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715A - 미스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스트 발생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715A
KR20090102715A KR1020090025884A KR20090025884A KR20090102715A KR 20090102715 A KR20090102715 A KR 20090102715A KR 1020090025884 A KR1020090025884 A KR 1020090025884A KR 20090025884 A KR20090025884 A KR 20090025884A KR 20090102715 A KR20090102715 A KR 2009010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nozzle
cover
us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이치 와타나베
토시히로 타케우치
케이코 후나쓰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미스트 발생 장치는, 온 미스트 발생 기구 및 가동식 보호구를 포함한다. 상기 온 미스트 발생 기구는, 온 미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 미스트를 분사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온 미스트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구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온 미스트 노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구는, 상기 온 미스트가 상기 온 미스트 노즐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온 미스트 노즐의 상부를 적어도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미스트 발생 장치{MIST GENERAT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미스트에 의한 자극을 줄 수 있는 미스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미용기로써 미스트 발생 장치로 널리 알려져 왔다. 상기 미스트 발생 장치는, 물 등의 액체의 미스트를 사용자를 향하여 분무한다. 특개 평10-015049호 공보는, 액체를 가열시켜서 발생한 온 스팀과, 온 스팀보다도 저온인 냉 미스트를 분사구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향해 분사 가능하도록 구성된 미안기(미스트 발생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실공 평6-009654호 공보는 히터에 의해 발생시킨 온 미스트와 초음파 진동체에 의해 발생시킨 냉 미스트를 혼합시킨 혼합 미스트를 선단의 가는 분사 노즐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뿌리는 미스트 발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개 평10-015049호 공보와 실공 평6-009654호 공보의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맞추어서 노즐의 각도를 조정하여 미스트의 분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노즐의 가동 범위는 비교적 좁으며, 노즐 조정에 의해 미스트의 흐름을 사용자에게서 크게 벗어나게 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특개 평10-015049호 공보와 실공 평6-009654호 공보는 노즐에서 분사된 직후의 비교적 고온의 온 미스트나 비교적 고온의 노즐에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온 미스트를 분사하는 노즐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미스트 발생 장치의 발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인 미스트 발생 장치는, 온 미스트 발생 기구 및 가동식 보호구를 구비한다. 상기 온 미스트 발생 기구는, 온 미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 미스트를 분사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온 미스트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구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온 미스트 노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구는, 상기 온 미스트 노즐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온 미스트 노즐의 상부를 적어도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미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미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체 커버를 덮은 상태의 미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2c의 미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c의 미용기의 3-3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체 커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캡과 노즐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a에서 나타내는 7-7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내는 8-8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2a에서 나타내는 9-9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냉 미스트 노즐(냉 미스트 분사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배수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수 기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각각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도 10의 배수 기구의 12-1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2b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13a-13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13b-13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방향 용기 탈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 15b, 및 15c는, 방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6a, 16b, 및 16c는, 각각 방향 볼의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미용기의 블록도이다.
도 18a, 및 18b는, 각각 사용 상태의 미용기의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1 다른 예의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 및 20b는, 각각 제2, 제3 다른 예의 캡 단면도이다.
도 21a 및 21b는, 각각 제4, 제5 다른 예의 캡 단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예의 방향 용기(커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3a 및 23b는, 다른 예의 방향 볼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용기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있어서, '전', '후', '상', '하', '좌', '우'는 사용자 P(도 18에 도시됨)가 미용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기(미스트 발생 장치라고도 한다)(10)의 본체(11)는, 타원 형태의 원통형 하우징(11a)과, 하우징(11a)의 경사진 상단 개구를 덮는 덮개(12)를 포함한다. 본체 커버(13)는 힌지부(32)를 개입시켜서 본체(11)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체 커버(13)는, 타원형의 본체 커버 덮개(13b)를 가진다. 본체 커버 덮개(13b)는, 본체 커버(13)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오목한 형상의 내면을 갖는다.
덮개(12)의 실질적인 중앙에는, 온 미스트(H)를 분사하는 온 분사구(18a)를 갖는 온 미스트 노즐(18)과 냉 미스트(C)를 분사하는 냉 미스트 분사구(19a)를 갖는 냉 미스트 노즐(19)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는, 미스트 분사구(18a, 19a)에서 분사된 미스트(H, C)가 표시되어 있다.
미스트 노즐(18, 19)은, 분사구(18a, 19a)를 제외하고, 노즐 커버(분사 방향 조정 수단)(20)로 덮어져 있다. 노즐 커버(20)는 예를 들면, 돔 형상이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 커버(20)는, 본체(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노즐 커버(2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킴으로써,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미스트(H, C)는, 대응하는 미스트 분사구(18a, 19a)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도 18의 직선 H2)을 따른 방향으로 분사된다. 일례로는, 각 미스트 노즐(18, 19)은, 미스트(H, C)가 분사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약간 안쪽 방향으로 기울어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스트 노즐(18, 19)의 기울기는, 미용기(10)의 정면에 사용자(P)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미스트(H, C)가 사용자(P)의 중심(정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도 18b 참조). 도시한 예에서는, 온 미스트 노즐(18)은 좌측, 냉 미스트 노즐(19)은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커버(20)는, 미스트(H, C)의 분사방향(H2)을 상한 방향과 하한 방향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커버(20)를 상한 위치로 배치했을 때, 미스트(H, C)를 사용자(P)의 상방으로 분사할 수 있다(상한 방향). 노즐 커버(20)를 하한 위치로 배치했을 때, 미스트(H, C)를 상기 상한 방향보다도 하방향의 하한 방향, 예를 들면, 미용기(10)의 설치면에 대하여 거의 수평으로 분사할 수가 있다. 노즐 커버(20)의 하한 위치는, 미스트(H, C)가 덮개(12)에 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노즐 커버(20)에는 미스트 가이드(20b)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미스트 가이드(20b)는, 미스트 노즐(18, 19)의 주위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벽일 수 있다. 미스트 가이드(20b)는, 미스트 노즐(18, 19)의 상방측에 있는 비교적 짧은 벽 부분과 미스트 노즐(18, 19)의 하방에 있는 비교적 짧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미스트 가이드(20b)는, 미스트(H, C)가 미스트 분사구(18a, 19a)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가이드한다.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보호구 또는 캡(21)이 노즐 커버(20)에 설치되어 있다.
미용기(10)의 방향 발생부(15)는, 방향제를 휘발시켜서 방향을 발생시킨다.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방향 발생부(15)는, 방향제를 저장한 방향 볼(저장 수단, 유저 용기(有底容器)라고도 한다)(121)을 수용하는 방향 용기(HY)를 포함한다. 방향 용기(HY)는, 취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덮개(12)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당겨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방향 용기(HY)를 방향 발생부(15)에서 꺼낼 수 있다. 방향 용기(HY)는,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H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 발생부(15)는 미스트 노즐(18, 19)과는 별체이며, 본체(11)에서 미스트 노즐(18, 19)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방향 발생부(15)에서 발생된 방향은, 방향 방출구(방향 방출 수단)(15a)를 개재시켜서 위로 향하여 방출된다. 방향 방출구(15a)는, 미스트 분사구(18a, 19a)의 근방에서, 미스트 분사구(18a, 19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 방출구(15a)는, 미스트 분사구(18a, 19a)보다 사용자(P)에 가깝다. 방향 방출구(15a)의 가로 방향 위치는, 온 미스트 분사구(18a)와 냉 미스트 분사구(19a)의 사이(바람직하게는 중앙)일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각 미스트 분사구(18a, 19a)의 중심과 방향 방출구(15a)의 중심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한다. 방향 방출구(15a)는 미스트 분사구(18a, 19a)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듯이, 하방 위치로 조정된 노즐 커버(20)의 미스트 가이드(20b)는, 방향 발생부(15)(방향 방출구(15a) 일부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노즐 커버(20)가 하방 위치로 조정된 상태에서는, 방향 용기(HY)를 방향 발생부(15)에서 상방으로 꺼내려고 해도, 방향 용기(HY)는 미스트 가이드(20b)와의 간섭(접촉)에 의해 꺼낼 수가 없다. 방향 용기(HY)를 꺼내는 것은, 노즐 커버(20)를 상방 위치로 조정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노즐 커버(20)를 하방 위치로 조정한 경우라도, 미스트 가이드(20b)는 방향 방출구(15a)를 완전하게는 아니지만,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 때문에 노즐 커버(20)가 하방 위치로 조정되어 있어도, 방향은 방향 방출구(15a)에서 미스트(H, C)를 향하여 방출 가능하다.
방향 발생부(15)의 좌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전원 버튼(16)은, 예를 들면 기계식 스위치이다. 방향 용기(HY)를 꺼낼 때에 조작되는 방향 용기 취출 버튼(취출 조작 부재)(111)은 방향 발생부(15)의 우방에 배치되어 있다.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은,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을 아래로 눌러서 조작하려고 하는 사용자(P)의 손이, 미스트(H, C)에 닿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커버(20)가 하방 위치로 조정되어 있을 때, 미스트 가이드(20b)는 미스트(H, C)의 흐름이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에 닿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노즐 커버(20)의 회전 운동 범위의 한계는, 미스트(H, C)의 흐름이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에 닿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다.
방향 발생부(15)의 전방에는, 사용자(P)가 미용기(1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와, 미용기(10)의 운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시부(L)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L)는, 복수의 발광체(예를 들면, LED 등)의 점등 버튼(점등, 점멸, 소등 등)을 이용해도 좋다. 조작부(14)는, 운전 제어 버튼(14b),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 및 방향 제어 버튼(14c)을 포함한다. 운전 제어 버튼(14b)은, 미용기(10)의 운전 개시 및 운전 정지를 시킬 때에 조작된다.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에 조작된다.
미용기(10)에는, 복수의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미용기(10)는, 동작 모드에 응하여, 온 미스트(H)와 냉 미스트(C)를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전환시켜서 사용자(P)에게 분사한다. 동작 모드는, 클리어 피부 코스, 탄력 코스, 피지 케어 코스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P)의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적 측면에서 있어서 최적화되어 있다. 각 동작 모드에는, 온 미스트(H) 및 냉 미스트(C)의 각 분사 시간 및 전환 회수가 설정되어 있다.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의 아래로 누르는 조작 시마다, 미용기(10)의 동작 모드는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미용기(10)에는, 냉 미스트(C)만을 분사시키는 동작 모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방향 제어 버튼(14c)은, 방향 발생부(15)에서 방출된 방향의 세기(방향제의 휘발량, 농도)를 조정할 때에 사용된다. 방향 제어 버튼(14c)을 아래로 누르는 조작시마다, 방향의 세기가, '약' -> '중' -> '강' -> 'OFF(방향 없음)'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각 버튼(14a 내지 14c)은, 아래로 누르는 조작에 응하여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탱크(22)는, 노즐 커버(20)의 후방에서, 본체(11)에 수용된다. 탱크(22)는, 소정량(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20ml)의 액체(본 실시형태에서는, 물)를 저장한다. 탱크(22) 내의 액체는, 후술하는 온 미스트 발생 기구(온 미스트 발생 수단)(40) 및 냉 미스트 발생 기구(냉 미스트 발생 수단)(60)에 공급되어서, 미스트(H, C)를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에서 나타내듯이, 본체(11)는, 덮개(12)에 개구를 갖는 탱크 홀더(22a)를 갖는다. 탱크 홀더(22a)는, 탱크(22)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본체 커버(13)가 열림 상태일 때, 탱크(22)를 푸쉬(push) 조작을 하면 미도시의 가압 수단에 의해, 탱크(22)는 탱크 홀더(22a)에서 상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 팝-업에 의하여 탱크(22)를 꺼내는 것은 용이하다. 탱크(22)를 다시 푸쉬(push) 조작하면, 탱크(22)는 훅(22d)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탱크(22)의 장착은 용이하다. 탱크 홀더(22a)의 하부에는, 탱크 홀더(22a) 내에 과잉 공급된 물을 오버 플로우 시키는 오버 플로우 홀(22c)이 설치되어 있다. 오버 프로우 홀(22c)은, 배수 파이프(HP)를 개재시켜서, 본체(11)의 후면에 설치된 배수구(24)(도 10)에 연결되어 있다. 오버 플로우 홀(22c), 배수구(24) 및 배수 파이프(HP)는 오버 플로우 시킨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경로(HK)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아치형의 손잡이(23)는 본체(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23)는 본체(11)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도 2d의 화살표(Y1) 참조). 사용자(P)가 미용기(10)를 운반하고 싶을 때는, 손잡이(23)를 운반 위치(도 2d의 2점 긴 쇄선)에 배치하고, 사용자(P)가 미용기(10)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손잡이(23)를 아래 위치(도 2d의 실선)에 배치할 수가 있다. 도 2b에서 나타내듯이, 본체 커버(13)가 열린 상태일 때, 본체 커버(13)와 닿기 때문에, 손잡이(23)는 아래 위치에서 운반 위치까지 회전 운동을 할 수 없다. 사용자(P)는, 손잡이(23)를 잡고 미용기(10)를 운반하려면 본체 커버(13)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안 된다.
