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12B1 - 화물 적재방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612B1
KR101440612B1 KR1020120051043A KR20120051043A KR101440612B1 KR 101440612 B1 KR101440612 B1 KR 101440612B1 KR 1020120051043 A KR1020120051043 A KR 1020120051043A KR 20120051043 A KR20120051043 A KR 20120051043A KR 101440612 B1 KR101440612 B1 KR 10144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argo
vehicle
inform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263A (ko
Inventor
정상문
Original Assignee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6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 적재함에 있어 최적의 적재방법과 최적의 이송경로를 제시하여 고유가 시대에 운송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차량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싣기 위해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제1단계,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의 순서에 따라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그룹화하고 운전자에게 상차 예정시간을 통보하는 제2단계, 운전자에게 특정 차량의 입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골판지 원단 및 상자의 상차를 지시하는 제3단계, 3차원 기반의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룹화된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차량 적재함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에 따라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는 제4단계 및 상차 완료시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 적재방법{freight carrying method}
본 발명은 화물 적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 적재함에 있어 최적의 적재방법과 최적의 이송경로를 제시하여 고유가 시대에 운송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차량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적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방법에 있어 화물 적재 특유의 시뮬레이션이 적용되는데, 이 시뮬레이션의 기본방법은 3차원(3D)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화물 적재방법 및 시스템은 골판지 원단과 골판지 상자의 적재와 운송을 실시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제품의 적재 및 운송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배차시스템은 무전기를 이용하여 기업화주 및 개인화주, 화물주선업체가 운송할 물품이 맞는 차주를 찾고, 사람이 직접 화주와 차주를 연결해주는 콜센터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1개 이상의 차주 및 화주가 1개의 지정 화주에게 공차등록 및 화물 배송 의뢰를 할 시 음성 위주의 유,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거래와 관련된 의사소통을 하게 되며, 공차등록 요청한 차주 및 화물 배송을 의뢰한 화주의 요청사항은 수기 작성 및 배차일지프로그램에 재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관련 근거 서류를 작성한다.
차주는 기업화주 및 개인화주, 화물주선업체에서 발신하는 무전기의 내용을 듣고 운송 여부를 판단하여 무전기로 답신하는 방식으로, 화주와 차주의 거래 성립시 계약내용 및 운송 시 필요한 사항을 화주가 구두 및 알림 메시지로 차주의 무전기 및 휴대폰에 발송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이 계약 성립된 차주는 최종 계약종결의 알림의 수단으로 운송장 등의 문서를 화주에게 우편으로 발송하면 화주가 이를 수취하고 계약이 종결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이 화주 및 차주는 계약 내용을 기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약 성립 내용 등을 기록하고, 기록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배차일지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위와 같이 최초 화주의 발주를 시작하여 요구사항과 맞는 차주를 찾고, 최종계약종료와 관련문서 제작 및 전송까지 여러 단계의 연결 과정을 사람이 직접 해야 하고, 다수의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거래에 관련된 정보를 무전기로 전송 및 회답을 수신함으로써 최종의 차주와 화주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정확성이 떨어진다.
