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940A -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940A
KR20090097940A KR1020097014932A KR20097014932A KR20090097940A KR 20090097940 A KR20090097940 A KR 20090097940A KR 1020097014932 A KR1020097014932 A KR 1020097014932A KR 20097014932 A KR20097014932 A KR 20097014932A KR 20090097940 A KR20090097940 A KR 2009009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hamber
opening
self
support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비오 트리오
Original Assignee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4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온 음료, 특히 커피를 제조하는 제거가능한 주입 유닛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가진 주입 체임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구조체, 및 상기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 지지구조체 및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는 외부 윤활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INFUSION UNIT FOR PRODUCING COFFEE SUITABLE FOR WASHING IN THE DISHWASHER}
본 발명은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2부분으로 이루어진 주입 체임버가 위치한 구조체를 포함하는 타입의, 가정용 또는 직업용 커피 자판기의 주입 유닛, 또는 자판기의 주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타입의 주입 유닛은 가정용 및 상업용의 커피 자판기 분야, 예를 들면 자판기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타입의 주입 유닛은 US-A-4,681,028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가기오 몬타노(비오) 사에코 인터내셔널 그룹 에스.피.에이.에 의한 상표명 Idea, SG500, FS400, Royal, SG200, Magic, Incanto, Vienna 등으로 표시된 모델의 커피 자판기에서 제조되고 사용된다.
주입 유닛의 제거가능한 성질은 흐르는 물에서의 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일정한 수의 핸드 린스 후 및/또는 특정한 수의 디스펜싱 사이클 후, 주입 유닛의 이동부를 윤활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단회의 윤활 그리스를 가진 윤활 키트가, 기계 부품(통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이 상호 접촉하고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점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들 작동은 번거롭고 소모성 재료의 구입을 필요로 하였다.
제거될 수 없는 주입 유닛은 커피 자판기의 회로에 도입되는 첨가제를 사용해야 하는 특별한 세정 사이클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코스트의 면 및 세정 후의 사이클에서 제조된 음료의 감각자극성의,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가능한 변경의 면에서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용이하고 더 효율적인 세정을 행할 수 있는 상기한 타입의 주입 유닛의 개선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상기한 타입의 주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가정용 기구 내부에는 비교적 높은 온도(50-70℃)의 물에 의해 그리고 활성 세제의 첨가로 세정이 일어난다. 이들은 상호 접촉하고 있는 이동부에 도포된 윤할 그리스를 제거할 것이며, 따라서 각 세정 후에 윤활이 반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분배 유닛으로부터 제거된 윤활유는 오염 물질이 될 것이며, 환경에 해로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의 목적은 식기세척기 내에서도 주입 유닛을 세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유리하게는, 상호 접촉하고 있고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주입 유닛의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상호 접촉 및 마찰의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주입 체임버의 개폐를 작동하는 모터 샤프트의 마찰 지지체 등의 회전 쌍에서, 상기 샤프트는 지지체에 대해 높은 자기윤활능력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역도 또한 같다. 슬라이딩 쌍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계에 적용되는 역학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합된 명칭에 이어, 현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운동학적 쌍은 한 쌍의 기계적 요소로서 또는 그 면의 각 부분에 접촉하는 요소로서 지정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 왕복운동을 행하며, 이것들은 그들이 속하는 2개의 기계적 요소를 상호 구속한다.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기계적 요소는 또한 운동학적 요소로서 정의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호 이동하고 접촉하는 두 부분 사이의 상이한 자기윤활성은 두 부분에 대해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해서 얻어질 수 있다. 다른, 현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두 부분 중의 하나, 즉 두 운동학적 요소 중의 한 쪽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자기윤활재료로 충전될 수 있으며, 다른 부분, 즉 상기 한 쌍 중의 다른 쪽의 운동학적 요소의 합성 수지는 이 자기윤활 충전재 없이 남겨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고 이동하는 두 부분은 여러 양 또는 여러 타입의 자기윤활물질로 충전될 수 있다.