도 2b 및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본체(11)의 후면 하부의 배수구(24)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배수구 커버(25)에 의해 덮여 진다. 배수구 커버(25)는, 하단축(미도시) 주위에서 회전 운동 한다. 배수구(24)에서 배출되는 물은 배수구 커버(25)의 벽부(25a)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된다. 전원 코드(26)는, 본체(1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전원 코드(26)는 하우징(11a)과, 하우징(11a)에 나사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미도시의 푸쉬(push) 홀더와의 협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원 코드(26)에 부착된 코드 밴드(27)는, 전원 코드(26)를 묶을 때에 도움이 된다(도 2c). 코드 밴드(27)의 구멍을 걸기 위한 볼록부(28)가 손잡이(23)에 형성되어 있다. 미용기(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 코드(26)를 묶은 상태에서 볼록부(28)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경사 검지 스위치(29)는 본체(11)의 저면에서 돌출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경사 검지 스위치(29)는 미용기(10)가 바닥에서 뜬 상태 및 경사진 상태를 검지한다. 책상 면 등의 평면상에 미용기(1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경사 검지 스위치(29)는 미용기(10) 자체의 무게에 의해 본체(11) 내에 수용되어, OFF가 된다(경사 비검지). 미용기(10)가 기울거나 들려지면, 경사 검지 스위치(29)는 ON이 된다(경사 검지).
도 1 내지 도 4에 근거하여 본체 커버(13)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체 커버(13)가 열린 상태일 때, 덮개(12)는 노출되기 때문에, 미용기(10)는 조작 가능하다. 본체 커버(13)는, 미용기(10)를 사용할 때,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본체 커버(13)가 닫힌 상태일 때, 덮개(12) 전체, 즉 미스트 노즐(18, 19), 노즐 커버(20), 캡(21), 조작부(14), 방향 발생부(15) 및 탱크(22)는 본체 커버(13) 내측의 공간에 수납된다. 본체 커버(13)를 닫음으로써, 미용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미스트 노즐(18, 19)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은 미용기(10)를 위생적으로 보관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미스트 노즐(18, 19)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이 변화하는 것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기(10)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된다. 즉, 각 미스트(H, C)가 미리 정해진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듯이, 힌지부(32)에는, 자석(32a)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11)에 있어서, 자석(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 식의 본체 커버 스위치(32b)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커버 스위치(32b)와 자석(32a)은, 본체 커버(13)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한다.
본체 커버(13)의 내면에는, 단상의 슬라이드 리브(13c)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리브(13c)는, 본체 커버(13)를 닫을 때 캡(21)과 저 슬라이드 저항으로 접촉하여, 캡(21)을 하방으로 회전 운동 시킨다.
본체 커버(13)의 전면에는, 본체 커버(13)를 개폐 동작 시키는 개폐 버튼(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서 나타내듯이, 개폐 버튼(33)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피벗축(33a)을 갖는다. 양 피벗축(33a)은 본체 커버(13)의 오목부(13a)와 연결된다. 개폐 버튼(33)은 피벗축(33a)의 주위에서 회전 운동 한다. 버튼 커버(34)는, 본체 커버(13)에 대하여 나사(N1)로 고정되며, 개폐 버튼(33)을 덮는다. 개폐 버튼(33)과 본체 커버(13) 사이에 스프링(B1)이 끼워져 있다. 스프링(B1)은, 밀폐 버튼(33)의 보스부(33b)로 위치가 결정된다. 스프링(B1)은, 개폐 버튼(33)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듯이, 개폐 버튼(33)의 선단에 훅부(33c)가 설치되어 있다. 훅부(33c)는, 본체(11)의 덮개(12)에 설치된 오목부(12a)와 계합하여, 본체 커버(13)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P)에 의해 개폐 버튼(33)이 강제적으로 조작되면, 개폐 버튼(33)이 피벗축(33a)을 회전 운동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고, 훅부(33a)와 오목부(12a)의 계합이 해제되어, 본체 커버(13)를 열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근거하여, 가동식 캡(21)을 설명하고자 한다.
캡(21)은, 사용자(P)의 손이 각 미스트 노즐(18, 19)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캡(21)은, 노즐 힌지부(35)를 개재시켜서 노즐 커버(20)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캡(21)은, 모자챙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캡(21)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 운동 축부(21b)를 가진다. 노즐 힌지(36)는, 캡(21)의 한 쌍의 회전 운동 축부(21b)와 대응하여 부착된 한 쌍의 축 홀(36a)을 가진다. 노즐 힌지(36)의 한 쌍의 축 홀(36a)을 관통한 스프링 샤프트(37)는, 캡(21) 한 쪽의 회전 운동 축부(21b)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회전 운동 축부(21b)와, 스프링 샤프트(37)에 형성된 미도시의 오목부와의 함합을 포함한다. 노즐 힌지(36)의 다른 쪽의 축 홀(36a)을 관통시킨 스프링 핀(39)은, 다른 쪽의 회전 운동 축부(21b)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캡(21)은 분사 자세(도 2b의 실선 및 도 6a에 도시함)와 보호 자세(도 2b의 2점 긴 쇄선 및 도 6b에 도시함) 사이에서, 스프링 샤프트(37) 및 스프링 핀(39) 둘레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해진다. 분사 자세는, 사용자(P)에게 미스트를 분사하는 것에 적합한 자세이며, 분사 자세 시, 캡(21)은 미스트(H, C)의 분사를 차단하지 않는다. 보호 자세는,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을 하방으로 변경되도록 구성된 위치로, 보호 자세 시, 캡(21)은 미스트 노즐(18, 19)의 상방을 덮는다. 분사 자세를 미스트가 미스트 노즐에서 사용자를 향해 분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제1 위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호 자세를, 적어도 미스트 노즐의 상부를 덮는 제2 위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5에서 나타내듯이, 토션 코일 스프링(B2)의 일단부가 스프링 샤프트(37)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B2)의 다른 단부는 노즐 힌지(36)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샤프트(37)나 토션 코일 스프링(B2) 등의 부분을 보호하는 샤프트 커버(38)가 나사(N2)에 의해 노즐 힌지(36)에 고정되어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B2)의 가압력은, 스프링 샤프트(37)를 개재시켜서 캡(21)에 전달되고, 캡(21)을 분사 자세로 가압한다.
노즐 힌지(36)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있어서, 축 홀(36a)의 하방에 볼록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부(36b)의 주위에 있어서, 일부의 연결부분을 제외하고, 홈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6c)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노즐 힌지(36)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고 있다. 각 볼록부(b)에 소정의 부하가 작용하면, 홈부(36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연결 부분의 휨에 의해, 각 볼록부(36b)는 노즐 힌지(36)의 내측으로 깊숙이 들어가듯이 탄성 이동한다. 각 볼록부(36b)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게 되면, 노즐 힌지(36) 재료의 복원력에 의해, 각 볼록부(36b)는 노즐 힌지(36)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홈부(36c)는 볼록부(36b)에 가효성을 부여한다.
노즐 힌지부(35)는, 노즐 커버(20)의 상부로, 각 미스트 노즐(18, 19)의 후방에서 마주보듯이 형성된 오목부(20a)에 볼록부(36b)가 각각 계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볼록부(36b)의 가효성 때문에, 노즐 힌지부(35)는 노즐 커버(20)에 대해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노즐 힌지부(35)를 개재시켜서, 캡(21)은 노즐 커버(2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노즐 힌지부(35)는 노즐 커버(20)에 매입되듯이 배치되기 때문에 미용기(10)가 소형화된다.
캡(21)은, 본체 커버(13)를 닫는 동작에 연동되어, 슬라이드 리브(13c)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회전 운동하고, 보호 자세로 이행되어 본체 커버(13)에 수납된다. 본체 커버(13)가 닫힌 상태에서는, 캡(21)이 본체 커버(13)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용기(10)가 소형화된다.
다음으로, 미용기(10)의 본체(11)에 내장된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에서 나타내듯이,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는, 탱크(22)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온 미스트 발생부)(41), 온 미스트를 미세화(이온화)시키는 방전부(42), 미세화된 온 미스트를 분사하는 온 미스트 노즐(18)을 주로 포함한다.
탱크 홀더(22a)의 하단에 설치된 연결부(22b)는, 분기부(G)와 연결된다. 분기부(G)는, 탱크(22)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도 9에 도시됨) 및 배수구(24)(도 10에 도시됨)로 분기시킨다. 분기부(G)는, 내열성을 구비한 탄성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로 형성된 급수 파이프(P1)를 개재하여 보일러(4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22b), 분기부(G), 급수 파이프(P1)는, 탱크 홀더(22a)에서 보일러(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경로(K1)를 형성한다.
보일러(41)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온 미스트를 발생하는 온 미스트 히터(41a)를 구비한 비등실(41c)을 포함한다. 비등실(41c)에는, 급수 경로(K1)에서 전방으로 분기된 급수 경로(K2)에서 물이 공급된다. 비등실(41c)은, 물과 온 미스트 히터(41a)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면서, 비등실(41c)의 내용적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비등실(41c)의 수위는, 소정의 수위(W)로 유지된다. 이 수위(W)는 온 미스트 히터(41a)에 의해 물이 과잉 가열되어 돌비된 경우, 가열된 물이 온 미스트 노즐(18)에서 분사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위(W)는, 비등실(41c)의 온 미스트 히터(41a)와 물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 즉 공가열이 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오버 플로우 홀(22c)의 높이(위치)는, 수위(W)를 초과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정해져 있다. 비등실(41c)의 수위는 탱크 홀더(22a)의 수위와 동일하다. 온 미스트 히터(41a)의 방열면(물과 접촉하지 않는 면)에는, 히터 서미스터(41b)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보일러(41)의 상방에는 온 미스트 히터(41a)에 의해 발생된 온 미스트를 온 미스트 노즐(18)로 유도하는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가 연결되어 있다.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에는, 탄성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콘서티나 형상으로 형성된 콘서티나 부재(45)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콘서티나 부재(45)의 상단에는, 노즐 패킹(43)을 설치한 노즐 홀더(44)가 연결되어 있다. 노즐 패킹(43)에 온 미스트 노즐(18)이 고정되어 있다.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 및 콘서티나 부재(45)는, 온 미스트를 온 미스트 노즐(18)로 유도하는 온 미스트 경로(M1)를 형성한다.
온 미스트 경로(M1)는 방전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서 나타내듯이, 방전부(42)는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전극부(47)와, 한 쌍의 전극부(47)의 중간에 배치된 중간 전극부(47a)를 포함한다. 각 전극부(47)는, 방전침(48)을 포함한다. 도 8의 하방이 보일러(41)측이며, 도 8의 상방이 온 미스트 노즐(18)측이다. 보일러(41)에서 발생된 온 미스트는, Y2 방향으로 흐른다.
각 방전침(48)은, 전극 홀더(49)는 매입되듯이 고정되어 있다. 전극 홀더(49)의 기단은,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각 방전침(48)은, 예를 들면 AgPd재로 형성된 직경 0.5mm의 침이다. 각 방전침(48)은, 고압 회로 기판(46)에 연결되어 있다. 양 방전침(48)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방전침(48)의 선단 간에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온 미스트는 미세화된다.
흡수체(50)는 각 방전침(49)의 전주에 감겨있다. 흡수체(50)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의 섬유 재료이다. 방전침(48)의 선단은 흡수체(50)에서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5mm ~ 1.0mm)만 노출되어 있다. 흡수체(50)를 구성하는 섬유 재료의 일부는 보풀이 생겨서 깃털 상태가 되며, 미세한 섬유체(50a)로써 흡수체(50)의 노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온 발생 전계가 집중하는 방전침(48)의 선단에 온 미스트(H)가 부착되어 결로되면, 방전침(48) 간에 발생하는 전계 분포가 현저하게 흐트러지고, 방전이 발생되기 어려워지며, 이온 수가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50)는 방전침(48)에 부착된 물을 흡수함으로써, 방전침(48)의 각 선단에 있어서의 전계 분포를 안정화시키고, 전계 분포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
각 전극부(47)는, 흡수체(50) 및 전극 홀더(49)의 측면을 덮는 절연체(51)를 포함한다. 절연체(51)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 불소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중간 전극부(47a)는, 중간 전극 지지부재(54)에 의하여 양 방전침(48)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지지된 중간 전극(52)을 포함한다. 중간 전극 지지부재(54)는, 온 미스트 유도 부재(42a)에 형성된 볼록부(53)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중간 전극(52)은 예를 들면 직경 0.7mm의 Pt봉이다. 중간 전극 지지부재(54)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재(SUS304 등)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전극 지지부재(54)의 선단부에 흡수체(54a)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극(52)의 위치는, 양 방전침(48) 간의 고압 방전이 중간 전극 지지부재(54)를 경유하는 일 없이, 중간 전극(52)만을 경유하여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양 방전침(48) 사이에 중간 전극(52)을 설치함으로써 고압 방전에 필요한 절연 파괴 전압을 저하시키고, 중간 전극(52)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보다, 낮은 전압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를 설명하고자 한다.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는, 미용기(10)의 본체(11)에 내장되어 있다. 도 9에서 나타내듯이,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는, 탱크(22)에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는 가열 처리부(61), 가열 처리부(61)에서 살균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62), 및 냉각시킨 물에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냉 미스트를 생성시켜서 분사하는 냉 미스트 노즐(19)을 주로 포함한다.
