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501A -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501A
KR20090105501A KR1020080030992A KR20080030992A KR20090105501A KR 20090105501 A KR20090105501 A KR 20090105501A KR 1020080030992 A KR1020080030992 A KR 1020080030992A KR 20080030992 A KR20080030992 A KR 20080030992A KR 20090105501 A KR20090105501 A KR 2009010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buffer
coil spring
health shoes
conic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559B1 (ko
Inventor
조동선
Original Assignee
조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선 filed Critical 조동선
Priority to KR102008003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55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력 완충기능으로 관절보호 건강 신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상부를 향하여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밑창과; 밑창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복수의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완충부와; 완충부의 하부 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 측 홈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하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패드와; 밑창의 전,후측 홈에 각각 결합되어 홈의 하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바닥창);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완충부와 밑창 사이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복수 개재되어 이들을 통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원추형 스프링의 구조특성상 인접한 권선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스프링의 고유기능인 탄성 및 복원력을 유지하여 장시간 신어도 안정된 완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의 향상 및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신골 등 기존 신발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의 사용이 가능하여 이를 통한 생산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갑피와 밑창의 접착 부위 면적이 넓어져서 완벽한 접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와 비교할 때 전체 신발 높이를 높게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되고 바닥창의 교체가 용이하여 마모 시 갑피와 밑창 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통한 제품의 구매력 향상은 물론 A/S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완충이 신발의 하부에서 이루어져 완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과 신발 내부간의 틈새 발생이 방지되어 안정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a shock absorbing health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이나 구보 기타 달리기 등을 행할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이고, 장시간 쾌적한 상태에서 착용이 가능하며, 특히 완충이 밑창하부에서 이루어는 고탄력 완충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신고 걷는데 쓰이는 것으로서, 일상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크게 구두와 운동화 기타 전문 스포츠화 및 실내화 등으로 다양하게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와서는 좀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건강에 도움을 줄수 있는 신발들이 속속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신발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은 현대인들이 과학의 발달과 산업화로 교통수단이 다양하고 편리해짐에 따라 운동 부족 및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비만 등의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갖고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 증진의 목적으로 걷기 또는 조깅이나 구보 기타 등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행하고 있다.
이때 운동을 행하거나 보행 등을 행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신발 자체가 완충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함으로써 발목 및 무릎관절의 연골과 척추에 무리를 주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출원번호 10-2006-55200호와, 20-2006-15945호, 10-2004-41282, 10-2004-47371호등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완충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된 완충 신발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 신발들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들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복수의 원통형 스프링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상, 하판 등이 개재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신발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외관을 해치고 역시 운동이나 보행 등을 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원통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작동거리의 제한 때문에 큰 완충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장시간 착용 시에는 스프링의 인접 권선이 접촉하여 파손되거나 탄성을 잃어 전혀 완충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셋째, 구조적으로 많은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이 떨어져 원가 상승을 초래하며 갑피와 밑창의 접착부위가 좁게 제한되므로 착용 시 밑창이 분리되는 문 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넷째, 스프링이 우레탄(P.U)에 내장되어 있는 방식의 경우에는 우레탄에 의해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이 저해되고 P.U와 동시 성형할 때 스프링의 열처리가 풀리면서 탄성을 잃게 되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오랫동안 착용 시 P.U소재가 물과 접촉하면서 가수분해현상이 발생되어 성형물이 부스러지게 되면 스프링이 이완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다섯째, 