자기윤활성을 갖도록 합성 수지가 충전되는 재료는, 예를 들면, 흑연, 몰리브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상업적으로 테프론®으로 알려짐)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윤활성은 상호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 처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노테크놀러지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 기계 부분 또는 그 부분으로 한 쌍의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요소는 동일한 자기윤활성(또는 자기윤활의 결핍)을 가지고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 부분은 자기윤활 충전재 없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동학적 쌍의 다른 쪽의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기계 요소는 자기윤활재료로 대략 균일하게 충전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는, 상기 쌍의 제 1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부분의 전체 면은 상기 쌍의 다른 쪽의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기계 요소의 전체 면의 그것들과는 다른 대략 균일한 자기윤활성을 얻도록 처리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면의 전체가 아닌 단지 한 부분이 인접한 부분의 유사한 부분과 마찰 접촉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분의 한 부분만이 필요한 자기윤활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자기윤활 충전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감소에 따른 비용의 감소 등의 다양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식용 제품과 접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충전재 또는 윤활 처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호 접촉 및 이동하는 기계 요소의 부분으로서 정의된 운동학적 요소는 커피 분말 또는 그로부터 추출된 음료와 접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러 방법으로 동일한 부분의 여러 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를 처리 또는 장입함으로써, 상이한 자기윤활능력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를 지닌 모든 운동학적 쌍을 제조하는 것이 또한 용이하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입 유닛을 식기세척기 내에서 더 용이하게 세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정되는 면은 제거가능한 주입 유닛을, 개구부의 존재에 의해 상기 면들을 통과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물의 제트에 의해, 예를 들면, 지지구조체에 속하는 면들 사이에 위치한, 주입 체임버 및 이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세정을 허용하도록 복수의 개구부로 설계된,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체로 제조함으로써 식기세척기 내에 생성된 물의 제트에 의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구조체가, 주입 체임버가 위치한 2개의 평행한 면을 가질 때, 본 발명의 이점의 일부를 개구부를 구비한 단일 면으로 얻을 수 있을지라도, 양면은 개구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입 유닛은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지지구조체, 및 서로 다른 자기윤활능력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상호 이동부들을 가진다. 제 1 특징은 물 및 세제의 개선된 침투를 허용하며, 제 2 특징은 이동부에 적용되는 어떤 타입의 외부 윤활의 필요성도 배제한다. 그러나, 상기한 이점의 일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운동학적 쌍의 주입 유닛을 형성하기 위하여, 교호적인 자기윤활 및 비윤활 이동부의 실시형태를 개발함으로써만(또는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임의의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지지구조체는, 이점이 거의 없더라도, 상기한 자기윤활성 없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윤활을 위해 외부 윤활제의 반복적인 적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개방 구조체를 가진 주입 유닛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면 또는 다른 지지구조체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즉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주입 체임버 및 상기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기계적 지지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형 요소를 가지며, 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유닛의 면은 세정수의 제트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워크 구조체는 상기한 선형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형 요소는, 지지구조체, 예를 들면, 면들의 힘의 선, 즉 그 작동시에 상기 구조체가 견뎌야 하는 변형, 특히 이것이 폐쇄될 때 주입 체임버 내부의 커피의 압축으로부터 얻는 응력과 커피의 분배시에 주입 체임버 내부의 압력에 의한 반력이 집중되는 그들의 선의 경향과 유사한 경향에 따라 뻗는다.
본 발명에 의한 주입 유닛의 더 유리한 실시형태와 바람직한 특징은 첨부된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으며, 실시예를 참조해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주입 유닛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 지지구조체는 유리하게는 자기윤활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자기윤활물질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자기윤활물질은, 예를 들면, 몰리브덴, 흑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면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각도에 의한 주입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주입 유닛의 측면도:
도 3A는 프레임워크 또는 면들 중의 하나의 격자를 형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의 개략 국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주입 체임버의 두 .위치(각각 개방 및 폐쇄)에 있어서의 주입 유닛의 중앙 평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의 평면에 대해서 병진된 평면 상의, 도 5의 단면과 유사한 단면도.
이하에 지지체를 형성하는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진 타입의,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에 대한 적용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그 세정을 용이하게 하거나, 단순화하도록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유용할 때마다, 유사한 이점이, 다른 타입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에서, 또한 다른 지지구조체의 구성으로, 그리고 부품의 구성으로 얻어질 수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유닛(1)은 주입 체임버 및 상기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지지 포함 구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구조체는 대략 크로스바(7A, 7B, 7C, 9, 11)에 서로 접합된 제 1 면(3)과 제 2 면(5)을 구비한다.
제 1 면(3)과 제 2 면(5)(도 4 및 도 5) 사이에는 도 4에 표시된 개방위치와 도 5에 표시된 작동위치, 주입체임버가 폐쇄되는 작동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제 1 고정부(13)와 제 2 부(15)를 가진 주입 체임버가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는 호퍼(17) 밑에 위치하며, 그를 통해서 분말 저장통, 분쇄장치, 수동 반입 입구 등으로부터 오는 커피 분말이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에 형성된 구획실(compartment)의 내부에 반입된다. 2개의 면(3) 및 (5) 사이에 수용된 개폐기구(19)는 주입 체임버를 폐쇄하도록 이동시켜서 이동부(15) 내부에 들어 있는 커피 분말을 압축한다.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19)는, 주입 유닛의 지지구조체의 면(3) 및 (5)의 각 시트 내에 지지되고, 축 A-A를 중심으로 피벗 또는 회전하는 모터 샤프트(23)를 가진다.
