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021A -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021A
KR20090103021A KR1020080028346A KR20080028346A KR20090103021A KR 20090103021 A KR20090103021 A KR 20090103021A KR 1020080028346 A KR1020080028346 A KR 1020080028346A KR 20080028346 A KR20080028346 A KR 20080028346A KR 20090103021 A KR20090103021 A KR 2009010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nstruction
building
lifting mean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795B1 (ko
Inventor
이송복
박성화
Original Assignee
이송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복 filed Critical 이송복
Priority to KR102008002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79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지의 하부에 인양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케이지의 독립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타워크레인의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건설공사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작업비중을 줄이고 각각의 케이지의 작업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로 인한 공기단축을 유도할 수 있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하여 구조물에 형성된 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이 상/하이동되게 조립된 상태로 작업대가 형성되는 건축용 케이지의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연결/고정되는 앵글, 상기 앵글의 하부에 조립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에 밀착되어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며 하부의 시공자재를 인양하는 인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SALVARE UNIT WITH CONSTRUCTING CAR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지의 하부에 인양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케이지의 독립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타워크레인의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건설공사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작업비중을 줄이고 각각의 케이지의 작업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로 인한 공기단축을 유도할 수 있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되어 지는데, 상기 거푸집은 그 크기와 무게에 따라 건물의 외벽 전체를 덮을 수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하나의 층마다 설치하여 외벽을 시공한 후, 상기 거푸집을 인양시켜 그 윗 층의 외벽을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인양방법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사용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인양할 수 있는 거푸집 인상 장치가 개발하여 외벽을 시공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건물의 외벽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도시미관을 살리고 채광 등을 유용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건물의 뼈대만 시공하고 그 외의 부분은 유리 등과 같은 다른 마감자재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때, 건물의 뼈대를 시공하고 이어서 마감자재를 별도로 시공함에 있어서 마감자재 또한 타워크레인으로 각각 이송하여 시공함으로써 타워크레인의 사용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마감자재가 유리등의 파손이 쉬운 자재일 경우에는 작업자와 크레인 운전자의 많은 주의가 필요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타워크레인의 작업을 줄이기 위하여 건물의 뼈대만을 최상층까지 시공한 후 상층에 별도의 곤도라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마감작업을 수행하고도 있으나 작업을 이중으로 반복시행함으로써 공기가 길어지고 불필요한 작업들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지 인양장치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먼저 하부층(1~3층)은 종래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한 후 4층 이상의 높이에서부터 케이지 인양장치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상기 케이지(10) 인양장치는 먼저, 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의 일측에 가이드레일(2)을 삽입/조립하여 가이드레일(2)에 형성된 걸림돌기(2a)가 브라켓(1)의 내부에 걸려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이 가이드레일(2)의 타측에는 작업대(3)가 형성되고 상부에 전/후진하는 거푸집 패널(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 인양장치를 상부로 인양하면서 콘크리트타설과 양생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건물을 시공한다.
미설명 부호 5는 케이지를 상부로 인양하기 위한 실린더이다.
이때, 상부로 인양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외벽에 마감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인양장비(타워크레인)를 이용하여 마감부재를 인양시공할 높이까지 이송한 후 케이지을 이용하여 마감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케이지는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된 케이지을 다시 하강시켜 마감작업을 위하여 다시 인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공사기간의 지연 및 작업이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케이지 인양장치의 하부에 독립적인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인양수단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타워크레인 또는 곤도라외의 다른 인양수단을 형성하여 구조물시공에서의 자재를 인양하는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작업비율을 줄이고 이로 인하여 건물 시공작업을 막힘없이 계속하여 진행 할 수 있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기존 사용하고 있는 건축용 케이지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인양수단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에 따라 쉽게 변형설치가 가능한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본 발명의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타워크레인의 비중을 줄이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시행하며 독립적으로 필요자재 인양 및 작업을 수행하는 새로운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하여 구조물에 형성된 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이 상/하이동되게 조립된 상태로 작업대가 형성되는 건축용 케이지의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연결되게 고정되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하부에 조립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에 밀착되어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며 하부의 시공자재를 인양하는 인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에 있다.
