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390A -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390A
KR20090101390A KR1020097017671A KR20097017671A KR20090101390A KR 20090101390 A KR20090101390 A KR 20090101390A KR 1020097017671 A KR1020097017671 A KR 1020097017671A KR 20097017671 A KR20097017671 A KR 20097017671A KR 20090101390 A KR20090101390 A KR 20090101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formula
substitutable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194B1 (ko
Inventor
히사야 니시데
시게유끼 니시무라
시게루 미따니
코지 미나미다
후미오 카나모리
무네까즈 오가와
시게히사 칸바야시
토요시 타니무라
코지 히구치
히데마사 코미나미
토모히로 오코모또
아키히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and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병해에 기인하는 식물 병해에 감염된 재배 작물에 대한 안정적이고 높은 유해 생물 방제 효과를 갖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과, (b) 1종 이상의 다른 살균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1
식 중, X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수산기, 치환 가능 알킬티오기, 시아노기,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가능 아미노기이고, n은 1, 2, 3 또는 4이며 ; R1은 치환 가능 알킬기이고, R2'는 치환 가능 알킬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2 "는 치환 가능 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고, 또는 R2' 및 R2 "의 2개 이상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살균제 조성물, 식물 병해,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Description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BENZOYLPYRIDINE DERIVATIVE OR ITS SALT}
본 발명은 식물 병해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각별히 향상시킨 농원예용 살균제로서 유용한 살균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국제 공개 공보 WO 02/2527)에는,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벤조일피리딘 유도체가 살균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살균제와의 혼용·병용이 가능하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현저히 우수한 살균 효과를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후술하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는 각각 그 식물 병해 방제 효과에서, 특정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그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잔효성(殘效性)이 비교적 짧거나, 내우성(耐雨性)이 약하여, 특정 시험 실시 장면에서는 식물 병해에 대하여 실용상 불충분한 방제 효과만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와, 특정한 살균제를 혼합 사용하면, 각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예상할 수 없는 우수한 살균 효과가 얻어진다는 지견을 얻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과, (b)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모르폴린계 화합물, 피리미디나민계 화합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항생 물질, 피리디나민계 화합물, 퀴녹살린계 화합물, 디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시아노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 페닐아미드계 화합물, 술펜산계 화합물, 구리계 화합물, 이속사졸계 화합물, 유기 인계 화합물, N-할로게노티오알킬계 화합물, 디카르복시이미드계 화합물, 벤즈아닐리드계 화합물, 피페라진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카르비놀계 화합물, 피페리딘계 화합물, 유기 주석계 화합물, 요소계 화합물, 신나믹산계 화합물, 페닐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시아노피롤계 화합물, 옥사졸리디논계 화합물, 티아졸카르복사미드계 화합물, 실릴아미드계 화합물, 아미노산아미드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이미다졸리딘계 화합물, 히드록시아닐리드계 화합물, 옥심에테르계 화합물, 페녹시아미드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이소프로티오란, 피로퀴론, 디클로메진, 퀴녹시펜,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 클로로피크린, 다조메트, 카르밤나트륨염, 니코비펜, 디클로시메트 및 프로퀸아지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살균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식물에 시험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2
식 중, X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수산기, 치환 가능 알킬티오기, 시아노기,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가능 아미노기이고, n은 1, 2, 3 또는 4이며; R1은 치환 가능 알킬기이고, R2'는 치환 가능 알킬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2 "는 치환 가능 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고, 또는 R2' 및 R2 "의 2개 이상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을 형성할 수 도 있다.
화학식 I 중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 사용된다.
화학식 I 중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의 탄화수소 부분으로는, 예를 들면 C1 -6알킬(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등), C2 -6알케닐(예를 들면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3-메틸-2-부테닐 등), C2 -6알키닐(예를 들면 에티닐, 1-프로피닐, 2-프로피닐 등), C3 -6시클로알킬(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C6 - 10아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의 2차 치환기로는, 아릴, 아릴옥시, 히드록시, 니트로, 니트록시, 할로겐(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CF3O, HCF2O 등의 C1-4할로알콕시), 시클로알킬, 아미노, 알킬티오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5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 중에서도, 치환 가능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 중에서는 C1 - 4알킬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I 중 치환 가능 알킬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알킬티오기의 알킬 부분으로는, C1 - 6알킬(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C1 - 4알킬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치환기의 2차 치환기로는, 아릴, 아릴옥시, 히드록시, 니트로, 니트록시, 할로겐(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CF3O, HCF2O 등의 C1 - 4할로알콕시), 시클로알킬, 아미노, 알킬티오 및 시아노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5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들알킬 부분을 갖는 치환기 중에서도 비치환의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C1 - 4알킬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틸이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I 중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의 아릴 부분으로는, 페닐 이외에, 나프틸과 같은 축합형 다환식기를 들 수 있지만, 페닐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치환 가능 기의 2차 치환기로는, 할로겐,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 중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의 시클로알킬 부분으로는, 일반적으로 탄소수 3 내지 10의 것,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옥틸 등의 단환식기 이외에, 축합형 다환식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단환식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치환 가능기의 2차 치환기로는, 할로겐,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콕시 부분 중에서도, 시클로헥실옥시가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I 중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로는, 예를 들면 C1 -6알콕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프로폭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기, 부톡시카르보닐기, 이소부톡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등), 니트로옥시C1 -4알콕시아미노카르보닐(예를 들면 2-니트로옥시에톡시카르보닐기, 3-니트로옥시프로폭시카르보닐기 등), 페닐C1 -4알콕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르보닐기, 페네틸옥시카르보닐기 등) 등의 에스테르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C1 -6모노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이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이소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t-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 디C1 -6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디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디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이소디부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 니트로옥시C1 -4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2-니트로옥시에틸아미노카르보닐기, 3-니트로옥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등), 페닐C1 -4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벤질아미노카르보닐기, 페네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 C3 -6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아미노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기 등), 환상 아미노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 피페리디노카르보닐기, 피롤리디노카르보닐기,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 등), 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 중 치환 가능 아미노기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기; 모노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등의 알킬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아미노 기의 알킬 부분으로는, C1 - 4알킬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환 가능 아미노기의 2차 치환기로는, 아릴, 아릴옥시, 히드록시, 니트로, 니트록시, 할로겐(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CF3O, HCF2O 등의 C1 - 4할로알콕시기), 시클로알킬, 아미노, 알킬티오 및 시아노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5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치환기의 2차 치환기 중 아릴 부분, 시클로알킬 부분 및 알킬 부분의 정의는, 각 치환기의 정의에 준한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산성 물질과 함께 염을 형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질산염과 같은 무기산염;아세트산염, 벤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메탄술폰산염 또는 프로판술폰산염과 같은 유기산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문헌[Journal of Organic Chemistry., 58, 7832(1993),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7, 1371-1376(2001)], 또는 후술하는 각 합성예에 준한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메토미노펜(Metominofen), 트리프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오리저스트로빈(Oryzastrobin),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및 플루옥사스트로 빈(Fluoxastrobin)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크레속심메틸 및 아족시스트로빈이 바람직하다.
크레속심메틸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68-569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또한, 아족시스트로빈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4-55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아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Oxpoconazole fumarat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비테르타놀(Bitertanol), 에타코나졸(Etaconazol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펜코나졸(Pe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푸르코나졸시스(Furconazole-cis),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메토코나졸(Metconazole), 시프코나졸(Sipconazol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트리시클라졸(Tricyclazole), 프로베나졸(Probenazol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및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코나졸, 트리플루미졸,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테부코나졸, 이미벤코나졸, 테트라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메토코나졸, 플루퀸코나졸 및 트리아디메놀이 바람직하다.
에폭시코나졸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349-350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940-941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Oxpoconazole fumarate)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699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테부코나졸(Tebuconazole)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864-865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35-536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테트라코나놀(Tetraconazole)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945-946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시프로코나졸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248-249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메토코나졸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643-644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플루퀸코나졸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472-473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트리아디메놀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987-989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모르폴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및 스피록사민(Spiroxamine)을 들 수 있다. 펜프로피모르프는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399-400쪽]에 기재된 화합물 이다. 또한, 스피록사민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842-843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피리미디나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메파니피림(Mepanipyrim), 피리메타닐(Pyrimethanil) 및 시프로디닐(Cyprodinil)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파니피림이 바람직하다. 메파니피림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96-597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구아니딘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미녹타딘(Iminoctadine)을 들 수 있다. 이미녹타딘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39-541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유기 염소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클로로타로닐(Chlorothalonil), 프탈라이드(Fthalide) 및 퀸토젠(Quintozene)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클로로타로닐이 바람직하다. 클로로타로닐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168-169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이미다졸계 화합물로는,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베노밀(Benomyl),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및 카르벤다짐(Carbendazim)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아조파미드가 바람직하다. 시아조파미드는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523-524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신(Polyoxins)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신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2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752-754 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피리디나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플루아지남(Fluazinam)을 들 수 있다.