주입 체임버, 더 상세하게는 상기 체임버의 고정부(13)에는 밸브(21)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를 통해서 주입 체임버 내에 들어 있는 압축된 커피 분말을 통과하는 고온의 압력수에 의해 제조된 음료가 분배된다.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 상기 체임버를 형성하는 두 부분(13), (15)의 구조체, 및 커피를 반입하고, 주입을 행하고, 소비된 커피 가루를 반출하는 방법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구(19)는, 모터 샤프트(23)와 일체이고, 각 L-형상의 암(101)의 2개의 단부 중 첫번째 것과 일체인 크로스바(103)에 의해 접합된 한 쌍의 L-형상 암(101)을 가진다는 것을 관찰(특히 도 4, 5, 6 참조)하기에 충분하다. 각 암(101)의 대향 단부에는,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와 한 피스로 제조된 가이드(109) 내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107)가 핀(105)에 의해 힌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비교하면, 모터 샤프트(23)의 축에 관한 한 쌍의 암(101)의 피벗은 2개의 반입(도 4)위치 및 주입(도 5)위치의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의 주입체임버의 이동부(15)의 피벗 및 병진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위치에 있어서, 주입 체임버(13), (15)는, 커피 분말(도시하지 않음)이 압축되고, 커피 분말로부터 향(flavor)을 추출하기 위하여 압축 온수의 공급을 준비하는 폐쇄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105)가 구속되는 L-형상 암(101)의 부분이 정렬되므로, 즉 폐쇄된 주입 체임버의 축 X-X에 대략 평행하므로, 커피 분말에 작용하는 압축력으로부터 그리고 주입 체임버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얻어지는 응력이 모터 샤프트(23)에 토크를 발생하지 않고 모터 샤프트(23)의 지지체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구(19)는 또한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의 베이스(15F)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장치를 가진다. 공지된 방식으로, 이 이동은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 (15)의 병진 및 피벗 이동과 동기되어야 하므로, (주입 사이클의 끝에서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4의 위치로의) 주입 체임버의 개방시에 베이스(15F)는, 피벗 이동시에 호퍼(17)와 일체인 블레이드 에지(17A)를 스치는 상부 에지(15B)와 정렬된다. 이에 의해, 소비된 커피 태블릿의 분리와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의 표면(15S)을 따른 그 반출이 보장된다.
주입 체임버의 잔류부(15)에 대한 베이스(15F)의 이동은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를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한 피스로 이루어진 지지 시트(125)에서 피벗하는 핀(123)과 일체인 레버(121)에 의해 조정된다. 레버(121)는, 주입 체임버가 도 4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면(3), (5)을 접합하는 크로스바(7B)에 형성된 고정 스톱(124)과 협동하는 단부(121A)를 가진다. 대향하는 단부에 있어서 레버(121)는, 립 실 링(131)에 의해 밀봉되고, 부분(15)의 본체의 관통구멍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베이스(15F)와 일체인 로드(129)를 가진 힌지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진다. 스톱(124)과 협동하고, 도시하지 않은 횡방향 돌기부를 가지며, 면(3), (5)에 구비된 캠 프로파일(도시하지 않으며 그 자체가 공지됨)에 작용하는 레버(121)는, 그것이 지지되는 주입 체임버의 부분(15)의 피벗 및 병진이동과 동기해서 피벗한다. 시트(125) 내의 레버(121)의 피벗 이동은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분(15)에 형성된 커피 분말이 들어있는 구획실 내부의 베이스(15F)의 슬라이딩을 조정한다.
