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469A - 너클 브라켓 - Google Patents

너클 브라켓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469A
KR20090093469A KR1020080019007A KR20080019007A KR20090093469A KR 20090093469 A KR20090093469 A KR 20090093469A KR 1020080019007 A KR1020080019007 A KR 1020080019007A KR 20080019007 A KR20080019007 A KR 20080019007A KR 20090093469 A KR20090093469 A KR 2009009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knuckle
burring
knuckle bra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1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469A/ko
Publication of KR2009009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클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너클 브라켓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외통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버링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된 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너클 브라켓 {KNUCKLE BRACKET}
본 발명은 너클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쇽업소버를 차륜 측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너클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과 쇽업소버를 이용하여 차체와 차륜의 상하 방향 운동을 조절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확보하고 상하 이외의 방향으로는 적절한 강성에 의해 조정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쇽업소버는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한다. 맥퍼슨식 쇽업소버의 경우, 상단이 차체와 연결된 쇽업소버의 하단에는 차륜과의 결합을 위한 너클 브라켓이 설치되며, 너클 브라켓은 차륜에 연결된 너클 아암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너클 브라켓은,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맞대어져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플랜지부에는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클 아암에도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너클 브라켓은 플랜지부의 사이에 너클 아암을 개재하여 상기한 체결공들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말단부에 너트를 끼워 조임으로써 너클 아암과 결합된다.
이러한 너클 브라켓에서 플랜지부의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플랜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사이에 단면 ㄷ자형의 별도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였다.
이 보강 부재는 너클 브라켓의 플랜지부들 사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보강 부재가 부착된 너클 브라켓은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끼워져서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너클 브라켓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는 너클 브라켓의 두께와 상관관계가 있는데,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두께는 플랜지의 두께와 보강부재의 두께를 더한 값이 되어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킨다.
그러나, 이렇게 플랜지부들 사이에 별도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재료비 및 가공비가 증가하고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너클 브라켓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의 형상을 굽힘 응력에 강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보강 부재 없이도 굽힘 강도를 증대시키는 구조를 개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너클 브라켓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는 너클 브라켓의 두께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본체부와 플랜지부의 형상만을 변경함으로써 그 굽힘 강도를 증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 너클 브라켓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다. 따라서, 너클 브라켓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의 형상을 굽힘 응력에 강한 구조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너클 브라켓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클 브라켓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외통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버링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된 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너클 브라켓에 의하면, 너클 브라켓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버링가공에 의해 버링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에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를 함께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부 20 : 플랜지부
21 : 체결공 23 : 버링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에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를 함께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너클 브라켓(1)은,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외통(2)의 타단에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0)와 플랜지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쇽업소버의 외통(2)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데, 쇽업소버의 외통(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0)는 쇽업소버의 외통(2)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는 C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0)의 가장자리가 용접에 의해 쇽업소버의 외통(2)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된다.
플랜지부(20)는 본체부(10)의 양측 단부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좌우 한쌍이 돌출된 형태이다.
플랜지부(20)에는 자동차의 차륜에 장착된 너클 아암(미도시)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21)의 가장자리에는 버링가공에 의해 버링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버링가공(burring)은 재료판에 미리 뚫어 놓은 구멍의 가장자리를 원통상의 프레스 펀치로 구멍 늘리기를 하는 가공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하여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따라서, 너클 브라켓(1)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두께는 플랜지부(20)의 두께와 돌출 형성된 버링부(23)의 두께를 더한 값이 되어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너클 브라켓(1)에서는 너클 브라켓(1)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체결공(21)의 가장자리에 버링가공에 의해 버링부(23)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의 굽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플랜지부(20)의 체결공(21)에 삽입되는 볼트(30)의 헤드부(31)의 저면에는 버링부(21)가 삽입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플랜지부(20)의 체결공(20)에 삽입된 볼트(30)의 말단부에 끼워 조여지는 너트(40)의 내주면에는 버링부(21)가 삽입되는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외통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에 버링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된 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의 헤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버링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체결공에 삽입된 볼트의 말단부에 끼워 조여지는 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버링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라켓.
KR1020080019007A 2008-02-29 2008-02-29 너클 브라켓 KR20090093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07A KR20090093469A (ko) 2008-02-29 2008-02-29 너클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07A KR20090093469A (ko) 2008-02-29 2008-02-29 너클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469A true KR20090093469A (ko) 2009-09-02

Family

ID=4130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07A KR20090093469A (ko) 2008-02-29 2008-02-29 너클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4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255B1 (ko) 소형 프레임 차량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US8235350B2 (en) Hydraulic unit support structure
JP5293340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CN110561998B (zh) 纵臂总成
US8123239B2 (en) Knuck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nuckle
US10953719B2 (en) Rear axle suspension for a vehicle
KR20090093469A (ko) 너클 브라켓
KR100880167B1 (ko) 너클 브라켓
CN104527788A (zh) 一种副车架结构
KR101094216B1 (ko)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JP2007331488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219988925U (zh) 摆臂、摆臂总成和车辆
JP2008149789A (ja) 連結手段
KR100836792B1 (ko)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JP200526510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WO2023149152A1 (ja) 緩衝器及びブラケット
CN215096858U (zh) 衬套组件及悬置纵臂
CN210211933U (zh) 一种摆臂衬套及摆臂衬套组件
KR20090100486A (ko) 너클 브라켓
JP5530398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サスペンション特性調整方法
KR20110138783A (ko)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CN110494668B (zh) 悬架衬套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CN208646532U (zh) 衬套固定结构及副车架和汽车
CN204895098U (zh) 用于汽车发动机悬置系统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