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344A -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344A
KR20090096344A KR1020090018922A KR20090018922A KR20090096344A KR 20090096344 A KR20090096344 A KR 20090096344A KR 1020090018922 A KR1020090018922 A KR 1020090018922A KR 20090018922 A KR20090018922 A KR 20090018922A KR 20090096344 A KR20090096344 A KR 2009009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tank
water
conveyanc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나스 쉬게오
Original Assignee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58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314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5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6957B1/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filed Critical 다이토 도보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9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0Rake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급 후의 모래를 그대로 연속적으로 탈수 처리에 제공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분급부(100)와, 상기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300)와, 상기 분급부로부터 이송된 모래를 상기 탈수부로 반송하는 반송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분급부와 반송부와 탈수부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고 이 순서로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SAND CLASSIFYING-CONVEYING-DEHYDRATING DEVICE}
본 발명은,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 중에서 탈수된 모래를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과 모래의 혼합물 중에서 모래만을 일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 같은 분급기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분급기는, 스파이럴 날개(spiral blade)를 회전시킬 때 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날개의 회전에 수반하여 침강 탱크(tank)내의 수면이 크게 변동하여 침강 탱크로부터 모래를 포함한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 해 버리고, 모래의 회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스파이럴 날개의 회전 속도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하여 약간 개선되는 것이 있지만, 회전 속도를 낮게 한다면 처리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분급기는, 스파이럴 날개가 리본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수중에 확산한 모래의 대부분이 스파이럴 날개의 중심공을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흘려버리고, 이것도 모래의 회수 효율 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으로 되고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스크류 날개에 수절 구멍을 설치한 스크류 컨베이어로 된, 퇴적 모래 등의 반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에 의하면, 작은 물배출공을 통해서만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스크루 회전 시에 있어서 물의 저항을 크게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가령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스크류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분급기에 적용했다고 하여도 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침강 탱크로부터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처리 효율의 저하의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은 특원2008-58590호에 있어서 신규 스파이럴 스크류 분급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 본원 출원인이 제안하고 있는 스파이럴 스크류 분급기는, 상기하는 것 같은 종래의 분급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점에서 상당히 우수한 장치이다.
그런데, 분급기에 의하여 분급된 후의 모래는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 처리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장치를 포함하여 종래의 분급기는, 분급 후의 모래를 분급기로부터 일단 취출하여 별도로 설치된 탈수 장치로 이송하고 탈수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상당히 나빴다. 게다가, 분급기와, 탈수 장치와, 분급기로부터 탈수 장치로 모래를 반송한 반송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공평 4-1723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개소 60-634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급 후의 모래를 그대로 연속적으로 탈수 처리에 제공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분급부와, 상기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와, 상기 분급부로부터 이송된 모래를 상기 탈수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급부, 반송부, 탈수부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분급부는,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된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 상기 수용조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된 회전 가능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설치된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 날개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중심공과, 피처리물과 접하는 면에 상기 중심공보다도 직경이 작은 다수의 소공을 갖고 있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유공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 1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유공판의 설치 피치가, 상기 스크류 날개의 설치 피치와 비교하여 크고, 상기 유공판의 직경이, 상기 중심공의 직경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암으로 된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각 지지부재의 복수개의 암 선단부는 링모양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링모양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크류 날개의 서로 이웃한 날개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유공판은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기 복수개의 암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분급부의 수용조와 연속하는 저면을 갖는 반송조와, 상기 반송조 내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모래를 하류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조의 저면은 하류방향으로 향하고 하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회전체는 피처리물의 반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 상기 회전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 날개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반송조의 저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따르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각각 고정된 날개 설치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날개 설치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나란한 날개 설치프레임끼리 원호상의 만곡된 띠모양 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상기 탈수부는, 상기 반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반송부에서 반송되어 온 모래를 퍼올리는 복수의 버킷과, 상기 복수의 버킷 내에 퍼올려진 모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탈수기구는, 상기 버킷의 저부로부터 상방에 설치되어 퍼올려진 모래의 물기를 없애는 물배출망과, 상기 버킷에 부설되고 상기 물배출망을 통과하여 상기 버킷 저부에 저장한 수분을 받아들이는 배수탱크와, 상기 배수탱크 내를 부압으로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 구항 5 기재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분급부와,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와, 분급부로부터 이송된 