작동기구(19)의 구조에 관한 상기의 짧은 설명으로부터, 이 기구는 복수의 운동학적 쌍, 즉 서로 이동하고 슬라이딩하는, 상호 연결된 운동학적 요소를 가지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 들면, 제 1 회전 쌍은 모터 샤프트(23)와 면(3), (5)의 각 시트로 형성되고; 다른 회전 쌍은 시트(125)와 레버(121)의 핀(123) 사이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쌍은 각 슬라이더(107)와 각 가이드(109)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쌍은 관절 조인트(127)에 형성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짧게 설명되며, 예를 들면, 사에코 국제 그룹 에스.피.에이(이탈리아)에 의해 제조된 많은 기계에 포함된 주입 유닛에 사용된 기구는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가능한 기계 중의 하나이며, 기타의 다른 기구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우에, 상호 이동하고, 접촉 상태에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플라스틱 재료, 즉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수의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부품이 있을 것이다. 정확하고 조용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운동학적 쌍에 외부 윤활이 요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주입 유닛이 사용되는 기계의 타입에 허용할 수 있는 노이즈 레벨을 가진 임의의 경우에, 유리하게는 운동학적 쌍의 적어도 일부는 여러 자기 윤활성을 가지고 제조되는 상호 접촉하는 표면을 가진다. 이것은 특히 고하 중을 받는 이들 운동학적 쌍에 적용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기구에 있어서, 모터 샤프트(23)와 면(3), (5)의 각 시트 사이의 커플링과 가이드(109)와 슬라이더(107) 사이의 커플링이 특히 응력을 받는다. 이들 커플링 또는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주입 유닛의 기계 요소는, 상호 접촉하는 슬라이딩 표면이 윤활에 관해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3), (5), 또는 모터 샤프트(23)를 지지하기 위한, 그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시트는 자기 윤활 충전재를 가질 수 없으며, 모터 샤프트(23)는, 적어도 지지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자기 윤활재의 충전재가 추가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지지 회전 쌍은, 직접 접촉하고 마찰동작을 행하지만, 효율적인 자기 윤활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쌍이 받는 고하 중에 충분하고, 외부 윤활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것이다. 기본적인 플라스틱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그 자체로 어느 정도 자기 윤활성을 이미 가진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면(3) 및 (5)의 각각은 프레임워크 구조, 즉, 단단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대신에, 일부가(31)로 표시되고, 각 면(3), (5)의 개구부(33)를 한정하는,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선형 요소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요소(31)는, 도 3A에서 대략 단면으로 표시된 바 와 같이, 테이퍼질 수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연장된 단면을 가진다. 각 면의 평면과 직교하는, 요소(31)의 단면의 크기 D는 상기 면에 평행한 최소 크기 d에 대해 대략 크고, 예를 들면, 대략 2-5배 크다. 프레임워크를 형성하는 개개의 요소의 위치 및 크기는, 주입 유닛의 작동사이클의 여러 단계에서 그에 작용하는 응력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얻기 위하여 구조 계산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넓은 개구부(33)를 가진 2면(3), (5)이 얻어지며, 그를 통해서, 주입 유닛이 세정되도록 놓여질 수 있는 식기세척기 내부에 생성된 물의 제트가 유동할 수 있다. 이들 물의 제트는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19), 및 그의 고정부(13) 및 이동부(15)에 용이하게 도달한다. 따라서 주입 유닛은 식기세척기 내에서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33)는 또한, 면(3), (5)이 단단한 (solid) 종래의 유닛으로 얻을 수 있는 것에 비해 주입 유닛의 수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33)를 형성하는 선형 요소(31)는, 노드가 형성되는 횡단 또는 교차영역을 가지며, 그 일부는 도면에서 (35)로 표시된다. 선형 요소(31)의 형상 및 배치, 그 길이, 그 교차점 또는 노드와 면(3), (5)의 에지와 연동하는 영역은, 주입 유닛의 사용시에 면(3), (5)이 받는 응력의 구조 해석의 함수로서 결정되므로,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형성하는 재료가 상기 면(3), (5) 내부의 역선(force line)을 따라서 집중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다량의 재료는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19)의 샤프트(23) 또는 축 주위에 집중되어, 만곡된 선형 요소(31)가 연결되는 단단한 영역(39)을 형성한다.
각 면(3), (5)에는 주입 체임버의 부분(15)이 이동하는 각각의 직선 가이드 (41)가 샤프트(23)를 지지하는 영역으로부터 뻗는다. 이 가이드(41)에는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인접해서 가이드(41)를 각 면의 에지에 접합하는 선형 요소(31) 사이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33)가 있다.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에 구속된 각 쌍의 슬라이더(42A), (42B)는 각 직선 가이드(41)에 걸어 맞춰진다. 슬라이더(42A), (42B)는, 주입 체임버의 부분(15)이 이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분(13) 및 모터 샤프트(23)의 축 A-A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도 5, 6), 가이드(41)에 걸어 맞춰진다. 각 가이드(41)에 의해 형성된 운동학적 쌍 및 각 슬라이더(42A), (42B)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 윤활성을가지고 제조될 수 있다. 모터 샤프트(23)의 축 A-A에 근접해서 만곡 가이드(41A)는 2개의 가이드(41)의 각각에 연결되며, 이것은,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15)가 호퍼(17)와 정렬된 위치로부터 부분(13)과 정렬된 위치로 피벗할 때(그 역도 마찬가지), 하부 슬라이더(42A)와 걸어 맞춘다.