상기에서 인양수단은 상기 안내레일의 내측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바퀴가 형성되며 하부에 암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몸체와, 상기 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에 구동모터와 내측에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바퀴가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암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는 와인더모터 및 이 와인더모터에서 인출되어 암의 양끝부분에 조립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미끄럼 밀착되며 와인더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버켓으로 구성됨에 특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은 건물 구조체의 외벽 주위에 제 1항 기재의 제 1케이지를 설치하고 인양하며 통상의 방법으로 각층을 시공하는 기본시공단계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된 인양수단을 이용/인양하여 하부의 시공된 구조체의 외벽에 윈치를 설치하는 1차 외벽시공 준비단계와, 통상의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시공층에 마감자재를 이송하는 2차 외벽시공 준비단계와, 윈치를 설치한 구조체의 외벽에 별도의 제 2케이지를 설치하는 3차 외벽시공 준비단계와, 제 1케이지의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시공층에 이송된 마감자재를 마감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4차 외벽시공 준비단계와, 제2케이지를 인양하면서 제1케이지의 인양수단에 의하여 시공위치에 안착된 마감자재를 이용 마감작업을 수행하는 외벽시공단계와, 각각의 케이지의 작업을 최상층까지 반복시행하여 구조체를 완성하는 완성단계와,
상기 완성단계 이후에는 각각의 케이지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하강시키는 케이지 낙하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인양장치의 하부에 독립적인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인양수단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타워크레인 또는 곤도라외의 다른 인양수단을 형성하여 건물 시공에서의 자재를 인양하는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작업비중을 줄이고 이로 인하여 건물 시공작업을 막힘없이 계속하여 진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케이지에 구비된 인양수단은 쉽게 기존 사용되고 있는 케이지에 장착이 가능하고 작업환경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인양장치를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환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은 독립된 인양수단을 갖는 케이지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필요자재의 이송이 자유롭고 적재적소에 위치시켜 시공의 연속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공기의 단축 및 타워크레인의 작업비중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지인양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중 인양수단 부분의 사시도
도 3a 내지3f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건축용 케이지 20 ... 인양수단
21 ... 구동부 22 ... 몸체
30 ... 앵글 40 ... 안내레일
50 ... 와인더모터 60 ... 와이어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중 인양수단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케이지은 걸림부재(11)가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의 외측에 작업대(3) 및 거푸집패널(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의 하부에는 인양수단(20)이 별도의 구동부(21)에 의하여 좌/우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양측의 가이드레일(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앵글(30)이 형성되며 이 앵글(30)의 하부에 인양수단(20)이 원활하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40)이 형성된다.
상기 인양수단(20)은 상기 안내레일(40)의 내측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바퀴(22a)가 형성되며 하부에 암(23)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몸체(22)와, 상기 암(23)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몸체(22)의 외측에 구동모터(21a)와 내측에 구동모터(21a)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바퀴(21b)가 형성된 구동부(21)와, 상기 암(23)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는 와인더모터(50) 및 이 와인더모터(50)에서 인출되어 암(23)의 양끝부분에 조립되는 와이어(60) 및 상기 와이어(60)에 미끄럼 밀착되며 와인더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버켓(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23)은 인양되는 자재가 흔들려도 그 흔들림이 몸체(22)에 전달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23)과 몸체(22)는 보조부재(22b)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도 3a 내지3e 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적인 인양장치가 구비된 케이지이 특징임으로 본 발명에서는 케이지의 구체적인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자재하며 이하에서는 케이지에 장착된 인양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위주로 설명한다.
기본시공단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으로 저층(1~3층)을 시공하여 브라켓(101)을 설치할 외벽을 확보하고 이렇게 조립된 브라켓(101)에 제1 케이지(102)를 조립하여 상부로 인양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때, 케이지(102)의 가이드레일(102a) 하부는 앵글(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어서 안내레일(40)이 조립된다.
상기의 안내레일(40)에는 인양수단(20)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1차 외벽시공 준비단계
도 3b에서와 같이 외벽에 케이지(102)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지(102)를 인양하면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반복 시행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구조물 시공하며 동시에 하부에 마감시공에 필요한 윈치(103)를 시공된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한다.
이때, 지면에 위치한 윈치(103)는 케이지(102)의 인양수단(20)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양하며 작업자는 구조물의 내부에서 작업하여 외벽에 윈치(103)를 견고하게 조립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연속 진행하여 구조물을 시공한다.
2차 외벽시공 준비단계
도 3c 내지 도 3d에서와 같이 일정높이까지 구조물을 시공 및 윈치(103)를 설치한 상태에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요소요소에 마감자재를 인양하여 위치시키고 제1케이지(102)에 형성된 인양수단(20)을 이용하여 마감자재(104)를 마감작업을 수행하도록 이송한다.
외벽시공단계
도 3e 내지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치(103)가 설치된 구조물의 외벽에 제2 케이지(105)를 설치하고 제1 케이지(102)의 인양수단(20)에 의하여 인양된 마감부재(104)를 제2 케이지(105)에서 작업하며 상기의 과정을 연속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구조물의 외벽에 마감작업을 수행한다.
외벽시공완성단계
각각의 케이지의 작업을 최상층까지 반복시행하여 구조물을 완성한다.
케이지 낙하단계
상기 완성단계 이후에는 각각의 케이지(102, 105)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하강시켜 구조물 시공을 마무리한다.

