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82B1 -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82B1
KR102337982B1 KR1020210072019A KR20210072019A KR102337982B1 KR 102337982 B1 KR102337982 B1 KR 102337982B1 KR 1020210072019 A KR1020210072019 A KR 1020210072019A KR 20210072019 A KR20210072019 A KR 20210072019A KR 102337982 B1 KR102337982 B1 KR 10233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mp seed
seed oil
toothpaste composition
he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치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치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치데이
Priority to KR102021007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염, 항균 성능이 우수하여 충치 또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hemp seed oi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염, 항균 성능이 우수하여 충치 또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치아와 구강질환에 대한 세계 보건기구의 연구 및 통계자료에 따르면 현재 문화권에 사는 사람의 97%가 구강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은 저섬유질 식품과 설탕의 과잉 사용으로 인한 것이며, 잇몸의 단맛 중독현상이 날로 증가하여 구강에 젖산의 침윤상태가 증가하고, 또한 젖산으로 인하여 입안에 세균 및 바이러스의 증가가 더욱 확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구강암의 사망율이 날로 증가하여 암 사망 7위를 차지하며, 잇몸 혈관의 바이러스 침식으로 인한 뇌경색증과 심장 관상동맥의 경색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구강질환은 구강 내의 수많은 세균으로 구성되는 치태에 의하여 야기되며, 구강 내에 많은 종류의 다양한 세균이 생육할 수 있는 이유는 세균의 발육에 적합한 환경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충치는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설탕이 여러 종류의 구강내 세균에 의해 작용을 받아 점착성 다당류를 생성하게 되어 각 세균이 치아표면에 부착되기 쉽게 되고, 세균이 모인 치태를 형성하며, 여기에 모인 세균은 당류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시키고, 이 산이 치아의 에나멜 표면을 탈회시켜 충치를 진행시킨다. 치태가 한층 더 진행되어 치석으로 발전하면 치육염, 치은염, 치조농루의 치주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항생제, 살균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J. Dent. Res., 25, 441(1946), J. Dent. Res., 31, 421(1966), J. Oral Ther. Pharmacol., 3, 157(1966), J. Am. Dent. Ass., 87 1006(1973)].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고 상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와 색소, 향료 등을 비롯하여 기타 필요한 성분을 적절히 가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들 치약 조성물은 치아의 세척이 주 목적이어서 치통이나 치주염 등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병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치아의 마모를 방지하고, 구강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치약 조성물에 함유할 천연물질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3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77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1-01124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6520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항균 성능이 우수하여 충치 또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은 대마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마씨 추출물,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점결제 및 감미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마씨 추출물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대마씨 오일 및 대마씨 발효 추출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대마씨 발효 추출물은 대마씨 분말 100중량부와, 대마씨 오일 30~50중량부와, 대마줄기로 이루어진 숯 분말 10중량부와, 물 70~9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마련하고, 상기 혼합물을 3~5일 동안 발효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올라이트를 비롯한 다공성 세라믹 산화물 분말재료 중에서 1종 혹은 다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황산염, 우릴황산나트륨, 나트륨라우로릴살코신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습윤제로 글리콜, 글리세린류가 포함된다. 세정력을 조절하기 위해 점결제 성분으로는 셀룰로오스 계열이나 알긴산 혹은 폴리비닐피롤리돈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아스파탐, 자일리톨, 크실리톨, 아라비톨 중에서 1종 또는 다종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은 항염, 항균 성능이 우수하여 충치 또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대마씨 오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대마씨 발효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대마씨를 탈피 과정별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대마씨 오일, 대마씨 발효 추출물 및 대마줄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는 상기 대마 추출물이 0.1 내지 5중량% 함유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대마씨 오일은 껍질을 제거한 대마씨를 저온, 압착하여 얻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대마씨 발효 추출물은 대마씨 분말 100중량부와, 대마씨 오일 30~50중량부와, 대마줄기로 이루어진 숯 분말 10중량부와, 물 70~9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마련하고, 상기 혼합물을 3~5일 동안 흑효모 발효한 다음 여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약 조성물은 대마씨 오일 2중량%, 실리카 15중량%와, D-소르비톨액 25중량%와, 글리세롤 10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황산염 