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972A -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 Google Patents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972A
KR20090090972A KR1020080036110A KR20080036110A KR20090090972A KR 20090090972 A KR20090090972 A KR 20090090972A KR 1020080036110 A KR1020080036110 A KR 1020080036110A KR 20080036110 A KR20080036110 A KR 20080036110A KR 20090090972 A KR20090090972 A KR 2009009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power supply
rectifier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266B1 (ko
Inventor
싱-후 리우
친 순
치-유 우
Original Assignee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7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mprising a passive stage to generate a rectified sinusoidal voltage and a controlled switching element in series between such stage and the out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내에 부하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고 AC 입력전압을 저 DC 출력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회로는 정류기, 감지회로, 제어스위치회로 및 전압조정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정류기는 AC 파워 서플라이에 연결된 1차 측과 DC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측을 갖는다. 감지회로는 기설정된 기준전압과 AC 입력전압을 비교하고 AC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어스위칭 회로에 있는 제 2 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에 의해 낮은 DC 출력전압을 제공한다. 제어 스위칭 회로는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내에 DC 출력전압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 2 스위치의 전력소비를 감소하는 것외에, 이 회로구조는 간단하고 회로집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36110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N-MOSFET

Description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Powering Circuit of AC-DC Converter}
본 발명은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만 스위치를 온시키고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내에 DC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AC-DC 컨버터는 절연된 전압 분배기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이 디자인에서, AC 파워 서플라이가 정류기에 결합된 후, 외부 변압기가 고 AC 전원을 저전압 DC 파워 서플라이 장치용의 저전압 DC 전원으로 변환시킨다. 그러나, 외부 변압기는 부피가 커서, 최소화 요구에 맞지 않다. 그러므로, 저손실 전압 조정기(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LDO)와 같은 선형 조정기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나, LDO의 스위치 전력소비로 인해 불만족스러운 변환효율이 쉽게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소비 감소와 변환효율 향상이 현재 축소화된 AC-DC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에 주요 주제가 되었다. 미국특허출원 제2002/0044471호의 안정적인 일정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AC-DC 컨버터 회로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출되었다. 이 AC-DC 컨버터 회로는 안정적인 전류공급을 필요로 하는 발광소자(예컨대 LED)와 같은 부하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기술수단에 따라, 전류 스위칭회로가 안정적인 범위내에 부하전류를 제한시키는데 사용된다. 제어회로는 제어회로의 출력 및 입력간에 전위차에 따라 전류 스위칭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위차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회로는부하전류를 스위치 온시키고, 전위차가 기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제어회로는 부하전류로 스위치 오프시키며, 이에 의해 부하전류를 제한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또한, 미국특허 제6,169,391호는 또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는 AC-DC 컨버터 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선형 조정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제어회로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압을 제한하는데 이용된다. 제어회로는 AC 파워 서플라이의 입력전압(Vin)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회로를 갖고 입력전압(Vin)의 값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한다. 감지회로는 직렬 연결된 2개의 분압 저항과 상기 분압 저항에 직렬연결된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설계는 명백히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원공급 회로는 정류기, 감지회로, 제어 스위치회로, 및 전압조정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정류기는 AC 파워 서플라이를 DC 파워 서플라이로 변환시키기 위해 AC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1차측(primary side)을 갖는다. 감지회로는 AC 파워 서플라이의 AC 입력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정류기의 2차측(secondary side)에 연결되어 있다.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제어 스위칭회로의 제 2 스위치가 온되고, 이에 의해 낮은 DC 출력전압을 제공한다. 제어 스위칭회로는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의 DC 출력 전압을 유지한다. 다르게 말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스위치는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만 온되고,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더 크면 오프된다. 제 2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입력과 출력간의 전위차가 작기 때문에, 제 2 스위치의 전력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간단한 회로구조를 갖는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 회로는 정류기, 감지회로, 제어 스위칭회로, 및 전압 조정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감지회로는 분압기와 제 1 스위치를 갖는다. 감지회로는 분압기를 이용해 정류기의 제 2 측에서 DC 파워 서플라이의 분압된 DC 전압을 얻고, 상기 분압된 DC 전압을 제 1 스위치의 턴온 전압과 비교하여, 분압된 DC 전압이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 1 스위치를 턴오프시킨다. 제 2 스위치는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턴온되고,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에 턴오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집적(集積)을 구현할 수 있는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반도체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집적회로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효과는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만 온되고, AC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더 크면 오프되어 소비전력이 줄어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단지 예로써만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첨부도면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이 하기의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로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구조는 AC 파워 서플라이(10)의 고 AC 입력전압(AC Vin)을 저 DC 출력전압(DC Vout)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DC 바이어스 범위에서 안정화된 DC출력전압(DC Vout)은 저전압 DC 출력단(42)을 통해 출력되므로, 저전압 DC 파워 서플라이(11)(예컨대, 직접회로 또는 소형 전자제품)용 DC 바이어스 범위내에서 안정화된 부하전압을 제공한다. 회로구조는 정류기(120), 감지회로(30), 제어 스위치회로(40), 및 전압조정 커패시터(60)를 포함한다.
