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696A - 통합운송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운송관리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696A
KR20090101696A KR1020080026994A KR20080026994A KR20090101696A KR 20090101696 A KR20090101696 A KR 20090101696A KR 1020080026994 A KR1020080026994 A KR 1020080026994A KR 20080026994 A KR20080026994 A KR 20080026994A KR 20090101696 A KR20090101696 A KR 2009010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nsport
transportation
database
cb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준
Original Assignee
글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696A/ko
Publication of KR2009010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자동환산하여 차량을 적재적소에 배차하고, 배차된 차량에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절한 화물적재가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운행하는 차량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화물의 입고시점을 예상할 수 있게 한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화주로부터 접수되는 납품오더를 해당 납기일에 맞춰 운송오더로 자동 변환하고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산출된 차량 소요량에 따라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한 최적운송경로에 의해 적절하게 배차될 수 있게 하며, 각 거점별로 전자태그(RFID - Tag)를 부착하여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화물 및 화물 용기사양에 의해 적절한 적재우선순위 및 위치를 제안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통합운송관리시스템{INTEGRATED ALLOCATION OF VEHICLE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통합운송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자동환산하여 차량을 적재적소에 배차하고, 배차된 차량에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절한 화물적재가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운행하는 차량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화물의 입고시점을 예상할 수 있게 한 통합운송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은 화물운송에 필요한 차량을 배치하고, 배치된 차량에 화물을 적재하여 화주에게 운송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화주에게 운송되고 있다. 차량의 배차는 운송량에 필요한 소요차량수를 수작업으로 계산하거나 어림짐작으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단순한 시스템으로 노선만을 관리하여 운송하고 있으며, 다른 거점에서의 화물적재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하게 적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잦은 수요변동으로 인해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정확하게 환산하지 못하고, 단순히 운송상황에 맞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되어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경우, 불필요하게 큰 차량을 배차하여 적재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거나 작은 차량을 배치하여 추가적으로 배차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하지 못한 배차방식은 낮은 적재율로 수송비를 낭비하게 하여 기회손실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우선순위가 없어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자동환산하여 차량을 적재적소에 배차하고, 배차된 차량에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절한 화물적재가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운행하는 차량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화물의 입고시점을 예상할 수 있게 한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화주로부터 접수되는 납품오더를 해당 납기일에 맞춰 운송오더로 자동 변환하고,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산출된 차량 소요량에 따라 배차되는 차량이 예상도착시간에 맞추어 정해진 노선에 따라 상차한 후 순회하며 화주사를 경유할 수 있게 하여 화주의 화물을 적재하게 하는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와, 매일 해당 노선의 운송정보가 발생된 해당 협력사의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한 최적운송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와, 각 거점별로 전자태그(RFID - Tag)를 부착하여 통과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의 3자간 공유가 가능하게 하는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해당 노선의 화물 및 화물 용기사양에 의해 적절한 적재우선순위 및 위치를 제안하여 차량의 배차를 수행하는 적재우선순위 제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통합운송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차량대수 자동환산부에서는, 포장용기형태, 포장용기규격, 차량 톤(ton)별 CBM, 부품별 수납수, 권역/노선별 업체현황을 기준정보로 하고, [필요 CBM / 차량 CBM = {(납품량/수납수) * (용기가로 * 용기세로 * 용기높기)} / 차량 CBM] 의 공식에 의해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CBM(Cubic Meter) : 최적용적크기(평방미터당 부피)
필요 CBM : 필요 최적용적크기
차량 톤(ton) 별 CBM : 차량 톤(ton)별 최적용적크기]
상기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해당 협력사의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하고, [Z=]의 공식에 의해 최적운송경로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Z : 최적운송경로시간, 제약조건 : Z≤480, X₁Y₁> 0]
상기 적재우선순위 제안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용기재질〉수납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재질우선순위는 스틸(steel) > 플라스틱(plastic) > 슬리브(sleeve) > 댄피아(danpia) > 카툰 박스(carton box)로 하여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자동환산하여 차량을 적재적소에 배차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배차된 차량에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적절한 화물적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운행하는 차량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화물의 입고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사 등 3자간의 통합된 정보공유에 의해 정확하고 안정적인 화물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적재율 향상과 공차제거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자동화된 정보접근에 의해 업무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여 업무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의 전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더(order) 관리현황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계획현황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실행현황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처리화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차지시화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위치추적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합운송관리시스템, 102 : MILK-RUN SYSTEM,
104 : U-JIT, 106 : VAATZ,
108 : CKD센터, 109 : 3PL,
110 :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
120 :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
130 :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
140 : 적재우선순위 제안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요용어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MILK RUN SYSTEM: 화주측 차량으로 해당 화물을 순회하여 집하하는 것을 의미한다.
