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539A -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539A
KR20090090539A KR1020080015809A KR20080015809A KR20090090539A KR 20090090539 A KR20090090539 A KR 20090090539A KR 1020080015809 A KR1020080015809 A KR 1020080015809A KR 20080015809 A KR20080015809 A KR 20080015809A KR 20090090539 A KR20090090539 A KR 2009009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fibers
hemp
toothpaste
hemp fiber
toothpas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301B1 (ko
Inventor
김은수
박인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3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헴프 섬유, 치약 조성물

Description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hemp fiber}
본 발명은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치아와 구강질환에 대한 세계 보건기구의 연구 및 통계자료에 따르면 현재 문화권에 사는 사람의 97%가 치아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은 저섬유질 식품과 설탕의 과잉 사용으로 인한 것이며, 잇몸의 단맛 중독현상이 날로 증가하여 구강에 젖산의 침윤상태가 증가하고, 또한 젖산으로 인하여 입안에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가가 더욱 확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구강암의 사망율이 날로 증가하여 암 사망 7위를 차지하며, 잇몸 혈관의 바이러스 침식으로 인한 뇌경색증과 심장 관상동맥의 경색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구강질환은 구강 내의 수많은 세균으로 구성되는 치태에 의하여 야기되며, 구강 내에 많은 종류의 다양한 세균이 생육할 수 있는 이유는 세균의 발육에 적합한 환경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충치는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설탕이 여러 종류의 구강내 세균 에 의해 작용을 받아 점착성 다당류를 생성하게 되어 각 세균이 치아표면에 부착되기 쉽게 되고, 세균이 모인 치태를 형성하며, 여기에 모인 세균은 당류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시키고, 이 산이 치아의 에나멜 표면을 탈회시켜 충치를 진행시킨다. 치태가 한층 더 진행되어 치석으로 발전하면 치육염, 치은염, 치조농루의 치주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항생제, 살균제등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J. Dent. Res., 25, 441(1946), J. Dent. Res., 31, 421(1966), J. Oral Ther. Pharmacol., 3, 157(1966), J. Am. Dent. Ass., 87 1006(1973)].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고 상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와 색소, 향료 등을 비롯하여 기타 필요한 성분을 적절히 가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들 치약 조성물은 치아의 세척이 주 목적이어서 치통이나 치주염 등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치아의 마모를 방지하고, 구강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치약 조성물에 함유할 천연물질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헴프 섬유의 함량이 전체 치약조성물에 대하여 0.1∼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헴프 섬유의 두께는 10∼9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헴프 섬유의 평균 길이는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항균활성을 가지며, 액상, 페이스트 또는 투명 겔 타입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헴프 섬유를 절단하고, 분쇄하는 단계;b) 상기 분쇄한 헴프 섬유를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된 헴프 섬유를 연마제, 결합제, 보습제, 기포제, 감미료 및 향미제 성분이 배합된 믹스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a) 단계는 헴프 섬유를 절단 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a) 단계의 헴프 섬유는 건조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헴프 섬유의 두께는 10∼9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헴프 섬유의 평균 길이는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헴프 섬유"란 용어는 "대마 섬유"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헴프 섬유를 배합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충치원인균(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anguis, 및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치주병원인균(Actinomyces viscous, Actinomyces naeslundi, Bacteroides gingvalis, Bacteroides forsythus, 및 Bacteroides intermedius) 등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가지는 충치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특히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츄잉껌 등 각종 구강용 조성물 중에 헴프 섬유를 배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특히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헴프 섬유는 분쇄, 멸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헴프 섬유를 각종 형태의 제품에 응용하여 구강 내에 적용하면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헴프 섬유의 구강용 조성물에의 배합량은 각각 전체의 0.001-10%(w/w), 특히 0.1-5%(w/w)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응용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로는 각종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류 및 츄잉껌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종 구강용 조성물은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치약의 경우에는 제2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 메타인산칼슘, 실리카류,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연마제(본품 10-6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카라기난, 아라비아껌, 폴리비닐알콜등의 접증제(0.4-5%),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솔비톨, 글리세린 폴리비닐알콜 등의 습윤제, 라우릴황산나트륨, 소디움라우릴사르코시네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설페이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발포제외에 향료, 사카린,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감미제, 방부제 등의 성분을 물과 혼합하여 통상의 치약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헴프 섬유를 첨가하여 제조한 치약에는 불화나트륨, 모노플로로인산나트륨, 소금, 알란토인, 피로인산염, 아미노카로익산, 비타민류, 동크로로필나트륨, 트라네사믹산, 염화아연, 트리클로산, 염화세틸피리디움, 비닐메틸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등 치약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효성분의 첨가도 가능하다. 또 구강세정제, 캔디류 및 츄잉껌등의 제품도 그 제법에 따라 각종 성분을 적당히 배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헴프섬유는 미세한 칫솔모로 작용할 수 있어서, 치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마제 등의 사용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헴프섬유 는 속이 비고 규칙적 배열로 구성된 미세구조의 구조물이기 때문에 칫솔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많은 거품을 발생하게 하여 치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포제 등의 사용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조성비로 구성된다.