정류기(20)는 AC 파워 서플라이(10)에 결합된 1차측과 DC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2차측을 갖는다. 정류기(20)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 또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일 수 있다.
감지회로(30)는 분압기(31)와 제 1 스위치(Q1)를 갖는다. 분압기(31)는 정류기(20)의 제 2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측에서 DC 파워 서플라이의 분압된 DC 전압을 얻는다. 제 1 스위치(Q1)는 제어패드(1a), 입력패드(1b) 및 출력패드(1c)를 갖는다. 출력패드(1c)는 접지전위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패드(1a)는 분압기(3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회로(30)는 분압된 DC 전압을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분할된 DC 전압이 상기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Q1)를 턴오프시킨다.
제어 스위칭회로(40)는 제 3 저항(R3), 제 2 스위치(Q2), 및 (예컨대,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제 1 전압조정소자(41)를 갖는다. 제 2 스위치(Q2)는 제어패드(2a), 입력패드(2b), 및 출력패드(2c)를 갖는다. 제 2 스위치(Q2)의 입력패드(2b)는 정류기(20)의 제 2 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패드(2a)는 제 1 스위치(Q1)의 입력패드(1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기(20)의 제 2 측의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제 2 스위치(Q2)는 출력패드(2c)를 통해 제어 스위칭회로(40)의 DC 출력단(42)에 정류기(20)의 제 2 측에 있는 DC 전원을 보내도록 턴온된다. DC 출력전압(DC Vout)의 출력레벨은 제 1 전압조정소자(4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고정전압레벨보다 낮다.
전압조정 커패시터(60)는 일단이 제어 스위칭회로(40)의 DC 출력단(42)에 타단은 접지전위에 연결되어, DC 바이어스 범위내에서 안정화되고 저전압 DC 파워 서플라이(11)에 의해 요구되는 부하전압으로서 사용되는 DC 출력전압(DC Vout)을 제공한다.
도 1의 제어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회로의 몇가지 특정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회로의 제 1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정류기(20)는 도 2a에서 전파 브리지 정류기이고, 도 2b에서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이다. 예컨대, 도 2a에서, 제 1 스위치(Q1)와 제 2 스위치(Q2)는 분말 금속산화물 반도체 전계효 과 트랜지스트(MOSFET), 바람직하게는 N-MOSFETs이다. N-MOSFETs은 반도체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는 반도체 공정에서도 또한 제조될 수 있어, 집적(integration) 목적이 달성된다. 분압기(31)는 제 1 저항(R1)과 상기 제 1 저항(R1)에 직렬 연결된 제 2 저항(R2)를 포함한다. 제 1 저항(R1)은 일단이 정류기(20)의 제 2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저항(R2)과 제 1 스위치(Q1)의 게이트(G)에 연결된다. 제 2 저항(R2)은 일단이 제 1 저항(R1)과 제 1 스위치(Q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제 2 저항(R2)의 타단과 제 1 스위치(Q1)의 소스(S)가 모두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다. 간략히, 감지회로(30)는 AC 입력전압(AC Vin)의 값에 따라 제 2 스위치(Q2)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제 1 스위치(Q1)의 내전압(withstand voltage)은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의 분압된 DC 전압보다 더 커야 한다.
도 2a에서, 제어스위칭회로(40)는 제 3 저항(R3)을 갖는다. 제 3 저항(R3)은 일단이 정류기(20)의 제 2 측에, 타단이 제 1 스위치(Q1)의 드레인(D)과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어, 제어 스위칭회로(40)의 제 1 전압조정소자(41)가 과도 전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전압조정소자(41)는 접지 전위에 연결된 양극을 갖는다. 제 2 스위치(Q2)는 제 1 스위치(Q1)의 드레인과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D)은 정류기(20)의 제 2 측에 소스(S)는 DC 출력단(42)에 연결되어 있다.