퀴녹살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퀴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를 들 수 있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마네브(Maneb), 지네브(Zineb), 만제브(Mancozeb), 폴리카르바메이트(Polycarbamate), 메티람(Metiram) 및 프로피네브(Propineb)를 들 수 있다.
시아노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시목사닐(Cymoxanil)을 들 수 있다.
페닐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메타락실(Metalaxyl), 메타락실 M(Metalaxyl M), 옥사딕실(Oxadixyl), 오푸레이스(Ofurace), 베나락실(Benalaxyl), 푸라락실 (Furalaxyl) 및 싸이프로푸람(Cyprofuram)을 들 수 있다.
술펜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를 들 수 있다.
구리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 제2 구리(Cupric hydroxide) 및 유기 구리(Oxine Copper)를 들 수 있다.
이속사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히멕사졸(Hymexazol)을 들 수 있다.
유기 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 톨코포스메틸(Tolcofos-Methyl), S-벤질 O,O-디이소프로필포스포로티오에이트, O-에틸 S,S-디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알루미늄에틸히드로겐포스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N-할로게노티오알킬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및 폴펫(Folpet)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시이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프로시미돈(Procymidone), 이프로디온(Iprodione) 및 빈크로졸린(Vinclozolin)을 들 수 있다.
벤즈아닐리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플루토라닐(Flutolanil), 메프로닐(Mepronil), 족사미드(Zoxamid) 및 티아디닐(Tiadinil)을 들 수 있다.
피페라진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트리폴린(Triforine)을 들 수 있다.
피리딘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피리페녹스(Pyrifenox)를 들 수 있다.
카르비놀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페나리몰(Fenarimol) 및 플루트리아폴(Flutriafol)을 들 수 있다.
피페리딘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펜프로피딘(Fenpropidine)을 들 수 있다. 펜프로피딘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제419-420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유기 주석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펜틴히드록시드(Fentin Hydroxide) 및 펜틴아세테이트(Fentin Acetate)를 들 수 있다.
요소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펜시큐론(Pencycuron)을 들 수 있다.
신나믹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및 플루모르프(Flumorph)를 들 수 있다.
페닐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디에토펜카르브(Diethofencarb)를 들 수 있다.
시아노피롤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및 펜피클로닐(Fenpiclonil)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리디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파목사돈(Famoxadone)을 들 수 있다.
티아졸카르복사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타복삼(Ethaboxam)을 들 수 있다.
실릴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실티오팜(Silthiopham)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아미드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프로발리카르브(Iprovalicarb) 및 벤티아발리카르브(benthiavalicarb)를 들 수 있다.
이미다졸리딘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페나미돈(Fenamidone)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아닐리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펜헥사미드(Fenhexamid)를 들 수 있다.
벤젠술폰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를 들 수 있다.
옥심에테르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d)를 들 수 있다.
페녹시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페녹사닐(Fenoxanil)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메트라페논(Metrafenone)을 들 수 있다. 메트라페논은 문헌[AG CHEM NEW COMPOUND REVIEW, VOLUME 21, 2003 제17쪽]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그 밖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티오란(Isoprothiolane), 피로퀴 론(Pyroquilon), 디클로메진(Diclomezine), 퀴녹시펜(Quinoxyfen),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Propamocarb Hydrochloride), 클로로피클린(Chloropicrin), 다조메트(Dazomet), 카르밤나트륨염(Metam-sodium), 니코비펜(Nicobifen),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및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b)의 살균제로는, 상기에 열기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모르폴린계 화합물, 피리미디나민계 화합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항생 물질, 피페리딘계 화합물 및 벤조페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속심메틸, 아족시스트로빈, 에폭시코나졸, 트리플루미졸,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테부코나졸, 이미벤코나졸, 테트라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메토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트로아디메놀, 펜프로피모르프, 스피록사민, 메파니피림, 이미녹타딘, 클로로타로닐, 시아조파미드, 폴리옥신, 펜프로피딘 및 메트라페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식물 병해에 감염된 재배 작물에 대한 안정적이고 높은 살균 효과를 갖는 것이고,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 바람직한 방법 을 이하에 예시한다.
(1) 화학식 VI-1로 표시되는 치환 벤즈알데히드와 화학식 VII-1로 표시되는 치환 피리딘 유도체의 금속염을 반응시키고, 화학식 X로 표시되는 페닐피리딜메탄올을 제조한 후, 이어서 이것을 산화시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VI-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3
식 중, R1, R2', R2 "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VII-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4
식 중, X는 상술한 바와 같고, Z는 금속 원자 또는 그의 복합염이다.
<화학식 X>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5
식 중, X, R1, R2', R2 ", n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다.
(2) 화학식 VI-2로 표시되는 치환 벤젠 유도체의 금속염과 화학식 VII-2로 표시되는 치환 피리딜알데히드를 반응시키고, 화학식 X로 표시되는 페닐피리딜메탄 올을 제조한 후, 이어서 이것을 산화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VI-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6
식 중, R1, R2', R2 "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고, Z는 금속 원자 또는 그의 복합염이다.
<화학식 VII-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7
식 중, X 및 n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조 방법 (1) 및 (2)에서, Z로 표시되는 금속 원자로는 리튬, 마그네슘, 아연, 구리 등의 전형 금속 원자; 팔라듐, 루테늄 등의 전이 금속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원자 대신에 금속 원자의 복합염(아트 착체) 예를 들면, 디아릴구리리튬, 트리아릴구리리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VI-1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I-2의 화합물은, 통상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문헌[Journal of Organic Chemistry 제57권 제6847-6852쪽, 1992년]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 (1) 및 (2)에 의해서 제조되는 화학식 X로 표시되는 페닐피리딜메탄올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이산화망간이나 크롬산 등의 금속산 화제, Swern 산화법(디메틸술폭시드+염화옥살릴), 루테늄 산화법(테트라프로필암모늄파르테네이트+N-메틸모르폴린-N-옥시드) 등에 의해 산화되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변환된다.
제조 방법 (1)에서의 화학식 VII-1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 -100℃ 내지 12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r-Z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마그네슘브로마이드, 메틸리튬, 부틸리튬, 페닐리튬, 디이소프로필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2,2,6,6-테트라메틸피페라지드 등의 금속 아미드류를 사용하고, 수소-금속 교환 반응에 의해서 얻을 수도 있다.
<화학식 VII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8
식 중, X 및 n은 상술한 바와 같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다.
<화학식 IX>
Ar-Z
식 중, Ar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Z는 상술한 바와 같다.
(3) 상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이 금속 촉매 존재하, 일산화탄소 분위기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X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09
식 중, R1, R2', R2 "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고, M은 금속 원자이다.
상기 제조 방법 (3)에서, 금속 원자로는 히드록시붕소, 알킬붕소, 알콕시붕소, 할로겐화마그네슘, 할로겐화아연, 알킬주석, 알킬실란, 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이 금속 촉매로는 팔라듐, 로듐, 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단일 또는 혼합한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0℃ 내지 20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압(常壓)의 일산화탄소 분위기하에서 반응시킬 수도 있고, 내압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일산화탄소 가압 상태에서 반응시킬 수도 있다.
(4) 상기 화학식 VII-1의 화합물과, 화학식 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XI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0
식 중, R1, R2', R2 "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고, Y는 이탈기이다.
상기 제조 방법 (4)에서, Y로 표시되는 이탈기로는, 할로겐, 시아노, 알콕시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헥산, 시클로헥산,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디 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계 용매류의 단일, 또는 혼합한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100℃ 내지 12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켈, 팔라듐, 철 등의 전이 금속 착체를 촉매적으로 존재시킴으로써, 반응을 보다 촉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5) 화학식 X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루이스산 또는 탈수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XII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1
식 중, X 및 n은 상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XIV>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2
식 중, R1, R2', R2 " 및 p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제조 방법 (5)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 0℃ 내지 20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이스산 또는 탈수제로는, 예를 들면 P2O5, 옥시 염화인, 폴리 인산, 황산,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매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면 어떤 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1,2-디클로로에탄,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벤젠, 클로로벤젠, 디클로 로벤젠, 니트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6)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이며,
(a) 상기 화학식 XIII의 화합물과 할로겐화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제1 공정 및
(b) 제1 공정에서 얻어진 화학식 XV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XIV의 화합물과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는 제2 공정으로 구성되는 방법.
<화학식 XV>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3
식 중, X 및 n은 상술한 바와 같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다.
