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443A -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 Google Patents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443A
KR20090098443A KR1020080023843A KR20080023843A KR20090098443A KR 20090098443 A KR20090098443 A KR 20090098443A KR 1020080023843 A KR1020080023843 A KR 1020080023843A KR 20080023843 A KR20080023843 A KR 20080023843A KR 20090098443 A KR20090098443 A KR 20090098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stance change
semiconductor layer
change recording
oh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424B1 (ko
Inventor
황철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2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4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 H01L27/074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without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75Bipolar transistors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e.g. lateral bipolar transistor, and vertical bipolar transistor and resistor
    • H01L27/0755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H01L27/0761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nly
    • H01L27/0766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nly with Schottky diod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저항변화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와 스위칭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메모리 소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과 저항변화층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전도층과 저항변화층의 타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전도층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위칭 다이오드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반도체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과 반도체층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를 이용하므로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가 크게 된다. 또한 낮은 판독전압에서도 온/오프(on/off) 전류비가 크게 되어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기록된 정보를 작은 전력으로도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Switching diode for resistance switching element and resistance switching element and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기억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각종 기억소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등에 필요한 기억소자는 전원이 꺼지더라도 기록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nonvolatile)이 요구되고 있다. 비휘발성 기억소자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저장과 소거가 가능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의 보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응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반도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저장된 정보를 모두 잃어버리는 휘발성(volatile)의 특징을 가지므로 이를 대체할 비휘발성 기억소자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비휘발성 기억소자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플래시 기억소자(flash memory device)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휘발성 기억소자 중, 상전이 현상을 이용하는 상전이 랜덤 액세스 메모리(phase change RAM, PRAM), 자기저항변화현상을 이용하는 자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magnetic RAM, MRAM), 강유전체의 자발분극현상을 이용한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electric RAM, FRAM)과 더불어 금속 산화물 박막의 저항 스위칭(resistance switching) 또는 전도도 스위칭(conductivity switching) 현상을 이용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esistance RAM, ReRAM) 등이 주요 연구의 대상이다. 특히,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다른 비휘발성 기억소자에 비하여 소자 구조가 아주 간단하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여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금속-산화물-금속(metal-oxide-metal, MOM)의 기본 소자 구조에서 적당한 전기적 신호를 가하면 산화물이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서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바뀌는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전기적 신호에서는 산화물이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화물이 고저항 상태에서 저저항 상태로 변하는 것을 셋(set)이라고 하며, 반대로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변하는 것을 리셋(reset)이라고 한다. 그리고 셋 상태는 저저항 상태를 의미하고 리셋 상태는 고저항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저항의 스위칭 현상 통해 정보를 기록, 판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항변화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를 기존의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이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소자로 사용하여 집적한 경우는 상전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초고집적화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성능 저하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직교막대 어레이 (Cross bar array)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종래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100)는 직교하는 전극(110, 130) 사이에 저항변화층(120)이 구비된 저항변화기록소자(140)가 행 및 열로 정렬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각 저항변화기록소자(140)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20)의 저항 상태에 따라, 예컨대 저저항 상태를 "1"로 고저항 상태를 "0"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참조번호 140으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정보를 기록 및 판독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40)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40)에 구비된 전극(110, 130)에 저항변화층(120)을 저저항 상태 또는 고저항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40)에 구비된 전극(110, 130) 사이에 판독을 위한 전압을 인가한 다음, 하나의 전극(110 또는 13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즉 전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가 저저항 상태로 "1"에 해당되고, 전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가 고저항 상태로 "0"에 해당된다.
그런데 종래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100)의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 정보를 판독하고자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40)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20)의 저항상태 외에 다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저항변화층의 저항상태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 예를 도 1b에 도시하였다.