도 2a의 회로동작에 따르면, 분압된 DC 전압이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보다 더 높은 경우, 제 1 스위치(Q1)의 게이트-소스는 순방향 바이어스를 만들어 상기 제 1 스위치(Q1)가 온 상태를 띠게, 즉, 제 1 스위치(Q1)를 켜게 한다. 이 때, 제 1 전압조정소자(41)는 낮은 레벨에 있고, 제 2 스위치(Q2)는 온될 수 없으며, 정류기(20)의 제 2 측에 DC 파워 서플라이는 DC 출력단(42)에 제공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분압된 DC 전압이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전압고정 기능을 갖는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전압레벨은 점점 더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정류기(20)의 제 2 측에서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더 낮은 경우, 제 2 스위치(Q2)가 턴온되고, DC 출력단(42)은 낮은 DC 출력전압(DC Vout)을 출력한다. DC 출력전압(DC Vout)의 전압레벨은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고정 전압레벨보다 더 낮도록 제 1 전압조정소자(4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 및 도 2b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의 실시예는 (예컨대,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제 2 전압조정소자(44)를 더 포함한다. 제 2 전압조정소자(44)는 제 1 스위치(Q1)의 게이트(G)에 연결된 음극과 접지 전위에 연결된 양극을 갖는다. 제 2 전압 조정소자(44)의 전압고정기능을 통해, 제 1 스위치(Q1)의 게이트와 소스 간의 전압레벨이 고정되므로 상기 제 1 스위치(Q1)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제 1 스위치(Q1)와 제 2 스위치(Q2)는 모두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이며, 제 2 전압조정소자(44)는 분압 기(31)와 제 1 스위치(Q1)의 베이스(BJT) 사이에 직렬연결되어 있어, 제 1 스위치(Q1)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4a 및 도 4b에서 제 2 스위치(Q2)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갖는 N-MOSFET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에서 제 2 스위치(Q2)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갖는 BJT이다.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는 고AC 입력전압(AC Vin)을 저DC 출력전압(DC Vout)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상업용 전압에 바로 적합하다(예컨대, 50-60Hz의 주파수에서 110-10 VAC 또는 220-240 VAC). 기준 파워 서플라이의 기준전압(Vref)은 제 2 스위치(Q2)의 온상태(턴 온)/오프상태(턴 오프)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전압으로서 역할을 한다. 기준전압(Vref)은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R1+R2)/R2이다. AC 입력전압(AC Vin)과 DC 출력단(42) 간의 전압-전류 관계는 도 7의 곡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도 7에서, 도 2a의 전파 브리지 정류기(20)를 이용하는 회로가 예로서 취해진다). 도 7에서, 전압(V)은 제 2 스위치(Q2)의 드레인-소스 전압(Vds)이며, 기준전압(Vref)은 예컨대 70DC V이다. 분압되 DC 전압이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보다 높은 경우, 제 1 스위치(Q1)는 턴온되고, 제 2 스위치(Q2)는 턴오프된다. 동시에, 제 2 스위치(Q2)의 드레인 전류(ID)는 0이다. 분압된 DC 전압이 제 1 스위치(Q1)의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 1 스위치(Q1)는 턴오프된다. 동시에,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양단에서 전압강하가 점점 더 증가 하여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고정전압에 이른다. 한편, 정류기(20)의 제 2 측에서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DC 출력단(42)이 낮은 DC 출력전압(DC Vout)을 출력한다. DC 출력전압(DC Vout)의 전압레벨은 또한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고정 전압레벨 보다 더 낮게 상기 제 1 전압조정소자(4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DC 출력단(42)의 DC 출력전압(DC Vout)은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에 유지된다.