모래를 탈수부로 반송하는 반송부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이 순서대로 일체로 연속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분급으로부터 탈수까지의 처리 공정을 1개의 장치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종래와 비교하여 처리 효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종래 제각기 설치되어 있던 분급장치, 반송장치, 탈수 장치를 1대의 장치로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스크류 날개가 피처리물과 접한 면에 형성된 다수의 소공(小孔)과, 중심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중심공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하여, 스크류 날개의 회전 시에, 소공과 중심공 양쪽에서 물이 흘러나가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대폭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수용조 내의 수면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수용조에서 모래를 포함한 물이 오버플로우 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래의 회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빨리 하거나, 날개의 외경을 크게 하거나 할 수 있고, 처리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중심축의 외주면에,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유공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중심공을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배출되는 수중에 포함된 모래를 유공판에서 포착하고 한번 더 상류로 이송할 수 있고, 모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물은, 유공판의 구멍을 통과하여 흘러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선상의 스크류 날개와 중심축에 직각한 유공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해도 흘러나갈 수 있기 때문에, 유공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물의 저항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즉, 물의 저항을 낮게 억제하면서, 모래의 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유공판의 설치 피치가, 스크류 날개의 설치 피치와 비교하여 큰 것에 의하여, 스크류 날개의 중심공을 통과한 물의 흐름이 유공판에 의하여 억제되는 현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모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공판의 직경이 스크루 날개의 중심공의 직경 이하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스크류를 분단하지 않고 유공판을 설치할 수 있고, 스크류에 의한 모래의 이송이 유공판의 존재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이 없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스크류 날개를 암, 링모양부재, 연결부재로 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유공판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유공판을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유공판을 설치한 것에 의한 물의 저항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공판이 암(arm)간에 걸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 공판을 확실히 그리고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반송조의 저면이 하류방향으로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또한 반송조 내에 회전 동작에 의하여 모래를 하류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한 회전체를 갖고 있는 것에 의하여, 분급부로부터 이송된 모래에 대하여, 중력의 작용과 교반 날개의 교반 작용을 협동하여 작용시킬 수 있으며, 모래를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탈수부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체가, 피처리물의 반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 날개의 회전방향이 분급부의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직각으로 된다. 그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축과 분급부의 회전축을 동기시키지 않아도 원활한 흐름을 얻을 수 있고, 모래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반송부의 공간을 작게 하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교반 날개가, 회전축의 주위에서 상기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급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흐름을, 교반 날개의 연속 설치방향(길이방향)의 면으로 받아 더욱 하류측으로 보내는 것을 할 수 있고, 우수한 반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축과 교반 날개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회전체의 회전 시에 물을 상기 공간을 통하여 흘러 나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항이 상당히 작게 억제되어, 모래만을 효율 좋게 탈수부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교반 날개가,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 있어, 반송조의 저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하여, 교반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반송조의 저면에 침전된 모래에 대하여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추진력을 효율 좋게 주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모래를 상당히 효율 좋게 반송한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교반 날개가 날개 설치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에 있어 나란히 하는 날개 설치프레임끼리가, 원호상의 만곡된 띠모양 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시에 있어 교반 날개가 물의 저항이나 원심력에 의하여 치우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회전체를 고속 회전할 수 있으며,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탈수부에 있어, 버킷에 건져 올려진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물배출망과 흡인장치의 2단계로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효율 좋게 탈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가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우측면도, 도 4 는 도 1 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5 는 도 1 의 B-B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6 의 (a)는 도 1 의 C-C 화살표에서 본 도면, (b)는 (a)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6 의 (b)에서 탱크는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로부터 모래를 회수하고 탈수하기 위한 장치이고, 피처리물 중의 모래를 상류측(UPSTREAM)에서 하류측(DOWNSTREAM)으로 이송하는 분급부(100)와,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300)와, 분급부(100)로부터 이송된 모래를 탈수부(300)로 반송하는 반송부(200)를 포함한다.
분급부(100)와 반송부(200)와 탈수부(300)는, 피처리물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이 순서로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즉, 분급부(100)와 반송부(200)와 탈수부(300)가 일체로 1개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피처리물이 분급부(100)로부터 반송부(200)를 거치고 탈수부(300)로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분급부(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분급부(100)는,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이 수용된 수용조(1)와, 수용조(1)의 내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크류를 구비한다.
스파이럴 스크류는, 수용조(1)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된 회전 가능한 중심축(2)과, 중심축(2)의 외주면에 따라 나선상에 설치된 스크류 날개(3)를 구비한다.
수용조(1)는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직사각형 모양의 탱크이고, 저면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전후의 측벽(4)은, 상방으로 향하여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 어 있다. 그리고 측벽(4)의 상단부의 높이는, 중심축(2)의 축심보다도 약간 낮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수용조(1)는, 피처리물을 탱크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5)와,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6)를 구비한다.