참조번호 151로 표시된 고저항 상태의 저항변화층(121)을 구비한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정보를 판독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51)에 구비된 전극(111, 131) 사이에 판독전압을 인가한다. 예컨대, 참조번호 111로 표시된 전극에 기준 전압인 0V를 인가하고 131로 표시된 전극에 판독전압인 Vread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면 참조번호 170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를 측정하여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51)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21)이 고저항 상태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전류가 측정되어야 정보가 바르게 판독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참조번호 170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 외에 참조번호 180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참조번호 152, 153, 154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22, 123, 124)이 저저항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참조번호 180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참조번호 170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선택된 저항변화기록소자(151)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21)이 고저항 상태임에도 상대적으로 큰 값의 전류가 측정되어 저저항 상태로 판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소자(220)와 스위칭 다이오드(260)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의 저항변화기록소자(240)가 직교하는 전극(210, 230) 사이에 행 및 열로 정렬된 형태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200)가 연구되고 있다. 메모리 소자(220)에는 도 1a에서 설명한 저항변화층이 구비되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다이오드(260)는 순방향의 전류는 잘 흐르게 하지만 역방향의 전류는 거의 차단하는 특성이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스위칭 다이오드(260)의 특성을 이용하면 도 1b에 나타낸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2b에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참조번호 251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정보를 판독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때 참조번호 251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221)는 고저항 상태에 있고, 나머지 저항변화기록소자(252, 253, 254)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222, 223, 224)는 저저항 상태에 있다. 모든 저항변화기록소자(251, 252, 253, 254)에 구비된 스위칭 다이오드(261, 262, 263, 264)는 상부 전극(230)에서 하부 전극(210)으로의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구성되면, 정보를 판독하고자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251)만을 흐르는 전류(참조번호 270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정보를 판독하고자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251)에 구비된 상부 전극(231)에서 하부 전극(211) 방향으로 흐르므로 스위칭 다이오드(261)가 순방향이 되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참조번호 280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는 전 류는 참조번호 253으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를 흐를 때 하부 전극(212)에서 상부 전극(23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스위칭 다이오드(263)가 역방향이 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즉 정보를 판독하고자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251)만을 흐르는 전류(270) 외에 다른 저항변화기록소자(252, 253, 254)를 흐르는 전류(2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다이오드가 역방향이어서(도 2b의 경우는 참조번호 253으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스위칭 다이오드(263)가 역방향) 다른 저항변화기록소자(252, 253, 254)에 의해 정보를 오독할 우려가 없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메모리 소자(220)와 하나의 스위칭 다이오드(260)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저항변화기록소자(240)를 제조하게 되면, 정보 판독시 주변의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의해 정보를 오독할 우려는 적어지지만 정보 판독시 판독 전압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오프(on/off) 전류 비율이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 판독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낮은 판독 전압에서 높은 온/오프 전류 비율을 갖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상기 반도체층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을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저항변화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와 스위칭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소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전도층; 및 상기 저항변화층의 타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전도층;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타면과 접촉 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을 구비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행 및 열로 정렬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어레이로서, 상기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상기 쇼트키 접합층 상에 상기 쇼트키 접합층과 쇼트키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 및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상기 하부 전극의 형성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인접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을 공유하여 어레이를 이룬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행 및 열로 정렬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어레이로서, 상기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층; 상기 전도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 믹 접합층;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상기 오믹 접합층과 오믹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하부 전극의 형성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인접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을 공유하여 어레이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트키 접합을 이용한 다이오드를 이용함에 따라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가 p-n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를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하면, 낮은 판독전압에서도 온/오프 전류비가 커지게 되어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기록된 정보를 작은 전력으로도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 하나와 메모리 소자 하나가 직렬로 연결된 저항변화기록소자로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제작하면 직교 막대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정보를 오독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역방향 전압 인가시 누설 전류가 작기 때문에 한 개의 도선에 연결할 수 있는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저항변롸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300)는 쇼트키 접합층(310), 반도체층(320), 오믹 접합층(330) 및 보호층(340)을 구비한다.
