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082A - 에어로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에어로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082A
KR20090098082A KR1020080023259A KR20080023259A KR20090098082A KR 20090098082 A KR20090098082 A KR 20090098082A KR 1020080023259 A KR1020080023259 A KR 1020080023259A KR 20080023259 A KR20080023259 A KR 20080023259A KR 20090098082 A KR20090098082 A KR 2009009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nd cap
body portion
blade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082A/ko
Publication of KR2009009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의 러버부가 마모되거나 이상이 발생하여 러버부 교체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중에서 와이퍼의 러버부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되며, 러버부(200)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회동을 통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에어로 블레이드에 있어서, 하단에 홈(110)이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후크(320)가 돌출 형성된 누름부(310)가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320)가 상기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앤드캡(300)으로 구성되어, 추가적인 비용을 감소시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로부터 러버부의 분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와이퍼, 에어로 블레이드, 러버, 앤드캡, 후크

Description

에어로 블레이드{Aero blade}
본 발명은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의 러버부가 마모되거나 이상이 발생하여 러버부 교체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중에서 와이퍼의 러버부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는 원래 닦는 사람이나 물건, 닦는 데 쓰이는 수건이나 걸레의 의미로써 자동차에서는 안전운행을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원활한 전방 시야확보이기 때문에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묻은 빗물이나 눈 따위를 닦아 주행 중에 전방 시계(視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보통의 차량에는 와이퍼가 마련되어 운전자의 원활한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윈드실드글래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우중시 유리 표면의 빗물을 닦아주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와이퍼는 차량 전방측의 윈드실드글래스에만 장착되지만, 승합차에는 데일게이트 글래스(리어 글래스)에 리어 와이퍼가 장착되기도 하며, 일 부 차량에는 헤드램프에도 소형 와이퍼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와이퍼는 크게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와이퍼 암 끝에 달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대고 좌우로 움직이면, 고무가 부착된 블레이드 끝단이 유리면을 닦음으로써 빗물, 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또한, 도 6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7은 도 6의 X-X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러버(11)와, 상기 몸체부(10)와 러버(11) 끝단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고정핀(13)이 마련되어 상기 러버(11)로부터 고정되는 앤드캡(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앤드캡(12)의 상단에는 상기 앤드캡(12)과 힌지 체결되며 양측단에는 손잡이용 돌기가 형성되고, 고정핀(13)을 포함하는 회전부(14)가 마련되어 상기 앤드캡(12)으로부터 회전부(14)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러버(11)에 고정된 고정핀(13))이 탈거되어 상기 앤드캡(12)과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러버(11)를 분리시 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에어로 블레이드는 차량의 와이퍼 사용중 윈드실드글래스와 접촉하게 되는 러버(11)가 마모되었을 때 단지 러버(11)만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부품수가 많아져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러버(11) 교체후 앤드캡(12)에 마련된 고정핀(13)을 러버(11)에 장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블레이드부(20)와, 상기 블레이드부(20) 끝단에 마련되어 상호 연결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러버(22)가 구비되는 클립부(21)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립부(21) 측면에는 분리버튼(23)이 마련되어 상기 분리버튼(23)을 누르면서 상기 클립부(21)를 잡아당기면 러버(22)를 포함하는 상기 클립부(22)가 블레이드부(2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에어로 블레이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단구조 형식의 에어로 블레이드 보다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러버(22)와 클립부(21)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와이퍼 사용중 윈드실드글래스와 접촉하게 되는 러버(22)가 마모되었을 때는 상기 러버(22) 뿐만 아니라 클립부(21)까지 동시에 교체해야 하는 구조로써 수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과 함께, 상기 클립부(21)의 분리버튼(23)을 누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력이 과다하게 필요하게 되어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중앙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몸체부(30)와, 상단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30)의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하단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되는 러버(31)와, 양측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된 커버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30)를 감싸듯이 위치하는 앤드캡(32)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에어로 블레이드는 몸체부(30)로부터 앤드캡(32)을 분리하기가 어려워 차량의 와이퍼 사용중 윈드실드글래스와 접촉하게 되는 러버(31)가 마모되었을 때 상기 러버(31) 뿐만 아니라 몸체부(30)와 앤드캡(32)까지 동시에 교체해야 하는 구조로써, 수리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소비자가 비용에 부담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의 러버부가 마모되거나 이상이 발생하여 러버부 교체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중에서 와이퍼의 러버부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되며, 러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회동을 통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에어로 블레이드에 있어서, 하단에 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후크가 돌출 형성된 누름부가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몸체부의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앤드캡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와이퍼의 러버부 교체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전체가 아닌 교환이 필요한 러버부만을 교체하여 상기 러버부 이외의 추가적인 비용을 감소시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로부터 러버부의 분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른 도 8의 X-X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되며, 러버부(200)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회동을 통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에어로 블레이드에 있어서, 하단에 홈(110)이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일측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후크(320)가 돌출 형성된 누름부(310)가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320)가 상기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앤드캡(300)으로 이루어져, 상기 러버부 이외의 추가적인 비용을 감소시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로부터 러버부의 분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막대 바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부(100)의 하단 중앙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이하 기술하게 될 러버부(200)와 결합하게 되며, 하단 양측에는 홈(110)이 형성되어 이하 기술하게 될 앤드캡(300)이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 형상의 몸체부(100)는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 측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 및 재질로 성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러버부(200)는 몸체부(100) 하단에 삽입되되, 상기 러버부(20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러버부(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러버부(20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러버부(200)는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유리면에 묻은 이물질을 와이퍼에 의해 이동하면서 닦아 내는 것이므로, 이동시 상기 윈드실드글래스에 흠이나 자국을 내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앤드캡(300)은 몸체부(100) 일측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앤드캡(300)의 양측 하단부에는 두 갈래의 누름부(31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앤드캡(300)에 형성된 누름부(310)중 내측 누름부(312)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후크(32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앤드캡(300)이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거치 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앤드캡(300)의 누름부(310)에 형성된 후크(320)의 하단부 일측단면에는 면취(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앤드캡(300)의 몸체부(100)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부(310)를 통해 상기 앤드캡(300)이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앤드캡(300)에 형성된 누름부(31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되어 몸체부(100)로부터 상기 앤드캡(300)을 탈착 시킬 때 상기 누름부(310)를 눌러 외측 누름부(311)와 내측 누름부(3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후크(320)가 상기 몸체 부(10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앤드캡(300)을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러버부(200)에도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앤드캡(300)에 마련된 후크(320)가 몸체부(100)와 러버부(20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하단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부에는 러버부(200)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를 통해 상기 러버부(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100) 하단 양측에 형성된 홈(110)에는 앤드캡(300)에 형성된 누름부(310)가 삽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를 결합하는 과정은 몸체부(100)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러버부(2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러버부(20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상단에는 누름부(310)가 형성된 앤드캡(300)이 마련되어 상기 앤드캡(300)의 누름부(310)중 내측 누름부(312)가 상기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된다.
이때, 앤드캡(300)의 내측 누름부(312)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후크(32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앤드캡(300)이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후크(320)의 하단부 일측단면에는 모서리 부분을 깎아 면취(A)가 형성 되도록 하여 앤드캡(300)을 몸체부(100)에 삽입시킬 때 상기 앤드캡(300)의 누름부(310)에 형성된 후크(320)가 상기 면취(A)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의 홈(1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를 분리하는 과정은 탄성력을 가지는 앤드캡(300)의 누름부(310)를 좌우 양측면에서 눌러 상기 누름부(310) 하단에 형성된 후크(320)를 몸체부(100)의 홈(110)으로부터 이격 시킨 후 상기 앤드캡(3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앤드캡(300)과 몸체부(100)가 상호 분리된다.
그 다음은, 몸체부(100) 하단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러버부(200)를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차량의 와이퍼 사용중 윈드실드글래스와 접촉하게 되는 고무가 마모되었을 때 상기 러버부(200)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은 러버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상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러버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실제 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다르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가 상기 러버부(20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러버부(200)가 상기 몸체부(100)에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몸체부(100)의 끝단 하단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상기 몸체부(100)의 홈(110)에 삽입되는 앤드캡(300)의 후크(320)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과 별도로, 몸체부(100)와 러버부(200)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상기 러버부(200)에도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앤드캡(300)에 마련된 후크(320)가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러버부(200)를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는 와이퍼 블레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에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러버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후크가 돌출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앤드캡으로 이루어져, 와이퍼의 러버부 교체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전체가 아닌 교환이 필요한 러버부만을 교체하여 상기 러버부 이외의 추가적인 교체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로부터 러버부의 분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종래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7은 도 6의 X-X선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를 도시하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로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른 도 8의 X-X선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홈
200 : 러버부 300 : 앤드캡
310 : 누름부 320 : 후크