위와 같이 다양한 화물의 배송을 위한 배차방법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163858호(2006. 08. 17.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44350호(2003. 06. 09.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8114호(2005. 07. 05.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59311호(2011. 06. 02. 공개) 등과 같은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 중 국내 등록특허 제10-0163858호(2006. 08. 17. 등록공고)의 '물류 워크플로우용 차량 배차방법'은 물류정보시스템에서 각 지역에서 발생된 화물의 수송 수요와 수송수단인 차량을 소유한 수송업체 간의 효율적인 연결을 통해 운송 물류비용과 화물을 배송하기까지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매칭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44350호(2003. 06. 09. 공개)의 '맞춤 물류정보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운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운송업체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송 물류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입력된 운송 물류정보를 해당 첨단차량 단말기로 신속하게 전송하여 배송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8114호(2005. 07. 05. 공개)의 '배차관리시스템을 통해 보유한 운송 자원을 최적화하여 차량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계획을 통해 배차로 정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GPS와 GIS를 이용한 실시간 화물 및 차량 추적으로 수배송 기간 동안 주문 진척사항에 대해 가시성을 제공하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예외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59311호(2011. 06. 02. 공개)의 '물류관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화물차량에 설치된 단말기가 그 화물차량의 현재 위치, 물품의 적재량 및 이동 경로정보를 관제 서버에 지속적으로 전송하고, 관제 서버는 화물 차량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하여 화물 차량의 운영과 관련된 배차계획을 재조정하여 화물차량별 공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싣고 가기 위해, 여러 거래처에서 회사로 차량이 들어오는 경우 상하와 배차 등의 처리과정이 매우 혼잡하고, 차량 운전자는 상차가 언제쯤 완료되는지 알 수 없어 대기실에서 무한정 기다려야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163858호(2006. 08. 17.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44350호(2003. 06. 09.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8114호(2005. 07. 05.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59311호(2011. 06. 02.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유가 시대에 운송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차량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최대한 많은 양의 제품을 상차하고, 상차 완료시간을 운전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 제품을 상차하는 동안 다른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방법은, 차량 운행정보 서버로부터 적재 대상물의 길이, 폭, 높이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가 1,2차 분류를 통하여 적재를 위한 최적의 제품들을 그룹화하는 제1단계; 차량 운행정보 서버로부터 대기차량의 정보를 제공받은 화물적재 관리 서버가 최우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적재함의 크기를 확인하고 배차를 대기시키는 제2단계;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가 적재 대상물과 적재 가능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송경로를 확인하고 적재 대상물의 적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3단계;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가 최종 납품 위치와 중간 경유 위치의 위치값, 기준점에서 동서남북의 방향과 거리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동적 관리 및 이송경로를 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의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에 맞는 적재 대상물을 확정하고 차량 운전자에게 배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품창고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제품 출하를 지시하는 제5단계; 및 차량이 출하장에 입차시 챠량 운전자는 휴대전화를 통해 화물적재 관리 서버에 제품 상차중임을 전송하고 제품 적재 완료시 적재 지시정보와 적재정보를 확인하고 화물적재 관리 서버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의 적재 시뮬레이션은 3차원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적재 완료정보가 전송되면, 화물 적재 관리 서버는 해당 차량 운전자에게 제품거래내역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는 휴대전화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를 화물적재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고객의 제품을 배송중인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싣기 위해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의 순서에 따라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그룹화하고 운전자에게 상차 예정시간을 통보하는 제2단계; 운전자에게 특정 차량의 입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골판지 원단 및 상자의 상차를 지시하는 제3단계; 3차원 기반의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룹화된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차량 적재함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에 따라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는 제4단계; 및 상차 완료시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 적재함에 있어 최적의 적재방법과 최적의 이송경로를 제시함으로써 고유가 시대에 운송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차량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방법에 있어 화물 적재 특유의 시뮬레이션이 적용되는데, 이 시뮬레이션의 기본방법은 3차원(3D)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시스템을 골판지 원단 및 상자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시스템은, 화물의 수집, 적재, 배송 등을 관리하는 화물적재 관리 서버(11), 차량운행정보를 가지는 차량운행정보 서버(120, 3차원으로 구성되는 적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 인공위성으로 차량의 위치정보, 즉 위치좌표를 수신하는 차량 운전자가 보유한 휴대전화(15), 고객이 보유한 단말기(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화물적재 관리 서버(11), 차량운행정보 서버(12),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 고객용 단말기(14), 운전자용 휴대전화(15) 등을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방식으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서버 및 단말기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2에 의하면,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는 차량 운행정보 서버(12)로부터 적재 대상물의 길이, 폭, 높이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1,2차 분류를 통하여 적재를 위한 최적의 제품들을 그룹화하게 된다(S11). 물론, 이 경우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배송하고자 하는 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에 제공해야 한다.