쇼트키 접합층(31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일함수(work fucntion)이 큰 백금(Pt), 이리듐(Ir), 루쎄늄(Ru), 금(Au), 오스뮴(Os) 및 레니움(R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반도체층(320)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반도체층(320)의 일면과 쇼트키 접합층(310)은 접촉되게 형성되어 쇼트키 접합을 이룬다. 반도체층(320)은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산화티타늄(TiO2)으로 이루어진다.
오믹 접합층(33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반도체층(320)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오믹 접합을 이룬다. 오믹 접합층(330)은 일함수가 작은 (In, Sn)2O3(ITO)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ITO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330)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의 범위로 설정된다. ITO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330)의 두께가 5nm보다 작게 되면 전체적으로 다이오드 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반도체층(320)의 특성에 따라 메모리 또는 커패시턴스가 된다. 그리고 ITO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330)의 두께가 500nm보다 크게 되면, 전체적인 다이오드(300)의 크기가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오믹 접합층(330)과 반도체층(320) 계면의 전위장벽은 낮아서 순방향 전류는 크게 된다. 그리고 쇼트키 접합층(310)과 반도체층(320) 계면의 전위장벽은 커서(예컨대, Pt/TiO2 계면의 전위장벽은 0.55eV), 역방향 전류는 작게 된다.따라서 이러한 스위칭 다이오드(300)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보호층(340)은 오믹 접합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층(320)과의 사이에 오믹 접합층(330)이 배치되도록 오믹 접합층(330)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다. 보호층(340)은 오믹 접합층(330)이 ITO와 같은 산화물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에 노출되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호층(340)은 공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쇼트키 접합층(310)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오믹 접합층(330)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층(340) 없이 스위칭 다이오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와 종래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와 종래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전압에 따른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참조번호 410으로 표시된 그래프와 도 5의 참조번호 510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산화실리콘(SiO2) 기판 상에 백금, ITO, 산화티타늄 및 백금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제작한 스위칭 다이오드의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여기서 산화실리콘 기판 상의 백금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50nm를 증착한 것이고, 백금 상의 산화티타늄은 250℃에서 플라즈마 강화 원자층증착법(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 PEALD)으로 40nm를 증착한 것이다. 그리고 산화티타늄 상의 ITO는 DC 스퍼터링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10 내지 20nm를 증착한 것이고, ITO 상의 백금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80nm를 증착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참조번호 420으로 표시된 그래프와 도 5의 참조번호 520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종래의 CuO와 InZnO3(IZO)를 접합시킨 p-n 다이오드의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410)가 종래의 p-n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420)에 비해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방향 전류는 약간 더 클 뿐이다. 이는 산화티타늄과 백금 계면의 전위장벽이 0.55eV로 크기 때문이다. 도 4를 기초로 하여 전압에 따른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510)가 종래의 p-n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520)에 비해 모든 전압에서 큼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는 약 1.1V에서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가 약 1.6×104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반면에 종래의 p-n 다이오드는 2V에서도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가 약 103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기 위한 스위칭 다이오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쇼트키 타입의 다이오드가 종래의 p-n 다이오드에 비해서 월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600)는 저항변화 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610)와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620)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그리고 저항변화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610)의 일 예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저항변화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610)는 제1전도층(710), 저항변화층(720) 및 제2전도층(730)을 구비한다.
제1전도층(71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저항변화층(720)은 제1전도층(710)의 일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 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저항변화층(720)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전이금속 산화물 및 칼코제나이드계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저항변화층(720)은 TiO2, NiO, HfO2, Al2O3, ZrO2, ZnO, Ta2O5 및 Nb2O5와 같은 이성분계 물질과 SrTiO3, HfAlO, HfSiO 및 HfTiO와 같은 삼성분계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변화층(720)은 Cu가 도핑된 SiO2, Ag가 도핑된 SiO2, Cu가 도핑된 Ge-Se-Te화합물, Ag가 도핑된 Ge-Se-Te화합물, CuOx계 저항변화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도층(730)은 제1전도층(710)과의 사이에 저항변화층(720)이 배치되도록 저항변화층(720)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2전도층(730)은 공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제1전도층(710)과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62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쇼트키 접합층(310), 반도체층(320) 및 오믹 접합층(33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600)는 메모리 소자(610)와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620)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직렬로 연결된 형태에 의해 두 형태의 저항변화기록소자(600)가 가능하다. 즉 제2전도층(730)(또는 제1전도층(710))과 쇼트키 접합층(31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와 제2전도층(730)(또는 제1전도층(710))과 오믹 접합층(33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의해 두 형태의 저항변화기록소자(600)가 가능하다.
