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789A -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789A
KR20090099789A KR1020080024976A KR20080024976A KR20090099789A KR 20090099789 A KR20090099789 A KR 20090099789A KR 1020080024976 A KR1020080024976 A KR 1020080024976A KR 20080024976 A KR20080024976 A KR 20080024976A KR 20090099789 A KR20090099789 A KR 2009009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asket
torch
cutte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454B1 (ko
Inventor
최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2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4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0Welding or cutting by means of a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 B23K26/14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for the removal of by-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길게 신장된 테이블(3)을 따라 토치(4)가 이동하면서 가공물(W)을 절단하는 절단기(2)의 테이블(3)에 설치되어, 가공물(W)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D)을 수거하는 절단기 분진수거장치로서, 테이블(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테이블(3)의 양측에 걸쳐 설치된 구동축(20); 구동축(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 분진(D)을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테이블(3)의 양측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20)에 구속되어 구동축(20)과 함께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분진(D) 중에 가벼운 분진(D1)이 부압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바스켓(40); 제1 바스켓(4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로부터 유입된 분진(D) 중에 무거운 분진(D2)이 침적되는 제2 바스켓(50); 테이블(3)을 따라 설치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4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부(61)와 배출구(41)가 통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개구부(61)를 탄성적으로 밀폐시키는 탄성차단판(62)을 구비하는 닥트라인(60); 및 닥트라인(60)에 부압을 가하는 송풍기(70); 를 포함하고: 구동모터(30)가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바스켓(40, 50)이 토치(4)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Device for Collecting Dust in Cutter}
본 발명은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기를 이용한 가공물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 슬래그 및 연기 등 각종 분진을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판 등 각종 가공물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여러 공작기계들 중에는, 플라즈마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 및 가스 절단기 등 각종 자동화된 절단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7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자동화 절단기인 플라즈마 절단기의 계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절단기(100)는, 긴 테이블(110)에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토치캐리어(120)를 설치하고, 토치캐리어(120)에 상하 이동 가능한 토치(130)를 설치하여, 테이블(110) 위에 설치된 베드(140) 위에 가공물(101)을 올려놓고 제어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공물을 자동 절단한다.
이와 같은 자동화 절단기들에 의한 가공물의 절단공정에서는, 작업 환경을 열악하게 하고 작업자에게 해를 줄 수 있는 파편, 슬래그 및 연기를 포함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므로, 이들 자동화 절단기들에는 발생하는 분진을 적절히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분진수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이들 절단기에 사용되는 분진수거장치로서는 크게 물을 사용하는 수처리식 방식과 공기의 부압을 이용한 닥트 방식이 있다.
전자의 수처리 방식은 예를 들어 가공물이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전단작업을 함으로써 발생한 분진이 주변의 물에 바로 흡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폐수의 정화에 부수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점, 수시로 오염된 처리수를 교체하여야 하는 점, 물로 인하여 테이블 등이 부식되기 쉽다는 점, 작은 가공물을 가공할 때 가공물이 수조에 빠지면 찾기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닥트방식은, 베드 아래쪽의 테이블에 베드의 전체를 커버하는 닥트를 설치하여 송풍기의 부압으로 분진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방식으로서, 절단기(테이블)의 규모가 클 경우에 송풍기의 용량이 매우 커야 한다는 점, 중량이 큰 파편의 경우 공기압에 의해 수거가 안 되어 테이블에 침작되므로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된 절단기에서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 슬래그 및 연기 등 각종 분진을 수거하는 것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분진수거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는, 길게 신장된 테이블을 따라 토치가 이동하면서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수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는, 구동축, 구동모터, 제1 바스켓, 제2 바스켓, 닥트라인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분진을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구속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상기 테이블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분진 중에 가벼운 분진이 부압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바스켓은, 상기 제1 바스켓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분진 중에 무거운 분진이 침적된다.
