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83Y1 - 와이퍼 보호구 - Google Patents

와이퍼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83Y1
KR200474583Y1 KR2020140003930U KR20140003930U KR200474583Y1 KR 200474583 Y1 KR200474583 Y1 KR 200474583Y1 KR 2020140003930 U KR2020140003930 U KR 2020140003930U KR 20140003930 U KR20140003930 U KR 20140003930U KR 200474583 Y1 KR200474583 Y1 KR 20047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rm
glass surface
blad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2020140003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60S1/0469Devices for assisting the wiper positioning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창에 인접되게 마련되는 차량의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와, 상기 아암 결합부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유리창의 유리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렛대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상기 유리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재; 및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보호구{WIPER PROTECTOR}
본 고안은, 와이퍼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유리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WIPER)는 차량의 앞 유리창에 흘러내리는 빗방울이나 눈을 닦아내는 기구이다.
와이퍼의 원래 의미는 닦는 사람이나 물건, 닦는 데 쓰이는 수건이나 걸레의 뜻이다. 하지만 자동차에서는 앞 유리의 빗방울이나 눈 따위를 닦으며, 주행 중에 전방 시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와이퍼는 앞 유리창에만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차량에는 뒤 유리창과 헤드램프에도 와이퍼가 장착되기도 한다.
와이퍼에는 유리면을 닦아 빗물 등을 제거하는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가 결합된다. 와이퍼는 와이퍼 아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정해진 궤적 내에서 왕복 회전된다.
한편, 와이퍼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한 후에는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것으로 갈아 끼우게 된다.
보통은 와이퍼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의 수명이 다하여, 다시 말해 와이퍼의 사용 회수가 기준치를 넘어 블레이드가 유리면을 제대로 닦아내지 못할 때, 와이퍼를 교체하게 된다.
이처럼 와이퍼를 장기간 사용한 후에는 새로운 와이퍼로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예컨대, 와이퍼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가 쉽게 손상되어 와이퍼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와이퍼의 블레이드는 유리면에 늘 접촉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유리면과 와이퍼의 블레이드 사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일 소지가 높은데, 이처럼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를 동작시키게 되면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미세하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다보면 블레이드의 미세 손상으로 인한 와이퍼의 수명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625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5505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2679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1264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유리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창에 인접되게 마련되는 차량의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와, 상기 아암 결합부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유리창의 유리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렛대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상기 유리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재; 및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보호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의 아암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측벽에는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의 지렛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 결합부의 단부에는 회전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창에 인접되게 마련되는 차량의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 상기 아암 결합부를 상기 와이퍼 아암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아암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아암 결합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아암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유리창의 유리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상기 유리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보호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유리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유리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퍼의 블레이드와 유리면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미세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가 적용된 차량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이퍼 보호구가 동작되어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 및 도 4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와이퍼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에 적용되는 와이퍼 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가 적용된 차량에 대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와이퍼 보호구가 동작되어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접촉된 상태의 도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 및 도 4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와이퍼 보호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100)는 와이퍼(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5)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5)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와이퍼 이격부재(110)와, 회전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우선, 와이퍼 이격부재(110)는 와이퍼 아암(4)에 연결되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통형의 구조물로 적용되는 회전 지지부재(140)와 달리, 와이퍼 이격부재(110)는 아암 결합부(120)와 지렛대(130)를 포함한다.
아암 결합부(120)는 차량(1)의 전면 유리창(2)에 인접되게 마련되는 차량(1)의 와이퍼 아암(4)에 결합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100)는 차량(1)의 전면 유리창(2) 쪽에 결합되고 있으나 차량(1)의 후면 유리창(미도시) 영역의 와이퍼(미도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아암 결합부(120)는 차량(1)의 와이퍼 아암(4)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내부가 빈 파이프(pipe) 구조물로 마련된다. 특히, 아암 결합부(120)는 약간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질로 제작될 경우, 아암 결합부(120)를 와이퍼 아암(4)에 결합시키기에 좋다.
지렛대(130)는 아암 결합부(120)에 연결되고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이다.