상술한 관점에서, 명백하게,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는 AC 입력전압(AC Vin)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더 낮은 경우에만 제 2 스위치(Q2)를 온시키고, AC 입력전압(AC Vin)이 기설정된 기준전압(Vref)보다 더 높은 경우에만 제 2 스위치(Q2)를 오프시킨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제 2 스위치(Q2)가 온 상태(턴 온)에 있는 경우, 입력과 출력간에 전위차가 낮아, 스위치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한편, 제 2 스위치(Q2)가 온 상태(턴온)인 경우, DC 출력전압(DC Vout)의 전압레벨이 제 1 전압조정소자(41)의 고정전압레벨보다 더 낮게 상기 제 1 전압조정소자(41)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DC 출력전압(DC Vout)은 안정적인 DC 바이어스 범위에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의 구성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도 4a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도 4b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도 3a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한) 도 3b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AC 입력전압(AC Vin)과 DC 출력단 간에 전압-전류 관계와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 간에 동작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0)

  1. AC 파워 서플라이로부터의 AC 입력전압을 DC 출력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로서,
    AC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제 1 측과 DC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측을 갖는 정류기와,
    제어패드, 입력패드 및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패드를 구비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 2 측에서 DC 파워 서플라이의 분압된 DC 전압을 얻고, 상기 분압된 DC 전압이 상기 제 1 스위치의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분압된 DC 전압을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널에 연결시키는 분압기를 갖는 감지회로와,
    제어패드, 입력패드 및 출력패드를 갖는 제 2 스위치, 제 1 제너다이오드 및 일단이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스위치의 입력패드와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에 연결되는 제 3 저항을 갖는 제어 스위칭회로와,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패드에 타단이 접지전위에 연결된 전압조정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의 양극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제어패드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입력패드와 상기 제 1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스위치의 입력패드는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 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 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제 2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패드는 DC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인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인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기는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에 직렬연결된 제 2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저항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타단이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는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 스터(N-MOSFET)인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제너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연결된 음극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압레벨을 고정시키기 위해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는 양극을 갖는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N-MOSFET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인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BJT인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와 분압기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 2 전압조정 소자를 더 구비하는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BJT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N-MOSFET이며, 상기 제 1 스위치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전압 조정소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분압기 사이에 또 배치되어 있는 AC-DC 컨버터 전원공급 회로.
  11. AC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AC 입력 전압을 DC 출력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반도체 공정에서 제조되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회로로서,
    AC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제 1 측과 DC 전원을 출력하기 위해 제 2 측을 갖는 정류기와,
    제어패드, 입력패드 및 접지 전위에 연결된 출력패드를 구비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분압된 DC 전압을 얻고, 상기 분압된 DC 전압이 상기 제 1 스위치의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분압된 DC 전압을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연결시키는 분압기를 갖는 감지회로와,
    제어패드, 입력패드 및 출력패드를 갖는 제 2 스위치, 제 1 제너다이오드 및 일단이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스위치의 입력패드와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에 연결되는 제 3 저항을 갖는 제어 스위칭회로와,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패드에 그리고 타단이 접지전위에 연결된 전압조정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의 양극은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 위치의 제어패드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입력패드와 상기 제 1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스위치의 입력패드는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패드는 DC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 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있는 DC 파워 서플라이의 DC 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제 2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스위치의 출력패드가 DC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전파 브리지 정류기인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반파 브리지 정류기인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기는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 2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정류기의 제 2 측에 타단이 상기 제 2 저항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 2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타단이 접지 전위에 연결되어 있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N-MOSFET인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제너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압레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어패드에 연결된 음극과 접지 전위에 연결된 양극을 구비하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N-MOSFET이고, 제 2 스위치는 BJT인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BJT인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분압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전압조정소자를 더 구비하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BJT이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N-MOSFET이며, 상기 제 2 전압조정소자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과도 AC 입력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분압기 사이에 또한 배치되는 AC-DC 컨버터의 집적 전원공급 회로.