2면(3), (5)의 가이드(41)는,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13)가 연동되는 위치에서, 면(3), (5)을 상호 접합하는 크로스바(9), (11)에 근접해서, 그 상부 영역에 뻗어 있다. 이 체임버는 외부에 립 실(47)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은 종래의 O-링 실을 대체하며, 이것은 식기세척기 내의 세정에 대해서 이들보다 더 내성이 있다. 특히, 립 실은 더 안정적이고 기계적이고 마찰적인 성질을 가지며, 고온에서도 세정에 이은 탄성 및 복원성의 변동이 적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면(3), (5)의 각각을 형성하는 프레임워크 구조 체는, 특히 체임버(13), (15)의 폐쇄단계 및 주입시에, 모터 샤프트(23), 즉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영역(39)에 작용하는 응력이 크로스바(7A), (7B), (7C)를 향해서 전달되도록 제조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면(3), (5)에는 단단한 재료의 영역(39)이 각 아치 구조체(301)에 의해 주입 유닛(1)의 베이스에 위치한 크로스바(7A), (7B)에 연결되어 있다. 이 아치 구조체는, 크로스바 (7A), (7B)를 다시 접합하고 각 면(3), (5)의 베이스를 따라 뻗는 타이 로드를 형성하는 선형 구조체(302)와 협동한다.
또한,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중 아치 구조체(303), (305)로 형성된 연결부는 각 면(3), (5)에서 모터 샤프트(23)를 지지하는 영역(39)을 크로스바(7C)에 접합한다. 크로스바(7A), (7B), (7C)는 차례로 선형 에지 요소(307)에 의해 접합된다. 이 구성(301), (302), (303), (305), (307)은 모터 샤프트(23)의 축 A(도 3) 상의 합력 F로 대략 표시된 하중을 크로스바(7A), (7B), (7C)를 향하여 전달하게 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면(3), (5)의 이 하부의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만곡된 선형 요소(31A)-(31J)에 의해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주입 유닛(1)의 상부 영역에 있어서, 카운터 플런저라고도 부르는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13)는, 가능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면(3), (5) 상에 이중 아치 구성(321), (323)을 가질 수 있는 구조체에 의해 잠겨지고 구속된다. 이 구조체는 모터 샤프트(23)의 축 A-A에 면하는 외호면(즉 볼록면)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이드(41)에 대해 중앙에 놓여지며, 이것은 상기 이중 아치 구조체(321), (323)에 의해 형성된 아치의 최고점에서 대략 인터록한다.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치 구조체는 하나일 수 있으며, 즉 아치(321)만 또는 아치(323)만 가진다.
표시된 예에서와 같이 2개의 아치(321), (323)가 있으면, 2개의 아치 (321), (323)는 핀(fin)(325)을 강고하게 함으로써 서로 유리하게 접합될 수 있다. 강고하게 한 리브 또는 핀(325)을 가진 아치 구성(321), (323)은, 주입단계시에 수압에 대한 반력에 의한 변형이 집중되는 영역에서, 상기 유닛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면(3), (5)의 재료를 농축시키는 물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아치(321), (323)에 의해 이들 응력은 크로스바(9) 및 (11)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치 또는 아치들(321), (323)은 물론, 각 면(3), (5)의 프레임워크 구조체도, 아치(321), (323)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면하는, 즉 최고점이 직선 가이드(41) 상의 대략 중심에 있고 그와 연동된, 그리고 단부를 주입 유닛의 베이스에 면하게 한 또 하나의 아치 요소(327)를 가진다. 아치(321), (323)의 단부가 크로스바(9), (11)의 레벨에서 적절하게 연동되면, 아치(327)의 단부가 각 가이드(41)와 대략 평행하게 뻗은 선형 에지 요소(329)와 연동되며, 이것은 상기 선형 요소(329)들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있다. 이들 선형 요소(329)는, 중앙 가이드(41)와 함께,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13)에 구속된 면(3) 또는 (5)의 블록, 및 샤프트(23)의 지지체가 구비된 영역(39)을 형성하는 재료의 코어를 연결하기 위하여 타이-로드를 형성한다. 이것은 주입 체임버에 생성된 높은 응력이 전달되는 초정적 폐쇄 구조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치 구조체(327)에 의해서 및 상기 재료가 모터 샤프트(23)의 축 A-A 근처에 집중되는 영역(39)에 의해서는 물론, 선형 요소(329)도 (31K)로 표시되는, 바람직하게는 아치 형상의 가능한 선형 요소에 의해 가이드(41)에 연결되어 있다. 요소(31K)는 바람직하게는 모터 샤프트(23)의 축 A-A에 면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선형 요소(329) 및 중앙 가이드(41)와 함께, 이들은, 상기 유닛이 식기세척기 내에 놓일 때, 물이 통과하는 개구부(33)를 형성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면(3), (5)에서 상부 선형 요소(329)는 선형 에지 요소(333)에 의해 크로스바(7C)에 연결되며, 하부 선형 요소(329)는 선형 요소(335)에 의해 하부 크로스바(7A)에 연결된다. 면(5) 상에서, 하부 선형 요소 (329)는, (329A)로 표시되는, 가이드(41)의 방향에 연장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형 연장부에 대해 일탈부(특히 도 2 참조)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주입 체임버에 압력수가 공급되는 커넥터(350)가 뻗어 있다.