공급구(5)는, 수용조(1)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의 부근 위치에서, 일측 측벽(4)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며,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공급구(5)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은, 수용조(1)의 측벽(4)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과하고 수용조(1)의 저부 부근에 공급된다.
배수구(6)는, 수용조(1)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고, 측벽(4)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조(1)의 스파이럴 스크류가 설치된 부분(풀(pool))으로부터 오버플로우 하는 물은, 배수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스파이럴 스크류의 중심축(2)은, 수용조의 타단측(1)에 배치된 모터(7)와 풀리(pulley)나 벨트 등의 공지인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고, 모터(7)의 구동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모터(7)는 인버터 모터이고, 중심축(2)이 받는 부하에 따라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루 날개(3)의 회전 시에, 받는 물의 부하가 클 때에는 회전 속도를 내리고, 부하가 작을 때에는 회전 속도를 올리는 것을 할 수 있고, 처리 효율 및 회수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크류 날개(3)는, 중심축(2)의 회전에 수반하여, 수용조의 타단측(하류측)(1)으로부터 일단측(상류측)을 (배수구(6)측에서 공급구(5)측을) 향하여 피처리물 중에 포함된 모래를 이송할 수 있도록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날개(3)는, 중심축(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한 폭을 지닌 띠모양 판으로 되어 있으며, 중심축(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중심공(8)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중심공(8)은, 스크류의 회전 시에, 중심축(2) 주변에 존재하는 물이 하류측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피처리물 중에 포함된 모래의 대부분은 수용조(1)의 저부 부근에 침강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공(8)을 통하여 하류측으로 유동하는 물은 거의 모래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중심공(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모래의 회수 효율을 거의 저하시키는 일 없이, 물의 저항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심공(8)의 직경은, 너무 작으면 물을 배출하는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너무 크면 모래 이송 효율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적당한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면 스크류 날개(3)의 직경의 50 ~ 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날개(3)의 피처리물과 접하는 면(중심축(2)과 거의 직각 면)에는,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에 걸쳐 다수의 소공(9, 小孔)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소공(9)은, 스크류의 회전 시에, 스크류 날개(3)에 접촉하는 피처리물 중에 포함된 물을 하류측으로 배출하여,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중심공(8)은, 모래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은 중심축 부근의 물이 배출되도록 구비된 것임에 반하여, 소공(9)은 모래가 퇴적하고 있는 수용조 저면에 가까운 부분의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소공(9)은 모래가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중심공(8)보다 작은 직경(예를 들면 1/10~1/15)으로 형성된다.
또한, 피처리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성분은, 물과 함께 소공(9)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소정 입경 이상의 모래만을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소공(9)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소공(9)의 크기는, 제품으로서 회수해야 할 모래의 입경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수해야 할 모래가 입경 1.5mm 이하의 미세 모래인 경우에는, 직경 10mm로 설정된다. 이 경우, 중심공(8)의 직경은 1,500mm 정도로 설정된다.
상기한 것처럼, 스크류 날개(3)에는, 중심축(2)의 주위에 설치된 직경이 큰 중심공(8)과, 중심축(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소공(9)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위치 및 크기가 다른 2종류의 구멍을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모래의 이송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물의 저항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상반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한 것이 가능해졌다.
스크류 날개(3)의 후면측(하류측)에는,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0)가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브(10)는, 스크류 날개(3)를 보강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크류 날개(3)의 회전에 수반하여 수용조(1)의 저면에 퇴적된 모래의 덩어리를 분쇄하여, 이송이 원활히 수행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리브(10)를 스크류 날개(3)의 표면측(상류측)에 설치하면, 스크류 날개의 표면에 따라 이송된 모래의 움직임이 리브에 의하여 방해되지만, 후면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송이 방해되지 않고 분쇄 작용만이 발휘되어, 모래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게 된다.
리브(10)의 회전 방향 전방측에는, 소공(9)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무공부(11, 無孔部)가 약간의 폭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무공부(11)가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리브(10)의 회전 방향 전방측에는 소공(9)을 통과한 물의 흐름이 약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리브에 의한 분쇄 작용이 물의 흐름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이 없다.