이에 따른 두 형태의 저항변화기록소자(600)를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었다. 도 8a는 제2전도층(730)과 오믹 접합층(33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 8b는 제2전도층(730)과 쇼트키 접합층(31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제2전도층(730)과 오믹 접합층(330) 및 쇼트키 접합층(310)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전도층(710)과 오믹 접합층(330) 및 쇼트키 접합층(310)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도층(730)과 오믹 접합층(33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저항변화기록소자(810)는 제1전도층(710), 저항변화층(720), 제2전도층(730), 오믹 접합층(330), 반도체층(320) 및 쇼트키 접합층(3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도층(730)과 쇼트키 접합층(31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전도층(730)과 쇼트키 접합층(3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820)는 제1전도층(710), 저항변화층(720), 일체로 연결된 제2전도층-쇼트키 접합층(730, 310), 반도체층(320) 및 오믹 접합층(3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오믹 접합층(330)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오믹 접합층(330)의 상부에 오믹 접합층(330)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도면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보호층(340)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제2전도층(730)이 오믹 접합층(330) 및 쇼트키 접합층(310) 중 어느 하나와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1전도층(710)이 오믹 접합층(330) 및 쇼트키 접합층(310) 중 어느 하나와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전압에 따른 온/오프 전류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참조번호 910, 920으로 표시된 그래프와 도 10의 참조번호 1010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이 백금이고 저항변화층이 산화티타늄인 메모리 소자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키 타입의 스위칭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한 저항변화기록소자의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여기서 메모리소자에 이용되는 백금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의해 증착한 것이고, 저항변화층인 산화티타늄은 250℃에서 PEALD법으로 40nm를 증착한 것이다.
그리고 도 9의 참조번호 930, 940으로 표시된 그래프와 도 10의 참조번호 1020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이 백금이고 저항변화층이 산화니켈(NiO)인 메모리 소자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종래의 p-n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한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고저항 상태(920)와 저저항 상태(910)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 자의 고저항 상태(940)와 저저항 상태(930)에 비해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고저항 상태(920)와 저저항 상태(910)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고저항 상태(940)와 저저항 상태(930)에 비해 작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에 비해 훨씬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가 어레이를 이루어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형성했을 경우, 정보 판독시 인접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도 9를 기초로 하여 전압에 따른 저저항 상태와 고저항 상태의 전류의 비(온/오프 전류비)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온/오프 전류비(1010)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온/오프 전류비(1020)에 비해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경우는 1V보다 작은 전압에서도 100배 이상의 온/오프 전류비를 나타낸 반면에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경우에는 2.4V에서도 20배 정도의 온/오프 전류비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가 작은 판독 전압에서도 명확하게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1100)는 도 8a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810)가 행 및 열로 정렬된 어레이를 이루어 형성된 다.
저항변화기록소자(810)는 하부 전극(1110), 저항변화층(1120), 전도층(1130), 오믹 접합층(1140), 반도체층(1150) 및 상부 전극(11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이다. 이러한 저항변화기록소자(810)는 도 8a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810)에 대응된다. 하부 전극(1110), 저항변화층(1120), 전도층(1130), 오믹 접합층(1140), 반도체층(1150) 및 상부 전극(1160)은 도 8a의 제1전도층(710), 저항변화층(720), 제2전도층(730), 오믹 접합층(330), 반도체층(320) 및 쇼트키 접합층(310)에 각각 대응된다.