상기한 구성은 주입 유닛의 전체 형태의 기능으로서도 변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면의 프레임워크 구조체는 작동 샤프트의 축을 둘러싸는 영역으로부터 2개의 면(3), (5)의 접합하는 크로스바(도면의 예에 있어서 7A, 7B, 및 7C)가 위치하는 구조체의 단부를 향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나사가 2면 사이의 상호 접속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들 크로스바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체는 축(23)을 둘러싸는 영역과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13)가 연동되는 영역 사이에, 상기 요소(41) 및 (329)에 의해 형성된 것들과 같은 타이-로드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정부(13)의 연동 영역에 있어서, 2면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및 주입 체임버의 부분 상의 응력이 작용하는, 주입 체임버의 개폐방향으로부터 크로스바를 향하여 응력을 전달하는 구조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이 의거한 개념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형태 및 배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용적인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표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개념은 다른 타입의 주입 유닛, 더 상세하게는, 성긴 분말 대신에, 프리-팩 캡슐 또는 커피 분말의 포드를 사용하는 주입 유닛에 적용될 수도 있다. 포드 또는 캡슐을 사용하는 이 타입의 주입 유닛은 시장에도 알려져 있어,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캡슐의 바닥 및 상면을 천공해서 한 쪽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고 다른 쪽으로부터 커피를 회수하는 천공기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그들은 여기 기재된 유닛에 대해 개념적 관점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참조 번호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해서 청구의 범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표시된 보호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0)

  1. 지지구조체;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가진 주입 체임버; 및 상기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체, 상기 주입 체임버 및 상기 기구는 복수의 운동학적 쌍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온 음료, 특히 커피를 제조하는 제거가능한 주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운동학적 쌍의 적어도 일부는 자기윤활성이 있으며,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윤활의 운동학적 쌍의 운동학적 요소 중의 한 쪽은 자기윤활재료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가진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윤활의 운동학적 쌍의 운동학적 요소 중의 다른 쪽은 자기윤활 충전재가 없는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에서 형성된 지지체에서 지지된,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를 작동하는 모트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샤프트는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를 지닌 자기윤활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샤프트는 피벗 암과 일체이며, 이 피벗 암은 상기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와 일체인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를 지니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가이드는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를 지닌 자기윤활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5.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체임버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구조체와 일체인 슬라이딩 가이드에 걸어맞추고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방향에 따라 뻗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의 각각과 상기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의 대응하는 슬라이더는 각각의 자기윤활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6.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유닛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에 대해 베이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베이스의 콘트롤 레버용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콘트롤 레버는 자기윤활 운동학적 쌍의 상이한 자기윤활성을 가진 운동학적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7.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세정과 상기 지지구조체의 개구부를 통한 상기 기구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한 쌍의 면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상기 주입 체임버와 상기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기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주입 체임버와 상기 개폐기구의 기계적 부하-베어링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구조체는 상기 면 내의 역선(force line)의 경향에 의해 형성된 경향에 따라 뻗는 선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구조체는 만곡된 선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회전 샤프트용 지지 시트를 가지고, 이것은 상기 프레임워크 구조체의 선형 요소에 의해 상기 지지구조체의 주변 에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체임버의 이동부용 가이드는 상기 지지 시트로부터 뻗고, 상기 가이드는 세정을 위해 그 연장부를 따라 관통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선형 프레임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지지구조체의 에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를 구속하는 시트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요소는 보다 큰 제 1 횡단 크기와 보다 작은 제 2 횡단 크기를 가진 연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보다 큰 횡단 크기는 상기 지지구조체에 수직하게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19. 제 7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자기윤활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자기윤활재료가 추가된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1. 제 8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복수의 크로스바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각 면은, 상기 주입 체임버의 부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작용된 응력을 상기 크로스바를 향해 전달하는, 프레임워크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형 요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면의 각각은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모터 샤프트용 지지체를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샤프트 지지체에 작용된 응력을 상기 각 면의 베이스를 향하여 전달하는 복수의 격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 요소를 포함하고, 이 아치 요소는 상기 각 면의 베이스를 따라 위치한 2개의 크로스바를 접합하고, 그 외호면에는 상기 모터 샤프트의 지지체에 가해진 힘의 적어도 일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각 면은 상기 면의 베이스를 따라 위치한 상기 2개의 크로스바를 접합하는 바닥 선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각 면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크로스바의 하나를, 상기 모터 샤프트의 지지체의 높이에 대해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상기 2면을 연결하는 다른 상부 크로스바에 접합하는 선형 에지 요소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아치 요소가, 상기 바닥 크로스바와 상기 상부 크로스바 사이의 중간 위치에, 상기 면의 베이스를 상기 선형 에지 요소에 연결하기 위하여 각 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각 면은 상기 모터 샤프트의 지지체를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상부 크로스바에 접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체를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상부 크로스바와 접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요소는 아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체를 둘러싸는 영역을 상기 상부 크로스바와 접합하는, 2개의 선형 및 바람직하게는 아치 형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1. 