이때 그룹화된 제품들은 배송할 위치가 하나의 이송경로, 즉 차량이 지나가는 하나의 경로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차량 운행정보 서버(12)로부터 대기차량의 정보를 제공받아 최우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적재함의 크기를 확인하고 배차를 대기시키게 된다(S12).
그리고,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제품, 즉 적재 대상물과 대기중의 차량의 적재함 크기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송경로를 확인하고 적재 대상물의 적재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S13). 특정 이송경로로 배송할 제품이 특정 크기를 가지는 한 대의 차량에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물량인 경우 해당 제품들을 배송할 차량을 우선 배차하게 된다. 물론, 대기중인 차량의 우선순위도 고려해야 함은 당연하다.
적재 대상물의 적재 우선순위를 결정한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적재 대상물 중 가장 멀리, 즉 가장 나중에 배송해야 하는 거래처의 위치와 들러가야 하는 거래처의 위치와, 기준점(현재 차량이 위치한 장소)에서 동서남북의 방향과 거리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동적 관리 및 이송경로를 산출하게 된다(S14).
이때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는 탑재된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의 크기에 대응하는 적재 대상물을 확정하고 운전자 휴대전화(15)를 통해 해당 차량의 배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전송하고, 도시되지 않은 제품창고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해당 제품의 출하를 지시하게 된다(15).
이때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는 3차원 기반으로 하는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배송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제품을 내려다 올려다 하지 않도록 각 제품들의 적재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위치가 결정된 제품들을 싣기 위해, 차량을 제품창고 출하장에 입차시킨 운전자는 휴대전화(15)를 이용하여 화물적재 관리 서버(11)에 접속하여 해당 차량이 제품을 상차중임을 전송하고, 이후 제품의 적재가 완료되고 나면 운전자는 휴대전화(15)를 통해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적재 지시정보와 적재정보를 확인한 후 화물적재 관리 서버(11)에 완료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16).
이렇게 운전자로부터 차량에 제품의 적재를 완료하였다는 완료정보를 전송받은 화물 적재 관리 서버(11)는 해당 차량 운전자에게 제품거래내역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S17).
이때 제품거래내역서는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장 현장에서 바로 운전자에게 발급할 수 있을뿐더러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전화(15)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차량에 제품의 적재가 완료되면 나면 운전자의 휴대전화(15)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화물적재 관리 서버(11)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배송하고자 하는 제품을 받을 고객들은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로부터 해당 고객의 제품을 싣고 이동중인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S18).
도2는 도1에 개시된 화물 적재시스템을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배송하는 방법에 적용한 실시예이다. 상기 배송방법은 골판지 원단 및 상자에 한정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시스템은 도1의 화물 적재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의 도면번호를 그대로 이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에 의하면, 제품을 출하하는 출하장, 즉 상차장에 위치한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싣기 위해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고 해당 차량의 정보를 차량운행정보 서버(12)에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S21).
상기 차량운행정보 서버(12)로부터 차량정보를,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로부터 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는 화물 상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의 순서에 따라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그룹화하고,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운전자에게 상차 예정시간을 통보하게 된다(S22).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상차할 준비를 완료한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휴대전화(15)를 통해 운전자에게 특정 차량의 입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품창고의 상차장에 위치한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골판지 원단 및 상자의 상차를 지시하게 된다(S23).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11)의 지시로 제품을 상차하는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은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의 3차원 기반의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룹화된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차량 적재함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에 따라 제품의 적재순서를 결정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게 된다(S24).
이때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는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한 제품의 상차과정을 감시하고, 해당 차량의 제품 상차가 완료되면 휴대전화(15)를 통해 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상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S25).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적재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 예는 골판지 원단과 골판지 상자의 적재와 운송을 실시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제품의 적재 및 운송에도 적용할 수 있다.