KR1020080036110A 2008-02-22 2008-04-18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06374 2008-02-22
TW097106374A TW200937828A (en) 2008-02-22 2008-02-22 Electricity -extraction circuit of AC/DC converter t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72A true KR20090090972A (ko) 2009-08-26
KR100988266B1 KR100988266B1 (ko) 2010-10-18

Family

ID=395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266B1 (ko) 2008-02-22 2008-04-18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5216B2 (ko)
EP (1) EP2093873B1 (ko)
JP (1) JP2009201342A (ko)
KR (1) KR100988266B1 (ko)
TW (1) TW200937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4415A (ja) * 2008-01-08 2009-07-23 Mitsum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CN201378801Y (zh) * 2009-02-17 2010-01-06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ac/dc变换电路及其应用的电机控制器
JP5367173B2 (ja) * 2009-10-26 2013-12-11 エアテック システ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定電流駆動ledモジュール装置
CN102201664A (zh) * 2010-03-25 2011-09-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稳压电路系统
US8816654B2 (en) 2010-09-27 2014-08-2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Universal-voltage discrete input circuit
JP2012152066A (ja) * 2011-01-20 2012-08-09 Olympus Corp 電源装置
US9256239B2 (en) * 2011-03-17 2016-02-09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Voltage controlling circuit
CN102185500A (zh) * 2011-04-28 2011-09-14 刘家发 实用的无变压器开关电源
CA2738844C (en) * 2011-05-04 2012-04-24 Itron, Inc. Full wave ac/dc voltage divider
TWI514743B (zh) * 2011-08-24 2015-12-21 Tsung Ein Tsai 可調功因之隔離式無變壓器交流轉直流電源電路
US8890494B2 (en) 2011-11-16 2014-11-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Wide input voltage range power supply circuit
US9252652B2 (en) * 2011-11-16 2016-02-0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Wide input voltage range power supply circuit
KR101887108B1 (ko) * 2011-11-21 2018-08-10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과전압 차단 기능을 구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과전압 차단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2594175B (zh) * 2012-03-06 2014-06-25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交流变直流电路
US8917076B2 (en) * 2012-08-10 2014-12-23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Off-line regulator with pass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8890427B2 (en) * 2012-10-26 2014-11-18 Liteideas, Ll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low-current LED lighting circuit
TWI464569B (zh) * 2012-11-06 2014-12-11 Upi Semiconductor Corp 電壓識別碼參考電壓產生電路與其開機電壓產生方法
US9155232B2 (en) * 2013-01-10 2015-10-0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Wide input voltage range power supply circuit
US9022637B2 (en) 2013-04-30 2015-05-05 Tagnetics, Inc. Lighted mounting apparatus
WO2014146070A1 (en) * 2013-03-15 2014-09-18 Tagnetics, Inc. Apparatus and system of power conversion
US9219416B2 (en) 2013-11-30 2015-12-22 Ixys Corporation Buck converter having self-driven BJT synchronous rectifier
US20160013789A1 (en) * 2014-07-09 2016-01-14 Numerex Corp. Depletion Mode MOSFET Power Supply
CA3022065A1 (en) * 2016-05-07 2017-11-16 Intelesol, Llc Solid-state line disturbance circuit interrupter
JP6938620B2 (ja) * 2016-05-07 2021-09-22 インテレソル,エルエルシー 高効率ac−dcコンバータおよび方法
US10931473B2 (en) 2016-10-20 2021-02-23 Intelesol, Llc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3533140B1 (en) * 2016-10-28 2024-06-05 Intelesol, LLC High efficiency ac direct to dc extraction converter and methods
CN110870192B (zh) 2016-10-28 2021-11-12 因特莱索有限责任公司 具有控制的负载识别ac电源及方法
WO2019117205A1 (ja) * 2017-12-12 2019-06-20 パーソルAvc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TWI695560B (zh) 2018-06-15 2020-06-0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供應系統及電源轉換器
US11056981B2 (en) * 2018-07-07 2021-07-06 Inteleso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extraction with sample and hold and release
US11671029B2 (en) 2018-07-07 2023-06-06 Intelesol, Llc AC to DC converters
US11581725B2 (en) 2018-07-07 2023-02-14 Intelesol, Llc Solid-state power interrupters
US11205011B2 (en) 2018-09-27 2021-12-21 Amber Solutions, Inc. Privacy and the management of permissions
US11334388B2 (en) 2018-09-27 2022-05-17 Amber Solutions, Inc. Infrastructure support to enhance resource-constrained device capabilities
US10985548B2 (en) 2018-10-01 2021-04-20 Intelesol, Llc Circuit interrupter with optical connection
US11349296B2 (en) 2018-10-01 2022-05-31 Intelesol, Llc Solid-state circuit interrupters
WO2020131977A1 (en) 2018-12-17 2020-06-25 Intelesol, Llc Ac-driven light-emitting diode systems
US11422520B2 (en) 2019-04-08 2022-08-23 Intelesol, Llc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11336199B2 (en) 2019-04-09 2022-05-17 Intelesol, Llc Load identifying AC power supply with control and methods