분기부(G)는 탄성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급수 파이프(P2)를 개재하여 가열 처리기(61)로 연결된다. 분기부(G)와 급수 파이프(P2)는 급수 경로(K3)를 형성한다.
가열 처리부(61)는, 탱크 홀더(22a)와 같은 수위(W)까지 물을 저장하는 저장실(61a)을 포함한다. 가열 처리부(61)는, 저장실(61a)에 저장된 물과 접촉하도록 나사 고정 장치로 고정된 냉 미스트 히터(64)와, 냉 미스트 히터(64)에 의해 가열된 물이 대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댐퍼부(65)를 포함한다. 댐퍼부(65)는 하방에 설치된 유입구(65a)와 상방에 설치된 유출부(65b) 사이에서 곡류하는 유로를 포함한다. 곡류에 의해 댐퍼부(65)의 유로의 길이가 길어진다.
댐퍼부(65)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댐퍼부(65)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는, 서로 번갈아가며 수평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여러 장의 구획판(65c)이 설치된다. 여러 장의 구획판(65c)에 의해 댐퍼부(65)의 내부에, 여러 층으로 구획지어진 유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부(65)의 내부에 3장의 구획판(65c)을 설치하여 댐퍼부(65)의 내부를 4층으로 구획 짓고 있다.
인접하는 구획판(65c)의 거리(높이)는, 댐퍼부(65)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유량을 저하시키는 경로 저항의 증가를 최소로 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유입구(65a)의 면적은, 물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화 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댐퍼부(65)의 내용적은, 댐퍼부(65)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냉 미스트 히터(64)로 가열하여 소정의 살균 온도(예를 들면, 80℃)에 도달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시간이 걸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살균 온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살균 온도는 소정의 시간(가열 시간)에 걸쳐서 살균 대상 세균을 살균했을 때, 살균 대상 세균을 거의 사멸시키는데 있어서 충분한 온도로 설정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 살균 대상 세균이 레지오넬라균의 경우, 80도에서 30초 이상 계속 살균시킴으로써 사멸률을 거의 100%로 올릴 수가 있다. 살균 온도를 높게 하면 살균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한편, 가열 처리부(61)의 내부에서 비등되어 냉 미스트 노즐(19)로부터 증기가 분사된다든지, 탱크 홀더(22a)로 물이 역류된다든지 할 가능성이 생긴다. 이 때문에, 살균 온도는 가열 처리부(61) 내부에서 물이 비등되지 않는 온도이면서 게다가 가능한 한 높은 온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균 온도를 80℃, 가열 시간을 30초로 설정하고 있다.
저장실(61a)에는, 댐퍼부(65)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 서미스터(66)가 배치되어 있다. 수온 서미스터(66)는, 댐퍼부(65) 내부에서 가장 수온이 낮아지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부(65)의 유입구(65a)에 배치되어 있다. 저장실(61a)의 수위(W)보다 상방에는, 미도시의 관상 부재에 의하여 탱크 홀더(22a)와 연통된 압력 개방구(62b)가 형성되어 있다.
댐퍼부(65)의 유출부(65b)에는 기액 교환부(67)가 연결되어 있다. 기액 교환부(67)는, 유출부(65b)에서 유출된 물에 포함된 기포를 포획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액 교환부(67)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거의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기액 교환실(67a)이 구비되어져 있다. 기액 교환실(67a)의 일 단측(상류측)의 하방에는, 댐퍼부(65)의 유입부(65b)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다른 단측(하류측)의 하방에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부(67c)가 형성되어 있다. 기액 교환실(67a)에서는 댐퍼부(65)에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기포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포획되고, 기포와 물이 교환된다. 기포는, 냉 미스트 히터(64)에 의해 물을 가열할 때나, 각 부품의 연결 부분을 물이 통과할 때에 발생 또는 혼입된다. 기포 교환실(67a)의 내용적은, 미용기(10)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의 체적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방열 부재(68)은 내부에 형성된 급수 경로(K4)를 갖는다. 기액 교환부(67)의 유출부(67c)는, 급수 경로(K4)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방열 부재(6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급수 경로(K4) 내에 공급되는 물의 열을 방열하여 물을 냉각시킨다. 물은 급수 경로(K4)의 하부(상류측)에서 급수 경로(K4)의 상부(하류측)로 흐른다. 급수 경로(K4)의 상부(하류측)은, 급수관(69)에 연결되어 있다. 이 급수관(69)은 노즐 홀더(44a)에 훅으로 고정된 냉 미스트 노즐(19)에 연결되어 있다.
냉 미스트 노즐(19)은 송풍관(78)을 개재시켜서 송풍 펌프(77)와 연결되어 있다. 송풍 펌프(77)에서 송출되는 공기가 송풍관(78)에서 분사될 때, 벤츄리 효과에 의한 댐퍼부(65)의 내부에 가열된 물이 흡인되고, 냉 미스트(C)가 형성된다. 냉 미스트 노즐(19)은 이와 같이 형성된 냉 미스트(C)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냉 미스트 노즐(19)의 중앙에 공기 분사부(19c)가 배치되어져 있다. 공기 분사부(19c)는 송풍 펌프(77)에서 송풍관(78)을 개재하여 반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전방을 향해 분사한다. 물 공급부(19b)는, 공기 분사부(19c)의 선단에서 측방으로 이간 배치되어 있다. 물 공급부(19b)는, 충분히 작아진 직경을 가진 선단 개구를 가진다. 공기 분사부(19c)에서 분사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에 의해 물 공급부(19b)에서 물이 흡입되어서 배출되고, 이 물이 냉 미스트(C)를 형성한다. 냉 미스트(C)는 공기 분사부(19c)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 미스트 분사구(19a)는, 공기 분사부(19c)와, 물 공급부(19b)를 포함한다.
본체(11)(하우징(11a))의 저면에 냉각용 공기 흡입구(72)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 부재(68)의 하방에는, 냉각용 팬(70)이 설치된 냉각용 모터(71)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팬(70)은, 냉각용 모터(71)에 의하여 회전 운동으로 구동되며, 냉각용 공기 흡입구(72)에서, 방진 필터(73)를 개재하여 공기를 흡입한다. 방진 필터(73)는, 때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는 메시의 조도 또는 개구율로 설정되어 있다. 냉각용 핀(70), 냉각용 모터(71), 및 방열 부재(69)(냉각부(62))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구획 부재(74)에 수용되어 있다. 냉각용 팬(70)은, 하류측에 배치된 방열부재(68)를 향하여 공기의 흐름을 송출하고, 방열부재(68)를 냉각시킨다. 구획 부재(74)의 상부에는, 탄성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는 콘서티나 부재(75)의 하단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콘서티나 부재(75)의 상단 개구는 송풍구(76)와 연결되어 있다. 송풍구(76)는, 냉 미스트 노즐(19)의 공기 분사부(19c)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냉 미스트 노즐(19)을 감싼다. 구획 부재(74) 및 콘서티나 부재(75)는, 냉각용 팬(70)에서 송출된 공기의 흐름을 송풍구(76)로 송출하는 송풍 경로(S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수 기구(8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나타내듯이, 배수 기구(80)는, 본체(11)의 배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배구 기구(80)는, 탱크(22), 탱크 홀더(22a),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 및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를 채우는 물을 본체(11) 밖으로 배수한다.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하우징(11a)에 배치된 배수부 커버(82)에는 배수구(24)와, 사용자(P)가 배수 조작할 때,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배수 버튼(81)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 버튼(81) 과 배수구(24)는, 배수구 커버(25)가 닫혀있으면, 배수구 커버(25)에 의해 덮이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내듯이, 배수 버튼(81)의 손가락 걸림부(81a)는 하우징(1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사용자(P)는, 손가락 걸림부(81a)에 손가락을 걸어서 배수 버튼(81)을 조작한다. 배수 버튼(81)의 배면에는, 한 쌍의 훅부(81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훅부(81b)는, 배수부 커버(82)에 형성된 개구부(82a)에 계합된다. 한 쌍의 훅부(81b)에 의해, 배수 버튼(81)은, 배수부 커버(8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양 훅부(81b) 사이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볼록부(81c)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부 커버(82)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한 볼록부(82d)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2d)를 하우징(11a)에 계지시키고, 배수부 커버(82)의 하단부를 미도시의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배수부 커버(82)는 하우징(11a)에 고정된다. 배수부 커버(82)의 배면에는, 상하 운동을 따라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널빤지 형상의 가이드 판(82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판(82b) 사이에서 한 쌍의 계합부(82c)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83)는 배수부 커버(82)의 배면에 있어서 가이드 판(8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83)의 거의 중앙에는, 배수 버튼(81)의 볼록부(81c)가 압입되는 계합 홀(83b)이 형성되어 있다. 훅부(81b)와 계합부(82c)의 계합에 의해, 배수 버튼(81)은 배수부 커버(82)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배수 버튼(81)이 사용자(P)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면, 배수 버튼(81)과 가이드 부재(83)는 배수부 커버(82)의 가이드 판(82b)으로 가이드 되면서, 상하운동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배수 암(84)은, 거의 L자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배수 암(84)의 기단부는 나사(N3)에 의해 가이드 부재(83)의 하부에 고정된다. 배수 암(84)의 선단부에는, 노치를 갖는 계합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 암(84)은, 가이드 부재(83)와 일체되어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즉, 배수 버튼(81)이 사용자(P)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배수 버튼(81), 가이드 부재(83), 및 배수 암(84)은 일체적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도 12에서 나타내듯이, 배수구(24)의 내부 깊숙이 배수실(85)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실(85)은, 분기부(G)에 연결된 배수 파이프(P3)와 연결되어 있다. 도 12에 실선(Y3)에서 나타내듯이, 배수 파이프(P3)의 물은, 배수실(85)을 경유하여 배수실(85)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부(85a)를 지나서 배수구(24)로부터 배출된다. 배수 파이프(P3) 및 배수실(85)은, 탱크(22), 탱크 홀더(22a),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 및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 등 보다 낮은 위치(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실(85)의 개구부(85a)는, 실(seal) 부재로서의 배수 패킹(86)에 의해 폐쇄 및 개방 가능하다. 배수 패킹(86)은, 배수 버튼(81)의 슬라이드 조작과 연동하며, 배수를 수행하는 개방 상태(도 12b)와, 배수를 정지시키는 폐쇄 상태(도 12a)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배수실(85)의 거의 중앙은, 슬라이드 바(87)가 구비되어져 있다. 슬라이드 바(87)는, 긴 축을 따르는 슬라이드 식이다. 슬라이드 바(87)의 하부에 하 E-링(87b)이 장착되어 있다. 하 E-링(87b)에 배수 패킹(86)의 내측부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바(87)가 아래로 이동하면, 하 E-링(87b)에 고정된 배수 패킹(86)의 내측부가 하래로 이동하여 개구부(85a)를 폐쇄한다. 슬라이드 바(87)가 위로 이동하면, 하 E-링(87b)에 고정된 배수 패킹(86)의 내측부가 위로 이동하여, 개구부(85a)를 개방한다. 배수 패킹(86)의 외측부는 배수실(85)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어, 물이 배수실(85)에서 본체(11)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슬라이드 바(87)의 긴 축의 거의 중앙에는, 상 E-링(87a)이 장착되어져 있다. 슬라이드 바(8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탱크 홀더(22a)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부(88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바(87)가 코일 스프링(88)에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8)은 상 E-링(87a)과 스프링 지지부(88a) 사이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드 바(8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즉, 스프링 지지부(88a)가 코일 스프링(88)의 상 스토퍼로 기능하며, 상 E-링(87a)이 하 스토퍼로 기능한다. 상 E-링(87a)의 외경은, 코일 스프링(8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 E-링(87a)의 하측은, 도 11의 배수 암(84)의 계합부(84a)와 계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수 버튼(81)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129a))에서는 코일 스프링(88)에 의한 하방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바(87), 배수 암(84), 배수 가이드(84), 가이드 부재(83) 및 배수 버튼(81)은 아래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개구부(85a)가 배수 패킹(86)에 의해 폐쇄된다. 코일 스프링(88)에 의한 하방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배수 패킹(86)의 내측 부분이 개구부(85a)의 주연부(周緣部)에 밀착되어서,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P)가 배수 버튼(81)을 위로 이동시키면(도 12b), 배수 암(84)도 연동되어서 위로 이동하고, 상 E-링(87a)으로 계지되어 있는 슬라이드 바(87)도 위로 이동하며, 개구부(85a)의 폐쇄 상태(실(seal))가 해제되어 배수가 수행된다.