상술한 완충 신발 등의 경우에는 완충을 발휘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스프링이나 상, 하판 등의 결합이 모두 상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신발제조 및 수선 공법에는 적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되며 또한, 장시간 착용으로 밑창이 마모되어 수선을 할 경우 완충부재를 포함한 밑창 전체를 갑피에서 분리한 후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여섯째, 완충의 구조가 밑창 상부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할 때 자신의 발 크기에 따른 안정된 착용감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신발을 정확한 치수로 착용할 경우에도 갑피의 겉감, 내피를 구성하는 가죽 등의 소재도 늘어나는 데다 완충 시 전체적으로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앞, 뒤 부분에서 발과 신발 내부 간에 틈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장시간 착용할수록 헐렁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을 위한 구조를 밑창 하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밑창과 완충부 등의 구조를 완전 변경하지 않고도 손쉽게 신발 전체에 완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정확한 치수의 신발을 신게 되어 뛰어난 안정감과 착용감을 가질 수 있고 밑창의 마모 시 손쉽게 수선이 가능한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은, 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상부를 향하여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 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 측 홈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 하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패드와; 상기 밑창의 전, 후 측 홈에 각각 결합되어 홈의 하면을 밀폐시키며, 밑창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밑창의 발 앞꿈치는 부위는 하부를 향 할수록 줄어들면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앞꿈치 측 홈 부위에 결합되는 커버 상에 마련되어 원추형 코일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는 결합돌기는 강성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원추형 코일 스프링은 직경이 좁은 부위가 커버상에 위치되어 역 원추형으로 결합되며, 직경이 넓은 부위측 밑창의 결합돌기들은 강성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완충부와 밑창 사이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복수 개재되어 이들을 통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원추형 코일스프링의 구조특성상 자동거리가 코일의 선경에 이르더라도 인접 권선과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장시간 안정된 완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의 향상 및 단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 신발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의 사용이 가능하여 이를 통한 생산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와 비교할 때 전체 신발 높이를 높게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이를 통한 제품의 구매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완충이 하부에서 이루어져 완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과 신발 내부 간의 틈새 발생이 방지되어 안정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신발은, 크게 밑창(100)과 완충부(200) 그리고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과 완충패드(400) 및 커버(cover;500)로 대별된다.
먼저, 밑창(100)의 구조를 보면,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와 대응되는 하면에는 상부를 향하여 소정깊이로 홈부(110,120)가 형성된다.
이때 앞꿈치 부분에 홈부(11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신발이 앞꿈치 부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이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며 전체적으로 높게 형성할 경우에는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밑창(100)의 앞꿈치 부분은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홈부(110)를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얻게 되며 또한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밑창(100)의 상면에 마련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완충부(200)는 밑창(10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성형되어 밑창(10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완충부(200)의 상면에는 평탄한 상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지만 스프링의 접지면에 의한 마모에 대비하고 지압에 따른 혈액순환의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압돌기(210)를 복수 돌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완충부(200)의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20)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부가적으로 완충 기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혹 발생될 수 있는 압축된 상태에서 한계점 이상으로 압축되려 하는 것을 결합돌기(220)가 후술하는 커버(500)와 접촉되면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결합돌기(220)들은 강성 보강을 위하여 리브(60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결합이 역 원추형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은 앞꿈치 측 밑창(100)의 홈부(110)와 앞꿈치 측 완충부(200)의 결합돌기(220) 사이에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결합돌기(220)에 원추형 스프링의 소구경단부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결합돌기(220)는 커버(500)에 마련할 수도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거 나 또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에 의해 스프링의 권선부위는 완충과정에서 인접권선이 상호 접촉되지 않게 되어 종래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전체 높이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완충패드(400)는, 밑창(100)의 뒤꿈치 부분의 홈(120)과 완충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판(410,420)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430)로 이루어진다.