스크류 날개(3)의 설치 피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수용조(1)의 피처리물의 공급구(5) 부근(이송 방향 상류측)에서, 다른 부분(이송 방향 하류측)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구 부근의 피치는 다른 부분의 피치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구 부근에서는 250mm 피치, 다른 부분에서는 500mm 피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 날개(3)의 설치 피치가, 수용조(1)의 공급구 부근에서,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공급구에서 공급된 피처리물 중 에 포함된 모래를, 좁은 피치로 설치된 날개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되며, 그 밖의 부분에서 날개가 넓은 피치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물의 저항이 작게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래의 이송 효율 향상과 물의 저항 절감이라고 하는 상반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심축(2)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이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암으로 된 지지부재(12)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암의 집합체를 지지부재(12)라 칭한다.
지지부재(12)는, 중심축(2)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제공된다. 그리고, 각 지지부재(12)에서 복수개의 암 선단부는 링모양부재(13)에 의하여 연결된다(도 5 참조).
각 지지부재(12)의 암을 연결하고 있는 링모양부재(13)끼리는, 중심축(2)의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4)에 의하여 연결된다. 연결부재(14)는, 각 암의 선단 부분에서 링모양부재(13)끼리를 연결하며, 따라서 연결부재(14)의 개수와 암의 개수는 같은 개수(도시된 예에서 12개)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14)는, 중심축(2)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중심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링모양부재(13)끼리를 연결하면서도 스크류 날개(3)끼리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류 날개(3)는, 연결부재(14), 링모양부재(13), 지지부재(12)를 이용하여 중심축(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중심축(2)의 외주면에는, 그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동시에 그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유공판(15)이 마련되어 있다.
유공판(15)은, 전체로서 링 형상을 하고 있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복수개의 암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유공판(15)은 암과 암의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공판(15)이 확실 또한 강고하게 고정되어, 구동 시에 피처리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유공판(15)이 스크류 날개(3)를 중심축(2)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12)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유공판(15)을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유공판(1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물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공판(15)의 구멍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유공판(15)의 구멍 지름은, 스크류 날개(3)에 형성된 소공(9)과 동일한 지름, 예를 들면 직경 10mm로 설정된다.
유공판(15)은, 중심공(8)을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유동하는 물 속에 포함된 모래를 포착하고, 포착된 모래를 스크류 날개(3)의 회전에 의하여 다시 상류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의해 모래의 회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공판(15)의 구멍을 통해 물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공판(15)의 설치에 의하여 물의 저항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의 저항을 낮게 억제하면서, 모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크류 날개(3)가 중심축(2)에 대하여 경사짐에 반하여, 유공판(15)은 중심축(2)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심공(8)과 유공판(15)의 사이에는 반드시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간극을 이용하여 물이 흘러나가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또한 유공판(15)을 설치한 것에 의한 물의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유공판(15)의 설치 피치(지지부재(12)의 설치 피치와 동일함)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 날개(3)의 설치 피치와 비교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스크류 날개(3)의 공급구 부근에서의 피치의 약 5~6배, 다른 부분에서의 피치의 약 3~4배에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크류 날개(3)의 공급구 부근의 피치가 250mm, 다른 부분에서의 피치가 500mm 일 때, 유공판(15)의 피치는 150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공판(15)의 설치 피치가 스크류 날개(3)의 설치 피치와 비교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스크류 날개(3)의 중심공(8)을 통과한 물의 흐름이 유공판(15)에 의하여 저해되는 현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모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공판(15)의 직경은, 중심공(8)의 직경 이하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유공판(15)의 설치 위치에서 스크류가 분단되는 일이 없고, 스크류의 회전에 수반한 모래의 이송이 유공판(15)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된 예에서, 유공판(15)의 직경은, 링모양부재(13)의 폭 부분만큼 중심공(8)의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급부(100)는,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모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각각이 단독으로 작용한 것은 아니고, 스크류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승적으로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반송부(2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반송부(200)는, 분급부(100)의 수용조(1)와 연속한 저면을 갖는 반송조(21)와, 반송조(21) 내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모래를 하류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전체(22)를 갖고 있다.
반송조(21)의 저면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방향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그 바닥면의 높이는, 상류단에서는 분급부(100)의 수용조(1)의 바닥면과 일치하고, 하류단에서는 탈수부(300)의 탈수조(31)의 저면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반송조(21) 저면의 경사는, 분급부(100)부터 이송되어 온 모래를,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탈수부(300)로 보내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교반 날개(24)의 작용과 협동하여 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모래를 상당히 효율적으로 그 리고 확실하게 탈수부(300)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6 에 근거하여, 회전체(22)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체(22)는, 피처리물의 반송방향과 직각방향(반송조(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3)과, 회전축(23)의 주위로 설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24)를 구비한다.