슬라이드 바(87)가 최하 수위로 이동할 경우에도, 배수 암(84)은, 배수 패킹(86)과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방향 발생부(방향 발생 수단, 방향 발생 장치라고도 한다)(15)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방향 발생부(15)는, 방향 용기(HY)와, 휘발 장치(90)와, 방향 용기 탈착 기구(91)를 포함한다. 방향 용기(HY)는 방향제를 저장한다. 휘발 장치(90)는, 방향 용기(HY)에 저장된 방향제를 휘발시킨다.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하우징(11a)에는 덮개(12)의 거의 중앙을 개구시켜서 방향 용기(HY)를 수납할 수 있는 수용실(93a)을 형성하는 방향 하우징(93)이 고정되어 있다. 수용실(93a)의 내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가이드 리브(93d)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93d)의 상단에는, 리드 스위치식의 취출 버튼 센서(93f)가 배치되어 있다. 취출 버튼 센서(93f)는, 방향 용기(HY)에 설치된 자석(123g)에 의해 ON됨으로써,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 수용되어 있는 것, 즉 방향 발생부(15)에 방향 용기(HY)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다.
방향 하우징(93)의 하방에 모터실(93b)이 구획되어 있다. 모터실(93b)에 방향용 모터(95)가 수용되어 있다. 방향용 모터(95)는, 하방에서 거의 원반형으로 형성된 모터 홀더(96)가 나사 고정 장치에 의해 방향 하우징(93)에 고정되어져 있다. 방향용 모터(95)의 구동축(95a)은, 수용실(93a)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된다. 구동축(95a)의 선단에는, 부쉬(95b)를 개재하여 방향용 팬(94)이 고정되어 있다. 방향용 모터(95)가 방향용 팬(94)을 회전시켰을 때, 수용실(93a)의 상방으로 향한 공기의 흐름이 생성된다. 방향 하우징(93)과 방향용 모터(95) 사이에는, 패킹(95c)이 배치되어 있다. 패킹(95c)은 수용실(93a)과 모터실(93b)이 연통되지 않도록 봉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용 모터(95) 및 방향용 팬(94)이 휘발 수단으로 기능한다.
방향 하우징(93)의 하부측면에는, 연결 호스(93c)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호스(93c)는, 방향용 팬(94)의 하류에 연통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연결 보스(93c)는, 탄성 재료(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 흡기 튜브(97)를 개재하여 파이프 형상의 연결 보스(98)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보스(98)는, 하우징(11a)의 저면에 형성된 흡기구(흡입부)(99)와 연통되어 있다. 연결 보스(98)의 내경과 흡기구(99)의 직경은 거의 일치한다. 하우징(11a)의 저부 외측에는, 흡기구(99)를 덮는 방향용 필터(100)가 설치되어 있다. 방향용 필터(100)의 메시 조도 또는 개구율은 때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용실(93a), 연결 보스(93c), 흡기 튜브(97), 및 연결 보스(98)는, 하우징(11a)의 저면과 덮개(12)를 연통하는 송풍 경로(S2)를 형성한다. 방향용 팬(94)은, 방향용 모터(95)에 의해 회전 구동되었을 때, 방향용 필터(100)를 개재하여 공기를 본체(11)의 저면으로부터 흡입하며, 그 공기를 송풍 경로(S2)를 개재하여 수용실(93a)의 상방을 향하여 송출한다.
다음으로, 방향 용기 탈착 기구(91)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방향 용기 탈착 기구(91)에 의해 방향 용기(HY)는 방향 하우징(93)의 수용실(93a)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 나타내듯이, 방향 용기 탈착 기구(91)는 방향 용기(HY)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 용기 압상부(101)와,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방향 용기 고정부(102)를 포함한다.
방향 용기 압상부(101)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 및 도 14에서 나타내듯이, 수용실(93a)에는, 방향용 팬(94)를 덮는 팬 커버(103)가 나사(N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팬 커버(10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가이드부(103b)가 형성되어 있다. 팬 커버(103)의 가이드부(103b) 사이에는, 방향용 팬(94)에서 송출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는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통풍 홀(103a)이 형성되어 있다. 팬 커버(103)의 상부에는, 둥근 오목부 또는 스프링 지지부(103c)와, 스프링 지지부(103c)의 중앙에서 위로 향하여 돌출된 보스부(103d)가 형성되어 있다. 압상 스프링(104)은 보스부(103d)에 끼워지거나 또는 스프링 지지부(103c)에 수용된다.
팬 커버(103)의 상방에 원통형의 스프링 커버(105)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105)는, 팬 커버(10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105)는, 압상 스프링(104)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105)는, 팬 커버(103) 및 압상 스프링(104)을 덮는 천판을 갖는다. 스프링 커버(105)의 하면에는 팬 커버(103)의 보스부(103d)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중공 보스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중공 보스부(105a)와 보스부(103a)는 압상 스프링(104)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압상 스프링(104)의 신축 동작을 가이드 한다. 스프링 커버(105)는, 팬 커버(103)에 설치된 가이드부(103b)와 같은 수의 훅부(105b)를 갖는다. 각 훅부(105b)는 스프링 커버(105)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가이드부(103b)와 계합한다. 훅부(105b)는 스프링 커버(105)가 팬 커버(103)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또한 스프링 커버(105)가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방향 용기 압상부(101)는, 팬 커버(103), 압상 스프링(104), 및 스프링 커버(105)를 포함한다.
방향 용기 고정부(규제 수단)(102)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방향 하우징(93)의 상부측면에서, 컵 형상의 버튼 설치부(93e)가 돌출되어 있다. 버튼 설치부(93e)의 수용실(93a)은 훅 돌출 홀(107)과 연통되어 있다. 버튼 설치부(93e)의 저부에는, 훅 돌출 홀(107)을 향하여 연장되는 널빤지 형상의 훅 가이드 레인(106)이 설치되어 있다. 훅 가이드 레인(106) 위에는 가동식 훅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a에서 나타내듯이, 훅 부재(108)의 선단이 수용실(93a)을 개재하여 방향 용기(HY)와 계합한 상태에서는,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에서 꺼낼 수 없다. 훅 부재(108)의 기단에는, 수용실(93a)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0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08a)는, 탈착 스프링(109)을 개재하여 버튼 설치부(93e)의 내벽에 연결되어 있다. 탈착 스프링(109)은, 훅 부재(108)를 수용실(93a)로 향하게 가압하고 있다. 훅 부재(108)의 양측면은, 하방으로 연장된 철편(108b)을 가진다. 각 철편(108b)의 하단은 외방을 향하여 굴곡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훅 부재(108)는, 훅 부재(108)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긴 홀(108c)을 가진다. 한 쌍의 긴 홀(108c)에는 볼록부(108a)를 사이에 끼우듯이 한 쌍의 경사부(108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부(108d)는, 훅 부재(108)의 뒤에서부터 앞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사면을 갖는다.
훅 부재(10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버튼 홀더(110)는, 훅 부재(108)를 상방에서 고정한다. 버튼 홀더(110)는, 버튼 설치부(93e)에 압입되며, 덮개(12)에서 돌출되지 않은 위치에 고정된다. 버튼 홀더(110)의 측면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벽부(110a)를 포함한다, 2개의 벽부(110a)는 서로 마주보며 향하고 있다. 각 벽부(110a)의 하단면(110b)은, 철편(108b)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서 훅 부재(10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각 하단면(110b)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정지벽(110c)은 탈착 스프링(109)으로부터 가압되어 있는 훅 부재(108)의 철편(108b)과 당접한다. 철편(108b)과 돌출 정지벽(110c)의 당접은, 탈착 스프링(109)의 가압력에 의하여 훅 부재(108)가 흑 돌출 홀(107)에서 수용실(93a)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 홀더(110)의 내측에 설치된 버튼 수용부(110d)에는, 사용자(P)에 의하여 압하 조작되는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이 장착되어져 있다. 버튼 홀더(110)의 하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2개의 직사각형의 노치부(110e)가 형성되어 있다.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부(111a)를 갖는다. 한 쌍의 리브부(111a)는 훅 부재(108)의 경사부(108d)와 각각 계지된다. 각 리브부(111a)의 하단면은, 경사부(108d)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사면이다. 리브부(111a)의 경사면은 훅 부재(108)의 뒤에서부터 앞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이 압하 조작되면, 각 리브부(111a)의 사면이 훅 부재(108)의 경사면(108d)과 접촉하면서 미끄러짐에 의해 훅 부재(108)를 후방(수용실(93a)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훅 부재(108)의 선단부는, 수용실(93a)에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훅 부재(108)를 수용실(93a)을 향하여 가압하는 탈착 스프링(109)의 가압력은,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의 리브부(111a) 사이에 훅부(111b)가 형성되어 있다. 훅부(111b)는 버튼 홀더(110)의 노치부(110e)에 각각 계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은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상방으로 빠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방향 용기 고정부(102)는, 훅 부재(108), 탈착 스프링(109),버튼 홀더(110), 및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방향제를 저장하는 방향 용기(HY)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 및 도 15에서 나타내듯이, 방향 용기(HY)는, 수용실(93a)에 배치된 스프링 커버(105) 위에 세팅되는 지지부재(120), 방향제를 저장하는 방향 볼(유저 용기)(121), 및 지지부재(120)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123)를 주로 포함한다.
지지부재(120)는 원통형이다. 지지부재(120)의 상부에는, 방향 볼(121)의 저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지지부(120a)와, 지지부(120a)의 주위에 형성된 통풍로(120b)가 설치되어 있다. 통풍로(120b)는, 스프링 커버(105) 측과 방향 볼(121) 측을 연통한다. 지지부(120a)의 하면이 수용실(93a) 내의 스프링 커버(105)와의 접촉에 의해 지지부(120a)는 지지된다. 지지부재(120)는, 장착된 방향 볼(121)의 자세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120)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훅부(120c)를 갖는다. 훅부(120c)는, 지지부재(120)의 주방향(周方向)에 소정의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20도) 마다 형성되어 있다. 방향 볼(121)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훅부(120c)에 끼워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 볼(121) 및 지지부재(120)가 유저 용기 부재로서 기능한다. 방향 볼(121)를 끼운 상태의 훅부(120c)에는 금속제의 링(122)이 설치된다. 지지부재(120) 상단의 일부에는, 주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노치부(120d)가 형성되어 있다. 각 노치부(120d)에는 오목부(120e)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20)의 크기는, 방향 볼(121)을 설치한 상태에서 영유아 등이 잘못해서 입에 넣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120)에는 원통 형상의 커버 부재(123)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원통 형상의 커버 부재(123)의 천판부(123a)는,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천판부(123a)의 경사 각도는 덮개(12)의 경사각도와 같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커버 부재(123)의 하부 내면에 2개의 볼록부(123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23)의 각 볼록부(123b)를 지지부재(120)가 대응하는 노치부(1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삽입하고, 커버부재(123)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볼록부(123b)는 지지부재(120)의 2개의 오목부(120e)에 각각 함합된다. 각 볼록부(120b)와 오목부(120e)가 함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12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계합 상태는 해제된다. 지지부재(120)에 커버 부재(123)가 되었을 때, 훅부(120c), 방향 볼(121), 및 링(122)이 커버 부재(123)에 의해 덮여진다. 커버부재(123)의 천판부(123a)의 중앙에는, 휘발된 방향을 방출하기 위한 방향 방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방향 방출구(15a)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 방출구(15a)에 형성된 격자 눈의 크기는, 방향용 팬(94)이 반송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이며, 또한 액상의 방향제가 격자 구조에 부착되었을 때, 표면 장력에 의해 격자 눈 안에 부착되어서 통과되기 어려운 크기로 되어 있다. 방향 방출구(15a)의 격자 눈의 크기는, 사용자(P)가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에서 방향 볼(121)로 방향제를 적하시키고자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크기(촘촘함)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자 눈의 크기(한 변의 길이)는, 0.5 내지 4.0mm,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mm로 설정되어져 있다.