제조 방법 (6)의 제1 공정의 반응은, 통상의 산할로겐화 반응을 적응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서, 0 내지 20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할로겐화제로는, 불소화제, 염소화제, 브롬화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염화티오닐, 옥시염화인, 염화옥살릴 등의 염소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6)의 제2 공정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은 촉매의 존재하, 용제 중, 또는 무용매로, -78℃ 내지 20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할 수 있지만, 0℃ 내지 100℃의 반응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촉매로는, FeCl3, AlCl3, SnCl4, ZnCl2, TiCl4, SbCl5, BF3, BiCl3 등의 루이스산 촉매,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이나 흑연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매로는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용매가 사용되고, 예를 들면 1,2-디클로로에탄, 염화메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Friedel-Crafts Chemistry(Olah, G.A.저)]를 참고하여, 합성, 또는 유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 (5) 및 제조 방법 (6)의 제조용 원료로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VII-2의 화합물을 산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산화제로는 통상 사용하는 무기, 또는 유기 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VII-1의 화합물을 직접 드라이 아이스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클로로탄산에틸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진다. 또는, 치환 피리딘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문헌에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예를 들면 문헌[J. Heterocyclic. Chem., 36, 653(1999)]을 참고하여, 합성, 또는 유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닛본 가가꾸까이편 제4판 "실험 화학 강좌 22, 유기 합성 IV, 1992년"을 참고하여, 합성, 또는 유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중에서도,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4
식 중, A가 -N=인 경우, B는 -CX4=이고; A가 -CH=인 경우, B는 -N=이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알콕시기, 수산기, 알킬기, CF3기 또는 알킬티오기이고; X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콕시기, 알킬기, CF3기 또는 알킬티오기이며; X4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콕시기, 알킬기, CF3기 또는 알킬티오기이고; R1은 알킬기이며; R2'는 알콕시기이고; p는 1, 2 또는 3이며; R2 " 및 R2 "'는 알콕시기이다.
상기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는, A가 -CH=이고 B가 -N=인 경우의 화합물, 즉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가 -N=이고, B는 -CX4=인 경우의 화합물, 즉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I'-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5
식 중, X1, X2, X3, R1, R2', R2 " 및 R2 "'은 상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I'-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6
식 중, X1, X2, X3, X4, R1, R2', R2 " 및 R2 "'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는,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브로모-5-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4-에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2), 3-(4,5-디메톡시-2-메틸벤조일)-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 3-(5-에톡시-4-메톡시-2-메틸벤조일)-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브로모-5-클로로-2-에톡시피리딘(화합물 No. 5),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에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6),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클로로-2-에톡시피리딘(화합물 No. 7),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클로로-5-요오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8),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요오드-2,4-디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9),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티오피리딘(화합물 No. 10),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4-디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1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5-디브로모-2-메톡시피리딘 (화합물 No. 12),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브로모-2-메톡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13),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14),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15),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4-디클로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16),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4-디클로로-5-요오드피리딘(화합물 No. 17),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요오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18),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5-디메틸피리딘(화합물 No. 19),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메톡시-4,5-디메틸피리딘(화합물 No. 20), 3-(2-에톡시-3,4-디메톡시-6-메틸벤조일)-2-에톡시-4,5-디메틸피리딘(화합물 No. 2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5-디메틸-2-메틸티오피리딘(화합물 No. 22),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23),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클로로-2-메톡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24),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메틸피리딘(화합물 No. 25),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26),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4-디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화합물 No. 27),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28),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4-에티닐-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29),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4-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0), 3-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플루오로메틸-2-메톡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32),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4-디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3),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에틸-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4),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6),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37) 및 3-(4,5-디메톡시-2-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8)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는,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화합물 No. 39),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5-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0),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브로모-3-트리플루오로메틸-5-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1),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3,5-트리클로로피리딘(화합물 No. 42),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5-디클로로피리딘(화합물 No. 43),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클로로-5-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4),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브로모-3-클로로-5-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5) 및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브로모-5-메틸피리딘(화합물 No. 46)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특히 농원예용 살균제로서 유용하다. 농원예용 살균제로는, 예를 들면 벼의 도열병, 참깨 잎마름병, 문고병; 보리류의 백분병(powdery mildew), 붉은곰팡이병(fusarium head blight), 녹병(rust disease), 설부병, 밀겉깜부기병(loose smut), 눈무늬병(eyespot disease), 잎마름병, 밀껍질마름병(glumeblotch); 감귤의 흑점병, 더뎅이병(common scab); 사과의 모닐리아병, 백분병, 반점낙엽병, 흑성병; 가지의 흑성병, 흑반병; 복숭아의 회성병, 흑성병, 포모프시스 부패병(constriction disease); 포도의 흑두병, 만부병, 백분병, 노균병; 감의 탄저병, 낙엽병; 박과 식물류의 탄저병, 백분병, 만고병, 노균병; 토마토의 윤문병, 잎곰팡이병, 역병; 유채과 야채의 흑점병, 감자의 하역병, 역병; 딸기의 백분병; 여러 가지 작물의 회색곰팡이병, 균핵병 등의 병해의 방제에 유효하다. 특히, 보리류, 야채류의 백분병 및 벼의 도열병에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푸사리움균, 피슘균, 리족토니아균, 버티실리움균, 플라즈모디오폴러균 등의 식물 병원균에 의해서 발생되는 토양 병해의 방제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유효 성분은 종래의 농약 제제와 마찬가지로, 각종 보조제를 혼합하여 분말제, 입자제, 과립수화제, 수화제, 수성 현탁제, 유성 현탁제, 수용제, 유제, 액제, 페이스트제, 에어졸제, 미량 산포제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제제(製劑)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적합하는 한, 통상의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제제 형태로 할 수 있다. 제제에 사용하는 보조제로는, 규조토, 소석회,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카본, 카올린,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견운모의 혼합물, 클레이, 탄산나트륨, 중탄산 소다, 망초석, 제올라이트, 전분 등의 고형 담체; 물, 톨루엔, 크실렌, 용매 나프타, 디옥산, 아세톤, 이소포론, 메틸이소부틸케톤, 클로로벤젠, 시클로헥산,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부틸-2-피롤리돈, 알코올 등의 용제; 지방산염, 벤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카본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염, 알킬아릴황산염, 알킬디글리콜에테르황산염,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아릴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인산염, 스티릴아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인산에스테르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염과 같은 음이온계의 계면활성제나 전착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알코올폴리글리콜에테르,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코올, 옥시알킬렌블럭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계의 계면활성제나 전착제; 올리브유, 케이폭(kapok)유, 피마자유, 종려 나무유, 동백유, 야자유, 참기름, 옥수수유, 쌀겨 기름, 낙화생유, 면실유, 대두유, 채종유, 아마인유, 목재유, 액상 파라핀 등의 식물성 기름이나 광물성 기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해당 분야에서 알려진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량제, 증점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분산 안정제, 약해 경감제, 방미제 등 통상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도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 화합물과 각종 보조제와의 배합 비율은, 일반적으로 0.005:99.995 내지 95:5, 바람직하게는 0.2:99.8 내지 90:10이다. 이들 제제를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물 등의 희석제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종 전착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을 농원예용 식물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의 사용 농도는, 대상 작물, 사용 방법, 제제 형태, 시용량 등의 차이에 따라서 다르고,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경엽 처리의 경우, 유효 성분당 보통 0.1 내지 10,000 pp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0 ppm이다. 토양 처리의 경우에는, 보통 10 내지 100,000 g/ha,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0 g/ha이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의 여러 가지 제제, 또는 그 희석물의 시용은, 통상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시용 방법, 즉 산포(예를 들면 산포, 분무, 미스팅, 어토마이징, 산립(散粒), 수면 시용 등), 토양 시용(혼입, 관주(灌注) 등), 표면 시용(도포, 분말 코팅, 피복 등)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위 초고농도 소량 산포법(ultra low volume)에 의해 시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활성 성 분을 100 %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에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과, 다른 살균제와의 적당한 혼합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10000 내지 10000:1,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1000:1, 또한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200:1이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합성예를 기재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15)의 합성]
(a) 디이소프로필아민 34.2 g(340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40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20℃에서 n-부틸리튬(1.57 mol/ℓ 헥산 용액) 222 ㎖를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2-플루오로피리딘 32.0 g(330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2-플루오로-3-피리딜리튬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에 요오드 87.1 g(341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2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2-플루오로-3-요오드피리딘의 조 생성물 67.4 g(조 수율 92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7
(b) 디이소프로필아민 30.2 g(30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8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20℃에서 n-부틸리튬(1.57 mol/ℓ 헥산 용액) 189 ㎖를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공정 (a)에서 얻어진 2-플루오로-3-요오드피리딘의 조 생성물 67.4 g(30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초기에 생성한 2-플루오로-3-요오드-4-피리딜리튬을 2-플루오로-4-요오드-3-피리딜리튬으로 이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 3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여,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2-플루오로-4-요오드피리딘의 조 생성물 59.3 g(조 수율 89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8
(c) 공정 b에서 얻어진 2-플루오로-4-요오드피리딘의 조 생성물 59.4 g(253 mmol)에 메탄올 500 ㎖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나트륨메톡시드 21.5 g(398 mmol)을 첨가하여 3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물 3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여,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요오드-2-메톡시피리딘의 조 생성물 56.7 g(조 수율 91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19
(d)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50.6 ㎖(2 mol/ℓ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를 빙냉(氷冷)하고, 공정 (c)에서 얻어진 4-요오드-2-메톡시피리딘의 조 생성물 19.8 g(84.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8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0℃에서 1 시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2-메톡시-4-피리딜마그네슘클로라이드를 제조하였다. 그 후, N-클로로숙신산이미드 16.9 g(127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0 ㎖를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하여,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클로로-2-메톡시피리딘의 조 생성물 11.0 g(조 수율 91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0
(e) 공정 (d)에서 얻어진 4-클로로-2-메톡시피리딘의 조 생성물 10.0 g(69.9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에 용해시키고, N-클로로숙신산이미드 37.2 g(279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400 ㎖를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하여,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의 조 생성물 9.10 g(조 수율 73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1
(f) 디이소프로필아민 2.40 g(23.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 ㎖에 용해 시킨 용액 중에, -20℃에서 n-부틸리튬(1.57 mol/ℓ 헥산 용액) 15.1 ㎖를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공정 (e)에서 얻어진 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 4.22 g(23.6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4,5-디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리튬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에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5.00 g(23.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5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4,5-디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4.66 g(수율 51 %)을 얻었다.