도 3 및 도 5처럼 아암 결합부(120)의 회전에 의해 지렛대(130)의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접촉된 경우, 지렛대(130)로 인해 와이퍼 아암(4)이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와이퍼(5)의 블레이드(6) 역시,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G, 도 3 참조)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지렛대(130)는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금속이나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보다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니면, 지렛대(130) 전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하되 단부에 고무 재질의 스토퍼(미도시)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리면(2a)은 약간의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지렛대(130)의 단부에는 경사부(130a)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회전 지지부재(140)는 와이퍼 이격부재(110)와 연결되어 와이퍼 이격부재(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부재(140)는 와이퍼 이격부재(110)의 아암 결합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 지지부재(140)의 측벽에는 와이퍼 이격부재(110)의 지렛대(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가 형성된다.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는 회전 지지부재(140)의 측벽 일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퍼 이격부재(110)의 지렛대(130)는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의 양단부까지만 회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회전 지지부재(140)의 측벽에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가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를 통해 와이퍼 이격부재(110)의 아암 결합부(120)를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아암 결합부(120)를 와이퍼 아암(4)에 끼우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와이퍼 보호구(100)의 작용을 살펴본다.
우선,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141)를 통해 와이퍼 이격부재(110)의 아암 결합부(120)를 끼워 넣어 와이퍼 이격부재(110)와 회전 지지부재(140)를 조립한 후, 아암 결합부(120)를 와이퍼 아암(4)에 끼운다.
다음, 와이퍼 이격부재(110)를 회전시켜 도 3 및 도 5처럼 아암 결합부(120)의 회전에 의해 지렛대(130)의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지렛대(130)의 길이만큼 와이퍼 아암(4)이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와이퍼(5)의 블레이드(6) 역시,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G, 도 3 참조)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상태는 장기간 주차 시 사용하기에 좋다.
차량(1)의 운행 중 비가 내릴 때는 도 4 및 도 6처럼 아암 결합부(120)의 회전에 의해 지렛대(130)의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 되고, 그러면 와이퍼(5)의 블레이드(6)가 유리면(2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평상시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퍼(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5)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5)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5)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5)의 블레이드(6)가 미세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에 적용되는 와이퍼 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퍼 이격부재(210) 역시, 아암 결합부(220)와 지렛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아암 결합부(220)의 양단부에는 회전기어(240)가 마련된다. 회전기어(240)에 대응되게 도시 않은 회전 지지부재의 내측에도 기어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회전기어(240)의 작용으로 인해 아암 결합부(220)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고 또한 아암 결합부(220)가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을 저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와이퍼(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5)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5)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5)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5)의 블레이드(6)가 미세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퍼 보호구(300)는 그 기능과 효과는 동일하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약간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300)는 차량(1)의 와이퍼 아암(4)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310)와, 아암 결합부(310)를 와이퍼 아암(4)에 체결시키는 체결부(320)와, 아암 결합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도 12 참조) 아암 결합부(310)에 교차되게 배치되도록(도 11 참조) 아암 결합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와이퍼 아암(4)에 연결되는 와이퍼(5, 도 3 및 도 4 참조)의 블레이드(6, 도 3 및 도 4 참조)를 유리면(2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330)를 포함한다.
이에, 도 11처럼 아암 결합부(310)에 대해 와이퍼 이격부(330)를 교차되게 회전시켜 와이퍼 이격부(330)의 단부가 유리면(2a)에 접촉되도록 하면 와이퍼 이격부(330)의 길이만큼 와이퍼 아암(4)이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와이퍼(5)의 블레이드(6) 역시,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G, 도 3 참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와이퍼(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5)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5)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5)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5)의 블레이드(6)가 미세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퍼 보호구(400) 역시,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보호구(400)는 차량(1)의 와이퍼 아암(4)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410)와, 아암 결합부(410)를 와이퍼 아암(4)에 체결시키는 체결부(420)와, 아암 결합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도 14 참조) 아암 결합부(410)에 교차되게 배치되도록(도 13 참조) 아암 결합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가 유리창(2)의 유리면(2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와이퍼 아암(4)에 연결되는 와이퍼(5, 도 3 및 도 4 참조)의 블레이드(6, 도 3 및 도 4 참조)를 유리면(2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와이퍼 이격부(430)의 단부에는 유리면(2a)과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재질의 탄성 스토퍼(440)가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 스토퍼(440)로 인해 유리면(2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도 11처럼 아암 결합부(410)에 대해 와이퍼 이격부(430)를 교차되게 회전시켜 와이퍼 이격부(430)의 단부가 유리면(2a)에 접촉되도록 하면 와이퍼 이격부(430)의 길이만큼 와이퍼 아암(4)이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와이퍼(5)의 블레이드(6) 역시,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G, 도 3 참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와이퍼(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와이퍼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이물질 등으로부터 와이퍼(5)를 보호함으로써 와이퍼(5)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는 와이퍼(5)의 블레이드(6)를 유리면(2a)으로부터 이격시켜 와이퍼(5)의 블레이드(6)와 유리면(2a)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 와이퍼(5)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와이퍼(5)의 블레이드(6)가 미세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차량 2 : 유리창
2a : 유리면 4 : 와이퍼 아암
5 : 와이퍼 6 : 블레이드
100 : 와이퍼 보호구 110 : 와이퍼 이격부재
120 : 아암 결합부 130 : 지렛대
140 : 회전 지지부재 141 :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