교반 날개(24)는, L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앵글 부재로 되어 있으며, 회전축(23)의 주위에서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반송조(21)의 저면 폭의 거의 전장에 걸쳐 연속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8개)의 지지부재(25)의 선단에, 날개 설치프레임(27)을 이용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23)의 길이방향 중앙에 지지부재(25)가 장착되고, 회전축(23)의 길이방향 양단에 보조지지부재(26)가 장착되며, 이들 지지부재(25) 및 보조지지부재(26)를 연결하는 직선 봉 형태의 날개 설치프레임(2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날개 설치프레임(27)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반 날개(24)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체(22)는, 도 2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반송조(21)의 저면 부근에서 상류측(분급부측)으로부터 하류측(탈수부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낸다.
분급부(100)부터 이송되어 온 모래는, 그 자체 무게에 의하여 반송조(21) 저면을 향하여 침강하며, 회전체(22)에 의하여 저면 부근에 만들어진 물의 흐름에 의 하여 효과적으로 탈수부(300)로 보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조(21)의 저면이 하류방향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과 중력의 작용이 협동하여 작용하는 것에 의해, 탈수부(300)로의 모래의 반송이 상당히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회전축(23)과 교반 날개(24)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23)과 교반 날개(24)가 장착된 날개 설치프레임(27)의 사이에는 공간(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간(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회전체(22)의 회전시, 물이 이 공간(28)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물의 저항이 상당히 작게 억제되며, 따라서 모래만을 효율적으로 탈수부(300)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교반 날개(24)는, 회전축(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반송조(21)의 저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반송조(21)의 저면이 회전축(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직선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 날개(24)의 동일한 방향에서의 형상도 직선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도 6 에서 선(L1)과 선(L2)은 서로 평행하다.
이것에 의해, 교반 날개(24)의 회전시,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흐름에 의한 추진력을, 반송조(21)의 저면에 침전된 모래에 대해 골고루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모래를 상당히 효율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체(22) 및 반송조(21)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7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 은 회전체(22) 및 반송조(21)의 형상 변경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 의 (a)는 도 1 의 C-C 화살표를 따라 보는 것에 대응하며, 도 7 의 (b)는 (a)의 A-A 화살표를 따라 본 것이다.
상기의 변경된 예에 있어서도, 교반 날개(24)는, 회전축(23)의 주위에서,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반 날개(24)는, 회전축(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반송조(21)의 저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반 날개(24)는, 회전축(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회전축(2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凸)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조(21)의 저면은, 회전축(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하방으로 볼록(凸)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경 예에 있어서도, 교반 날개(24)의 회전시, 회전에 의해 생기는 물의 흐름에 의한 추진력이 반송조(21)의 저면에 침전된 모래에 대하여 골고루 균일하게 작용되며, 모래를 상당히 효율적으로 반송한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변경 예에서, 회전축(23)과 교반 날개(24)의 사이에 보다 큰 공간(28)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회전체(22)에 있어서,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날개 설치프레임(27)끼리는, 원호상의 만곡된 띠 모양 판(2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띠모양 판(29)은 전체로서,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5)의 선단에 설치된 날개 설치프레임(27)이 띠 모양 판(29)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회전 시에 교반 날개(24)가 물의 저항이나 원심력에 의하여 진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회전체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교반 날개(24)가 장착된 회전축(23)의 회전 방향은, 분급부(100)의 회전축(2)의 회전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양 회전축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회전면이 서로 평행한) 경우, 양 회전축의 회전을 동기화 시키지 않는다면 원활한 흐름을 형성할 수 없지만, 양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하는 것(회전면이 서로 직각)에 의해, 동기시키지 않아도 원활한 흐름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축(23)의 회전 속도를 회전축(2)과 무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래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송부(200)를 위한 공간을 작게 하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 날개(24)가, 회전축(23)의 주위에서 상기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교반 날개(24)의 연속 설치 방향(길이방향)의 표면에서 분급부(100)로부터 이송되어 온 유동을 받아 탈수부(3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우수한 반송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탈수부(3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탈수부(300)는, 반송부(200)의 반송조(21)와 연속한 저면을 갖는 탈수조(31)와, 탈수조(31) 내에 설치되어 반송부(200)로부터 반송되어 온 모래를 퍼올리는 복 수의 버킷(32)과, 복수의 버킷(32) 내에 퍼올려진 모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탈수기구는 도 1 및 도 2 에서 생략되어 있다.