*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2
(g) 공정 (f)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4,5-디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4.66 g(12.0 mmol)을 톨루엔 30 ㎖에 용해시킨 용액에, 이산화망간 13.8 g(159 mmol)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가열 환류를 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이산화망간을 제거한 후,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5-디클로로-2-메톡시피리딘 2.98 g(수율 6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3
<합성예 2>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메톡시-4,5-디메틸피리딘(화합물 No. 20)의 합성]
(a) 디이소프로필아민 4.02 g(39.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7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78℃에서 n-부틸리튬(1.57 mol/ℓ 헥산 용액) 26.5 ㎖를 적하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2-플루오로-5-메틸피리딘 4.42 g(39.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8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2-플루오로-5-메틸-3-피리딜리튬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에 요오드 10.1 g(39.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7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6 ㎖,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 120 ㎖를 투입하고,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플루오로-3-요오드-5-메틸피리딘 3.15 g(수율 33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4
(b) 디이소프로필아민 1.34 g(13.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7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78℃에서 n-부틸리튬 8.90 ㎖(1.57 mol/ℓ 헥산 용액)를 적하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공정 (a)에서 얻어진 2-플루오로-3-요오드-5-메틸피리딘 3.15 g(13.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초기에 생성한 2-플루오로-3-요오드-5-메틸-4-피리딜리튬을 2-플루오로-3-요오드-5-메틸-3-피리딜리튬으로 이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2.79 g(13.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승온한 후, 물 50 ㎖를 첨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플루오로-4-요오드-5-메틸-3-피리딜)메탄올 4.45 g(수율 7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5
(c) 공정 (b)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플루오로-4-요오드-5-메틸-3-피리딜)메탄올 4.35 g(9.70 mmol)을 톨루엔 130 ㎖에 용해시킨 용액에, 이산화망간 17.3 g(0.18 mol)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환류 가열을 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이산화망간을 제거한 후,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요오드-5-메틸피리딘(화합물 No. 18; 융점 140 내지 141℃) 2.80 g(수율 6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6
(d) 공정 (c)에서 얻어진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 요오드-5-메틸피리딘 1.50 g(3.37 mmol), 탄산칼륨 1.40 g(10.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39 g(0.34 mmol), 디옥산 15 ㎖, 50 % 트리메틸보록신 0.42 g(1.67 mmol)을 혼합하고, 6 시간 동안 환류 가열을 행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셀라이트 여과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5-디메틸피리딘(화합물 No. 19) 0.79 g(수율 70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7
(e) 공정 (d)에서 얻어진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플루오로-4,5-디메틸피리딘 0.20 g(0.60 mmol)을 메탄올 2.5 ㎖에 용해시킨 용액에, 60 % 수소화나트륨 0.06 g(1.5 mmol)을 메탄올 1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하고, 16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5 ㎖를 첨가하여 희염산으로 약산성화하고, 에테르로 추출한 후, 식염수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메톡시-4,5-디메틸피리딘 89.0 mg(수율 43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8
<합성예 3>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23)의 합성]
(a) 4-클로로-2-메톡시피리딘 5.76 g(40.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 ㎖에 용해시키고, N-브로모숙신산이미드 8.01 g(98 %품, 44.1 mmol)의 디메틸포름아미드(20 ㎖) 용액을 30 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한 후, 미반응된 원료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추가로 N-브로모숙신산이미드 2.85 g(98 %품, 16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추가로 3일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50 ㎖에 주입하고, 에테르(각 10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100 ㎖),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100 ㎖), 이어서 포화 식염수(100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피리딘 7.10 g(수율 80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29
(b)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3.84 g(2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6 ㎖에 용해시킨 용액에 아르곤 기류하에 0℃에서 n-부틸리튬 18.3 ㎖(1.57 mol/ℓ 헥산 용액, 27 mmol)을 적하하고, 0℃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피리딘 6.10 g(2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4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리튬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5.50 g(26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4 ㎖에 용해시킨 용 액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37 ㎖, 이어서 물 150 ㎖를 첨가하고, 실온으로 승온한 후, 아세트산에틸(각 15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100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6.53 g(수율 56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0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2.21 g(5.1 mmol)을 톨루엔 70 ㎖에 용해시킨 용액에, 이산화망간 4.55 g(88 %품, 46 mmol)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환류 가열을 행하였다. 또한, 이산화망간 4.55 g(88 %품, 46 mmol)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환류 가열을 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이산화망간을 제거,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클로로-2-메톡시피리딘(융점 84 내지 87℃) 1.90 g(수율 87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1
<합성예 4>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a) 2-메톡시-4-메틸피리딘 8.0 g(65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5 ㎖ 용액 중에 N-클로로숙신산이미드 9.2 g(69 mmol)을 투입하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을 첨가하고, 수층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후, 여과,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융점 32 내지 33℃) 8.5 g(수율 82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2
(b) 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7.2 g(46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5 ㎖ 용액 중에 N-브로모숙신산이미드 20.2 g(114 mmol)을 투입하고, 5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희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수층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한 후, 실리카 겔 케이크로 여과,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융점 44 내지 45℃) 10.6 g(수율 97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3
(c)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2.0 mol/ℓ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2.2 ㎖(4.4 mmol)에 테트라히드로푸란 4 ㎖, 트리에틸아민 0.62 ㎖(4.4 mmol)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고,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0 g(4.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한 후,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마그네슘클로라이드를 제조하였다.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0.89 g(4.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반응 용액 중에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 후, 여과,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메탄올 (담황색 유상물(油狀物)) 1.1 g(수율 70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4
(d)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메탄올 0.64 g(1.7 mmol)의 톨루엔 15 ㎖ 용액에 활성 이산화망간 4 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융점 94.5 내지 95.5℃) 0.57 g(수율 90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5
<합성예 5>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5-메틸피리딘 (화합물 No. 37)의 합성]
(a)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5.05 g(27.8 mmol), 나트륨메톡시드 3.59 g(66.5 mmol)을 메탄올 40 ㎖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열 환류하에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 후에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실리카 겔 케이크로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 4.19 g(수율 8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6
(b) 공정 (a)에서 얻어진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 8.21 g(46.4 mmol), 아세트산나트륨 7.98 g(97.3 mmol)을 아세트산 15 ㎖에 용해시킨 용액에, 브롬 4.00 ㎖(78.1 mmol)를 적하하여 4일간 교반하였다.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 후에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실리카 겔 케이크로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과 원료의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과의 혼합물 5.81 g(몰비 55:45)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7
(c) 디이소프로필아민 3.80 ㎖(27.1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0℃에서 n-부틸리튬(1.57 mol/ℓ 헥산 용액) 17.1 ㎖를 적하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공정 (c)에서 얻어진 5-브로모-4- 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과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의 혼합물 5.81 g(몰비 55:45)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에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45 분간 교반하고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3-피리딜리튬과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3-피리딜리튬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5.51 g(26.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에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5.02 g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8
(d) 공정 (c)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3-피리딜)메탄올 4.80 g(10.3 mmol)을 톨루엔 11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이산화망간 20.0 g(230 mmol)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한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31) 3.93 g(수율 82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39
(e) 공정 (d)에서 얻어진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피리딘 0.60 g(1.2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10 g(0.09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0℃에서 디메틸아연(1.0 mol/ℓ 헥산 용액) 3.80 ㎖(3.80 mmol)를 적하하고, 자연 승온시킨 후, 실온에서 8일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5-메틸피리딘 0.50 g(수율 96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0
<합성예 6>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화합물 No. 39)의 합성]
(a) 디이소프로필아민 3.6 ㎖(25 mmol)를 디에틸에테르 60 ㎖에 용해시킨 용액 중에, 0℃에서 n-부틸리튬(1.5 mol/ℓ 헥산 용액) 17 ㎖(25 mmol)를 적하하고, 45 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2,3,6-트리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6.0 g(24 mmol)을 디에틸에테르 8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25 분간 교반하여 2,3,6-트리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리튬을 제조한 후에,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5.0 g(24 mmol)을 톨루엔 12 ㎖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3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3,6-트리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융점 131 내지 135℃)을 얻었다.