11 : 화물적재 관리 서버 12 : 차량운행 정보 서버
13 :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 14 : 단말기(고객)
15 : 휴대전화(운전자)

Claims (5)

  1. 차량 운행정보 서버(12)로부터 적재 대상물의 길이, 폭, 높이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가 1,2차 분류를 통하여 적재를 위해 분류된 제품들을 그룹화하는 제1단계;
    차량 운행정보 서버(12)로부터 대기차량의 정보를 제공받은 화물적재 관리 서버(11)가 최우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적재함의 크기를 확인하고 배차를 대기시키는 제2단계;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11)가 적재 대상물과 적재 가능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송경로를 확인하고 적재 대상물의 적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3단계;
    상기 화물적재 관리 서버(11)가 최종 납품 위치와 중간 경유 위치의 위치값, 기준점에서 동서남북의 방향과 거리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중간경유 위치와 최종 납품위치에 대한 동적 관리 및 이송경로를 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적재 시뮬레이션 서버(13)의 적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에 맞는 적재 대상물을 확정하고 차량 운전자에게 배차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품창고 자동 컨베이어 시스템에 제품 출하를 지시하는 제5단계; 및
    차량이 출하장에 입차시 챠량 운전자는 휴대전화(15)를 통해 화물적재 관리 서버(11)에 제품 상차중임을 전송하고 제품 적재 완료시 적재 지시정보와 적재정보를 확인하고 화물적재 관리 서버(11)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1043A 2012-05-14 2012-05-14 화물 적재방법 KR10144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043A KR101440612B1 (ko) 2012-05-14 2012-05-14 화물 적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043A KR101440612B1 (ko) 2012-05-14 2012-05-14 화물 적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263A KR20130127263A (ko) 2013-11-22
KR101440612B1 true KR101440612B1 (ko) 2014-09-18

Family

ID=4985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043A KR101440612B1 (ko) 2012-05-14 2012-05-14 화물 적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6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87446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차량 내 화물 적재 시스템
KR102187438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콜드체인 운영 시스템
US11815909B2 (en) 2021-01-18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f automated guide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15A (ko) * 2003-07-04 2005-01-12 박재홍 Edi를 활용하는 자동 물류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10052054A (ko) * 2009-11-12 2011-05-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송 물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15A (ko) * 2003-07-04 2005-01-12 박재홍 Edi를 활용하는 자동 물류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10052054A (ko) * 2009-11-12 2011-05-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송 물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46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차량 내 화물 적재 시스템
KR102187438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콜드체인 운영 시스템
KR102081555B1 (ko) * 2019-12-04 2020-02-25 최현빈 화물배차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815909B2 (en) 2021-01-18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f automated guid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263A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063B2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Stefansson et al. Performance issues of smart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US8339251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carriers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CN105654268A (zh) 物流货场装卸位可视化管理系统及方法
KR101208754B1 (ko) 바코드와 알에프아이디태그를 이용한 팔렛 물류 관리 방법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KR101440612B1 (ko) 화물 적재방법
JP4573423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
WO2006020200A2 (en) Asset visibility management system with rule engine
CN113065816A (zh) 一种自动生成运输任务的无人调度运输控制方法及系统
WO2006020191A2 (en) Asset visibility management system with event correlator
JP2013182368A (ja) スマートフォンの短距離通信機能を使用したペーパーレス物流管理システム
US20060020528A1 (en) Asset visibility management system
Radadiya Advance Technology, New Innovation Utilizes in Warehouse, Logistics and Supply Change Management
WO2006020242A2 (en) Scalable asset visibility management system
KR102422563B1 (ko) 완성차 부품 긴급물류 대응을 위한 드론운송 시스템 및 방법
Napolitano Mission Foods’ wireless evolution
JP2011204031A (ja) 物流管理支援システム
CN116228087A (zh) 一种供应链物资管控平台
KR20220029159A (ko) 물류센터 납품트럭 공유 방법 및 서버
KR20220042844A (ko) 운송물에 부착되는 rf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운송물 관리 시스템
Raza Logistics Management for Import: A case to Kärkkäinen OY
CN118134177A (zh) 一种无人物流调度协同决策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02189783A (ja) 広く一般に使用されている情報システムを利用した安全で効率的な物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