구성성분 함량비(조성비)
연마제 10∼60
보습제 20∼75
결합제 1.5∼10
기포제 1∼2
5∼50
본 발명의 유효성분 0.1∼5
보존제 0.2∼1.6
감미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항균작용 등의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헴프 섬유 자체가 미세한 칫솔모의 역할을 하여 우수한 세치 효과 및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연마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많은 거품을 발생하게 하여서 양치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통상의 기포제의 사용도 감소하게 하는 우수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헴프 섬유 제조 실시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헴프 섬유 제조 실시예]
헴프 줄기로부터 채취하여 건조된 헴프 섬유를 길이 5cm로 자른 후, 액체질소를 이용 급속동결시키고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평균0.41mm 두께로 곱게 분쇄 하였다 (도 1). 그 후 섬유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세균들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하여 멸균하여 헴프 섬유를 얻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제조
습윤제에 결합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미리 분산하고, 연마제 및 헴프 섬유 를 투입한 후 약 30 분간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포제와 향료제를 투입한 후 진공상태에서 20 분간 교반시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원에서 적용하는 치약의 주성분으로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10.00 중량부에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중량부, 아미노카프론산 0.10 중량부, 염화나트륨 2.00 중량부,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0.20 중량부, 분쇄된 헴프섬유 2.00 중량부, 습윤제로서 솔비톨(70%) 46.00 중량부, 습윤제로 글리세린 2.00 중량부, 습윤제로 폴리에칠렌글리콜1500 2.50 중량부, 보존제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5 중량부, 감미제로 자일리톨 0.10중량부, 감미제로 스테비오사이드 0.10 중량부, 점 도조절제로 함수규산(Tixosil 43K) 5.00 중량부, 점도조절제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0.80 중량부, 점도조절제로 알긴산나트륨 0.10 중량부, 기포제로 라우릴황산나트륨 2.00 중량부, 착향제로 차추출물 0.02 중량부, 착향제로 프로폴리스추출물 0.10 중량부, 착향제로 자몽종자추출물0.05 중량부, 착향제로 멘톨 0.10 중량부, 착향제로 향료 0.60 중량부 및 잔부는 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치약 조성물의 제조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의 조성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헴프 섬유를 제외하곤 구성성분 및 조성비는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배지의 제조예
미생물 배지로서는 구강세균을 배양 할 수 있는 Trytic Soy Agar(TSA)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Trytose 20.0g
Dextrose 1.0g
Disodium Phosphate 2.0g
Potassium Nitrate 1.0g
Agar 1.0g
상기 표는 구강세균 배지 조성표 (per 1L)에 관한 표이다.
제조과정은
(1) TSA 배지를 1차 증류수 1L당 25g을 넣어서 1분 동안 가열하였다.
(2) 121℃ 멸균기에 15분 동안 autoclave 시켰다.
(3) Petri Dish 위에 적당량을 부어서 천천히 굳혔다.
(4) 36.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지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강세균 배양실험
(1) 양치하기 전 타액과 치약으로 양치한 뒤의 타액을 각각 5분, 10분, 15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2) 양치하기 전 타액과 헴프 섬유를 첨가한 치약으로 양치한 뒤의 타액을 각각 5분, 10분, 15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3) 실험(1)과 (2)의 타액시료를 로 희석시킨 다음 sample들을 각각 20㎕씩 TSA배지에 도말하고 36.5℃ 항온기를 이용하여 18시간 배양한 다음 생성된 colony 수를 파악하였다.
양치 전 타액 양치 후 타액
sample 1-1 (양치 전 15분) sample 1-4 (양치 후 5분)
sample 1-2 (양치 전 10분) sample 1-5 (양치 후 10분)
sample 1-3 (양치 전 5분) sample 1-6 (양치 후 15분)
상기 표는 일반 치약 실험 - 양치 전 타액과 양치 후 타액 시료(대조군)를 나타낸다.
양치 전 타액 양치 후 타액
sample 2-1 (양치 전 15분) sample 2-4 (양치 후 5분)
sample 2-2 (양치 전 10분) sample 2-5 (양치 후 10분)
sample 2-3 (양치 전 5분) sample 2-6 (양치 후 15분)
상기 표는 헴프 섬유 치약 실험 - 양치 전 타액과 양치 후 타액 시료(실험군)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예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치약을 이용하여 실험한 실험(1)에서 양치 전 타액을 채취하여 구강세균을 배양한 결과 평균 482개의 colony가 생성되었고, 일반치약으로 양치 후 채취된 타액을 배양한 결과 평균 119개의 colony가 생성되었다. 양치 후 구강세균은 양치 전과 비교하여 약 75.3% 감소하였다.
양치 전 타액 양치 후 타액
sample 1-1 : 225개 sample 1-4 : 26개
sample 1-2 : 330개 sample 1-5 : 183개
sample 1-3 : 890개 sample 1-6 : 147개
평균 Colony 수 : 482개 평균 Colony 수 : 119개
상기 표는 일반치약 실험- 양치 전 타액과 양치 후 타액의 Colony 수를 나타낸다.
헴프섬유를 첨가한 치약을 이용한 실험(2)에서 양치 전 타액을 배양한 결과 평균 290개의 세균 colony가 생성되었지만 헴프섬유가 포함된 치약으로 양치한 후의 타액 배양에서는 평균 11개의 colony만이 생성되었다. 즉 양치 전과 비교하여 구강세균의 Colony 수는 약 96.2% 감소하였다.
양치 전 타액 양치 후 타액
sample 2-1 : 174개 sample 2-4 : 11개
sample 2-2 : 160개 sample 2-5 : 13개
sample 2-3 : 538개 sample 2-6 : 10개
평균 Colony 수 : 290개 평균 Colony 수 : 11개
상기 표는 헴프섬유 치약 실험 - 양치 전 타액과 양치 후 타액의 Colony 수를 나타낸다.
도 1은 분쇄시킨 헴프 섬유의 현미경 사진 (배율 x 50, 평균두께 0.41mm).
도 2는 헴프 섬유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3은 일반치약을 사용한 실험(1)의 세균배양 사진.
도 4는 헴프 섬유가 포함된 치약을 사용한 실험(2)의 세균배양 사진