(b) 공정 (a)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부틸페닐)(2,3,6-트리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을 메탄올 200 ㎖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7 ㎖(19 mmol), 5 % 팔라듐탄소 0.9 g을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하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물 30 ㎖를 첨가하여 감압하에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융점 162 내지 165℃) 2.38 g(수율 24 %)을 얻었다.
(c) 공정 (b)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 3.5 g(8.2 mmol)을 톨루엔 100 ㎖에 용해시킨 용액에 이산화망간 14 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 후 여과하고,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4-(2,3,4-트리메톡시-6-부틸벤조일)-2,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융점 106 내지 109℃) 3.1 g(수율 89 %)을 얻었다.
<합성예 7>
[4-(2,3,4-트리메톡시-6-부틸벤조일)-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5-메톡시피리딘(화합물 No. 40)의 합성]
(a) 디이소프로필아민 15.0 ㎖(107 mmol)의 디에틸에테르 120 ㎖ 용액 중에, 0℃에서 n-부틸리튬(1.5 mol/ℓ헥산 용액) 70.0 ㎖(106 mmol)를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2,3-디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22.1 g(102 mmol)의 디에틸에테르 10 ㎖ 용액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하고 2,3-디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리튬을 제조한 후에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21.0 g(100 mmol)의 톨루엔 40 ㎖ 용액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3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2,3-디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융점 95 내지 98℃) 24.8 g(수율 58 %)을 얻었다.
(b) 공정 (a)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부틸페닐)(2,3-디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 24.8 g(58.1 mmol), 트리에틸아민 9.50 ㎖(68.2 mmol)의 메탄올 200 ㎖ 용액 중에, 5 % 팔라듐탄소 2.1 g을 첨가하여 수소 분위기 하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물 50 ㎖를 첨가하여 감압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융점 102 내지 105℃) 15.9 g(수율 70 %)을 얻었다.
(c) 공정 (b)에서 얻어진 (2,3,4-트리메톡시-6-부틸페닐)(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4-피리딜)메탄올 15.9 g(40,6 mmol)의 톨루엔 220 ㎖ 용액 중에 이산화망간 45 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융점 75 내지 77℃) 14.9 g(수율 94 %)을 얻었다.
(d) 공정 (c)에서 얻어진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18.5 g(47.5 mmol),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16.6 ㎖(95.4 mmol)의 톨루엔 150 ㎖ 용액 중에 나트륨메톡시드 16.4 g(304 mmol)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30 분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한 후에,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4-(2,3,4-트리메톡시-6-부틸벤조일)-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융점 103 내지 106℃) 11.7 g(수율 64 %)을 얻었다.
(e)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 딘(화합물 No. 122) 5.6 g(15 mmol)의 클로로포름 100 ㎖ 용액 중에, 0℃에서 m-클로로과벤조산(m-CPBA) 6.1 g(28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N-옥시드(융점 128 내지 134℃) 5.8 g(수율 99 %)을 얻었다.
(f) 톨루엔 4 ㎖, 디메틸포름아미드 8 ㎖ 중에, 0℃에서 옥시염화인 1.8 ㎖(19 mmol)를 첨가하고 10 분간 교반한 후에, 4-(2,3,4-트리메톡시-6-부틸벤조일)-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N-옥시드 4.0 g(10 mmol)을 첨가하여 20 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빙수 중에 투입하여 반응을 정지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5-메톡시피리딘(융점 117 내지 119℃) 3.57 g(수율 85 %)을 얻었다.
<합성예 8>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a)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즈알데히드 45.6 g(217 mmol)을 디메틸술폭시드 130 ㎖에 용해시키고, 인산이수소나트륨 5.2 g(44 mmol) 수용액(50 ㎖)을 20 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이어서 아염소산나트륨 28 g(305 mmol) 수용액(180 ㎖)을 3 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발포하지 않게 될 때까지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50 ㎖에서 2회 세정하고, 이어서 농염산을 첨가하여 수층을 산성으로 만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여,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헥산으로 세정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융점 95 내지 97℃) 45.6 g(수율 93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1
(b-1)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2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6.8 ㎖(13.6 mmol)를 0℃로 냉각하고,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6 g(6.6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마그네슘클로라이드를 조정하였다. 또한 반응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시안화구리 (I) 1.2 g(13.3 mmol) 및 염화리튬 1.15 g(27.1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하고, 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 구리 반응제를 조정하였다. 한편, (a) 공정에서 합성한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 3.2 g(14.3 mmol)을 염화티오닐 7 ㎖ 중에서 3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고,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조정한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클로라이드를 테트라히드로푸란 7 ㎖에 용해시킨 용액을, 앞서 조정한 피리딜 구리 반응제 중에 -78℃에서 적하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추가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 다. 반응 용액에 물,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융점 85 내지 88℃) 2.6 g(수율 57 %)을 얻고, 1HNMR에서 화합물을 동정(同定)하였다.
(b-2)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1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1 ㎖(11.0 mmol),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2.5 g(10.6 mmol)을 사용하여 공정 (b-1)과 마찬가지의 반응을 행하고, 시안화 구리(I), 염화리튬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대신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25 g(1.1 mmol)을 사용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 2.4 g(10.6 mmol)과 염화티오닐 5 ㎖로부터 조정한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클로라이드를 0℃에서 2 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7 g(수율 43 %)을 얻고, 1HNMR에서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b-3) 공정 (b-2)와 마찬가지의 반응으로,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1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대신에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0.5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22 ㎖(22.0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대신에 염화 구리1.14 g(11.5 mmol)을 사용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7 g(수율 43 %)을 얻고, 1HNMR에서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합성예 9>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a) 2-브로모-3,4,5-트리메톡시톨루엔 5.0 g(19 mmol)을 디에틸에테르 50 ㎖에 용해시킨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n-부틸리튬(1.6 M 헥산 용액) 15 ㎖(24 mmol)를 적하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2-페닐리튬을 발생시킨 후에, 붕소산트리메틸 4.9 ㎖(43 mmol)를 적하하고,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희류산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에, 추가로 물을 첨가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붕소산(융점 99 내지 102℃) 3.26 g(수율 7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2
(b) 200 ㎖ 오토클레이브에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0 g(4.3 mmol), 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붕소산 1.2 g(5.4 mmol), 탄산칼륨 1.8 g(13 mmol), 염화팔라듐 46 mg(0.26 mmol),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147 mg(0.52 mmol), 테트라히드로푸란 40 ㎖를 넣고, 일산화탄소 가스를 10 기압 봉입하고, 12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물을 첨가하여 감압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한 후, 여과하여,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 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융점 92 내지 94℃) 0.31 g(수율 20 %)을 얻고, 1HNMR에서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합성예 10>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a)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풍선을 구비한 500 ㎖ 4구 플라스크에 마그네슘 5.4 g(222 mmo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95 ㎖를 넣고, 계 내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17.3 g(220 mmol)을 적하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계 내 온도를 0℃ 이하로 유지하면서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47.3 g(200 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95 ㎖ 용액을 적하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드라이 아이스 중에 반응액을 적하하였다.
물 300 ㎖ 중에 반응액을 투입하고, 분액 후, 수층에 염산물을 적하하여 산성화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5-클로로-2-메톡시-4-메틸니코틴산(융점 127 내지 129℃) 26 g(수율 65 %)을 얻었다.
(b)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풍선을 구비한 50 ㎖ 4구 플라스크에 5-클로로-2-메톡시-4-메틸니코틴산 1.0 g(4.96 mmol), 3,4,5-트리메톡시톨루엔 0.9 g(4.94 mmol), 1,2-디클로로에탄 20 ㎖ 및 오산화이인 7.1 g(50.0 mmol)을 넣고, 환류하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50 ㎖ 중에 반응액을 투입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알칼리 성화하고, 분액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에 헥산 5 ㎖를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고, 목적물 0.4 g(수율 22 %)을 얻었다.