커버(500)는 밑창(100)의 홈(110,120)에 끼워 삽입되어 홈(110,120)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과 완충패드(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커버(500)를 밑창(100)의 홈(110,12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좀더 긴밀한 밀폐와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간이 요철 또는 계단 형태로 제작 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커버(500) 상면은 일정시간이 경과되며 마모가 발생되어 신발의 다른 부위와 비교할 때 먼저 파손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하단부가 결합되 는 커버(500)의 상면에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rib;600)를 일체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이 리브(600)들은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역 원추형태로 결합될 경우에는 커버(500) 상면에 결합돌기를 마련하고 이들을 리브(600)를 통해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커버(500)는 밑창(100)과 동일 평면을 이룰 경우에는 이상적인 완충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밑창(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여야 함은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홈부(110,120)를 상호 연통시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순환통로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순환통로는 기존에 공지된 기술로써 자세한 설명은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미 설명부호(700)은 역시 필요에 따라 중간층(200) 상면에 안착되는 깔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밑창(100)의 전, 후 부분 즉,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에 홈부(110,120)가 형성되고 상면에 위치된 완충부(200)의 앞꿈치 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220)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개재되고, 뒤꿈치 부분의 홈 부(120)에는 완충패드(400)가 개재됨으로써 보행이나 운동 시 이들에 의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자체 특성에 의해 장시간 착용 시에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을 배열 설치함에 있어서도 밑창(100)의 높이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신발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게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커버(500)에 리브(600)가 마련되어 있어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유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들이 결합된 부위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커버(500)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홈(110,120) 내부의 스프링 즉,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과 완충패드(400)의 교환이 가능하여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 등의 의 파손 시 이를 교환함으로써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신발의 구조를 보면, 종래 일반적인 신발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취한 상태에서 밑창(100)의 하면에 홈부(110,120)를 형성하고 이에 완충 구조를 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의 신발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에서도 적절하게 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의 예시 단면도.
도 2는 도 1은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밑창 110,120 : 홈부
200 : 완충부 210 : 가압돌기
220 : 결합돌기 300 : 원추형 코일 스프링
400 : 완충패드 500 : 커버(바닥창)
600 : (강성)리브

Claims (4)

  1. 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상부를 향하여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 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 측 홈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 하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패드와;
    상기 밑창의 전, 후 측 홈에 각각 결합되어 홈의 하면을 밀폐시키며, 밑창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발 앞꿈치는 부위는 하부를 향할수록 줄어들면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 측 홈 부위에 결합되는 커버 상에 마련되어 원추형 코일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는 결합돌기는 강성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코일 스프링은 직경이 좁은 부위가 커버상에 위치되어 역 원추형으로 결합되며, 직경이 넓은 부위측 밑창의 결합돌기들은 강성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20080030992A 2008-04-03 2008-04-03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99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992A KR100996559B1 (ko) 2008-04-03 2008-04-03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992A KR100996559B1 (ko) 2008-04-03 2008-04-03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501A true KR20090105501A (ko) 2009-10-07
KR100996559B1 KR100996559B1 (ko) 2010-11-24

Family

ID=4153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992A KR100996559B1 (ko) 2008-04-03 2008-04-03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1770A (zh) * 2018-07-29 2018-12-28 徐林娟 简易型高楼救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347B2 (en) * 2003-01-02 2008-10-28 Levert Francis E Shock resistant shoe
KR100464618B1 (ko)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698959B1 (ko) *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1770A (zh) * 2018-07-29 2018-12-28 徐林娟 简易型高楼救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559B1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100758023B1 (ko) 완충 작용을 갖는 인솔 및 그의 제조방법
US9259052B2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JP2005253578A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KR100518307B1 (ko) 신발
KR10099655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377079B1 (ko) 충격 흡수 및 통기성을 갖는 신발
KR200457896Y1 (ko) 신발 깔창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20090009068U (ko) 에어쿠션 내장형 충격흡수용 신발중창
KR200169388Y1 (ko) 여성용하이힐의충격흡수구조
KR101335031B1 (ko) 솔 교체용 친환경 레져신발
KR100300342B1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CN220571653U (zh) 一种具有缓震防滑的鞋底及运动鞋
KR101534655B1 (ko) 피로감소효과와 파형쿠션 솔 구조를 가지는 트레일용 신발
CN219962069U (zh) 一种高弹性运动鞋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KR200404224Y1 (ko) 신발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KR101320013B1 (ko) 착탈식 기능성 부재가 구비된 신발 깔창
KR20130089421A (ko)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