상기 닥트라인은, 상기 테이블을 따라 설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배출구가 통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상기 개구부를 탄성적으로 밀폐시키는 탄성차단판을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닥트라인에 부압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는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토치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이 상기 토치의 위치를 따라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이 상기 테이블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설치된 랙기어에 맞물려서 상기 구동축이 상기 테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토치의 구동부에 엔코더가 설치되어 상기 토치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토치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토치의 이동에 연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구의 전후 양단은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탄성차단판은 서로 마주 접한 2장의 탄성 고무판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바스켓에는 상기 테이블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의 분진 수거용 바스켓은 분진이 발생하는 토치 하부의 최소한의 면적만을 커버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토치의 이동에 연동하여 토치를 따라 이동하는 한편 탄성차단판이 구비된 닥트라인에 의해 압력 손실 없이 분진이 발생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송풍기의 부압을 가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 전체를 커버하는 종래의 닥트방식 분진수거장치와 비교할 때 동일한 용량의 송풍기에서 보다 강력한 부압으로 분진을 수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의 바스켓은, 외부의 제1 바스켓에 내부 의 제2 바스켓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이중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분진은 닥트라인을 통해 송풍기의 부압으로 수거하고 무거운 분진은 제2 바스켓에의 침적으로 수거함으로써 절단기의 절단 작업에서 발생하는 각종 분진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적된 분진은 제2 바스켓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는 바스켓을 토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의 제어수단이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바스켓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토치의 구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어수단의 열악한 환경에의 노출에 의한 고장 및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가 적용된 절단기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가 적용된 절단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바스켓의 상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바스켓의 부분 절단 상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의해 분진이 수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탄성차단판의 작동도이다.
도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길게 신장된 테이블(3)을 따라 토치(4)가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토치(4)로 베드(5) 위의 가공물(W)을 절단 가공하는 자동화된 절단기(2: 예, 플라즈마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 가스 절단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이지만, 자동화 절단기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고 유사한 작업이 이루어져 분진이 발생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1)는 통상적으로 테이블(3) 위에 설치되어 가공물(W)을 올려놓는 베드(5)의 하측에 테이블(3)의 내부공간에 설치됨으로써 가공물(W)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을 수거한다. 도1에 작용된 베드(5)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23892호의 '공작기계용 베드'(2008. 3. 14. 출원)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절단기(2)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토치(4)의 이동 경로를 따라 테이블(3)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항상 토치(4)의 바로 아래에서 분진(D)을 수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구동축(20), 구동모터(30), 제1 바스켓(40), 제2 바스켓(50), 닥트라인(60) 및 송풍기(7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20)은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축으로서, 테이블(3)의 양측에 걸쳐 테이블(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20)은 각종 기어나 채인 등 공지의 동력전달기구들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테이블(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런 이동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 테이블(3)의 내측의 양측을 따라 길게 랙기어(10)를 설치하고 구동축(20)의 양단에 랙기어(10)에 맞물리는 피니언(21)을 형성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랙기어(10)는 그 톱니가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21)이 랙기어(10)의 저면으로부터 맞물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바스켓(40, 50)이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로서, 정역 회전 가능하고 그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인버터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동모터(30)는 절단기(2)의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도록 제어됨으로써, 바스켓(40, 50)이 토치(4)를 따라 이동하여 항상 토치(4)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동모터(30)가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각종 제어수단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 절단기(2)의 토치(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a: 테이블을 따라 토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등을 구비한 구성)에 엔코더(31)를 설치하여 토치(4)의 속도(방향이 포함된 개념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구동모터 인버터의 전원 주파수를 조절하여 트롤리바(32: trolly bar) 등을 통해 구동모터(30)로 전송함으로써 그 속도를 토치(4)의 속도에 부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 있어서의 엔코더(31)는 구동모터(30)를 제어하는 수단을 나타내 기 위한 것을 뿐, 그 설치 위치가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아니한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1)에는 구동모터(3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제어부(예, 컨트롤박스)를 포함시킬 수 있다.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동모터(30)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제1 바스켓(40) 등의 적당한 위치에 토치(4)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제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한 토치(4)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구동모터(30)를 제어하도록 하는 방법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센서와 제어부가 분진과 열기가 있는 열악한 환경에 위치됨에 따라 고장 등으로 오작동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바스켓(40)은, 절단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D)들에 대하여, 가벼운 분진(D1: 연기 등)을 닥트라인(60)으로 유도하고, 무거운 분진(D2: 예, 파편 등)은 그 내부의 제2 바스켓(50)에 담겨지도록 하는 상부가 개방된 일종의 용기 부재이다.