Claims (11)

  1.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헴프 섬유의 함량이 전체 치약조성물에 대하여 0.1∼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헴프 섬유의 두께는 10∼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헴프 섬유의 길이는 10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이 액상, 페이스트 또는 투명 겔 타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7. a) 헴프 섬유를 절단하고,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한 헴프 섬유를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된 헴프 섬유를 연마제, 결합제, 보습제, 기포제, 감미료 및 향미제 성분이 배합된 믹스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a) 단계는 헴프 섬유를 절단 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헴프 섬유는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헴프 섬유의 입자의 두께는 10∼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헴프 섬유의 입자의 평균 길이는 10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15809A 2008-02-21 2008-02-21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096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9A KR100963301B1 (ko) 2008-02-21 2008-02-21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09A KR100963301B1 (ko) 2008-02-21 2008-02-21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539A true KR20090090539A (ko) 2009-08-26
KR100963301B1 KR100963301B1 (ko) 2010-06-11

Family

ID=4120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09A KR100963301B1 (ko) 2008-02-21 2008-02-21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982B1 (ko) 2021-06-03 2021-12-10 주식회사 이치데이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5813A (ja) * 1984-09-07 1986-04-04 Kazunari Yamamoto 咬み歯みがき
US5939049A (en) 1996-10-11 1999-08-17 Colgate-Palmolive Company Chewing stick made from natural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301B1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2725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mprising zinc oxide and zinc citrate
AU2005319183B2 (en)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oral care composition
CN100361646C (zh) 橄榄油在制备用于消除或减少口腔中菌斑和/或细菌的口腔卫生产品中的应用
KR20160098260A (ko) 구강 관리 조성물
CN104853734B (zh) 含有离子性液体的口腔护理组合物
KR20160096094A (ko) 세린 및 적어도 하나의 아연 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조성물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EP2399576B1 (en) Use of antibacterial compounds for the oral cavity hygiene
EP4044996B1 (en) Oral care composition
KR20160041408A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5402613B2 (ja) 歯磨組成物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00027746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100963301B1 (ko)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JP2005531556A (ja) 口腔衛生増進用組成物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2003246717A (ja) 口腔用組成物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665891B1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0860601B1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
KR101475594B1 (ko)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63731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JPH01246214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