VAATZ (Value Advanced Automative Trade Zone) : 구매, 조달, 자재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를 의미한다.
U- JIT (Just In Time) : 양과 질에 있어서 평준화된 물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적시적소에 필요한 만큼 물건을 공정에 따라 보냄으로써 리드타임(Lead time)감소와 공정 간의 밸런스 유지, 재고 감소, 가공작업이외의 작업 감소 등을 유출해 낼 수 있는 체계를 의미한다.
CKD(Completely Knock Down) : 부품을 해체할 수 있는데까지 해체하여 수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송된 부품은 목적지에서 조립되어 완성품을 이루게 된다.
3PL (3rd Party Logistics) : 물류 관련비용의 절감을 위해 제품 생산을 제외한 물류 전반을 특정 물류 전문업체에게 위탁하는 것으로, 전문 물류 회사가 제품의 생산공정으로부터 고객에게 이르는 전 단계에 걸친 복수의 물류기능을 하나로 묶어 통합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운송관리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차량 소요량에 따라 배차된 차량에 화주의 화물을 적재하게 하는 차량 소용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와, 최적운송경로를 제공하는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120)와,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130) 및 화물의 적절한 적재우선순위 및 위치를 제안하는 적재우선순위제안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통합운송관리시스템(100)은 밀크 런 시스템(Milk - Run System : 해당화물을 순회하여 집하하는 시스템)(102)에 의해 운영된다. 통합운송관리시스템(100)은 U-JIT(104), VAATZ(106), CKD(108) 및 3PL(109)을 종합적으로 채택하여 운영된다.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주로부터 접수되는 납품오더를 해당 납기일에 맞춰 운송오더로 자동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환된 운송오더는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 등의 3자간에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게 한다.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차량 소요량을 산출하게 된다. 차량 소요량 계산은 밀크 런 시스템(102)에 등록된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수행한다. 이 경우, 기준정보는 용기형태, 용기규격, 차량 톤(ton) 별 CBM, 부품별 수납수, 권역/노선별 업체현황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요 CBM / 차량 CBM은, {(납품량/수납수) * (용기가로 * 용기세로 * 용기높기)} / 차량 CBM 의 공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CBM(Cubic Meter)은 최적용적크기(평방미터당 부피)로, 필요 CBM은 필요 최적용적크기로, 차량 톤(ton) 별 CBM은 차량 톤(ton)별 최적용적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톤수 차량 CBM 비고
11톤(ton) 5000 CBM=가로*세로*높이
9톤(ton) 2500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표 1'에서와 같이, 차량 종류별로 CBM을 산출하여 기준정보에 등록한다.
용기 CBM 비고
5호 박스(box) 100 CBM = 가로*세로*높이
10호 박스(box) 200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표 2'에서와 같이, 용기별 CBM을 산출하여 기준정보에 등록한다.
부품 용기 수납수량
백미러 5호 박스(box) 10
타이어 10호 박스(box) 10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표 3'에서와 같이, 부품별로 용기의 수납수량을 기준정보에 등록한다.
부품 용기 PO수량 용기수량 CBM
백미러 5호 박스(box) 50 5 500
타이어 10호 박스(box) 100 10 2000
물량합계 150 15 2500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표 4'에서와 같이, 납입지시 기준으로 일자별 운송물량을 집계한다.
차량톤수 차량CBM 총물량(CBM) 적재율 소요차량
11톤(ton) 5000 2500 50% 0.5대
9톤(ton) 2500 2500 100% 1.0대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는, '표 5'에서와 같이, 운송물량을 차량 적재시 적재율 및 차량 소요량을 계산한다.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에서의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처리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web) 화면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차량 소요량에 따라 배차된 차량의 운송일자, 도착시간, 차량 톤수, 운전기사, 차량번호, 노선 및 경유지를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사간에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배차된 차량은 시스템에 예상도착시간에 따라 화주사에 도착할 수 있다. 차량은 정해진 노선에 따라 상차 후, 순회하여 한번의 배차로 화주사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110)와 연계되어 구비된다.