제1 바스켓(40)은 테이블(3)의 양측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 그 상방에서 절단가공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분진(D)을 가능한 누락 없이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폭, 및 충분한 양의 분진(D)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제1 바스켓(40)은 구동축(20)에 구속되어 있어서 구동축(20)과 함께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제1 바스켓(40)의 외벽에 다수의 축받이(42)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축(20)이 이들 축받이(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예이며, 이로써 구동 모터(30)에 의해 구동축(20)이 회전하면 그 피니언(21)이 랙기어(10)를 따라 이동하여 구동축(20)이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바스켓(40)이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 바스켓(40)의 적어도 일측(바람직하게 양측)에는 분진(D) 중에 가벼운 분진(D1)을 닥트라인(60)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배출구(41)는 제1 바스켓(40)의 하측 양단에 돌출되어 있는 바, 배출구(41)의 전후 양단을 뾰족한 삼각형상(41a)으로 길게 돌출시킨 것은, 이후에 설명하는 탄성차단판(62)의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 바스켓(40)에는 롤러(43)를 설치함으로써 제1 바스켓(40)이 테이블(3)을 낮은 저항으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제1 바스켓(40)의 상측에 롤러(43)를 설치하여 랙기어(10)의 상면을 주행로로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한 것인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스켓(40)의 바닥에 형성된 칸막이(44)는 그 위에 삽입되는 제2 바스켓(50)을 받쳐주고 제1 바스켓(4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바스켓(40)의 하측으로는 지면에 닿게 스커트(45)를 부착함으로써 제1 바스켓(40)이 이동하면서 바닥에 떨어진 분진을 테이블의 양 끝단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제2 바스켓(50)은 제1 바스켓(4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또 다른 용기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스켓(40, 50)을 단일의 바스켓으로 하지 아니하고, 제1 및 제2 바스켓(40, 50)의 이중구조로 한 것은, 제1 바스켓(40)만 있을 경우, 낙하하여 침적된 무거운 분진(D2)을 청소함에 있어서, 제1 바스켓(40)은 테이블(3)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움으로 제1 바스켓(40)으로부터 일일이 분진(D2)을 집어내고 내부를 닦아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바스켓(40, 50)을 이중구조로 하면, 제1 바스켓(40)으로부터 제2 바스켓(50)을 꺼내어 분진(무거운 분진: D2)을 쏟아 버리고 닦아 낼 수 있어 바스켓(40, 50)을 청소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제2 바스켓(50)은 제1 바스켓(40)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의 둘래와 바닥에 틈새(51)가 있게 형성되며, 이로써 절단가공에서 발생한 연기 등의 가벼운 분진(D1)은 이들 틈새(51)를 통해 배기되어 배출구(41)로 배출된다.
제2 바스켓(50)의 상부에는 크로스바(52) 부착하여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닥트라인(60)은 테이블(3)을 따라 상기 배출구(41)가 형성된 쪽에 설치되어 배출구(41)로부터 배출되는 연기 등의 가벼운 분진(D1)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라인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배출구(41)가 2개이므로 닥트라인(60)은 테이블(3)의 양측 모두에 설치되어 있다.
