008-09-10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端子 |
CN201174444Y (zh) * | 2008-02-18 | 2008-12-31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端子及具有该端子的电连接器 |
JP5119005B2 (ja) * | 2008-03-04 | 2013-01-16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ソケットコンタクト |
CN201252216Y (zh) * | 2008-07-21 | 2009-06-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
CN201369429Y (zh) * | 2009-03-18 | 2009-12-23 | 昆山前端电子有限公司 | 电池连接器 |
-
2010
- 2010-05-18 US US13/580,183 patent/US8758068B2/en active Active
- 2010-05-18 WO PCT/CN2010/072874 patent/WO201114380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5-18 JP JP2013510467A patent/JP55171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18 EP EP10851566.9A patent/EP2572405B1/en active Active
- 2010-05-18 KR KR1020127033127A patent/KR1014154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5-18 CN CN201080028718.1A patent/CN10247403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92076A (en) | 1975-06-10 | 1976-11-1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ircuit board socket |
US4045868A (en) | 1975-07-21 | 1977-09-06 | Elfab Corporation |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
KR20060126356A (ko) * | 2005-06-03 | 2006-12-07 |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 엘아이에프소켓 커넥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7554A (ko) | 2018-07-13 | 2020-01-22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터미널 일체형 pcb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517180B2 (ja) | 2014-06-11 |
KR20130040916A (ko) | 2013-04-24 |
US8758068B2 (en) | 2014-06-24 |
EP2572405B1 (en) | 2016-02-17 |
US20120315804A1 (en) | 2012-12-13 |
EP2572405A1 (en) | 2013-03-27 |
JP2013529362A (ja) | 2013-07-18 |
CN102474032B (zh) | 2016-06-08 |
WO2011143807A1 (en) | 2011-11-24 |
EP2572405A4 (en) | 2013-12-18 |
CN102474032A (zh) | 2012-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5443B1 (ko) | 플러그 커넥터 소켓을 위한 접촉 스프링 | |
KR101492759B1 (ko) | 플러그-인 커넥터 소켓용 접촉 소자 | |
CN212085282U (zh) |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 |
US7427203B2 (en) | Land grid array socket | |
KR101110148B1 (ko) | 압접형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 | |
CA3021611C (en) | Plug contact | |
CA3004953C (en) | Plug-in contact | |
US8821197B2 (en) | Fuse terminal | |
KR101485837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방법 | |
JP2009211900A (ja) | ソケットコンタクト | |
US803386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 |
US9276334B1 (en) | Poke-in electrical connector | |
JP6931223B2 (ja) |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 |
US20070026719A1 (en) | Low insertion force socket with lead-in mechanism background of the invention | |
JP2021180196A (ja)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5981438B2 (ja) | プラグ | |
CN104821451B (zh) | 电连接器 | |
US6450826B1 (en) | Contact of electrical connector | |
KR101053753B1 (ko) | 커넥터 | |
JP3812937B2 (ja) | コネクタ | |
JP6681655B2 (ja) | 同軸コネクタ | |
JP2022131161A (ja)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
US6350131B1 (en) | Electrical connector effectively protecting and precisely positioning terminals therein | |
JP2000100501A (ja)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
JP7072857B2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