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061A -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061A
KR20200068061A KR1020180148032A KR20180148032A KR20200068061A KR 20200068061 A KR20200068061 A KR 20200068061A KR 1020180148032 A KR1020180148032 A KR 1020180148032A KR 20180148032 A KR20180148032 A KR 20180148032A KR 20200068061 A KR20200068061 A KR 2020006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rider
information
time
arri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회광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나는세상
Priority to KR102018014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061A/ko
Publication of KR2020006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어 퀵 라이더 및 주문자의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주문 복화를 위한 복수 단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나아가 복화주문 발생 예측지점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제공할 수 있는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접수받아 누적하는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 상기 누적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BACKHAULING QUICK SERVICE OPERATION METHOD AND BACKHAULING QUICK SERVICE OPERATION SYSTEM BASED ON CARRY BIGDATA}
본 발명은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어 라이더 및 주문자의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주문 복화를 위한 복수 단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나아가 복화주문 발생 예측지점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제공할 수 있는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18년 세대융합 창업캠퍼스 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과제번호: 10129274, 연구과제명: 운송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퀵서비스 플랫폼 개발).
퀵서비스는 고객이 지정한 출발지에서 배달할 물건을 접수하고 도착지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운송하는 물류 서비스이다. 운송에 사용되는 차량은 도심의 경우 주로 오토바이를 사용하고 장거리 운송에는 트럭, 고속버스 등이 포함되는 적절한 운송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퀵서비스에 택배, 도어투도어와 같은 물류 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퀵서비스 유통구조는 고객이 물류센터에 운송을 요청하고, 운송 요청을 접수한 물류센터는 회원으로 구성된 라이더를 배정한다. 라이더의 배정을 배차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라이더는 출발지에서 물건을 인수하고 도착지까지 운송을 완료하며, 물류센터는 고객이 입금한 운송료에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라이더에게 지불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퀵서비스 유통구조는 물류센터에서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고 또한, 기타 명목으로 여러 가지 비용을 요구하므로 실제 라이더가 취득하는 이득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물류센터는 고객 확보를 위하여 고객에게 쿠폰 또는 마일리지를 지불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을 라이더에게 전가하였다.
라이더는 일 실시 예로, 운송료의 23 내지 30%를 배정 수수료와 쿠폰 및 마일리지의 비용으로 물류센터에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라이더는 운송비용으로부터 실제 얻는 이득이 적어 경제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며, 경쟁이 심화되어 퀵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객이 받은 쿠폰 또는 마일리지는 일정한 점수 이상으로 누적되는 경우에 물건의 운송서비스 대금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고객은 쿠폰 또는 마일리지를 현금화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실질적인 혜택을 보기 어렵고, 일정한 누적 점수가 되지 않는 경우는 무용지물이 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 퀵서비스 배송 주문 복화 방식은 라이더가 다수의 단말기를 활용하여 최초 주문을 접수하고 출발지 기준과 목적지 기준을 적용했을 때 유사한 주문을 접수하여 고객에게 배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퀵서비스 배송 주분 복화 방식은 라이더가 최초 주문을 받은 후 유사 주문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라이더는 장시간 유사 주문을 수취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고, 라이더는 유사 주문을 접수한 후 운행을 시작하기 때문에 최초 주문자는 후속 주문이 접수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화물 수취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라이더들은 다수의 주문을 수취하기 위해 평균 4개에서 5개의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이용료와 주문중계플랫폼 이용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활하고 효율적인 복화 운송이 도모할 수 있고, 퀵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을 높이며, 고객과 라이더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퀵서비스 운용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04641(2013.09.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1696(2009.09.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02250(2012.09.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14804(2014.09.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23013(2014.02.26.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어 퀵 라이더 및 주문자의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주문 복화를 위한 복수 단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화주문발생 예측지점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제공할 수 있는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다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접수받아 누적하는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 상기 누적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복화주문 처리 단계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 단계;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복화주문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여 라이더들을 수요발생 예측 지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이더 배치 단계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는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와, 상기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분석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는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 및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는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다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으로서,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빅데이터화 하는 주문정보 빅데이터부;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화주문 처리부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부와,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배치부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하여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배치부는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 및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구축하며,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어 퀵 라이더 및 주문자의 대기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라이더는 주문 복화를 위하여 복수 단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 통신료, 정보 이용료, 단말기 할부금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라이더들을 효율적으로 복화주문발생 예측 지점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제공함으로써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고, 그의 운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화주문 처리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의 개요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종래 운용 시스템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은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퀵서비스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은, 복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누적하여 빅데이터화 하는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S100); 상기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S100)에서 접수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 단계(S200); 및 상기 주문 처리 단계(S200)에서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복화주문 처리 단계(S200)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 단계(S210)와, 공지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 단계(S220)와, 상기 복화주문 생성 단계(S220)에서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 단계(S230), 및 상기 지점 선정 단계(S230)에서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 단계(S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문정보 전송 단계(S300)는 상기 라이더 선정 단계(S240)에서 선정된 라이더에게 복화주문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라이더는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중계된 복화주문의 정보를 받고 주문 수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은 복화주문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여 라이더들을 다음 수요발생 예측 지점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 단계(S400)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는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S410)와,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S410)에서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S420); 및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S420)에서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분석정보 제공 단계(S430)를 포함한다.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S410)는 복화주문이 이루어진 과거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복화주문 생성 단계(S200)에서 생성되는 복화주문에 대한 데이터도 구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S410)는 라이더의 수락 여부와 상관없이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자 중앙서버에 구축하고, 이에 더하여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이들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저장 구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S420)는 관리자 중앙서버에서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라이더에게 제공하여 라이더가 해당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S420)는, 라이더의 위치를 확인하는 라이더 위치 확인 단계(S421)와, 상기 라이더 위치 확인 단계(S210)에서 확인된 라이더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화주문이 이루어졌던 과거 고객수요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도출하는 수요예측 도출 단계(S422), 및 상기 수요예측 도출 단계(S422)에서 도출된 수요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복화주문이 발생할 우선지역을 선정하는 복화주문지역 선정 단계(S423)를 포함한다.