커버 부재(123)의 측면에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 레인(123c)이 형성되어져 있다.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인(123c)은, 하방만큼 이간되어 있다.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로 삽입할 때, 방향 용기(HY)는, 가이드 레인(123c)과, 수용실(93a)로 형성된 가이드 리브(93d)에 의해 안내되어져 천판부(123a)의 경사와 덮개(12)(본체(11))의 경사가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인(123c) 사이에 자석(123g)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123g)의 플럭스는,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 장착된 상태에서, 취출 버튼 센서(93f)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된다. 커버 부재(123)의 하단의 차양부(123e)는, 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통풍로를 형성한다. 커버 부재(123)의 상단에는, 복수의 리브 구조로 칸막이 쳐진 고무 설치부(123f)가 형성되어 있다. 거의 직방체로 형성된 고무 부재(125)가 고무 설치부(123f)에 삽입되어 있다. 고무 부재(125)의 하단부는, 커버 부재(123)에 형성된 미도시의 피핑 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용실(93a)의 내벽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커버부재(123) 측에 삽입되도록 패여 있다.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커버 부재(123) 내측의 방향 변경부(126)는, 방향용 팬(94)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의 흐름(화살표 Y4)을, 방향 볼(121) 주위에서 방향 볼(121)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방향 변경부(126)는 커버 부재(123)의 천판부(123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 삽입되면, 상술의 훅 부재(108)의 선단은, 커버 부재(123)의 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23d)와 스냅 피트하고, 방향 용기(HY)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이 압하 조작되면, 훅 부재(108)가 이동하여 돌기부(123d)와의 스냅 피트가 해제된다. 스프링 커버(105)의 가압력에 의해, 방향 용기(HY)는 상방으로 압상되며 사용자(P)가 방향 용기(HY)를 쥘 수 있는 높이만큼만 덮개(12)로부터 돌출된다.
커버 부재(123)의 상부에 용기 커버(124)가 설치된다. 용기 커버(124)는 예를 들면 중앙에 방향 방출 홀을 갖는 고리 형상이다. 용기 커버(124)의 바깥쪽 테두리에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굴곡부(12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굴곡부(124a)의 선단은, 안쪽 방향으로 굴곡 되어 커버 부재(123)와 계합된다. 굴곡부(124)에 의해, 용기 커버(124)는, 커버 부재(123)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방향제를 저장하는 방향 볼(121)에 대하여, 도 16에 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6에서 나타내듯이,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재)의 방향 볼(121)은, 원통형으로, 원형의 저부와, 측벽(121h)을 갖는다. 방향 볼(121)의 개구 테두리는, 안쪽 방향으로 접혀진 폴드부(121a)에 의해 구획된다. 측벽(121h)에서 폴드부(121a)의 테두리까지의 길이를, 폴드부(121a)의 길이로 정의한다. 이 폴드부(121a)의 길이는, 방향 볼(1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방향 볼(121)에 저장된 2방울, 바람직하게는 10방울 이상의 방향제가 넘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 볼(121)의 외경은 직경 28mm이며, 폴드부(121a)의 개구부 직경은 24mm이다. 방향 볼(121)의 높이는 10mm이다.
방향 볼(121)의 저부에는,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된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19개)의 오목부(121b)(저장부)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121h)과 오목부(121b) 사이에는 경사부(121c)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21c)는 외측만큼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오목부(121b) 및 경사부(121c)는,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와 공기의 흐름과의 접촉 면적(이하, '방향제의 표면적'이라고 함)을 조정한다. 일반적으로, 방향제의 표면적과 휘발량과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방향제의 표면적이 클수록 방향제의 휘발량은 커지고, 방향제의 표면적이 작을수록 방향제의 휘발량이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121b) 및 경사부(121c)는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방향제의 휘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설명하자면, 방향 볼(121)에 떨어뜨린 방향제는 각 오목부(121b)에 우선적으로 유입되어, 오목부(121b)를 제외한 저부로 퍼지지 않는다. 즉, 오목부(121b)는 모든 오목부(121b)의 용적의 총합(이하, '오목부 용적'이라고 함)을 초과하지 않는 양의 방향제가 적하된 경우, 방향제의 표면적을 모든 오목부(121b)가 형성된 부분의 면적에 대응한 면적으로 조정한다. 오목부 용적을 초과하는 양의 방향제가 오목부(121b)에 적하되면, 오목부(121b)에 저장되지 않고 남은 방향제는, 오목부(121b)를 제외한 저부로 퍼지지만, 방향제의 양에 대응하는 표면적이 되도록 경사부(121c)에 의해 조정된다.
오목부(121b) 및 경사부(121c)는, 방향제의 적하량이 한 방울의 경우와 두 방울의 경우에서, 표면적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즉, 방향제의 적하 수와 표면적과의 사이에서 일정의 상관관계가 있듯이, 크기(직경 및 깊이)가 설정되어져 있다. 예를 들면, 방향제의 적하량이 한 방울인 경우의 표면적과 두 방울인 경우의 표면적과의 비율은, 1:1.3 내지 3.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2.0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제를 오목부(121b)에 대하여 한 방울 떨어뜨린 경우, 오목부(121b) 거의 대부분이 방향제에 의해 채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제를 오목부(121b)에 대하여 두 방울 떨어뜨린 경우, 방향제가 경사부(121c)의 하단(경계 부분)까지 퍼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제를 오목부(121b)에 대하여 세 방울 떨어뜨린 경우, 경사부(121c)의 경사를 따라 표면적이 확대된다.
오목부(121b)에 저장된 방향제는, 방향 볼(121)을 기울여도 오목부(121b)에 머물러서 오목부(121b)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다.
방향 발생부(15)에 있어서, 사용자(P)가 각 미스트(H, C)와 혼합된 상태에서 흡입되는 방향제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예를 들면, 10ppm)를 초과하지 않도록, 또한 미스트(H, C)의 흐름(분사)을 방해하지 않도록, 방향 방출구(15a)의 직경, 방향 방출구(15a)에서 분사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 및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의 표면적의 구성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구성 조건을 예시하자면,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 방출구(15a)의 개구 직경은 19mm, 방향 방출구(15a)에서의 공기 흐름의 속도는 0.6m/sec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sec 이하가 되도록, 방향용 팬(94)이 회전 구동된다. 방향 볼(121)의 오목부(121b)와 경사부(121c)는, 방향제의 적하량이 한 방울(약 0.03ml)인 경우, 방향제의 표면적이 100 내지 220m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90mm2 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향 볼(121)의 오목부(121b)와 경사부(121c)는, 방향제의 적하량이 두 방울 이상인 경우, 방향제의 표면적이 220 내지 340mm2,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10mm2 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미용기(10)의 제어 회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본체(11)의 내부에 있어서, 조작부(14)의 하방에 제어 회로 기판(31)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31)은 미용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의 하방에는, 전원 회로 기판(30)이 고정되어 있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제어 회로 기판(31)을 포함하는 각종 모터나, 각종 히터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미용기(10)의 전기 회로를 도 17에 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전원 회로 기판(30)>
전원 회로 기판(30)에는, 전원 코드(26)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용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전원 버튼(16)과 연결되어 있다. 전원 버튼(16)이 압하 조작될 때마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상용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OFF 상태와, 미용기(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ON 상태로 전환된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방향용 모터(95), 온 미스트 히터(히터라고도 부름)(41a), 냉 미스트 히터(64), 냉각용 모터(71), 및 송풍 펌프(77)와 연결되어 있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고압 회로 기판(46)을 개재하여 방전부(42)와 연결되어 있다. 고압 회로 기판(46)은, 전원 회로 기판(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방전침(48)에서 방전 가능한 소정의 전압까지 승압시켜서, 방전부(42)로 공급한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제어 회로 기판(31)과 연결되어 있다. 전원 회로 기판(30)은, 제어 회로 기판(31)의 제어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여 각종 모터 및 각종 히터 등을 구동 및 정지시킨다.
<제어 회로 기판(31)>
제어 회로 기판(31)은, 미용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면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31a)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31a)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운전 제어 버튼(14b),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 및 방향 제어 버튼(14c)과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14a 내지 14c)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본체 커버 스위치(32b)가 연결되어 있다. 본체 커버 스위치(32b)는, 본체 커버(13)가 열려 있는 상태를 검지하여, ON 신호를 제어 회로 기판(31)에 공급한다. 제어부(31a)는, 본체 커버 스위치(32b)로부터의 ON 신호에 응답하여, 운전 제어 버튼(14b),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 및 방향 제어 버튼(14c)의 압하 조작을 유효하게 한다. 본체 커버 스위치(32b)로부터 ON 신호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 즉 본체 커버(13)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부(31a)는 조작부(14)의 버튼(14a 내지 14c)의 압하 조작을 무효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체 커버 스위치(32b)는, 안전 스위치로써 기능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은, 취출 버튼 센서(93f)와 연결되어 있다. 취출 버튼 센서(93f)는,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 수용(고정)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여 ON 신호를 제어 회로 기판(31)에 공급한다. 제어부(31a)는, 취출 버튼 센서(93f)로부터의 ON 신호에 응답하여 운전 제어 버튼(14b),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 및 방향 제어 버튼(14c)의 압하 조작을 유효하게 한다. 취출 버튼 센서(93f)로부터의 ON 신호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즉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 수용(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어부(31a)는, 조작부(14)의 버튼(14a 내지 14c)의 압하 조작을 무효화 한다. 즉, 취출 버튼 센서(93f)는 안전 스위치로써 기능한다.
제어부(31a)는,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미스트(H, C)가 분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취출 버튼 센서(93f)로부터의 ON 신호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 미스트(H, C)의 발생을 정지시키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부(31a)는, 온 미스트(H) 발생 중에는, 온 미스트 히터(41a)를 OFF 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a)는, 냉 미스트(C)의 발생 중에는, 송풍 펌프(77), 냉 미스트 히터(64), 및 냉각용 모터(71)를 OFF 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경사 검지 스위치(29)가 연결되어 있다. 본체(11)가 넘어진다거나, 들려진다거나 했을 때, 경사 검지 스위치(29)는 ON 신호를 제어 회로 기판(31)에 공급한다. 제어부(31a)는, 경사 검지 스위치(29)로부터의 ON 신호에 응답하여 온 미스트 히터(41a), 냉 미스트 히터(64), 냉각용 모터(71), 송풍 펌프(77), 및 고압 회로 기판(4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1a)는 경사 검지 스위치(29)로부터의 ON 신호에 응답하여 미용기(10)의 모든 동작을 정지시키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표시부(L)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31a)는, 미용기(10)의 제어 상태에 응답하여 소정의 점등 패턴으로 발광체를 점등시키도록 표시부(L)를 제어한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히터 서미스터(41b), 및 수온 서미스터(66)가 연결되어 있다. 각 서미스터(41b, 66)는 측정된 온도에 대응한 온도 검지 신호를 제어 회로 기판(31)에 공급한다. 제어부(31a)는, 히터 서미스터(41b)의 검지된 온 미스트 히터(41a)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를 넘으면, 온 미스트 히터(41a)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정지)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고, 온 미스트 히터(41a)를 OFF 시킨다. 또한, 제어부(31a)는 수온 서미스터(66)의 검지된 가열 처리부(61)의 수온이 소정의 살균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80℃) 미만이 되면, 냉 미스트 히터(6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고, 냉 미스트 히터(64)를 ON 시킨다. 한편, 제어부(31a)는, 수온 미스트 서미스터(66)의 검지된 가열 처리부(61)의 수온이 소정의 살균 온도 이상이 되면 냉 미스트 히터(64)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고 냉 미스트 히터(64)를 OFF 시킨다.
제어 회로 기판(31)에는 전원 회로 기판(30)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 회로 기판(31)은 전원 회로 기판(30)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제어 회로 기판(31)은,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여 전원 회로 기판(30)에 연결된 각종 모터, 및 각종 히터 등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31a)는, 방향 제어 버튼(14c)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P)가 선택한 방향 농도에 응답한 방향용 팬(94)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여 방향용 모터(95)에 제어된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31a)는, 선택된 방향 농도가 높은 만큼, 방향용 팬(94)의 회전수가 많아지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1a)는, 선택된 방향 농도가 높을수록, 방향용 팬(94)에 의해 반송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a)는 소정의 시간마다 휘발시키는 방향제의 양을 증감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31a)는, 휘발시키는 방향제의 양을 소정의 시간마다 증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부(31a)는 사용자(P)가 선택한 방향의 세기(농도)에 준하여, 전원 회로 기판(30)에 방향용 모터(95)를 구동시킨다. 게다가 제어부(31a)는 방향용 모터(95)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의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20초간)이 경과하면, 방향용 모터(95)를 소정의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5초간) 정지시키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미용기(10)에서는 방향의 발생과 정지가 교호적으로 실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종 모터, 및 각종 히터를 구동시키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는 제어부(31a)는 조정 수단으로써 기능한다.
다음으로, 미용기(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캡(21)>
미용기(10)가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 도 6a에서 나타내듯이, 캡(21)은 분사 자세를 유지한다. 도 6b에서 나타내듯이 사용자(P)의 손(PH)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캡(21)은 손(PH)의 접촉 및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보호 자세로 이행된다. 보호 자세의 캡(21)은, 미스트 노즐(18, 19)과 손(PH)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P)의 손(PH)에 미스트(H, C)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보호 자세의 캡(21)은 사용자(P)의 손(PH)을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물리적으로 격리시킨다.