이때 상부 전극(1160)은 하부 전극(1110)의 형성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전극(1110)의 형성방향과 상부 전극(1160)의 형성방향이 직교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은 다른 저항변화기록소자와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을 공유하여 어레이를 형성한다. 예컨대 참조번호 810a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하부 전극(1110)은 참조번호 810b, 810c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연결된다. 따라서 참조번호 810a, 810b, 810c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들은 하부 전극(1110)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810a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상부 전극(1160)은 참조번호 810d, 810e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연결된다. 즉 참조번호 810a, 810d, 810e로 표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들은 상부 전극(1160)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저항변화기록소자(810)에 구비된 저항변화층(1120)의 특성이 동 일하도록 모든 저항변화기록소자(810)에서 저항변화층(1120)은 동일한 물질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구비된 저항변화기록소자가 도 8a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대응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저항변화기록소자가 도 8b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대응되는 경우도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구비된 저항변화기록소자가 도 8b에 도시된 저항변화기록소자에 대응되는 경우의 저항변화기록소자는 하부 전극, 저항변화층, 쇼트키 접합층, 반도체층, 오믹 접합층 및 상부 전극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전극, 저항변화층, 쇼트키 접합층, 반도체층 및 오믹 접합층은 도 8b에 도시된 제1전도층(710), 저항변화층(720), 일체로 연결된 제2전도층-쇼트키 접합층(730, 310), 반도체층(320) 및 오믹 접합층(330)에 대응된다. 이외에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의 구성은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있어서, 정보 판독시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하나의 메모리 소자와 하나의 스위칭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하나의 메모리 소자와 하나의 스위칭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있어서, 정보 판독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와 종래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와 종래의 스위칭 다이오드의 전압에 따른 순방향 전류와 역방향 전류의 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종래의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전압에 따른 온/오프(on/off) 전류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8)

  1.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상기 반도체층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 접합층은 백금(Pt), 이리듐(Ir), 루쎄늄(Ru), 금(Au), 오스뮴(Os) 및 레니움(R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은 산화티타늄(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은 (In, Sn)2O3(ITO)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과의 사이에 상기 오믹 접합층이 배치되도록 상기 오믹 접합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9. 저항변화특성을 나타내는 메모리 소자와 스위칭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소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전도층; 및
    상기 저항변화층의 타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전도층;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을 이루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반도체층은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은 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오믹 접합층은 (In, Sn)2O3(ITO)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 구비된 저항변화층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전이금속 산화물 및 칼코제나이드계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 구비된 제1전도층과 제2전도층 및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쇼트키 접합층은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 구비된 제1전도층 및 제2전도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쇼트키 접합층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 구비된 제1전도층 및 제2전도층 중 상기 쇼트키 접합층과 직렬로 연결된 어느 하나와 상기 쇼트키 접합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는,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반도체층과의 사이에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오믹 접합층이 배치되도록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에 구비된 오믹 접합층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기록소자.