협력사 운송량(CBM) 지역 운송거리 평균운송시간
A사 15 대전 98㎞ 2시간
B사 35 천안 50㎞ 1시간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120)는, '표 6'에서와 같이, 매일 해당 노선의 운송정보가 발생된 해당 협력사의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한 최적운송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이에 의해, 기점별 제원정보(예를 들어, 해당화물의 출고 또는 입고, 차량수, 배차상황 등)를 DB설정하에 운송계획법 로직 베이스(Logic Base)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산출된 최적운송경로를 산출하여 배차하는 경로제안 배차지시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웹 화면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120)에서는, '표 7'에서와 같이, 출발지, 도착지 및 이동시간을 기준정보로 하여 최적경로를 산출하고, 이 중, 가장적게 소요된 시간의 이동경로를 최적운송경로로 제안하게 된다.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130)는,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거점별로 전자태그(RFID - Tag)를 부착하여 통과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130)는 획득된 화물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 등 3자간에 공유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차정보에 해당 차량 및 운송화물정보가 있기 때문에 화물의 품목별, 화물의 품목번호별, 오더번호별로 화물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화물의 입고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주사로의 생산이나 포장작업계획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다.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서의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은, 도 8과 같이, 웹 화면상에 구현될 수 있다.
적재우선순위제안 데이터베이스(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130) 등과 연계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적재우선순위제안 데이터베이스(140)는 해당 노선의 화물 및 화물 용기사양에 의해 적절한 적재우선순위 및 위치를 제안하여 차량의 배차를 수행한다.
순위 부품번호 용기 용기수량 무게
2 22116-3C100 Carton Box 12 153.24
1 11230-06126B BOLT-WASHER ASSY 15 235.8
1 11234-12306K BOLT-WASHER ASSY 15 250.8
적재우선순위제안 데이터베이스(140)는, '표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우선순위는 용기재질〉수납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용기재질우선순위는 스틸(steel) > 플라스틱(plastic) > 슬리브(sleeve) > 댄피아(danpia) > 카툰 박스(carton box)로 하여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제안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적재율을 높여 최적의 차량배차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화주로부터 접수되는 납품오더를 해당 납기일에 맞춰 운송오더로 자동 변환하고, 산출된 운송오더를 기준으로 산출된 차량 소요량에 따라 배차되는 차량이 예상도착시간에 맞추어 정해진 노선에 따라 상차한 후 순회하며 화주사를 경유할 수 있게 하여 화주의 화물을 적재하게 하는 차량 소요량 자동환산 데이터베이스;
    매일 해당 노선의 운송정보가 발생된 해당 협력사의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한 최적운송경로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
    각 거점별로 전자태그(RFID - Tag)를 부착하여 통과 차량의 화물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협력사, 운송사 및 화주의 3자간 공유가 가능하게 하는 자동위치 추적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해당 노선의 화물 및 화물 용기사양에 의해 적절한 적재우선순위 및 위치를 제안하여 차량의 배차를 수행하는 적재우선순위 제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운송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대수 자동환산부에서는,
    포장용기형태, 포장용기규격, 차량 톤(ton)별 CBM, 부품별 수납수, 권역/노선별 업체현황을 기준정보로 하고, [필요 CBM / 차량 CBM = {(납품량/수납수) * (용기가로 * 용기세로 * 용기높기)} / 차량 CBM] 의 공식에 의해 필요한 차량 소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운송관리시스템.
    [CBM(Cubic Meter) : 최적용적크기(평방미터당 부피)
    필요 CBM : 필요 최적용적크기
    차량 톤(ton) 별 CBM : 차량 톤(ton)별 최적용적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운송경로제공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해당 협력사의 운송거리 또는 운송량을 기준정보로 하고, [Z=]의 공식에 의해 최적운송경로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운송관리시스템.
    [Z : 최적운송경로시간, 제약조건 : Z≤480, X₁Y₁> 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우선순위 제안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용기재질〉수납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재질우선순위는 스틸(steel) > 플라스틱(plastic) > 슬리브(sleeve) > 댄피아(danpia) > 카툰 박스(carton box)로 하여 최적의 적재우선순위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운송관리시스템.