제 8 항 내지 제 31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에 근접해서, 상기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에 인접한 면들을 접합하는 한 쌍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에 인접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면의 각각의 아치 형상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 연결부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모터 샤프트의 축 에 면하는 외호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 연결부는 이중 아치 구조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아치 구조체는 2개의 대략 평행한 아치 요소를 상호 연결하는 핀(f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6. 제 32 항 내지 제 35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각 면에서 상기 아치 형상 연결부는, 대략 직선 요소에 의해, 상기 주입 체임버의 개폐기구의 모터 샤프트를 지지하는 영역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선 요소는 상기 아치 형상 연결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모터 샤프트의 축을 향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8.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선 요소는, 상기 주입 유닛의 내부에 면하는 면에, 상기 주입 체임버의 폐쇄이동을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선 요소는, 아치 구조체에 의해, 상기 대략 직선 요소와 대략 평행하게 뻗는 상기 각 면의 에지를 형성하는 선형 요소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구조체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고정부에 인접한 크로스바에 면하는 외호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1.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선 요소는, 이 대략 직선 요소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분포된, 복수의 보조 선형 요소에 의해, 상기 면의 에지를 형성하는 상기 선형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선형 요소는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선형 요소는 상기 모터 샤프트의 축에 면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4.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5.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자기윤활 운동학적 쌍을 형성하는 운동학적 요소 중의 하나는 몰리브덴, 흑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자기윤활 충전재를 함유하는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6.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립 실이 상기 주입 체임버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7.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가진 주입 체임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구조체, 및 상기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온 음 료, 특히 커피를 제조하는 제거가능한 주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주입 체임버의 세정 및 상기 지지구조체의 상기 개구부를 통한 상기 기구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한 쌍의 면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는 상기 주입 체임버와 상기 주입 체임버를 개폐하는 기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2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유닛.
  50.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의한 제거가능한 주입 유닛을 포함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기계.
KR1020097014932A 2006-12-19 2007-12-11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 KR20090097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331A ITFI20060331A1 (it) 2006-12-19 2006-12-19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caffe' con struttura aperta per il lavaggio in lavastoviglie.
ITFI2006A000331 2006-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940A true KR20090097940A (ko) 2009-09-16

Family

ID=3819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932A KR20090097940A (ko) 2006-12-19 2007-12-11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408489B2 (ko)
EP (1) EP2094134B1 (ko)
JP (1) JP5329426B2 (ko)
KR (1) KR20090097940A (ko)
CN (1) CN101621947B (ko)
AU (1) AU2007334930B2 (ko)
BR (1) BRPI0721281B1 (ko)
ES (1) ES2425064T3 (ko)
IT (1) ITFI20060331A1 (ko)
MX (1) MX2009006503A (ko)
RU (1) RU2463942C2 (ko)
TW (1) TW200840532A (ko)
WO (1) WO2008074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90256A1 (it) 2009-12-11 2011-06-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di dosaggio di caffe' macinato e macchin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DE102010003637A1 (de) * 2010-04-01 2011-10-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rühkopf einer Heißgetränkezubereitungseinrichtung, Zubereitungseinrichtung mit einem Brühkopf und Betätigungsverfahren dafür
CN101889823B (zh) * 2010-07-15 2012-11-07 美的集团有限公司 胶囊酿造机构及具有该酿造机构的胶囊咖啡机
US10080459B2 (en) *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34570B2 (en) *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N103735169A (zh) * 2012-10-17 2014-04-23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冲泡装置
ES1107809Y (es) * 2014-04-03 2014-07-16 Jofemar Sa Grupo erogador para maquina dispensadora de cafe o te
EP3053490B1 (en) 2015-02-04 2017-09-06 Tuttoespresso S.r.l. Brewing unit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DE102015224861B4 (de) * 2015-12-10 2018-09-13 Alexander Seng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spressomaschinen
DE102021006394A1 (de) 2021-12-29 2023-06-29 Eugster/Frismag Ag Entnehmbare Brüheinheit mit integrierter Drainagebaugrupp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478A (en) * 1966-04-22 1968-02-20 Vendo Co Single cup, dry waste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mechanism
US3552976A (en) * 1966-11-03 1971-01-05 Vendking Ltd Method of brewing single cup quantities of beverage
GB1164760A (en) * 1968-04-22 1969-09-24 Alan Macleod King Coffee Brewing Machine
DE3407030C1 (de) * 1984-02-27 1991-01-03 Gesamat AG, Ballwil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Heissgetraenken
ATE118678T1 (de) * 1992-03-02 1995-03-15 Jura Elektroapparate Ag Brü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kaffeemaschine.