<합성예 11>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20 ㎖ 가지 플라스크에 5-클로로-2-메톡시-4-메틸니코틴산 1.0 g(5.0 mmol), 1,2-디클로로에탄 10 g 및 염화옥살릴 0.62 g(5.0 mmol)을 넣고, 25℃에서 20 분간 교반한 후, 60℃ 내지 65℃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5℃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에 3,4,5-트리메톡시톨루엔 0.80 g(4.4 mmol), 염화알루미늄 무수물 0.70 g(5.2 mmol)을 첨가하고, 25℃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추출, 분액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석출된 고체에 n-헥산을 첨가하여 여과, 건조할 목적물 0.66 g(수율 36.1 %)을 얻었다.
<합성예 12>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화합물 No. 35)의 합성]
(a)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산 6.0 g(26.6 mmol)에 염화티오닐 10 ㎖를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증류 제거하였다. 거기에 톨루엔 20 ㎖, 아세토니트릴 8 ㎖, 시안화 구리 (I) 3.1 g(34.5 mmol)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시아니드 2.8 g(수율 45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3
(b)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시아니드 1.9 g(8.0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에 용해시킨 용액을 -10℃로 냉각하고, 철 (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32 g(0.91 mmol)을 첨가하고 20 분간 교반하였다. 별도의 반응 용기에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2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4.1 ㎖(8.2 mmol)에 테트라히드로푸란 4 ㎖를 첨가하여 0℃로 냉각하고, 3-브로모-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1.0 g(4.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한 후,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딜마그네슘클로라이드를 발생시켰다. 앞서 조정한 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시아니드-철 혼합 용액에, 조정한 피리딜마그네슘클로라이드 용액을 적하하여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10 %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마그네슘 무수물로 건조 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목적물 1.7 g(수율 58 %)을 얻었다.
<중간체 합성예 1>
(a) 교반기, 온도계 및 가스 도입관(入)을 구비한 2 ℓ 4구 플라스크에 2-아 미노-4-메틸피리딘 324 g(3.00 mol) 및 메탄올 485 g을 넣고 혼합 용해한 후, 계 내 온도를 10 내지 30℃로 유지하면서 염화수소 가스 361.4 g(9.90 mol)을 1 시간 30 분에 걸쳐 도입하였다.
이어서, 교반기, 온도계, 적하 로트 및 가스 발생 장치와 디아조화 반응 장치를 연결시킨 기포 카운터가 부착된 도입관(出)을 구비한 2 ℓ 4구 플라스크에 아질산나트륨 414 g(6.00 mol), 메탄올 211 g(6.60 mol) 및 물 454 g을 혼합하고, 계 내 온도를 20 내지 30℃로 유지하면서 38 % 황산 수용액 812.4 g(3.15 mol)을 5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아질산메틸 발생 장치에서는, 38 % 황산 수용액이 적하됨과 동시에 상당의 아질산메틸 가스가 발생하고, 기포 카운터를 통하여 디아조화 반응 장치에 도입된다.
한편, 디아조화 반응에서는 계 내 온도를 20 내지 30℃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냉하였다.
아질산메틸 가스 도입 종료 후, 동일한 온도에서 13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 후, 물 648 g을 투입하고, 추가로 30℃ 이하에서 40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18 g을 적하하여 계 내의 pH를 12로 조정하였다.
생성 오일을 910 g의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고, 분액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375.3 g의 오일을 얻었다. 또한, 이 오일(조 생성물)의 조성은 2-클로로-4-메틸피리딘 70.7 %(수율 69.5 %), 2-메톡시-4-메틸피리딘 26.6 %(수율 27.2 %), 2-아미노-4-메틸피리딘 2.6 %였다.
(b)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및 적하 로트를 구비한 2 ℓ 4구 플라스크에 메탄올 356 g을 넣고, 교반하에 50℃ 이하로 유지하면서 나트륨메톡시드 237.6 g(4.4 mol)을 투입한 후, 계 내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하면서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2-클로로-4-메틸피리딘의 조 생성물 375.3 g(70.7 %품, 2.2 mol)을 3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면서 3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그 사이 메탄올의 증류 제거량은 120 g이었음).
반응 종료 후, 계 내의 잔존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 후, 물 750 g을 투입하고, 무기염을 용해시켰다.
생성 오일을 1050 g의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고, 분액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370 g의 오일(조 생성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2-메톡시-4-메틸피리딘의 순도는 95 %였다. (2-아미노-4-메틸피리딘으로부터의 2 단계 수율은 95 %)
<중간체 합성예 2>
[5-클로로-4-메틸-2-메톡시-니코틴산의 합성]
(a) 4,4-디시아노-3-메틸-3-부테날-디메틸아세탈, 1,1-디시아노-4-메톡시-2-메틸-1,3-부타디엔의 혼합물의 합성
피페리딘 3.15 g(37 mmol)의 톨루엔 100 ㎖ 용액에 아세트산 2.28 g(3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틸아세트알데히드디메틸아 세탈 49.3 g(373 mmol)의 톨루엔 20 ㎖ 용액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마로노니트릴 24.65 g(373 mmol)의 톨루엔 30 ㎖ 용액을 20 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5일간 교반을 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4,4-디시아노-3-메틸-3-부테날-디메틸아세탈, 1,1-디시아노-4-메톡시-2-메틸-1,3-부타디엔의 혼합물 69.35 g이 얻어졌다.
(b) 3-시아노-4-메틸피리돈의 합성
(a)에서 얻어진 4,4-디시아노-3-메틸-3-부테날-디메틸아세탈, 1,1-디시아노-4-메톡시-2-메틸-1,3-부타디엔의 혼합물 69.35 g을 농황산 113 g에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3 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0 분간 교반한 후, 50℃로 승온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방냉 후 반응 혼합물을 물-얼음(500 ㎖)에 천천히 주입하고, 얻어진 결정을 여과하여 수득하고, 결정을 물 100 ㎖에서 세정하였다. 결정을 일주간 풍건하고, 추가로 감압하 70℃에서 8 시간 동안 건조하고, 3-시아노-4-메틸피리돈 34.2 g(2 단계 수율 68 %)의 조 결정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4
(c) 2-클로로-3-시아노-4-메틸피리딘의 합성
오염화인 6.52 g(31.3 mmol), 옥시염화인 30 ㎖(48 g, 313 mmol)의 혼합물에 3-시아노-4-메틸피리돈 14 g(104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70 분, 이어서 가열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방냉 후, 반응 혼합물을 물-얼 음(400 ㎖)에 주입하여 과잉의 반응제를 분해한 후, 디클로로메탄 100 ㎖로 3회 추출을 행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포화 식염수 100 ㎖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2-클로로-3-시아노-4-메틸피리딘의 조 결정15.1 g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5
(d) 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의 합성
(c)에서 얻어진 2-클로로-3-시아노-4-메틸피리딘의 조 결정 15.1 g을 메탄올 무수물 150 ㎖에 용해시키고, 28 % 나트륨메톡시드의 메탄올 용액 24.9 g(129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식염수 200 ㎖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 100 ㎖로 3회 추출하였다.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셀라이트-실리카 겔 칼럼을 통해서 여과, 칼럼을 아세트산에틸로 충분히 세정하였다. 여액, 세정액을 첨가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 14.04 g의 조 결정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6
(e) 5-클로로-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의 합성
(d)에서 얻어진 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 14.04 g(95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에 용해시키고, N-클로로 숙신산이미드 25.4 g(190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교반을 행하였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하였더니, 원료의 잔존이 인정되었기 때문에, 50℃에서 22 시간, 이어서 60℃에 서 22 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방냉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00 ㎖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 100 ㎖로 3회 추출을 행하였다.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물 150 ㎖로 2회, 이어서 포화 식염수 100 ㎖로 차례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서 정제하고, 5-클로로-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 13.68 g(3 단계 수율 79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7
(f) 5-클로로-3-포르밀-4-메틸-2-메톡시피리딘의 합성
5-클로로-3-시아노-4-메틸-2-메톡시피리딘 2.47 g(13.5 mmol)을 디클로로메탄 무수물 50 ㎖에 용해시키고, -78℃로 냉각한 후, 1 M 디이소부틸알루미늄히드리드의 톨루엔 용액 20.3 ㎖(20.3 mmol)를 천천히 적하하였다. -78℃에서 2 시간 30 분간 교반한 후, 천천히 실온으로 승온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일간 교반을 행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수욕에서 냉각하고, 물 30 ㎖를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 N 염산 150 m에 주입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에서 2회 추출을 행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포화 식염수 100 ㎖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조 5-클로로-3-포르밀-4-메틸-2-메톡시피리딘을 얻었다.