복수의 버킷(32)은, 반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도시 예로는 8개)의 암(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탈수부(3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탈수조(31)의 상부에는 회전통(35)이 지지되어 있고, 회전통(35)은 후부에 배치된 모터(36)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3)에 고정되어 회전한다.
회전통(35)의 축방향 중앙에는 디스크 형상의 설치체(38)가 고정되며, 상기 설치체(38)에 부착된 반경 방향의 복수개의 암(34)을 이용하여 배수탱크(39)가 상기 각 암의 선단에 연결되며, 배수탱크(39)의 전면에는 버킷(3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배수탱크(39)는 암(34)의 선단측의 후방부에 고정되고, 배수탱크(39)의 선단측의 전방부는 버킷(32)의 하부에 고정되며, 버킷(32)을 측면에서 관찰하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버킷(32)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는 물배출망(41)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어 있다. 물배출망(41)의 상부는 침전된 모래(침전물)의 저장부이며, 물배출망(41)의 하부는 배출 및 분리된 물의 낙하부이다.
또한, 버킷(32)의 선단 형상은 퍼내기 쉽도록 경사져 있다.
배수탱크(39)는, 후방부 하단에 버킷(32)의 물배출망 하부의 배출구(42)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수공(40)을 구비하며, 물배출망(41)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을 받아 배수공(40)으로부터 탈수조(21)로 되돌리어 배수한다. 또한, 배수탱크(39)는, 물배출망(41)을 통과하여 분리된 물의 통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약간 아래로 경사진 상태로 버킷(32)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43의 부재는 배수공(40)의 뚜껑 개폐 부재이고, 암(34)의 돌출축(341)에는 시소 부재(44)가 장착된다. 시소 부재(44)의 일단에는, 배수탱크의 배수공(40)을 막는 고무재의 덮개(45)가 제공되며, 시소 부재(44)의 타단에는 덮개(45)보다 무거운 추(46)가 장착된다.
흡인장치(47)는, 각각의 버킷(32)이 거의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상방향으로 회전 변위하는 동안 배수탱크(39) 내를 흡인한다.
즉, 진공 흡인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블로어(48)의 흡인측에 접속하는 흡인관(49)을, 회전축(33)을 수용하는 고정통(50)에 연결하고, 이것에 의해 고정통(50)에 고정된 부동의 흡인판(51)의 도통구(52)를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도통구(52)는, 흡인판(51) 내부에서 거의 수평상태 위치에서 수직상태위치까지 도려내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전단면은 개구된다.
회전통(35)의 후방단에는 제어판(53)이 고정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동일 간격의 통공(54)이 제어판(53)을 관통하며 흡인판(51)과 접면하고 있다.
흡인호스(55)는, 제어판(53)의 전면에서 각각의 통공(54)에 연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배수탱크(39)의 후단부에 개구 접속되어 있다.
도면부호 56의 부재는 탈수부(3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배송 슈트(drain chute )이고, 상승 및 반전하는 버킷(3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하, 탈수부(300)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송부(200)의 반송조(21)로부터 탈수조(31)로 모래가 반송되어 오면, 모래(S)가 탈수조(31)의 저부에 침전된다.
뒤이어, 모터(36)의 구동으로 회전통(35)이 천천히 회전하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킷(32)이 저부에 침강한 모래(S)를 떠내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물은 물배출망(41)을 통하여 떨어지고 배수탱크(39)의 배수공(40)으로부터 배수된다. 이 때, 추(46)의 하강에 의하여 덮개(45)가 배수공(40)을 막으려고 하지만, 무거운 배수압에 의하여 덮개(45)가 열리고 배수된다.
여기에서, 블로어(blower)(48)의 작동에 의하여 흡인관(49)에 연결된 흡인판(51)의 도통구(52)가 평상시 진공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버킷(32)이 거의 수평 위치에서 상방으로 도 3 에 도시된 화살표의 범위(L)의 회전 변위 범위 내에서, 흡인호스(55)에 의하여 제어판(53)의 통공(54)이 도통구(52)와 연통된다. 즉, 흡인판(51)에 접면하면서 제어판(53)이 회전통(35)과 일체로 회전하고 통공(54)이 도통구(52)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배수탱크(39) 내부가 흡인되어 배수탱크(39)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버킷(32) 내의 모래(S)의 사이를 외부 공기가 통과하고, 모래(S) 사이에 잔류한 물이 제거되며, 배수탱크(39)로 물이 도통되고, 모래(S)가 강제로 탈수된다.