보호 자세의 캡(21)은, 미스트 노즐(18, 19)의 상방을 덮기 위해서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이 통상의 사용 상태 때보다도 하방으로 변경되어서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되지 않는다.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
도 7에서 나타내듯이, 탱크(22)에서 탱크 홀더(22a)로 공급된 물은, 급수 경로(K1) 및 급수 경로(K2)를 지나서 비등실(41c)로 공급된다. 비등실(41c)의 수위는, 탱크(22)로부터의 급수에 의하여 소정의 수위(W)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비등실(41c)의 수위가 저하되면 탱크(22)로부터의 급수가 개시되고, 비등실(41c)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수위(W))를 넘으면 탱크(22)로부터의 급수가 정지된다. 온 미스트 히터(41a)는 비등실(41c)에 공급된 물을 가열 및 기화시켜서 온 미스트를 발생시킨다. 발생시킨 미스트는 온 미스트 경로(M1)를 지나서 상방으로 유도되어, 방전부(42)의 방전침(48)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고압 방전에 의해 미세화(이온화)된다. 미세화된 온 미스트는 온 미스트 노즐(18)에서 전방을 향하여 분사된다. 온 미스트 히터(41a)는 탱크(22)가 빌 경우 등, 비등실(41c)의 수위(W)가 저하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제어부(31a)의 제어에 의해 OFF 된다.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
도 9에서 나타내듯이 탱크(22)에서 탱크 홀더(22a)로 공급된 물은, 급수 경로(K3)를 지나서 가열 처리부(61)의 저장실(61a)로 공급된다. 저장실(61a)로 공급된 물은, 유입구(65a)에서 댐퍼부(65)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위(W)를 유지한다. 댐퍼부(65)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포함하는 저장실(61a)의 물은 냉 미스트 히터(64)에 의해 소정의 살균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80℃)까지 가열된다.
댐퍼부(65) 내부에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교호로 배치된 구획판(65c)이, 가열과 함께 발생하는 물의 대류를 억제한다. 유입구(65a)는 최소 면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 경로(K3)에서 공급된 저온의 물이, 대류에 따라서 댐퍼부(65) 내부에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댐퍼부(65) 내부의 물은, 저온수 유입에 따른 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냉 미스트 히터(64)에 의해 보다 안정되며, 가열될 수 있다.
냉 미스트 노즐(19)에서 분사되어야 할 물은, 적어도 살균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30초)동안 댐퍼부(65)에서 체류한다. 본 실시형태의 미용기(10)에는 냉 미스트(C)만을 분사시키는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온 미스트(H)를 온 미스트 노즐(18)에서 분사시키고 있는 동안, 댐퍼부(64)의 물의 살균 조건을 달성한다. 온 미스트(H)의 분사가 종료되면, 이미 살균이 끝난 물의 냉 미스트 노즐(19)이 냉 미스트화되어 사용자(P)를 향하여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다.
댐퍼부(65) 내부에서 가열 및 살균된 물은, 송풍 펌프(77)가 ON (구동)되어서 공기 분사부(19c)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면, 해당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급수 경로(K4)를 물 공급부(19b)를 향해 흡수 배출되어, 냉 미스트화 되어 전방으로 분사된다.
댐퍼부(65)에서 흡입 배출된 물에 혼입된 기포는, 기액 교환부(67)에서 포획되어 물과 교환된다. 제어부(31a)는 냉 미스트 노즐(19)에 의한 냉 미스트 발생 개시(송풍 펌프(77)의 ON(구동))로부터 소정의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5초), 송풍 펌프(77)가 저속 구동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제어부(31a)는 소정 기간의 경과 후, 송풍 펌프(77)가 통상적인 속도에서 구동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1a)는 냉 미스트 발생 개시 시에 댐퍼부(65)의 물을 기액 교환실(67a)의 내부로 천천히 유입되도록 송풍 펌프(77)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액 교환실(67a) 내부의 공기를 먼저 전부 냉 미스트 노즐(19)에서 분사시킨다. 기액 교환실(67a)에 급격히 물이 유입됨으로써 기액 교환실(67a) 내부에 공기를 남겨둔 채 냉 미스트(C)의 분사가 개시되는 것을 제어한다. 급수 경로(K4)의 물이 기표에 의해 분단되어 냉 미스트(C)의 분사가 간헐적으로 수행된다든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버린다든지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포가 제거된 물은, 방열 부재(68)의 급수 경로(K4)의 통과에 의해, 냉각된다. 방열 부재(68)는 냉각용 팬(70)에 의하여 반송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용 팬(70)에 의하여 반송되는 공기의 흐름은, 송풍 경로(S1)를 지나서 냉 미스트 노즐(19)의 측방에 개구된 송풍구(76)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된다. 송풍구(76)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사용자(P)의 피부에 부착된 냉 미스트(C)의 기화를 촉진시키고, 사용자(P)의 피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P)에게 냉각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방향 발생부(15)>
도 13의 상태에서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이 압하 조작되면, 훅 부재(108)는 수용실(93a)(방향 용기(HY))로부터 이간되는 쪽으로 이동하여, 훅 부재(108)의 선단과 커버 부재(123)의 돌기부(123d)의 계합이 해제된다. 방향 용기(HY)는 압상 스프링(104)의 가압력을 받은 스프링 커버(105)에 의해 밀려 올라가서 덮개(12)로부터 돌출된다. 사용자(P)는 돌출된 방향 용기(HY)를 상방으로 당겨 올림으로써, 방향 발생부(15)(수용실(93a))로부터 방향 용기(HY)를 꺼낼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방향 용기(HY)를 꺼내는 방향은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과 교차한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나타내듯이, 커버 부재(123)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부재(123)의 볼록부(123b)와 지지부재(120)의 오목부(120e)의 계합은 해제되며, 커버 부재(123)를 지지부재(120)에서 꺼낼 수 있다. 사용자(P)는 방향 볼(121)의 오목부(121b) 및 경사부(121c)에, 좋아하는 방향제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 때, 오목부(121b)와 경사부(121c)에 의해 방향 볼(121)의 저면에 적하된 방향제의 퍼짐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방향제의 적하 수에 응한 방향제의 표면적이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적하한 후, 방향 볼(121)를 덮는 커버 부재(123)를 세팅하고, 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볼록부(123b)와 오목부(120e)를 계합시켜서 커버 부재(123)를 지지부재(120)에 장착시킨다.
커버 부재(123)의 가이드 레인(123C)과, 수용실(93a)의 가이드 리브(93d)의 위치를 합친 상태에서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본체(11))에 삽입한다. 이 때, 방향 용기(HY)의 상면(용기 커버(124))을 하방으로 누르면, 훅 부재(108)의 선단이 커버(123)의 돌기부(123d)에 눌려서, 방향 용기(HY)(수용실(93a))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방향 용기(HY)를 눌러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탈착 스프링(109)에 의해 가압된 훅 부재(108)가 수용실(93a)에 돌출됨과 동시에 돌기부(123d)와 계합된다. 방향 용기(HY)는 수용실(93a)(본체(11))에 고정(설치)된다.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전원 회로 기판(30)에서 방향용 모터(95)에 전력이 공급되면, 방향용 팬(94)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흡기구(99)에서 공기가 송풍 경로(S2)에 흡입된다(화살표(Y4)). 송풍 경로(S2)에 흡입된 공기는, 나아가 방향용 팬(94)에 의하여 상방을 향하여 반송된다(화살표(Y4)). 방향용 팬(94)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은, 팬 커버(103)의 통풍홀(103a)에서 스프링 커버(105)의 측방을 지나서 상방으로 반송되며, 나아가 커버 부재(123)의 내면에 형성된 방향 변경부(126)에 의해서 방향 볼(121) 내부에 유입되도록 변경된다. 방향 볼(121)에 유입된 공기의 흐름은 방향 볼(121)의 오목부(121b) 및 경사부(121c)에 저장된 방향제를 휘발시킴과 동시에, 다시 상방으로 반송되어 방향 방출구(15a)로부터 상방을 향해 방출된다(화살표(Y4)). 방향 방출구(15a)에서 상방을 향해 분사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는,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진행이 방해받지 않는 풍속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 풍속으로 0.6m/sec 이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나타내듯이, 미용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온 미스트(H)는 온 미스트 노즐(18)(온 미스트 분사구(18a))에서 사용자(P)의 얼굴을 향하여 분사된다. 또한, 냉 미스트(C)는 냉 미스트 노즐(19)(냉 미스트 분사구(19a))에서 사용자(P)의 얼굴을 향하여 분사된다. 각 미스트(H, C)는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옆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각 미스트(H, C)는 미스트 노즐(18, 19)에서 이간되는 정도의 범위로 확산된다.
방향 발생부(15)에서 발생되는 방향은 방향 방출구(15a)에서 상방을 향하여 방출되며(도 18의 방출 방향(H1)), 그 후에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을 통과하는 미스트(H, C)와 혼합되어 미스트(H, C)와 일체가 되어서 사용자(P)를 향하여 반송된다(도 18의 화살표(A)). 이와 같이,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방출되는 미스트의 분사 방향(H2)과,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되는 방향의 방출 방향(H1)과는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미용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P)는 미용기(10)를 수평한 책상 등의 위에 설치하여 본체 커버(13)를 열고, 전원 코드(26)를 미도시의 상용 콘센트에 꽂아서 미용기(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사용자(P)는 전원 버튼(16)을 아래로 눌러서 조작하여 미용기(10)를 대기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사용자(P)는 동작 모드 선택 버튼(14a)을 아래로 눌러서 조작하여 원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P)는 방향 제어 버튼(14c)을 아래로 눌러서 조작하여 원하는 방향의 세기(농도)를 선택한다. 사용자(P)가 동작 모드 및 방향의 세기를 선택한 후, 운전 제어 버튼(14b)이 아래로 눌러지는 조작에 응답하여 미용기(10)는 사용자(P)가 선택한 동작 모드 및 방향의 세기로, 미스트(H, C)의 분사 및 방향의 방출(발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일 먼저 온 미스트(H)가 온 미스트 노즐(18)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되어, 사용자(P)의 피부에 온열을 공급한다. 온 미스트(H)의 분사 개시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경과했을 때, 온 미스트(H)의 분사가 정지되고 거의 동시에 냉 미스트(C)가 냉 미스트 노즐(19)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되어서 사용자(P)의 피부를 냉각시킨다. 나아가, 냉 미스트(C)의 분사 개시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경과했을 때, 냉 미스트의 분사가 정지되고 거의 동시에 온 미스트(H)의 분사가 개시된다. 온 미스트(H)와 냉 미스트(C)의 교호 분사가 소정의 횟수만 반복된 후에 미스트의 분사는 종료된다. 그리고 미스트(H, C)의 분사 중에는, 방향 방출구(15a)에서 선택된 방향의 세기로 방향이 방출(발생)된다.
미스트(H, C)를 분사하는 중이어도 사용자(P)는 방향 제어 버튼(14c)을 눌러서 조작함으로써 방향의 세기(농도)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미스트(H, C)를 분사하는 중이어도 사용자(P)는 전원 버튼(16) 또는 운전 제어 버튼(14b)을 눌러서 조작함으로써 미스트 노즐(18, 19)로부터의 미스트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미용기(10)의 사용 후, 본체 커버(13)를 닫은 상태로 만들어 미용기(10)는 동작 불가능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서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1) 각 미스트 노즐(18, 19)과는 다른 위치에서 각 미스트(H, C)를 향하여 방향이 방출(분사)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각 미스트(H, C)와 방향이 효율적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일체가 되어서 각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에 안정된 방향을 보낼(송출) 수 있다. 따라서 미용기(10)의 사용자(P)는,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각 미스트(H, C)를 얼굴 등에 쏘이면서 사용할 때, 안정된 방향을 얻을 수 있다.
(2) 방향 방출구(15a)를, 각 미스트 노즐(18, 19)보다 사용자(P) 쪽에 가까우며 각 미스트 노즐(18, 19)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발산되도록 분사되는 각 미스트(H, C)에 대해, 확산되기 전의 각 미스트(H, C)를 향하여 방향을 방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이간된 위치에 방향 방출구(15a)를 설치하고, 이미 확산된 각 미스트(H, C)를 향하여 방향을 방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방향과 각 미스트(H, C)가 혼합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미용기(10)을 사용하는 사용자(P)는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각 미스트(H, C)를 얼굴 등에 쏘이면서 사용할 때, 안정된 방향을 얻을 수 있다.
(3) 방향 방출구(15a)를 미스트 노즐(18, 19)보다 사용자(P) 쪽에 가까우며, 온 미스트 분사구(18a)(온 미스트 노즐(18))와, 냉 미스트 분사구(19a)(냉 미스트 노즐(19))의 중앙에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온 미스트(H)와, 냉 미스트(C)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향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분사되는 각 미스트(H, C)와, 방향을 혼합하여 일체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미스트(H, C)로 방향의 세기(농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P)는, 각 미스트 노즐(18, 19) 중 어느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안정된 방향을 얻을 수가 있다.