상기 복화주문지역 선정 단계(S423)는 해당 라이더의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지역의 순서로 복수 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정보 제공 단계(S430)는 복화주문지역 선정 단계(S423)에서 선정된 복화주문발생 예상지점(복화주문발생 우선지역)에 대한 정보를 라이더의 인터페이스(라이더 단말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라이더에게 전송되는 복화주문발생 예상지점의 정보는 라이더의 현재 위치와 함께 지도 상에 맵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고, 그의 운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화주문 처리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의 개요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종래 운용 시스템의 개요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은, 복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도록 퀵서비스를 관제하고 배차하는 관제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제 중앙 서버(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누적하여 빅데이터화 하는 주문정보 빅데이터부(100); 상기 주문정보 빅데이터부(100)에서 접수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부(200); 및 상기 주문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복화주문 처리부(200)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부(210)와, 공지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부(220)와, 상기 복화주문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부(230), 및 상기 지점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주문정보 전송부(300)는 상기 라이더 선정부(240)에서 선정된 라이더에게 복화주문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이후 라이더는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중계된 복화주문의 정보를 받고 주문 수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은 복화주문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여 라이더들을 다음 수요발생 예측 지점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부(400)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하여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더 배치부(400)에서 복화주문 데이터의 구축은 복화주문이 이루어진 과거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복화주문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복화주문에 대한 데이터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이더 배치부(400)에서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의 구축은 라이더의 수락 여부와 상관없이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더하여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저장 구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라이더 배치부(400)에서 복화주문 예상지점의 분석은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라이더에게 제공하여 라이더가 해당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은 라이더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라이더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화주문이 이루어졌던 과거 고객수요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도출하며, 도출된 수요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복화주문이 발생할 우선지역을 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라이더 배치부(400)에서 복화주문지역 선정은 해당 라이더의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지역의 순서로 복수 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퀵서비스 라이더에게 화물 수취 지역과 화물 배송 지역이 유사한 주문을 2개 이상 배차할 수 있어 퀵 라이더 및 주문자의 대기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라이더는 주문 복화를 위하여 복수 단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 통신료, 정보 이용료, 단말기 할부금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더들을 효율적으로 복화주문발생 예측 지점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제공함으로써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
S200: 복화주문 처리 단계
S210: 소요시간 산출 단계
S220: 복화주문 생성 단계
S230: 지점 선정 단계
S240: 라이더 선정 단계
S300: 주문정보 전송 단계
S400: 수요예측 기반 라이더 배치 단계
S410: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
S420: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
S421: 라이더 위치 확인 단계
S422: 수요예측 도출 단계
S423: 복화주문지역 선정 단계
S430: 분석정보 제공 단계
10: 관제 중앙 서버
100: 주문정보 빅데이터부
200: 복화주문 처리부
210: 소요시간 산출부
220: 복화주문 생성부
230: 지점 선정부
240: 라이더 선정부
300: 주문정보 전송부
400: 라이더 배치부

Claims (7)

  1. 다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접수받아 누적하는 주문정보 데이터화 단계;
    상기 누적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화주문 처리 단계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 단계;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화주문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여 라이더들을 수요발생 예측 지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요예측 기반의 라이더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이더 배치 단계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는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와, 상기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분석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화주문 데이터 구축 단계는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 및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 단계는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5. 다수의 라이더에게 복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으로서,
    주문 위치, 도착 위치, 도착요청시간, 및 화물 유형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빅데이터화 하는 주문정보 빅데이터부;
    상기 접수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복화 가능한 주문을 추출하는 복화주문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복화 주문의 정보를 라이더에게 전송하는 주문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화주문 처리부는 접수된 주문 정보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에 대하여 교통량, 시간, 거리, 기상 등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하도록 소요시간 산출부와, 개별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도착요청시간에 맞춰 2개 이상의 주문이 처리가능한 주문을 묶어 하나의 복화주문으로 생성하는 복화주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복화주문을 기준으로 하나의 지점을 선정하는 지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라이더를 선정하는 라이더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배치부는, 복화주문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송 요청 시각과 도착 요청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복화주문의 주문 예상 지점을 분석하는 복화주문 예상지점 분석하여 분석된 복화주문 예상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의 라이더에게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배치부는