이때,흡인 작용 범위인 도 3 에 도시된 화살표 범위(L)의 회전 변위 범위 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가 감소된 것에 기인한 배수압 저하에 대항하여, 추(46)의 중력에 의해 덮개(45)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또한 흡인력에 의하여 강하게 덮개(45)가 배수탱크(39)의 배수공(40)을 폐색한 것에 의해, 외기 유입이 없고, 양호한 흡인 탈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인에 의하여 탈수된 분리된 물은 배수탱크(39)내에 모인다.
진공 흡인에 의한 강제 탈수가 종료되고 버킷(32)이 반전을 시작하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S)가 배송슈트(56)에 낙하하고, 이 때, 배수탱크(39)내에 남은 물은, 배수공(40)이 덮개(45)로 막혀 있기 때문에 탈수조(21)로 떨어지지 않지만, 반대로 수압으로 덮개(45)가 열려 낙하해도 좋으며, 물은 배송슈트(56)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 의하면,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이 분급부(100)에 공급되고, 분급부(100)의 작용으로 의하여 일정 입경 이상의 모래가 반송부(200)로 이송된 후, 반송부(200)의 작용에 의하여 탈수부(300)로 반송되어, 마지막으로 탈수부(300)의 작용에 의하여 탈수되고 회수된다.
따라서, 1대의 장치로 분급에서 탈수까지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분급장치와 탈수 장치가 각각이었던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작업 효율을 약 2~3배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는, 물과 모래의 혼합물 중에서 모래만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도 1의 B-B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은 (a)는 도 1의 C-C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고, (b)는 (a)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회전체 및 반송조의 형상 변경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도 1의 C-C 화살표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고, (b)는 (a)의 A-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은 탈수부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9 는 탈수부의 버킷 및 배수탱크 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 은 탈수부의 흡인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 은 탈수부의 뚜껑 개폐 수단부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2 는 버킷이 탈수조에 들어가기 직전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3 은 버킷이 모래를 떠내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4 는 버킷이 탈수조의 수면으로부터 나갔던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5 는 진공 흡인에 의하여 강제 탈수하고 있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 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분급부 200 : 반송부
300 : 탈수부 1 : 수용조
2 : 중심축 3 : 스크류 날개
7 : 인버터 모터 8 : 중심공
9 : 소공 12 : 지지부재
13 : 링모양부재 14 : 연결부재
15 : 유공판 21 : 반송조
22 : 회전체 23 : 회전축
24 : 교반 날개 32 : 버킷
33 : 회전축 34 : 암
39 : 배수탱크 41 : 물배출망

Claims (9)

  1. 물과 모래의 혼합물로 된 피처리물 중에서 모래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피처리물 속에서 모래를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분급부와,
    상기 모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와,
    상기 분급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모래를 상기 탈수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급부, 반송부 및 탈수부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부는,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에, 상기 수용조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된 회전 가능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설치된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크류 날개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중심공과, 피처리물과 접하는 면에 상기 중심공보다도 직경이 작은 다수의 소공을 갖고 있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 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유공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의 설치 피치가, 상기 스크류 날개의 설치 피치와 비교하여 크고,
    상기 유공판의 직경이, 상기 중심공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암으로 된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각 지지부재의 복수개의 암 선단부는 링모양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링모양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크류 날개의 서로 인접한 날개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유공판은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기 복수개의 암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분급부의 수용조와 연속한 저면을 갖는 반송조와, 상기 반송조 내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모래를 하류방향으로 반송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조의 저면은 하류방향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회전체는 피처리물의 반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상기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 날개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반송조의 저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따르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각각 고정된 날개 설치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날개 설치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나란한 날개 설치프레임끼리 원호상의 만곡된 띠모양 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반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반송부에서 반송되어 온 모래를 퍼올리는 복수의 버킷과,