(4) 방향 볼(121)의 저부에, 여러 개의 오목부(121b)와, 경사부(121c)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오목 용적을 초과하지 않는 양의 방향제를 오목부(121b)에 적하시키는 경우, 방향제는 여러 개의 오목부(121b)에 유입됨과 동시에 저장되어, 오목부(121b)가 형성된 부분에서 퍼지지 않도록 표면적이 조정된다. 게다가 오목부 용적을 초과하는 양의 방향제를 오목부(121b)에 적하할 경우, 방향제의 표면적은, 경사부(121c)의 경사를 따라, 적하된 방향제의 양에 응한 표면적이 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방향 볼(121)에 적하(저장)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방향제의 적하량에 응한 표면적으로 조정하고, 방향제의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다.
(5) 제어부(31a)는, 사용자(P)가 설정한 방향의 세기(농도)에 응하여, 소정의 회전수가 되도록 방향용 모터(95)를 구동시키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원하는 방향의 세기(농도)가 되도록, 방향제의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의 표면적이 방향제의 적하수에 응한 소정의 범위로 규정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방향의 세기(농도)의 조정할 수 있다.
(6) 방향의 발생과 정지를 교호로 실행하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일정 농도의 방향을 계속 맡으면 그 방향에 대한 후각 강도가 저하되며, 방향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미용기(10)에 의하면 사용자(P)의 방향제에 대한 후각 강도를 정기적으로 회복시켜서 사용자(P)에게 계속하여 방향을 느끼게 할 수 있다.
(7) 방향 접시(121)에 저장된 방향제는 방향용 팬(94)에 의한 송풍으로 휘발시키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방향용 모터(95)의 구동 개시로부터 안정되게 방향제를 휘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방향용 모터(95)의 구동 정지로 신속히 방향제의 휘발 촉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상승 및 하강에 시간이 필요한 히터를 이용하여 방향제를 휘발시키는 것보다도, 제어부(31a)에 의한 방향제의 휘발량 조정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8) 방향용 팬(94)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99)를 본체(11)의 저면에 설치했다. 이 때문에 덮게(12)에 개구하는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되는 방향이 다시 흡입되는 것을 피하고, 사용자(P)에게 확실하게 방향을 보낼 수 있다.
(9) 사용자(P)가 각 미스트(H, C)와 혼합된 상태에서 흡입하는 방향제의 농도가, 사용자(P)에게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소정의 농도를 넘지 않도록, 방향 방출구(15a)의 직경, 방향 방출구(15a)에서 분사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 및 방향 접시(121)에 저장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설정했다. 이 때문에 사용자(P)가 미용기(10)의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자(P)에게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소정의 농도 이상의 방향(향기)을 계속 흡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방향 용기(HY)(커버 부재(123))에 방향 변경부(126)를 형성하고, 훅부(120c)가 배설된 부분을 제외한 방향 볼(121)의 거의 전주에서, 방향용 팬(94)으로부터 반송되는 공기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했다. 이 때문에 방향제와 공기와의 접촉면(표면) 전체에 대하여 새로운 공기가 빠짐없이 공급되며, 효율적으로 방향제를 휘발시킬 수 있다.
(11) 방향제(121)를, 훅부(120c)에 끼워 넣음과 함께 링(122)을 설치하여, 지지부재(120)에 고정시키도록 했다. 이 때문에 방향 볼(121)을 지지부재(120)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12) 방향 용기 취출 버튼(111)을 압하 조작하여 방향 용기(HY)를 본체(11)(수용실(93a))에서 꺼내면, 각 미스트(H, C)의 발생이 정지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각 미스트 노즐(18, 19)에서 미스트(H, C)가 분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체(11)에서 돌출되도록 밀어 올려진 방향 용기(HY)를 상방으로 꺼내려고 했을 때, 사용자(P)가 각 미스트(H, C)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3) 각 미스트 노즐(18, 19)이 설치된 노즐 커버(20)에 캡(21)을 설치했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P)의 손이 각 미스트 노즐(18, 19)에 닿는 동작을 규제하고, 사용자(P)를 보호할 수가 있다.
(14) 캡(21)은, 캡(21)의 상방에서 사용자(P)가 각 미스트 노즐(18, 19)에 접촉하려고 했을 때에, 분사 자세에서 보호 자세로 회전 운동(변위)하여 각 미스트 노즐(18, 19)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했다. 이로 인해, 사용자(P)의 손이 캡(21)의 상방에서 각 미스트 노즐(18, 19)에 닿으려고 했을 때, 각 미스트(H, C)와 사용자 손 사이에 캡(21)이 위치함으로써, 사용자(P)가 각 미스트(H, C)에 직접 닿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5) 캡(21)은, 노즐 커버(20)(본체(11))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자재로 가능하게 구성했다. 이 때문에 미용기(10)가 낙하된다든지, 사용자(P)에 의하여 캡(21)에 무리한 힘을 준다든지 했을 경우에, 캡(21)이 노즐 힌지부(35)와 함께 노즐 커버(20)에서 벗겨짐으로써, 캡(21)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캡(21)이 파손된 경우, 캡(21)만을 교환하면 되고, 본체(11)를 계속해서 사용함으로써 자원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16) 캡(21)은 본체 커버(13)가 닫히면, 본체 커버(13)의 닫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리브(13c)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보호 자세(하방)로 이동되며, 본체 커버(13)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본체 커버(13)를 크게 형성할 필요 없이, 본체 커버(13)를 닫은 상태의 미용기(10)를 소형화(컴팩트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스페이스에 미용기(10)를 수납할 수 있다.
(17) 캡(21)은, 토션 코일 스프링(B2)의 가압력에 의해 분사 자세를 지지한다. 이 때문에 본체 커버(13)가 열리면, 캡(21)은 가압력에 의해 분사 자세로 복귀한다. 따라서 사용자(P)가 노즐 커버(20)에 캡(21)을 설치하는 것을 잊는다든지, 분사 자세로 회전 운동시키는 것을 잊는다든지 하는 것으로, 캡(21)이 보호 자세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 또한 분사 자세를 취한 상태로 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캡(21)에 의해 사용자(P)를 보호할 수가 있다.
(18) 방향 볼(121)은 방향 용기(HY)에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11)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향제가 저장된 방향 볼(121)를 단독으로 취급할 필요가 없어지며, 사용자(P)가 잘못하여 방향제가 손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볼(121)의 취급이 용이해지며, 사용자(P)가 낙하시킨다든지 넘어뜨린다든지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 측에 방향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손에서 방향제의 적하 작업을 행하기 쉽고, 실수로 방향제를 방향 볼(121)의 내부(오목부(121b))외의 장소에 적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9) 방향 볼(121)은, 방향 용기(HY)의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방향 볼(121)을 사용한 후에 지지부재(120)에서 꺼냄으로써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20) 방향 볼(121)의 개구 테두리부에, 폴더부(121a)를 형성했다. 이 때문에 방향 볼(121)을 넘어뜨린 경우에도, 방향제는 폴드부(121a)에 의해 막혀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21) 각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이 하한 방향 측이 되도록 노즐 커버(20)를 하방으로 조정한 경우, 방향 용기(HY)는, 미스트 가이드(20b)에 간섭(접촉)되어 상방(각 미스트(H, C)측)에 설치되지 않도록 했다. 이 때문에 사용자(P)는 방향 용기(HY)를 꺼내기 위해서는, 각 미스트(H, C)의 분사 방향이 상한 방향 측이 되도록 노즐 커버(20)를 상방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사용자(P)에 대해, 노즐 커버(20)를 상방으로 조정하고, 각 미스트(H, C)와 방향 용기(HY) 사이에 손을 넣는 공간을 확보하고 나서 방향 용기(HY)를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2) 방향 발생부(15)를,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와는 별개로 구성했다. 이 때문에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의 온 미스트 히터(41a)나 온 미스트(H)의 열에 의해 방향 용기(HY)에 저장된 방향제의 휘발이 촉진되는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용 팬(94)의 송풍이나, 방향 볼(121)에 의한 휘발량 조정이 용이해진다.
(23) 휘발시킨 방향제를, 각 미스트(H, C)와 혼합시킨 상태에서 집중적으로 사용자(P)에게 보낼 수 있도록 했다. 이 때문에, 방 전체에 향기를 발생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량의 방향제의 휘발량으로, 사용자(P)에게 방향(향기)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제의 사용량을 저감시켜서 절약할 수 있다.
(24) 방향제를 저장하는 향기 용기(HY)(방향 볼(121))를, 각 미스트(H, C)가 통과하지 않도록 송풍 경로(S2) 내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방향 볼(121)에 저장시킨 방향제와, 각 미스트(H, C)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액체의 방향제를 포함한 각 미스트(H, C)가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P)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25) 방향 용기(HY)에는, 고무 부재(125)가 돌출되어 수용실(93a)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배설하였다. 이로 인해 방향 용기(HY)를 수용실(93a)에서 꺼낼 때, 고무 부재(125)와 수용실(93a)의 내벽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압상 스프링(104)의 가압력에 의해, 방향 용기(HY)가 본체(11)(수용실(93a))에서 갑자기 튀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6) 방향 볼(121)을, 커버 부재(123)와 지지부재(120)로 덮으면서, 방향 용기(HY) 내에 방향 볼(121)과 각 부재(123, 120) 사이에 공간을 설치했다. 이 때문에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나 냉 미스트 발생 기구(60)를 구성하는 각 히터(41a, 64) 열이 방향 볼(121)에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가 각 히터(41a, 64)의 열에 의해 휘발이 촉진되는 등의 영향을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용 팬(94)의 송풍이나 방향 볼(121)에 의한 휘발량의 조정이 쉬워진다.