JPH07289436A (ja) * 1993-09-01 1995-11-07 Zuma Coffee Technol Inc コーヒーをいれ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353692A (en) * 1993-09-29 1994-10-11 Unidynamics Corporation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IT1265432B1 (it) * 1993-12-23 1996-11-22 Polti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mediante infusione.
CH692444A5 (de) * 1998-01-26 2002-06-28 Fianara Int Bv Kaffeemaschine.
DE50010205D1 (de) * 1999-04-23 2005-06-09 Fianara Int Bv Einrichtung zum Zuführen von abgepackten Portionen gemahlenen Kaffees in eine Brüheinheit
US6499388B2 (en) * 2000-06-14 2002-12-31 Fianara Interational B. V. Coffee machine for brewing coffee power pre-packed in a cartridge
CZ20012835A3 (cs) * 2000-08-30 2002-04-17 Fianara International B. V. Kávovar k vaření kávového práąku předbaleného v zásobníku
ITMI20012262A1 (it) 2001-10-26 2003-04-26 Omnimatic S P A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 il gruppo di erogazione infusi,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per caffe' espresso
CN2735901Y (zh) * 2004-10-29 2005-10-26 夏国洋 粉状、碎状食物快速冲泡装置
ITFI20070267A1 (it) * 2007-11-28 2009-05-29 Saeco Ipr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onfezioni monodos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7832A (ru) 2011-02-20
BRPI0721281A2 (pt) 2014-04-08
US9408489B2 (en) 2016-08-09
WO2008074421A1 (en) 2008-06-26
JP2010512870A (ja) 2010-04-30
ITFI20060331A1 (it) 2008-06-20
EP2094134B1 (en) 2013-05-22
EP2094134A1 (en) 2009-09-02
TW200840532A (en) 2008-10-16
ES2425064T3 (es) 2013-10-11
BRPI0721281B1 (pt) 2018-09-25
AU2007334930A1 (en) 2008-06-26
CN101621947B (zh) 2012-06-27
RU2463942C2 (ru) 2012-10-20
MX2009006503A (es) 2009-07-15
CN101621947A (zh) 2010-01-06
US20100064897A1 (en) 2010-03-18
AU2007334930B2 (en) 2013-12-05
JP5329426B2 (ja)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7940A (ko)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정에 적합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유닛
RU2579939C2 (ru) Заварочный узел и машин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ов, содержащая упомянутый узел
CN104812276B (zh) 冲泡装置和用于操作冲泡装置的方法
CA1095471A (en) Coffee making assembly
US10368683B2 (en)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products via capsules and method of assembly
US20080264266A1 (en) Infusion Unit for Infusion Preparation, Infusion Machine, Device for Ejection of Exhausted Infusion Powd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230583B1 (ko) 만두 성형장치
ITTO20011103A1 (it) Dispositivo dispensatore,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lavastoviglie.
AU6438400A (en) Toothbrush with eccentric drive
KR200477882Y1 (ko) 전동칫솔
CN110022747A (zh) 清洁器和用于运行清洁器的方法
KR20100064716A (ko)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
KR100548739B1 (ko) 자동 제과기
CN205756887U (zh) 食品加工用油炸装置
CN213074350U (zh) 一种方便清洗的煮浆桶
JP2005521598A (ja) チューブ充填機における投与装置
JPH0418387Y2 (ko)
ZA200200902B (en) Toothbrush with accentric drive.
TWI312821B (ko)
JP2022002629A (ja) 押し洗い式洗濯機
FR3110066A1 (fr) Machine de préparation de boissons équipée d’une tête de distribution de fluide mobile en trans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