Claims (4)

  1.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부로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하여 구조물에 형성된 브라켓(1)에 가이드레일(2)이 상/하이동되게 조립된 상태로 작업대(3)가 형성되는 건축용 케이지(10)의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의 하부에 연결되게 고정되는 앵글(30);
    상기 앵글(30)의 하부에 조립되는 안내레일(40);
    상기 안내레일(40)에 밀착되어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며 하부의 시공자재를 인양하는 인양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20)은 상기 안내레일(40)의 내측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바퀴(22a)가 형성되며 하부에 암(23)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몸체(22);
    상기 암(23)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몸체(22)의 외측에 구동모터(21a)와 내측에 구동모터(21a)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바퀴(21b)가 형성된 구동부(21);
    상기 암(23)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는 와인더모터(50) 및 이 와인더모터(50)에서 인출되어 암(23)의 양끝부분에 조립되는 와이어(60);
    상기 와이어(60)에 미끄럼 밀착되며 와인더모터(50)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버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3. 건물 구조체의 외벽 주위에 제 1항 기재의 제 1케이지(102)를 설치하고 인양하며 통상의 방법으로 각층을 시공하는 기본시공단계;
    상기 케이지(102)의 하부에 형성된 인양수단(20)을 이용/인양하여 하부의 시공된 구조체의 외벽에 윈치(103)를 설치하는 1차 외벽시공 준비단계;
    통상의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시공층에 마감자재(104)를 요소요소 이송하고 마감작업을 준비하는 2차 외벽시공 준비단계;
    구조물의 하부에 제2케이지(105)를 설치하고 제1 케이지(102)의 인양수단(20)에 의하여 마감작업 준비된 마감부재(104)를 제2 케이지(105)에서 마감작업을 수행하는 외벽시공단계;
    각각의 케이지(102, 105)의 작업을 최상층까지 반복시행하여 구조체를 완성하는 완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단계 이후에는 각각의 케이지(102, 105)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하강시키는 케이지 낙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080028346A 2008-03-27 2008-03-27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KR10103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346A KR101030795B1 (ko) 2008-03-27 2008-03-27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346A KR101030795B1 (ko) 2008-03-27 2008-03-27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021A true KR20090103021A (ko) 2009-10-01
KR101030795B1 KR101030795B1 (ko) 2011-04-27

Family

ID=4153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346A KR101030795B1 (ko) 2008-03-27 2008-03-27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185A (zh) * 2018-07-30 2018-12-07 青岛理工大学 一种预制内墙板安装导向装置
CN111395735A (zh) * 2020-04-21 2020-07-10 孙乐洋 一种用于建筑工程可调节方位的拉升吊篮
CN114892949A (zh) * 2022-06-28 2022-08-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的智能化吊篮装置的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396B2 (ja) * 1989-08-11 1995-07-19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吊上げ用具
KR100583785B1 (ko) * 2004-04-23 2006-06-0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KR200366291Y1 (ko) 2004-08-04 2004-11-10 주식회사 용주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185A (zh) * 2018-07-30 2018-12-07 青岛理工大学 一种预制内墙板安装导向装置
CN108952185B (zh) * 2018-07-30 2020-06-26 青岛理工大学 一种预制内墙板安装导向装置
CN111395735A (zh) * 2020-04-21 2020-07-10 孙乐洋 一种用于建筑工程可调节方位的拉升吊篮
CN114892949A (zh) * 2022-06-28 2022-08-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的智能化吊篮装置的安装结构
CN114892949B (zh) * 2022-06-28 2023-11-0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的智能化吊篮装置的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795B1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9357B2 (ja) ボイラケージ部フロアの構築方法
JPH0821100A (ja)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CN106437118A (zh) 一种移动式升降机
JP503937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102505845A (zh) 高层建筑快速施工的方法
CN111302187B (zh) 提升组件、跃层电梯和跃层方法
WO2014167186A1 (en) Lifting device
CN108797992A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爬架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KR100904186B1 (ko)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20090103021A (ko)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JP2015055062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昇降式作業足場装置
JP2014047479A (ja)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KR200430674Y1 (ko) 고층건물의 고소작업용 곤도라
JP6709115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部材の施工方法
CN206289794U (zh) 用于在正在建造的建筑物上安装外墙面板的系统
JPH0483060A (ja) 建築物構造
JP6646220B2 (ja) 吊り天井用の吊り鉄骨フレームの施工方法
KR20120076442A (ko) 외벽시공용 전동케이지 어셈블리
CN208981745U (zh) 多功能爬架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CN206110628U (zh) 一种移动式升降机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CN216196496U (zh) 用于钢结构墙面板安装的移动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