Claims (4)

  1.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에 위치하게 되며, 러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의 회동을 통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에어로 블레이드에 있어서,
    하단에 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후크가 형성된 누름부가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몸체부의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앤드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 블레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내측 누름부와 외측 누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 내측에 형성된 후크는 상기 앤드캡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 블레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캡은 상기 몸체부의 홈에 삽입되는 상기 누름부의 후크에 의해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 블레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러버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 블레이드.
KR1020080023259A 2008-03-13 2008-03-13 에어로 블레이드 KR20090098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259A KR20090098082A (ko) 2008-03-13 2008-03-13 에어로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259A KR20090098082A (ko) 2008-03-13 2008-03-13 에어로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82A true KR20090098082A (ko) 2009-09-17

Family

ID=4135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259A KR20090098082A (ko) 2008-03-13 2008-03-13 에어로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909Y1 (ko) 차량용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CN103101515B (zh) 雨刮片
KR101254778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KR101285317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US20190176766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536012B1 (ko) 차량용 창유리의 와이퍼 블레이드
JP5204914B1 (ja) ウインドワイパー
KR20043787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KR20090098082A (ko) 에어로 블레이드
US3798703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JP5622918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のクリップ部材
KR10255950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용 러버
KR1008136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15304B1 (ko) 와이퍼 연결장치
KR200474583Y1 (ko) 와이퍼 보호구
KR100705689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후방 마감체
KR100778571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암 조립체
KR100969006B1 (ko) 블레이드의 균일하중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
KR200339285Y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80817B1 (ko) 와이퍼 연결장치
KR100821763B1 (ko) 탈부착성이 향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17946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811929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의 체결구조
KR200188919Y1 (ko) 착탈식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85426Y1 (ko) 착탈식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