(g) 5-클로로-4-메틸-2-메톡시-니코틴산의 합성
(f)에서 얻어진 조 5-클로로-3-포르밀-4-메틸-2-메톡시피리딘을 디메틸술폭시드 14 ㎖에 용해시키고, 인산이수소나트륨 0.33 g(2.7 mmol) 수용액 5.7 ㎖를 첨가하고, 추가로 아염소산나트륨 2.16 g(79 %품, 18.9 mmol) 수용액 20 ㎖를 3 시간에 걸쳐 천천히 적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5일간 교반하고, 포화 중조수 50 ㎖를 첨가하여 하룻밤 교반을 행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50 ㎖에서 2회 세정한 후, 수층을 농염산으로 산성으로 만들고, 아세트산에틸 70 ㎖에서 3회 추출을 행하였다.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포화 식염수 50 ㎖에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조 결정을 얻었다. 재차 조 결정을 아세트산에틸 50 ㎖에 용해시키고, 포화 중탄산 소다수 50 ㎖에서 2회 역추출, 수층을 농염산에서 산성으로 만들고, 아세트산에틸 70 ㎖에서 3회 추출을 행하였다.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포화 식염수 50 ㎖에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의 결정을 얻었다. 헥산 50 ㎖에서 결정을 세정한 후, 풍건하고, 5-클로로-4-메틸-2-메톡시-니코틴산 0.55 g(2 단계 수율 20 %)을 얻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49
이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험예를 기재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밀류 백분병 예방 효과 시험-
직경 7.5 cm의 폴리포트로 밀(품종: 농림 61호)을 재배하고, 1.5 엽기(葉期)에 도달했을 때에 각 공시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조정한 혼합 약액을 분무 건으로 200 L/ha에 상당하도록 산포하였다. 약액이 건조한 후, 백분병균의 분생 포자를 뿌려 접종하고, 20℃의 항온실 내에 유지하였다. 접종 6 내지 8일 후에 포자 형성 면적을 조사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서 발병률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53에 나타내었다. 또한, 무처리구의 평균 병점 면적은, 약액 대신에 물을 분무 건으로 산포한 것 이외에는 처리구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구하였다.
발병률=(a/b)×100
a: 처리구의 평균 병점 면적
b: 무처리구의 평균 병점 면적
콜비(Colby)의 식에 의해, 이론값을 계산하였다. 실험값이 이론값보다도 낮은 경우에,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밀류 백분병 예방 효과 시험에 관하여 상승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의 콜비의 식에 의한 이론값을 표 1 내지 표 53의 ( )안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0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3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4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5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6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7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8
Figure 112009051918041-PAT00059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0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3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4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5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6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7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8
Figure 112009051918041-PAT00069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0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3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4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5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6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7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8
Figure 112009051918041-PAT00079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0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3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4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5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6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7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8
Figure 112009051918041-PAT00089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0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1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2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3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4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5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6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7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8
Figure 112009051918041-PAT00099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0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1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2
<시험예 2>
-오이 백분병 예방 효과 시험-
직경 7.5 cm의 폴리포트로 오이(품종: 네잎)를 재배하고, 1.5 엽기에 도달했을 때에 본 발명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조정한 혼합 약액 10 ㎖를 분무 건으로 산포하였다. 약액이 건조된 후, 백분병균의 분생 포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하고, 20℃의 항온실 내에 유지하였다. 접종 6 내지 11일 후에 포자 형성 면적을 조사하여 시험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발병률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4 내지 표 96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구의 평균 병점 면적은, 약액 대신에 물을 분무 건으로 산포한 것 이외에는 처리구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콜비의 식에 의한 이론값을 표 54 내지 표 96의 ( )안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3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4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5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6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7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8
Figure 112009051918041-PAT00109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0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1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2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3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4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5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6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7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8
Figure 112009051918041-PAT00119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0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1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2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3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4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5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6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7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8
Figure 112009051918041-PAT00129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0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1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2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3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4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5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6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7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8
Figure 112009051918041-PAT00139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0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1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2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3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4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5
이어서 본 발명의 제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제제량, 제형 등은 기재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a) 카올린 78 중량부
(b) β-나프탈렌술폰산소다포르말린 축합물 2 중량부
(c)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술페이트 5 중량부
(d) 함수 무정형 이산화규소 15 중량부
이상의 각 성분의 혼합물과,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에폭시코나졸을 8: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수화제가 얻어진다.
<제제예 2>
(a) 화학식 I의 화합물 0.5 중량부
(b) 에폭시코나졸 0.5 중량부
(c) 벤토나이트 20 중량부
(d) 카올린 74 중량부
(e) 리그닌술폰산 소다 5 중량부
이상의 각 성분에 적정량의 조립 소요수를 첨가하고, 혼합, 조립하여 입자제가 얻어진다.
<제제예 3>
(a) 본 발명 화합물 2 중량부
(b) 에폭시코나졸 3 중량부
(c) 탈크 95 중량부
이상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제가 얻어진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X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루이스산 또는 탈수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6
    <화학식 XIII>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7
    <화학식 XIV>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8
    (상기 식들 중, X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수산기, 치환 가능 알킬티오기, 시아노기,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가능 아미노기이고, n은 1, 2, 3 또는 4이며; R1은 치환 가능 알킬기이고, R2'는 치환 가능 알킬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 로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2 "는 치환 가능 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고, 또는 R2' 및 R2 "의 2개 이상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2. (a) 하기 화학식 X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제1 공정 및
    (b) 제1 공정에서 얻어진 화학식 XV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해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는 제2 공정
    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9051918041-PAT00149
    <화학식 XIII>
    Figure 112009051918041-PAT00150
    <화학식 XIV>
    Figure 112009051918041-PAT00151
    <화학식 XV>
    Figure 112009051918041-PAT00152
    (상기 식들 중, X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치환 가능 탄화수소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수산기, 치환 가능 알킬티오기, 시아노기,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도 있는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가능 아미노기이고, n은 1, 2, 3 또는 4이며; R1은 치환 가능 알킬기이고, R2'는 치환 가능 알킬기, 치환 가능 알콕시기, 치환 가능 아릴옥시기, 치환 가능 시클로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2 "는 치환 가능 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이고, 또는 R2' 및 R2 "의 2개 이상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다).
KR1020097017671A 2003-10-31 2004-10-29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KR101128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1863 2003-10-31
JPJP-P-2003-371863 2003-10-31
JPJP-P-2004-006355 2004-01-14
JP2004006355 2004-01-14
JP2004210174 2004-07-16
JPJP-P-2004-210174 2004-07-16
PCT/JP2004/016156 WO2005041663A1 (ja) 2003-10-31 2004-10-29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250A Division KR101163242B1 (ko) 2003-10-31 2004-10-29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390A true KR20090101390A (ko) 2009-09-25
KR101128194B1 KR101128194B1 (ko) 2012-03-23

Family

ID=345570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250A KR101163242B1 (ko) 2003-10-31 2004-10-29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KR1020097017671A KR101128194B1 (ko) 2003-10-31 2004-10-29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250A KR101163242B1 (ko) 2003-10-31 2004-10-29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6) US20060194849A1 (ko)
EP (2) EP2338335A1 (ko)
JP (4) JP5341963B2 (ko)
KR (2) KR101163242B1 (ko)
CN (3) CN102165961B (ko)
AU (4) AU2004285363B2 (ko)
BR (1) BRPI0415555B1 (ko)
DK (1) DK1679003T3 (ko)
ES (1) ES2535705T3 (ko)
HU (1) HUE025041T2 (ko)
IL (2) IL175266A (ko)
PL (1) PL1679003T3 (ko)
PT (1) PT1679003E (ko)
WO (1) WO2005041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242B1 (ko) * 2003-10-31 2012-07-05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TW200726765A (en) 2005-06-17 2007-07-16 Bristol Myers Squibb Co Triazolopyridine cannabinoid receptor 1 antagonists
BRPI0713369B1 (pt) 2006-07-05 2019-12-03 Ishihara Sangyo Kaisha métodos para o controle de doenças de planta, para melhorar um efeito fungicida para controlar doenças de planta e para melhorar o efeito de controlar micróbios patogênicos em folhas de planta.