(27) 방향 방출구(15a)를 액체의 방향제가 통과하기 어려운 눈 크기의 격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P)는 방향 용기(HY)를 본체(11)에서 꺼내면서, 커버 부재(123)를 꺼내지 않으면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적하시킬 수 없다. 즉, 방향 용기(HY)가 본체(11)(수용실(93a))에 수용된 상태인 채로, 사용자(P)에 의해 방향 볼(121)로 방향제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저장한 상태로 방향 용기(HY)를 넘어뜨려도, 방향제가 방향 방출구(15a)에서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8) 방향 방출구(15a)의 격자 눈의 크기는 사용자(P)가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에서 방향 볼(121)로 방향제를 낙하시키고 싶은 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크기(촘촘함)로 하였다. 이로 인해 방향 용기(HY)가 본체(11)(수용실(93a))에 수용된 상태인 채로 사용자(P)에 의해 방향 볼(121)로 방향제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9에서 나타내듯이, 노즐 커버(20)의 후방을 덮듯이 노즐 힌지(36)의 좌우 양단에서 널빤지 형상으로 연장시켜서 설치한 지지부(36f)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지지부(36f)의 내측에 오목부(36g)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오목부(36g)에 대응하는 노즐 커버(20)의 양측면에 오목부(36g)와 계합하는 볼록부(20c)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널빤지 형상의 지지부(36f)가 휘어지기 쉬우므로, 캡(21)을 노즐 커버(20)에 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21)을 분사 자세로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수단으로, 코션 코일 스프링(B2) 외의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0a에서 나타내듯이, 캡(21)에 형성된 계합부(21c)를 노즐 커버(2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듯이 형성된 가이드부(20d)에 계합시키고, 캡(21)을 노즐 커버(20)에 대해 전후 방향(화살표(Y5)로 나타냄)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B3)의 일단을 캡(21)의 후부에 고정시키는 한편, 다른 단부를 노즐 커버(20)에 고정시켜서, 캡(21)의 후부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압해도 된다. 또한 도 20b에서 나타내듯이, 캡(21)과 노즐 커버(20) 사이에 코일 스프링(B4)을 배설시키고, 캡(21)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압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캡(21)은, 언제나 코일 스프링(B3, B4)의 가압력에 의해 분사 위치에 지지됨과 동시에, 사용자(P)의 손(HP)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어 보호 자세가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21)에는 해당 캡(21)의 분사 자세에서 보호 자세로의 이동과 연동하여, 온 미스트 분사구(18a)에서 분사되는 온 미스트(H)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설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1a에서 나타내듯이 캡(21)이 보호 자세로 된 상태에서 온 미스트 분사구(18a)에 대해 평행으로 배설되며 또한 온 미스트 분사구(18a)의 거의 전면을 덮듯이, 캡(21)의 내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벽 형상의 차단부(F1)를 입설시킨다. 또한 도 21b에서 나타내듯이 캡(21)이 보호 자세가 된 상태에서, 온 미스트 분사구(18a)에 삽입되듯이 선단부가 거의 원추형으로 형성된 차단부(F2)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각 차단부(F1, F2)는 캡(21)이 분사 자세로 된 경우, 온 미스트(H)의 분사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캡(21)이 보호 자세가 되면, 각 차단부(F1, F2)에 의해 온 미스트(H)가 차단되어, 온 미스트(H)가 온 미스트 분사구(18a)에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P)의 손(PH)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온 미스트 분사구(18a)가 각 차단부(F1, F2)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온 미스트 노즐(18)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각 차단부(F1, F2)와 온 미스트 분사구(18a) 사이의 틈에서 온 미스트(H)가 분사됨으로써 단열 팽창에 의해 온 미스트(H)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P)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방출구(15a)는 격자 형상이 아니고 여러 개의 둥근 홀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방향 방출구(15a)에 형성된 각 둥근 홀의 직경은, 방향용 팬(94)이 반송하는 공기의 분사를 방해하지 않는 크기이며, 또한 액상의 방향제가 표면 장력에 의해 둥근 홀 가운데에서 지지되어 통과하기 어려운 직경으로 한다. 또한 방향 방출구(15a)의 각 둥근 홀의 직경은, 사용자(P)가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에서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적하하고 싶어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크기(촘촘함)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 용기(HY)가 본체(11)(수용실(93a))에 수용된 상태 채로, 사용자(P)에 의해 방향 볼(121)로 방향제가 적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용기(HY)를 넘어뜨릴 경우에 방향제가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2에서 나타내듯이, 커버 부재(123)의 내부에 방향 볼(121)의 개구의 일부를 덮는 가리개(123h)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도 사용자(P)는 방향 용기(HY)를 본체(11)에서 취출과 동시에, 커버 부재(123)를 꺼내지 않으면,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적하시킬 수 없다. 또한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에서 방향 용기(HY)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 볼(121)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P)가 방향 방출구(15a)의 상방에서 방향 볼(121)에 방향제를 낙하하고 싶어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용기(HY)를 넘어뜨려 버릴 경우 등, 방향제가 외부로 튀어 나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21b)는 적하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3a에서 나타내듯이, 방향 볼(121)의 저부에 원륜형의 볼록벽(121e)을 설치하여서 원형의 오목부(121b)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오목부(121b)에 적하된 방향제의 표면적은, 방향제의 적하량이 오목부 용적을 초과하지 않는 소정의 양의 경우, 오목부(121b)가 형성된 부분의 면적 이상으로는 퍼지지 않는다. 나아가 오목부 용적을 초과하는 양의 방향제를 낙하한 경우, 방향제의 표면적은 경사부(121c)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적하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방향제의 휘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3b에서 나타내듯이 방향 볼(121)의 저부의 중앙에 거의 원추형으로 돌출된 볼록부(121f)를 형성함으로써 볼록부(121f)의 주위에 원륜형의 오목부(121b)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오목부(121b)는 적하된 방향제의 표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21b)의 형상은 반원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당히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평면 육각형으로 방향 볼(121)의 저부에 빈틈없이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제의 표면적을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오목부(121b)를 격리시키는 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용기(1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제어를 제어부(31a)에서 수행하지 않고, 방향 발생부(15)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향 제어부를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21)이 보호 자세 측으로 이동된 것을 검지하여 각 미스트(H, C)의 발생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1b에서 나타내듯이, 힌지부(32)에 자석(21d)을 배설함과 동시에, 노즐 커버(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식의 캡 스위치(129)를 설치한다. 캡 스위치(129)는 제어부(31a)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31a)는 캡(21)이 분사 자세에서 보호 자세로 이동된 것을 검지하여 캡 스위치(129)가 출력하는 ON 신호를 입력하면, 각 미스트(H, C)의 분사(발생)를 정지시키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한다. 이에 따르면 캡(21)이 보호 자세 측으로 이동되면 각 미스트(H, C)의 분사가 정지되며, 사용자(P)의 손(PH)으로 각 미스트(H, C)가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미스트(H, C)의 분사량이 감소되도록 전원 회로 기판(30)을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캡 스위치(129)는 리드 스위치 식으로 바꿔서 기계식 검지 스위치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미스트 노즐(18, 19)은 본체(11)에 전후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세로로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 방향 방출구(15a)는 정면에서 봤을 때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되는 방향과 각 미스트(H, C)를 혼합하여 일체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스트 노즐을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방향 방출구(15a)는, 양단에 위치하는 미스트 노즐 사이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각 미스트 노즐에서 분사되는 미스트(H, C)를 향하여 방향을 방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미스트 노즐에서 분사되는 미스트 사이의 방향 세기의 불균일함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스트 노즐을 하나만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스트 노즐에서 분사하는 미스트는 온 미스트(H) 및 냉 미스트(C) 중 어느 한쪽만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방출구(15a)는 온 미스트 노즐(18)과 냉 미스트 노즐(19) 사이에 위치하도록 노즐 커버(20)에 배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되는 방향과, 각 미스트(H, C)를 혼합하여 일체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방출구(15a)는 온 미스트 분사구(18a)(온 미스트 노즐(18))와 냉 미스트 분사구(19a)(냉 미스트 노즐(19))의 중앙에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방향 방출구(15a)는 온 미스트 분사구(18a)(온 미스트 노즐(18))와 냉 미스트 분사구(19a)(냉 미스트 노즐(19))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되는 방향과 각 미스트(H, C)를 혼합하여 일체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31a)는 소정의 시간마다 발생시키는 방향의 세기(농도)를 저감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사용자(P)의 방향에 대한 후각 강도를 회복시켜서 계속해서 방향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방출구(15a)에서 분사시키는 공기 흐름의 속도는 적당히 변경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 미스트(H)와 냉 미스트(C)를 동시에 분사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 미스트(C)만을 분사하는 사용 코스를 설정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부재(125)로 바꾸어서 커버 부재(123) 또는 수용실(93a)에 돌기나, 판 스프링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향 용기(HY)가 수용실(93a)에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볼(121)은 도자기제나 플라스틱제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볼(121)은 금속제로 하였지만, 플라스틱제로 된 일회용 용기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같은 방향 볼(121)을 몇 번이나 사용함으로 인해 방향제의 방향이 섞여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지지부재(120)와 일체로 방향 볼(121)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재료의 사용량, 코스트, 방향 볼(121)의 보존 스페이스, 및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21b)의 크기나 수, 경사부(121c)의 각도나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방향 볼(121)를 준비하여, 발생시키는 방향의 세기(농도)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열 부재(68)에 의한 공냉을 피하고, 수냉식 냉각부(62)로 한다든지, 펠체 소자를 이용하여 냉각시킨다든지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가열 처리부(61)로 가열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31a)의 제어에 의한 히터를 이용하여 방향 볼(121)에 저장된 방향제를 휘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히터가 휘발 수단을 구성하여, 해당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a)가 조정 수단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기구(99)를 본체(11)의 저면 외의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즉, 흡기구(99)는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출(분사)된 방향을 재 흡입되기 어려운 장소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흡기구(99)를 본체(11)의 후방 측면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볼(121)을 지지부재(120)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도 방향 볼(121)을 단독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도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볼(121)의 형상은 평면 원형이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면 다각형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용 팬(94)이 반송하는 공기를 방향 볼(121)의 하방에서 반송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전방에서 반송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방향 변경부(126)는 전방에서 반송되는 공기가 방향 볼(121)의 거의 전주(全周)에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진로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방출구(15a)는, 각 미스트 분사구(18a, 19a) 사이에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을 평면 원형으로 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네모반듯한 방형, 다각형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온 미스트(H)와 냉 미스트(C)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방향 방출구(15a)에서 방향을 방출하며, 각 미스트(H, C)에서 방향의 세기(농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음파에 의한 액체(물)를 미스트화하여 미스트 노즐에서 분사시켜도 된다.

Claims (6)

  1. 온 미스트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온 미스트를 분사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온 미스트 노즐(18)을 포함하는 온 미스트 발생 기구(40); 및
    사용자(P)의 손(PH)이 상기 온 미스트 노즐(18)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동식 보호구(21)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21)는, 상기 온 미스트가 상기 온 미스트 노즐(18)에서 사용자(P)를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온 미스트 노즐(18)의 상부를 적어도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1)는 상기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본체 커버(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 미스트 노즐 및 상기 보호구(21)는, 닫힌 상태의 상기 본체 커버(13)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본체 커버(13)를 닫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보호구(21)는 상기 제2 위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1)는 차단부(F1, F2)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부(F1, F2)는, 상기 보호구(21)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온 미스트 노즐(18)의 분사구(18a)에 대면하여 상기 온 미스트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1)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복귀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 미스트 발생 기구는, 액체를 가열하여 온 미스트를 생성하는 히터(41a)를 포함하며,
    상기 미스트 발생 장치는,
    상기 보호구(21)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의 이동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온 미스트의 분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히터(41a)에 대해 통전(通電)을 제어하는 제어부(3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장치.
KR1020090025884A 2008-03-26 2009-03-26 미스트 발생 장치 KR20090102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9866A JP4661893B2 (ja) 2008-03-26 2008-03-26 ミスト発生装置
JPJP-P-2008-079866 2008-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15A true KR20090102715A (ko) 2009-09-30

Family

ID=4056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884A KR20090102715A (ko) 2008-03-26 2009-03-26 미스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05118A1 (ko)
JP (1) JP4661893B2 (ko)
KR (1) KR20090102715A (ko)
CN (1) CN101543457B (ko)
RU (1) RU2406540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05A (ko) * 2020-10-19 2022-04-26 굿잡컴퍼니 주식회사 스마트 방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8613B (zh) * 2009-09-24 2014-06-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雾发生装置、以及美容装置
JP5103499B2 (ja) * 2010-03-26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JP2011200569A (ja)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ミスト発生装置、及び美容装置
JP5147895B2 (ja) * 2010-05-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美容装置
CN101884590A (zh) * 2010-06-03 2010-11-17 珠海市东部金陆电器有限公司 一种蒸气喷雾机
JP2012029803A (ja) * 2010-07-29 2012-02-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5384575B2 (ja) * 2011-07-20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美容装置
US9408936B2 (en) * 2014-07-25 2016-08-09 Alfred Esses Air freshener
CN105919265A (zh) * 2016-04-25 2016-09-07 杭州清稞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纳米水离子和空气净化于一体的吹风机
CN105795675B (zh) * 2016-05-17 2023-11-03 杭州清稞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无叶风扇型纳米水离子吹风机
CN106265030A (zh) * 2016-08-10 2017-01-04 哈尔滨康华健医药科技有限公司 三位一体熏蒸治疗鼻炎的治疗仪及鼻腔外用膏、熏蒸包
RU207899U1 (ru) * 2021-08-15 2021-11-23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елижан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зольтерапи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54U (ja) 1992-07-15 1994-02-08 ホーチキ株式会社 大空間向消火システム
JPH1015049A (ja) 1996-06-28 1998-01-20 Nippon Dennetsu Co Ltd 芳香装置
JP2001353024A (ja) * 2000-06-15 2001-1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容器具
JP2002209972A (ja) * 2001-01-18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容器具
JP4077189B2 (ja) * 2001-11-21 2008-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エステティック協会 スチーム発生装置
US6904624B2 (en) * 2002-06-18 2005-06-14 Conair Corporation Sauna
JP4063135B2 (ja) * 2003-04-21 2008-03-19 松下電工株式会社 足シャワー装置
JP4345715B2 (ja) * 2004-06-14 2009-10-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チーム発生器
ATE403411T1 (de) * 2004-06-14 2008-08-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ampferzeuger
JP4270231B2 (ja) * 2006-07-12 2009-05-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足浴器
JP2008035985A (ja) * 2006-08-03 2008-0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サウ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05A (ko) * 2020-10-19 2022-04-26 굿잡컴퍼니 주식회사 스마트 방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61893B2 (ja) 2011-03-30
CN101543457A (zh) 2009-09-30
RU2009110908A (ru) 2010-09-27
JP2009232939A (ja) 2009-10-15
EP2105118A1 (en) 2009-09-30
RU2406540C1 (ru) 2010-12-20
CN101543457B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715A (ko) 미스트 발생 장치
JP5081681B2 (ja) ミスト発生装置
KR20090102714A (ko) 방향 발생 장치 및 미스트 발생 장치
JP4872810B2 (ja) 美容器
ES2927548T3 (es) Dispositivo de inhalación electrónico
US6973683B2 (en) Bath apparatus
KR101093852B1 (ko) 미용가습기
JP2008295813A (ja) 美容器
JP2009232940A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13032867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5919526B2 (ja) ミスト発生装置
ES2308392T3 (es) Cubiculo de ducha.
CN111297560A (zh) 一种眼科保健用湿雾治疗仪
US11660366B2 (en) Air scenting appliance for a vehicle
JP2018053416A (ja) 服内環境冷却装置
JP2009232938A (ja) ミスト発生装置
CN211884545U (zh) 熏蒸仪
CN211884544U (zh) 熏蒸仪
JP2013032866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07151959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CN211884543U (zh) 熏蒸仪
CN212090207U (zh) 熏蒸仪
CN111135055A (zh) 熏蒸仪
JP5462707B2 (ja) 加湿器
JP2024042549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