    상기 복수의 버킷 내에 퍼올려진 모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탈수기구는 상기 버킷의 저부로부터 상방에 설치되어 퍼올려진 모래의 물기를 없애는 물배출망과, 상기 버킷에 부설되고 상기 물배출망을 통과하여 상기 버킷 저부에 저장된 수분을 받아들이는 배수탱크와, 상기 배수탱크 내를 부압으로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KR1020090018922A 2008-03-07 2009-03-05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KR20090096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8590A JP4183143B1 (ja) 2008-03-07 2008-03-07 スパイラルスクリュー分級機
JPJP-P-2008-058590 2008-03-07
JPJP-P-2008-265649 2008-10-14
JP2008265649A JP4386957B1 (ja) 2008-10-14 2008-10-14 砂分級搬送脱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344A true KR20090096344A (ko) 2009-09-10

Family

ID=4093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22A KR20090096344A (ko) 2008-03-07 2009-03-05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36279A1 (ko)
KR (1) KR20090096344A (ko)
DE (1) DE102009012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8376A4 (en) * 2008-03-17 2011-05-11 Daniel Farb WASTEWATER SEPARATION GENERATOR
CN111214890B (zh) * 2018-11-23 2021-12-31 深圳市优美环境治理有限公司 海沙淡化沥干装置及泥沙分离装置
CN114197385B (zh) * 2021-12-10 2022-11-11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一种滨海河道生态修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8852A (en) * 1941-01-14 Grit washer and separator
US1404873A (en) * 1920-04-19 1922-01-31 William E Mcgee Sand-separating tank
US1917819A (en) * 1930-08-29 1933-07-11 Int Agricultural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liquids
US2322415A (en) * 1939-01-16 1943-06-22 John C Buckbee Sand dewatering wheel
US2662642A (en) * 1950-03-20 1953-12-15 Us Potash Company Screw dewatering classifier
US2873032A (en) * 1957-07-22 1959-02-10 Link Belt Co Apparatus for washing oil well drilling cuttings
US3677407A (en) * 1970-10-21 1972-07-18 Nat Dust Colle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from liquid
FR2354293A2 (fr) * 1975-08-19 1978-01-06 Alsthom Cgee Procede pour le compactage et l'essorage des boues fluides chargees de matieres fibreuses
US4151074A (en) * 1977-06-20 1979-04-24 Akae Kikai Kogyo Co. Ltd. Wet-type sand classifier
US4164470A (en) * 1978-01-09 1979-08-14 Global Pollution Control Co. (1975) Ltd. Auger type screening device for removing sediment and the like from solutions
JPS6063460A (ja) 1983-09-19 1985-04-11 Toshiba Corp 金属構造物の寿命監視装置
US4871449A (en) * 1988-06-27 1989-10-03 Lott W Gerald Clarifier and screw compactor liquid-solid separator
US4971693A (en) * 1989-09-07 1990-11-20 501 Kabushiki Kaisha Iseki Kaihatsu Koki Muddy water processing apparatus
JP2937411B2 (ja) 1990-05-09 1999-08-23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のシャドウマスク支持具
US5207904A (en) * 1991-07-15 1993-05-04 396234 B C Ltd. Apparatus for composting waste material
SE501238C2 (sv) * 1993-05-10 1994-12-12 Spirac Engineering Ab Förflyttningsanordning för sediment i behållare
US5368731A (en) * 1993-10-04 1994-11-29 Dorr-Oliver Incorporated Vacuum assisted slaker classifier
US5547569A (en) * 1995-01-25 1996-08-20 Hinkle Contracting Corporation Multiple stage water clarifier
JP2008058590A (ja) 2006-08-31 2008-03-13 Toyobo Co Ltd 感光性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感光性樹脂印刷原版
JP2008265649A (ja) 2007-04-24 2008-11-06 Toyota Motor Corp 車両の操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12829A1 (de) 2009-09-10
US20090236279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585B1 (ko) 칩 컨베이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칩 분리/회수장치
RU2001128429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втор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полиолефинового листового пласти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90096344A (ko) 모래 분급 반송 탈수 장치
KR102118685B1 (ko) 고압용 오배수 펌프시스템
CN210557318U (zh) 一种新型链条刮板机
PL197455B1 (pl) Maszyna flotacyjna
CN112999707B (zh) 一种高效防堵旋流沉砂池装置
JP2005028353A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CN213140278U (zh) 一种环保型颗粒物料输送用螺旋提升机
KR100922231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JP4386957B1 (ja) 砂分級搬送脱水装置
JP5250921B1 (ja)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JP5605490B1 (ja)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CN101524666A (zh) 砂石分级运送脱水装置
CN107262266A (zh) 涡扇式洗砂砂水分离装置
JPH06210198A (ja) 固形体回収装置
CN206566572U (zh) 一种圆管多力场尾矿干排装置
JP3080726U (ja) 傾斜板式沈殿槽装置
JP6373215B2 (ja) 沈砂分離装置
JP2003117769A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CN116943335B (zh) 一种钻孔灌注桩泥浆砂石分离设备
CN209810437U (zh) 一种全自动金属切屑离心甩干机
JP2001001228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クーラント液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7416Y2 (ja) 浚渫脱水装置
JPS592806Y2 (ja) 粗粒分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