US11373831B2 (en) 2019-05-18 2022-06-28 Amber Solutions, Inc. Intelligent circuit breakers
US11349297B2 (en) 2020-01-21 2022-05-31 Amber Solutions, Inc. Intelligent circuit interruption
JP7681614B2 (ja) 2020-03-09 2025-05-22 インテレソル,エルエルシー Ac-dcコンバータ
US12231056B2 (en) 2020-03-09 2025-02-18 Intelesol, Llc Integrated energy supply system and methods to provide regulated AC and low voltage DC
TWI713287B (zh) * 2020-03-19 2020-12-11 捷拓科技股份有限公司 寬輸入電壓範圍的輔助電源供應電路
CN113691247A (zh) * 2020-05-18 2021-11-23 湖南工业大学 一种远程交直流开关信号匹配器
US11670946B2 (en) 2020-08-11 2023-06-06 Amber Semiconductor, Inc. Intelligent energy source monitoring and selection control system
US12113525B2 (en) 2021-09-30 2024-10-08 Amber Semiconductor, Inc. Intelligent electrical switches
US12348028B2 (en) 2021-10-22 2025-07-01 Amber Semiconductor, Inc. Multi-output programmable power manager
CN115498746B (zh) * 2022-11-07 2023-03-28 广东希荻微电子股份有限公司 供电电路与供电方法、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273A (en) * 1971-03-26 1974-06-18 Yokogawa Electric Works Ltd Barrier isolator device employing an overload protection circuit
US3777253A (en) * 1972-10-24 1973-12-04 Allen Bradley Co Low power loss voltage supply circuit
US4001668A (en) * 1973-11-16 1977-01-04 Schick Incorporated Electric shaver operable from a wide range of supply voltages
GB2124804A (en) * 1982-07-16 1984-02-2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Electrical power supply arrangements
DE3245238A1 (de) * 1982-12-07 1984-06-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ransformatorlose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kleiner gleichspannungen
US4685046A (en) * 1985-10-03 1987-08-04 The Scott & Fetzer Company Low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JPH0638522A (ja) * 1992-07-17 1994-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7222439A (ja) * 1994-02-02 1995-08-18 Fuji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
KR19990049087A (ko) * 1997-12-11 1999-07-05 김영환 전원공급기의 출력커패시터 방전 장치
US6992467B1 (en) * 1999-03-31 2006-01-31 Pepperl & Fuchs Gmbh Safety barrier for limiting current and voltage
US6366437B1 (en) * 1999-06-24 2002-04-02 Relcom, Inc. Current limiter for a network
US6169391B1 (en) * 1999-07-12 2001-01-02 Supertex, Inc. Device for converting 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 to low voltage direct current
JP3784594B2 (ja) * 1999-11-30 2006-06-14 富士通株式会社 電流制御回路
TW533672B (en) * 2001-08-20 2003-05-21 Macroblock Inc Transformer-free AC/DC convers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5216B2 (en) 2010-05-11
EP2093873A3 (en) 2012-08-29
JP2009201342A (ja) 2009-09-03
KR100988266B1 (ko) 2010-10-18
EP2093873B1 (en) 2018-11-21
TW200937828A (en) 2009-09-01
TWI343697B (ko) 2011-06-11
US20090213629A1 (en) 2009-08-27
EP2093873A2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66B1 (ko) Ac-dc 컨버터의 전원공급 회로
US10491117B2 (en) Soft-start circuit for buck converter control
US7525259B2 (en) Primary sid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with constant current output
US83446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ED driver having constant output current
JP4391721B2 (ja) 電気回路の消散型クランプ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998022B2 (en) Current limit peak regulation circuit for power converter with low standby power dissipation
US7167028B2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power supply un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110026275A1 (en) Voltage-regulating circuit with input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parallel voltage-regulating circuit system using the same
US20130229833A1 (en) Feedback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an isolated power converter
US10492254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LED driving circuit
KR101489962B1 (ko) 전력 변환기, 그 스위칭 제어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00065901A (ko) 버스트 모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20120133293A1 (en) Stepdown dc-dc converter for light emitting diode, an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398782B2 (en) Power converters including bias voltage supply circuit and method of supplying bias supply voltage
US11209464B2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converter
KR101247801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20150023072A1 (en) Start-up circuit and method for ac-dc converters
US7542309B2 (en) Voltage stabilizer circuit of forward converter
CN101534064B (zh) 交直流转换器的取电电路
US11297702B2 (en) Dimmer interface circuit and buffer stage circuit thereof
US7239533B2 (en) DC power supply apparatus
US11996763B2 (en)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EP0978933A3 (de) Gleichspannungswandler
US20250167687A1 (en) Switching converter with floating node and associated control circuit
JP763390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