    주문 위치, 주문 시각, 도착 위치, 도착 시각에 대한 데이터 및 라이더의 수락 정보, 라이더의 수락 발생 시각 정보, 고객 취하 정보, 고객 취하 발생 시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구축하며,
    주문 시각과 도착 시각에 따른 운송 발생 위치, 주문 위치와 도착 위치 및 라이더의 수락 여부를 조합 분석하여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에서 라이더가 배송을 마칠 예상 시각을 추출하고, 해당 복화주문의 배송완료 예상 시각에 맞춰 복화주문의 배송 완료 지점을 기점으로 가까운 하나 이상의 복화주문 발생 예상지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KR1020180148032A 2018-11-27 2018-11-27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KR20200068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32A KR20200068061A (ko) 2018-11-27 2018-11-27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32A KR20200068061A (ko) 2018-11-27 2018-11-27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15A Division KR20200130194A (ko) 2020-10-05 2020-10-05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061A true KR20200068061A (ko) 2020-06-15

Family

ID=7108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032A KR20200068061A (ko) 2018-11-27 2018-11-27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0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2168A (zh) * 2020-06-30 2020-11-13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订单通知方法、装置及服务器
KR20220013980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복화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13981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환적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696A (ko) 2008-03-24 2009-09-29 글로비스 주식회사 통합운송관리시스템
KR20120102250A (ko) 2011-03-08 2012-09-18 이경애 퀵서비스 유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04641B1 (ko) 2012-07-03 2013-09-05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40023013A (ko) 2012-08-16 2014-02-26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20140114804A (ko) 2014-09-04 2014-09-29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696A (ko) 2008-03-24 2009-09-29 글로비스 주식회사 통합운송관리시스템
KR20120102250A (ko) 2011-03-08 2012-09-18 이경애 퀵서비스 유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04641B1 (ko) 2012-07-03 2013-09-05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40023013A (ko) 2012-08-16 2014-02-26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KR20140114804A (ko) 2014-09-04 2014-09-29 길민주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2168A (zh) * 2020-06-30 2020-11-13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订单通知方法、装置及服务器
KR20220013980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복화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13981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환적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8061A (ko)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Li et al. A Lagrangian heuristic for the real-time vehicle rescheduling problem
JP6270877B2 (ja) 配送スケジュール選択システム、配送スケジュール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07262B2 (ja) 駐車場管理装置
KR101799458B1 (ko) 공유경제형 협력적 배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Voigt et al. Crowdsourced logistics: The pickup and delivery problem with transshipments and occasional drivers
US20020111914A1 (en) Method for specifying product delivery destinations
Bettinelli et al. A branch-and-cut-and-price algorithm for the multi-trip separate pickup and delivery problem with time windows at customers and facilities
US11367126B2 (en) Out-of-store purchase routing systems, methods, and media
Christiansen et al. Operational planning of routes and schedules for a fleet of fuel supply vessels
CN108009699B (zh) 多元桶装瓦斯车队配送系统及方法
Nishi et al. A Combined column generation and heuristics for railway short-term rolling stock planning with regular inspection constraints
KR20200130193A (ko) 퀵서비스 수요 예측 분석에 기반한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Cui et al. A two-stage hybrid heuristic solution for the container drayage problem with trailer reposition
KR20200066429A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물품 운송 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WO2002099713A1 (fr) Systeme de gestion de demandes de mise de cote
JP2003160231A (ja) 物品配送先指定方法
US20240144400A1 (en) Prearraging location specific arrival-ready serevice reqest with rearrangment-flexiblility and receipt-confirmation for passenger or driver clients
US20210390479A1 (en) Vehicle allocation plan device, vehicle allocation plan system, and vehicle allocation plan program
KR20200130194A (ko) 운송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화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KR20170042539A (ko) 콜 차량 배차 방법 및 시스템
US10402755B2 (en)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200062526A (ko) 퀵서비스 수요 예측 분석에 기반한 퀵서비스 운용 방법 및 퀵서비스 운용 시스템
CN113762866A (zh) 一种物流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US20210049547A1 (en) Method for Gas Station-Based Parcel Delivery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