Claims (4)

  1.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창에 인접되게 마련되는 차량의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와, 상기 아암 결합부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유리창의 유리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렛대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는 와이퍼의 블레이드를 상기 유리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와이퍼 이격부재; 및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의 아암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측벽에는 상기 와이퍼 이격부재의 지렛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각도 제한용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 결합부의 단부에는 회전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보호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3930U 2014-05-22 2014-05-22 와이퍼 보호구 KR20047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30U KR200474583Y1 (ko) 2014-05-22 2014-05-22 와이퍼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30U KR200474583Y1 (ko) 2014-05-22 2014-05-22 와이퍼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583Y1 true KR200474583Y1 (ko) 2014-09-29

Family

ID=5200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930U KR200474583Y1 (ko) 2014-05-22 2014-05-22 와이퍼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9863A1 (ja) * 2022-07-05 2024-01-11 剛司 伊藤 ワイパー駆動方法およびワイパーアーム誘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645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와이퍼장치의 블레이드구조
JP2001138871A (ja) 1999-11-18 2001-05-22 Sanki Seisakusho:Kk ワイパブレードの保護装置
KR200258606Y1 (ko) 2001-10-08 2001-12-29 이우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US20130047366A1 (en) 2011-08-24 2013-02-28 Nathan Bush Windshield wiper lif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645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와이퍼장치의 블레이드구조
JP2001138871A (ja) 1999-11-18 2001-05-22 Sanki Seisakusho:Kk ワイパブレードの保護装置
KR200258606Y1 (ko) 2001-10-08 2001-12-29 이우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US20130047366A1 (en) 2011-08-24 2013-02-28 Nathan Bush Windshield wiper lif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9863A1 (ja) * 2022-07-05 2024-01-11 剛司 伊藤 ワイパー駆動方法およびワイパーアーム誘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948B2 (en) Wiper device
US3631561A (en) Snap-on cleaning unit for vehicular windshield wipers
JP5043933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US20070094831A1 (en) All weather windshield wiper system
CN105142994B (zh) 用于清洁车辆车窗的擦拭器刮片,以及擦拭器装置
US8332990B2 (en) Windshield wiper blade and suited for removal of solid material
JP5204914B1 (ja) ウインドワイパー
KR200474583Y1 (ko) 와이퍼 보호구
US20080301897A1 (en) Windshield Wiper
US10239496B2 (en) Wiper blade assembly protector and method of protecting a wiper blade assembly
US6748621B1 (en) Vehicle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211096B1 (ko) 와이퍼 장치
KR10158523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EP3412526B1 (fr) Embout d'extremité pour balai d'essuyage de véhicule automobile
CN110901593B (zh) 用于车辆的雷达清洁装置和车辆
KR100715304B1 (ko) 와이퍼 연결장치
CA2954233C (en) Wiper blade assembly protector and method of protecting a wiper blade assembly
JP2014051127A (ja) 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ブレードラバー
KR10255950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용 러버
CN110053586B (zh) 在雨刮器臂的臂末梢与脊椎件间具布置结构的雨刮器设备
JP4812794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394109Y1 (ko) 자동차용 이물질제거장치
US20160137168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506677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이격상태 유지용 와이퍼장치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