닥트라인(60)에는 배출구(4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바스켓(40)이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할 때 배출구(41)는 개구 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닥트라인(60)의 전체를 따라 개구부(61)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경우 송풍기(70)의 부압이 제1 바스켓(40)에 작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개구부(61)는 배출구(41)가 통과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61)는 탄성차단판(62)으로 밀폐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탄성차단판(62)은 서로 마주 접한 2장의 탄성 고무판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구(41)가 위치하는 곳에서는 탄성차단판(62)이 탄성적으로 벌어져 배출구(41)가 닥트라인(60)과 통기될 수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탄성에 의해 밀폐되므로, 닥트라인(60)에 걸린 부압이 배출구(41)를 통해 제1 바스켓(40)에 강력하게 가해진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스켓(40)의 이동으로 배출구(41)의 위치가 이동하면 삼각형상(41a)에 의해 그 전방의 탄성차단판(62)이 벌어지면서 제1 바스켓(40)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배출구(41)에 의해 벌어져 있던 탄성차단판(62)은 배출구(41)가 지나간 후에 배출구(41)의 후방에 이르면 탄성에 의해 바로 오물아 들어 개구부(61)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출구(41)와 탄성차단판(62)의 상호 작용에 따라, 배출구(41)가 통과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61)가 탄성차단판(62)으로 밀폐됨으로써, 닥트라인(60)에 가해진 부합이 제1 바스켓(40)에 집중적으로 가해서 그 위의 가벼운 분진(D1)을 닥트라인(60)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송풍기(70)는 닥트라인(60)에 부압을 가하는 통상의 장치로서, 본 발명 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에 맞는 적당한 송풍용량을 가지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3)의 양 끝단에는 리미트 스위치(80) 같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제1 바스켓(40)이 테이블의 끝단에 이르면, 구동모터(3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바스켓(40, 50)이 절단기(2)의 테이블(3)의 전체에 걸쳐 있는 것이 아니라, 토치(4)가 있는 위치의 최소한의 면적에 대해서만 존재하고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여 바스켓(40, 50)이 이동하도록 함에 따라, 분진(D)이 발생하는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부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닥트식 분진수거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송풍용량을 가진 송풍기(70)를 사용하면서도 강력하게 분진(D)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거장치(1)는 바스켓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바스켓(40)으로부터 제2 바스켓(50)을 분리하여 그 안에 침적된 분진(무거운 분진: D2)을 제거 및 청소할 수 있으므로, 분진 수거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가 적용된 절단기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가 적용된 절단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바스켓의 상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바스켓의 부분 절단 상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의해 분진이 수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에 적용된 탄성차단판의 작동도,
도7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자동화 절단기인 플라즈마 절단기의 계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분진수거장치 2: 절단기
3: 테이블 4: 토치
4a: 토치 구동부 5: 베드
10: 랙기어 20: 구동축
21: 피니언 30: 구동모터
31: 엔코더 32: 트롤리바
40: 제1 바스켓 41: 배출구
41a: 삼각형상 42: 축받이
43: 롤러 50: 제2 바스켓
51: 틈새 60: 닥트라인
61: 개구부 62: 탄성차단판
70: 송풍기 80: 리미트 스위치
W: 가공물 D: 분진
D1: 가벼운 분진 D2: 무거운 분진

Claims (4)

  1. 길게 신장된 테이블(3)을 따라 토치(4)가 이동하면서 가공물(W)을 절단하는 절단기(2)의 상기 테이블(3)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물(W)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D)을 수거하는 절단기 분진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3)의 양측에 걸쳐 설치된 구동축(20);
    상기 구동축(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
    상기 분진(D)을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상기 테이블(3)의 양측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0)에 구속되어 상기 구동축(20)과 함께 상기 테이블(3)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분진(D) 중에 가벼운 분진(D1)이 부압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바스켓(40);
    상기 제1 바스켓(4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분진(D) 중에 무거운 분진(D2)이 침적되는 제2 바스켓(50);
    상기 테이블(3)을 따라 설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4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구부(61)와 상기 배출구(41)가 통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상기 개구부(61)를 탄성적으로 밀폐시키는 탄성차단판(62)을 구비하는 닥트라인(60); 및