AU2013202503B2 (en) * 2008-07-03 2014-01-23 Ishihara Sangyo Kaisha, Ltd.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EP2529627A1 (en) 2008-07-03 2012-12-05 Ishihara Sangyo Kaisha, Ltd.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N103858883B (zh) * 2011-04-27 2016-01-20 陕西汤普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啶氧菌酯与酰胺类的农药组合物
JP5940368B2 (ja) * 2011-05-24 2016-06-29 石原産業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5940369B2 (ja) * 2011-05-27 2016-06-29 石原産業株式会社 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6013032B2 (ja) 2011-07-08 2016-10-25 石原産業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AU2012317718B2 (en) 2011-09-26 2015-04-09 Nippon Soda Co., Ltd.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fungicidal composition
CN103314983B (zh) * 2012-03-23 2016-06-08 陕西韦尔奇作物保护有限公司 一种含有嘧菌胺的杀菌组合物
JP2014015449A (ja) 2012-06-13 2014-01-30 Ishihara Sangyo Kaisha Ltd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AR092355A1 (es) * 2012-07-24 2015-04-15 Dow Agrosciences Llc Fluoruros de fluoropicolinoilo y procesos para su preparacion
CN103355303A (zh) * 2013-07-23 2013-10-23 江苏省绿盾植保农药实验有限公司 含有啶氧菌酯和氨基寡糖素的杀菌组合物、使用方法及应用
CN105076143A (zh) * 2014-05-21 2015-11-25 深圳诺普信农化股份有限公司 杀菌组合物
WO2016194741A1 (ja) * 2015-05-29 2016-12-08 石原産業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CN106857040A (zh) * 2016-12-28 2017-06-20 江西中医药大学 一种针对栀子叶枯病病害的防治方法及组合物
CN106614621A (zh) * 2016-12-28 2017-05-10 联保作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组合物
CN107295874A (zh) * 2017-06-30 2017-10-27 安徽起林芦笋种植有限公司 一种芦笋的根部的防病害方法
CN110452234B (zh) * 2019-08-29 2022-09-23 贵州大学 一种含三氟甲基吡啶二甲酰胺的席夫碱的衍生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8464A (en) * 1973-09-17 1977-06-07 The O. M. Scott & Sons Company Fungicide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snowmold
CH614709A5 (ko) * 1975-09-25 1979-12-14 Ciba Geigy Ag
DE2862437D1 (en) * 1977-12-20 1984-09-27 Ici Plc Insecticidal formula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S5671007A (en) * 1979-11-16 1981-06-13 Hodogaya Chem Co Ltd Agent for controlling noxious life in soil
DE3067662D1 (en) * 1980-01-16 1984-06-07 Lacer Sa New 2-halo-pyridines,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5883673A (ja) * 1981-11-10 1983-05-19 Yamamoto Kagaku Gosei Kk 発色性ジケトピリジン化合物
JPS61283225A (ja) * 1985-06-10 1986-12-13 Nec Corp 誤り訂正符号復号器
EP0206523B1 (en) * 1985-06-18 1991-12-0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Heterocyclic compounds as fungicides
JPH0615542B2 (ja) * 1986-07-22 1994-03-02 吉富製薬株式会社 ピラゾロピリジン化合物
DE3641793A1 (de) * 1986-12-06 1988-06-1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substituierten aromatischen ketonen
GB8908794D0 (en) 1989-04-19 1989-06-07 Janssen Pharmaceutica Nv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propiconazole and tebuconazole
US5223524A (en) * 1989-04-19 1993-06-29 Janssen Pharmaceutica N.V.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propiconazole and tebuconazole
US5962731A (en) * 1992-04-22 1999-10-05 Liga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Compounds having selective activity for retinoid X receptors, and means for modulation of processes mediated by retinoid X receptors
CN1035464C (zh) * 1993-02-12 1997-07-23 江苏省激素研究所 除草组合物
DE4313867A1 (de) * 1993-04-28 1994-11-03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US5565413A (en) * 1994-12-06 1996-10-15 Zeneca Limited Substituted pyridyl phenyl ketone herbicides
US5571443A (en) * 1994-12-30 1996-11-05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Synergistic combination of 2-(thiocyanomethylthio)benzothiazole and thiophanate compounds useful as fungicides
GB9718366D0 (en) * 1997-08-29 1997-11-05 Ciba Geigy Ag Novel combinations
EP1035774A1 (en) * 1997-12-01 2000-09-20 Novartis AG Fungicidal combinations comprising quinazolinone
WO1999041237A1 (en) * 1998-02-13 1999-08-19 G.D. Searle & Co. Substituted pyridines useful for inhibiting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activity
KR100506963B1 (ko) * 1998-10-05 2005-08-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A70345C2 (uk) * 1998-11-19 2004-10-15 Басф Акцієнгезелльшафт Фунгіцидна суміш
AU6427800A (en) * 1999-06-14 2001-01-02 Novartis Ag Fungicidal combinations
JP4608140B2 (ja) * 2000-07-05 2011-01-05 石原産業株式会社 ベンゾイルピリジ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それ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菌剤、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製造するための中間体
AR029289A1 (es) * 2000-07-05 2003-06-18 Ishihara Sangyo Kaisha Derivado de benzoilpiridina o su sal, fungicida que lo contiene como un ingrediente activo, su proceso de produccion e intermediario para producirlo
US6462339B1 (en) * 2000-09-20 2002-10-08 Cabot Corporation Method for quantifying the texture homogeneity of a polycrystalline material
FR2821718B1 (fr) * 2001-03-08 2003-06-13 Aventis Cropscience Sa Nouvelles compositions fongicides a base de derives de pyridylmethylbenzamide et d'imidazoline ou d'oxazolidine
US20030021644A1 (en) * 2001-07-26 2003-01-30 Ruey-Zon Chen Retractable bench assembly for drilling machine
JP4758042B2 (ja) * 2001-09-21 2011-08-24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およびストロビルリン系殺菌剤の効力増強剤
PL371724A1 (en) * 2002-04-05 2005-06-27 Basf Aktiengesellschaft Fungicidal mixtures based on benzamidoxime derivatives and a strobilurin derivative
AU2003275716A1 (en) * 2002-10-31 2004-05-25 Ishihara Sangyo Kaisha, Ltd. 3-benzoyl-2,4,5-substituted pyridine derivatives or salts thereof and bactericides containing the same
JP2004168757A (ja) * 2002-10-31 2004-06-17 Ishihara Sangyo Kaisha Ltd 3−ベンゾイル−2,4,5−置換ピリジ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殺菌剤
JP4918215B2 (ja) * 2003-10-31 2012-04-18 石原産業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KR101163242B1 (ko) 2003-10-31 2012-07-05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살균제 조성물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5961A (zh) 2011-08-31
KR101163242B1 (ko) 2012-07-05
US20120135088A1 (en) 2012-05-31
US9655362B2 (en) 2017-05-23
US20110280959A1 (en) 2011-11-17
US8609150B2 (en) 2013-12-17
PT1679003E (pt) 2015-07-06
IL190635A0 (en) 2008-11-03
US20140107138A1 (en) 2014-04-17
CN101822253A (zh) 2010-09-08
KR101128194B1 (ko) 2012-03-23
WO2005041663A1 (ja) 2005-05-12
DK1679003T3 (en) 2015-05-11
IL175266A0 (en) 2006-09-05
JP5450526B2 (ja) 2014-03-26
US8653277B2 (en) 2014-02-18
JP2011225623A (ja) 2011-11-10
IL190635A (en) 2012-02-29
CN103478142B (zh) 2016-03-30
JP5341963B2 (ja) 2013-11-13
CN101822253B (zh) 2012-04-18
AU2009202568B2 (en) 2010-10-21
KR20060113908A (ko) 2006-11-03
US20060194849A1 (en) 2006-08-31
EP2338335A1 (en) 2011-06-29
PL1679003T3 (pl) 2015-09-30
JP2012006952A (ja) 2012-01-12
AU2011201943A1 (en) 2011-05-26
EP1679003A1 (en) 2006-07-12
HUE025041T2 (hu) 2016-01-28
US8653113B2 (en) 2014-02-18
IL175266A (en) 2015-09-24
BRPI0415555A (pt) 2006-12-26
JP5639230B2 (ja) 2014-12-10
AU2004285363A1 (en) 2005-05-12
BRPI0415555B1 (pt) 2018-11-21
ES2535705T3 (es) 2015-05-14
JP5341962B2 (ja) 2013-11-13
AU2011201943B2 (en) 2012-05-31
EP1679003A4 (en) 2011-06-15
AU2009212886B2 (en) 2011-03-03
US20090247763A1 (en) 2009-10-01
US20170188579A1 (en) 2017-07-06
AU2009202568A1 (en) 2009-07-16
JP2013213065A (ja) 2013-10-17
JP2011225622A (ja) 2011-11-10
AU2004285363B2 (en) 2009-10-08
CN102165961B (zh) 2013-10-23
EP1679003B1 (en) 2015-04-15
CN103478142A (zh) 2014-01-01
AU2009212886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194B1 (ko) 벤조일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ES2296767T3 (es) Derivado de benzoilpiridina novedoso o su sal, un fungicida que lo contiene como ingrediente activo, su procedimiento de produccion y un intermediario para producirlo.
AU2001269456A1 (en) Benzoylpyridine derivative or its salt, fungicide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its production process and intermediate for producing it
CN100581362C (zh) 杀菌剂组合物和植物病害的防除方法
JP4918215B2 (ja) 殺菌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AU2012216657B2 (en) Bacter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plan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