KR1020080026994A 2008-03-24 2008-03-24 통합운송관리시스템 KR20090101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94A KR20090101696A (ko) 2008-03-24 2008-03-24 통합운송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94A KR20090101696A (ko) 2008-03-24 2008-03-24 통합운송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96A true KR20090101696A (ko) 2009-09-29

Family

ID=4135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994A KR20090101696A (ko) 2008-03-24 2008-03-24 통합운송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696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5638A1 (en) * 2012-11-27 2014-06-05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tracking using combined near field and far fiel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N105279625A (zh) * 2015-09-22 2016-01-27 慈溪市达飞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快递运送系统及运送方法
KR20180082269A (ko) * 2017-01-10 2018-07-18 유로지스넷 주식회사 순환물류용기를 이용한 화물의 물류정보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6948B1 (ko) 2018-05-24 2019-11-20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자동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68061A (ko) 2018-11-27 2020-06-15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KR102142221B1 (ko) * 2019-08-27 2020-08-06 심언섭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자동스케줄링 및 배정과 배차관리 시스템
KR102142222B1 (ko) * 2019-08-27 2020-08-06 심언섭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운송관리방법
KR20200130194A (ko) 2020-10-05 2020-11-18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CN112232744A (zh) * 2020-10-24 2021-01-15 江苏智临物流有限公司 一种货物匹配车辆方法及系统
CN112862383A (zh) * 2019-11-26 2021-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6976605A (zh) * 2023-07-26 2023-10-31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CN117455341A (zh) * 2023-12-25 2024-01-26 华东交通大学 一种智能化车货匹配灵活调优方法
CN112862383B (zh) * 2019-11-26 2024-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5638A1 (en) * 2012-11-27 2014-06-05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tracking using combined near field and far fiel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N105279625A (zh) * 2015-09-22 2016-01-27 慈溪市达飞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快递运送系统及运送方法
KR20180082269A (ko) * 2017-01-10 2018-07-18 유로지스넷 주식회사 순환물류용기를 이용한 화물의 물류정보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46948B1 (ko) 2018-05-24 2019-11-20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자동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8061A (ko) 2018-11-27 2020-06-15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KR102142221B1 (ko) * 2019-08-27 2020-08-06 심언섭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자동스케줄링 및 배정과 배차관리 시스템
KR102142222B1 (ko) * 2019-08-27 2020-08-06 심언섭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운송관리방법
CN112862383A (zh) * 2019-11-26 2021-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2862383B (zh) * 2019-11-26 2024-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30194A (ko) 2020-10-05 2020-11-18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CN112232744A (zh) * 2020-10-24 2021-01-15 江苏智临物流有限公司 一种货物匹配车辆方法及系统
CN116976605A (zh) * 2023-07-26 2023-10-31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CN116976605B (zh) * 2023-07-26 2024-03-19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CN117455341A (zh) * 2023-12-25 2024-01-26 华东交通大学 一种智能化车货匹配灵活调优方法
CN117455341B (zh) * 2023-12-25 2024-04-02 华东交通大学 一种智能化车货匹配灵活调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1696A (ko) 통합운송관리시스템
Battini et al. Just-in-Time supermarkets for part supply in the automobile industry
CN102496101A (zh) 物流供应链管理系统
CN103914762A (zh) 基于rfid技术的成品粮智能出入库系统和方法
CN111815231B (zh) 一种物流平台智能拼车方法及系统
CN113077211A (zh) 基于大数据和智慧物联网的运输金融资产监管系统和监管方法
US6560508B1 (en) Standard parts metering system
CN107918843A (zh) 物流供应链管理系统
Correa Issi et al. Mathematical optimization model for truck scheduling in a distribution center with a mixed service-mode dock area
De Koster Warehouse assessment in a single tour
US20180374031A1 (en) Transportation adjustments based on recommended shipping packages
CN108416550B (zh) 供应链及应用供应链进行货物供应的方法
Drury et al. Buildings for industrial storage and distribution
KR101440612B1 (ko) 화물 적재방법
Thapa et al. Cross-Docking Operations for Supply Chain Logistics in JI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Kappauf et al. Warehouse logistics and inventory management
Novack et al. Rethinking Integrated Concept Foundations: A Just‐in‐TimeArgument for Linking Production/Operations and Logistics Management
Grunewald et al. Multi-item single-source ordering with detailed consideration of transportation capacities
Kadłubek Transportation And Logistic Services In Poland
Jacyna-Gołda et al. Logistics service for companies by warehouse facilitie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in the logistics network
Schönsleben Order Release and Control
Raki An application of RFID in supply chain management to reduce inventory estimation error
CN116128409A (zh) 一种基于仓储实时数据的共享管理系统
Dyomin et al.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n Logistics Systems
Pfohl Production Log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