    상기 닥트라인(60)에 부압을 가하는 송풍기(7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30)가 상기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바 스켓(40, 50)이 상기 토치(4)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의 양단에 피니언(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21)이 상기 테이블(3)의 양측을 따라 길게 설치된 랙기어(10)에 맞물려서 상기 구동축(20)이 상기 테이블(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4)의 구동부(4a)에 엔코더(31)가 설치되어 상기 토치(4)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토치(4)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전원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0)가 상기 토치(4)의 이동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41)의 전후 양단은 뾰족한 삼각형상(41a)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탄성차단판(62)은 서로 마주 접한 2장의 탄성 고무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KR1020080024976A 2008-03-18 2008-03-18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KR10094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76A KR100945454B1 (ko) 2008-03-18 2008-03-18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76A KR100945454B1 (ko) 2008-03-18 2008-03-18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789A true KR20090099789A (ko) 2009-09-23
KR100945454B1 KR100945454B1 (ko) 2010-03-05

Family

ID=4135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976A KR100945454B1 (ko) 2008-03-18 2008-03-18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4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2407A (zh) * 2012-03-12 2013-09-18 欧姆龙株式会社 激光加工装置
CN107775163A (zh) * 2016-08-26 2018-03-09 宜兴市人防设备厂有限公司 一种废料收集的改进型自动下料机
CN108247203A (zh) * 2018-03-20 2018-07-06 合肥市弘泽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机除尘装置
CN110548980A (zh) * 2019-10-18 2019-12-10 太仓束捍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真空束焊机
KR102194849B1 (ko) * 2020-08-20 2020-12-23 주식회사 이담레이저 레이져 가공장치
CN112296477A (zh) * 2020-09-14 2021-02-02 武汉精微达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火焰切割机上的移动式除尘装置
CN114888623A (zh) * 2022-06-20 2022-08-12 伟本智能机电(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防尘排渣切割平台及切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76B1 (ko) 2012-10-30 2014-03-12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직진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 레일조립체를 갖춘 플라즈마 절단기
KR102573124B1 (ko) 2022-12-22 2023-08-31 (주)원하이테크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분진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074A (ja) * 1994-03-30 1995-10-17 Howa Mach Ltd 溶断加工機の集塵装置
JP2000024781A (ja) 1998-07-10 2000-01-25 Amada Co Ltd 熱切断加工方法および熱切断加工機
KR200238874Y1 (ko) 1999-03-16 2001-09-13 롱전 가오 자동 절단기의 집진장치
JP3678693B2 (ja) 2001-10-30 2005-08-03 コマツ産機株式会社 熱切断加工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2407A (zh) * 2012-03-12 2013-09-18 欧姆龙株式会社 激光加工装置
CN107775163A (zh) * 2016-08-26 2018-03-09 宜兴市人防设备厂有限公司 一种废料收集的改进型自动下料机
CN108247203A (zh) * 2018-03-20 2018-07-06 合肥市弘泽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机除尘装置
CN110548980A (zh) * 2019-10-18 2019-12-10 太仓束捍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真空束焊机
KR102194849B1 (ko) * 2020-08-20 2020-12-23 주식회사 이담레이저 레이져 가공장치
CN112296477A (zh) * 2020-09-14 2021-02-02 武汉精微达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火焰切割机上的移动式除尘装置
CN114888623A (zh) * 2022-06-20 2022-08-12 伟本智能机电(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防尘排渣切割平台及切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454B1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454B1 (ko) 절단기의 분진수거장치
US11291343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KR101040660B1 (ko)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cnc 플라즈마 모형 절단기
KR101567200B1 (ko) 건식 집진유닛을 구비하는 보도블록 절단장치
JP2014230745A (ja) 自走式清掃装置及びその吸塵方法
KR101547834B1 (ko) 3단 분리형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CN207289155U (zh) 一种台式数控切割机
WO2008111786A1 (en) Vacuum type sweeping machine
JP2013520310A (ja) フィルタ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17672B1 (ko) 이동식 분진제거 안전 판재 면취기
CN107598349A (zh) 一种台式数控切割机
JP5100257B2 (ja) 裁断機およびそのダスト除去方法
KR100974612B1 (ko) 도로 커팅기
KR200393621Y1 (ko) 절단용재 및 스크랩 수거장치
KR101514201B1 (ko) 트리플 회전부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CN213531813U (zh) 一种便于废料收集的切割机
KR20100089590A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20110091696A (ko) 폐기용 먼지 백을 갖는 로봇식 진공 청소기
JP6603876B2 (ja) クリンチ機構及び部品装着装置
JP5960026B2 (ja) 熱切断機
CN210412647U (zh) 一种便于收集废屑的齿轮加工用钻床
KR20080059693A (ko) 공기조화기
KR101480799B1 (ko) 로봇청소기의 필터 자동교환장치
KR200238874Y1 (ko) 자동 절단기의 집진장치
JP5054168B2 (ja) 吸込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