  20. 행 및 열로 정렬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어레이로서,
    상기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쇼트키 접합층;
    상기 쇼트키 접합층 상에 상기 쇼트키 접합층과 쇼트키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반도체층과 오믹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 및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상기 하부 전극의 형성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인접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을 공유하여 어레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1. 행 및 열로 정렬되는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어레이로서,
    상기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저항변화층;
    상기 저항변화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층;
    상기 전도층 상에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믹 접합층;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상기 오믹 접합층과 오믹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상기 하부 전극의 형성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상기 반도체층과 쇼트키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저항변화기록소자는 인접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을 공유하여 어레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형성방향과 상기 상부 전극의 형성방향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n형의 전이금속 산화물은 산화티타늄(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은 (In, Sn)2O3(ITO)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상기 쇼트키 접합층 및 상기 상부 전극은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상기 전도층 및 상기 상부 전극은 백금, 이리듐, 루쎄늄, 금, 오스뮴 및 레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1020080023843A 2008-03-14 2008-03-14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10097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43A KR100976424B1 (ko) 2008-03-14 2008-03-14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843A KR100976424B1 (ko) 2008-03-14 2008-03-14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43A true KR20090098443A (ko) 2009-09-17
KR100976424B1 KR100976424B1 (ko) 2010-08-17

Family

ID=4135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843A KR100976424B1 (ko) 2008-03-14 2008-03-14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4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65B1 (ko) * 2009-12-09 2011-08-04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저항성 메모리의 가변저항층 제조 방법
KR101384517B1 (ko) * 2012-01-05 2014-04-1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저항 변화 스위치 기반의 논리 및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153778B2 (en) 2012-09-28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ive switching devices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the same
CN109888094A (zh) * 2019-03-06 2019-06-14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掺杂型氧化钛的选通管器件及其制备方法
WO2020045845A1 (ko) * 2018-08-31 2020-03-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자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5977A (ko) * 2018-08-31 2020-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자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83A (ko) 2020-01-14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셀 스트링을 포함하는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404B2 (en) * 2005-05-09 2010-10-12 Sandisk 3D Llc Nonvolatile memory cell comprising a diode and a resistance-switching material
JP5422552B2 (ja) 2007-05-09 2014-02-19 インターモレ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抵抗性スイッチング不揮発性メモリ要素
KR20080105979A (ko) * 2007-05-30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소자
KR20090014007A (ko) * 2007-08-03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65B1 (ko) * 2009-12-09 2011-08-04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저항성 메모리의 가변저항층 제조 방법
KR101384517B1 (ko) * 2012-01-05 2014-04-1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저항 변화 스위치 기반의 논리 및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153778B2 (en) 2012-09-28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ive switching devices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the same
WO2020045845A1 (ko) * 2018-08-31 2020-03-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자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5977A (ko) * 2018-08-31 2020-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자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CN109888094A (zh) * 2019-03-06 2019-06-14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掺杂型氧化钛的选通管器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424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138B2 (ja) n+界面層を備えた可変抵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素子
KR100718155B1 (ko) 두 개의 산화층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US8933429B2 (en) Using multi-layer MIMCAPs in the tunneling regime as selector element for a cross-bar memory array
KR10117654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
US9397141B2 (en) Current selector for non-volatile memory in a cross bar array based on defect and band engineering metal-dielectric-metal stacks
US8525142B2 (en) Non-volatile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09724B1 (ko) 터널링층을 구비한 바이폴라 스위칭 타입의 비휘발성메모리소자
US8125021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variable resistance material
US9177998B2 (en) Method of forming an asymmetric MIMCAP or a Schottky device as a selector element for a cross-bar memory array
US9362498B2 (en) Method of forming a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a memory array
KR100976424B1 (ko) 저항변화기록소자에 이용되는 스위칭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와 저항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US858697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diode-storage node and cross-point memory array includ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US8023318B2 (en) Resistance memory element, phase change memory element,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information reading method thereof,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information reading method thereof
US20160351623A1 (en) Resistive random acceess memory
WO2007023569A1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書き込み方法
KR20130097139A (ko) 저항-스위칭 층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의 구성
KR20060042734A (ko) 한 개의 저항체와 한 개의 다이오드를 지닌 비휘발성메모리 소자
JPWO2007046144A1 (ja) 抵抗記憶素子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20150137062A1 (en) Mimcaps with quantum wells as selector elements for crossbar memory arrays
KR20110072921A (ko) 메모리소자 및 그 동작방법
US20170062522A1 (en) Combining Materials in Different Components of Selector Elements of Integrated Circuits
JP6092696B2 (ja) 可変抵抗素子を用いたメモリセル
KR101079662B1 (ko)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정보 기록 방법과 정보 판독 방법
KR20130080620A (ko)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8472A (ko)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