3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와, 탄산칼슘 1중량%와, 자일리톨 0.5중량%와, 폴리비닐피롤리돈 1중량%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마씨 오일은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를 저온 압착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치약 조성물은 대마씨 오일 1중량%, 대마씨 발효 추출물 2중량%, 실리카 15중량%와, D-소르비톨액 25중량%와, 글리세롤 10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황산염 3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와, 탄산칼슘 1중량%와, 자일리톨 0.5중량%와, 폴리비닐피롤리돈 1중량%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마씨 발효 추출물은 대마씨 분말 100중량부와, 대마씨 오일 30~50중량부와, 대마줄기로 이루어진 숯 분말 10중량부와, 물 70~9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마련하고, 상기 혼합물을 3~5일 동안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기탁번호 KCTC 13548BP) 발효한 다음, 200mesh의 여과망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여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 2에서 사용한 대마씨 오일과,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폴리페놀 함량(mg/g) 31.26 69.87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24.41 32.08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항염 및 항산화 등의 생리 활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위 표 1을 참조하면, 대마씨 오일에 비해 대마씨 발효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2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0%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2의 치약 조성물에 대한 항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용 균주로는 충치와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균(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균(Streptococcus salivarius) 총 3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KS K0693 방법으로 항균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시험편과 대조편을 0.4g 준비하여 뚜껑을 가진 유리용기 안에 시험편을 넣고, 배양한 시험균주 0.2㎖를 취하여 각 유리용기에 있는 시험편 및 대조편 위에 골고루 살포되도록서 접종하였다. 접종한 후에 뚜껑을 막고, 37±1℃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계수하고 균감소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대조구(cfu/g) 시험구(cfu/g) 감소율(%)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 2.9×107 3.8×102 99.99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균 4.1×105 1.1×102 99.99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균 6.3×106 2.6×102 99.99
위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치약 조성물은 충치와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균주에 대한 항균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대마씨 오일 1중량%, 대마씨 발효 추출물 2중량%, 실리카 15중량%와, D-소르비톨액 25중량%와, 글리세롤 10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황산염 3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와, 탄산칼슘 1중량%와, 자일리톨 0.5중량%와, 폴리비닐피롤리돈 1중량%와,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대마씨 발효 추출물은 대마씨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대마씨 오일 30~50중량부와, 대마줄기로 이루어진 숯 분말 10중량부와, 물 70~9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마련하고, 상기 혼합물을 3~5일 동안 흑효모로 발효한 다음, 여과 및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2019A 2021-06-03 2021-06-03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233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019A KR102337982B1 (ko) 2021-06-03 2021-06-03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019A KR102337982B1 (ko) 2021-06-03 2021-06-03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82B1 true KR102337982B1 (ko) 2021-12-10

Family

ID=788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019A KR102337982B1 (ko) 2021-06-03 2021-06-03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06A (ko) 2022-02-15 2023-08-22 강신규 대마씨 오일 및 탈지 대마씨 분말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7A (ko) 1998-01-09 1999-08-05 남영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제
KR100963301B1 (ko) 2008-02-21 2010-06-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112498A (ko) 2010-04-07 2011-10-13 정명우 삼씨 기름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KR20190087701A (ko) 2018-01-16 2019-07-25 주식회사 퀀타머티리얼스 시린이 방지용 대마씨유와 참마를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7A (ko) 1998-01-09 1999-08-05 남영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제
KR100963301B1 (ko) 2008-02-21 2010-06-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112498A (ko) 2010-04-07 2011-10-13 정명우 삼씨 기름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KR20190087701A (ko) 2018-01-16 2019-07-25 주식회사 퀀타머티리얼스 시린이 방지용 대마씨유와 참마를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C. Yoon et al., Journal of Life Science 2018, 28(6), 688-69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06A (ko) 2022-02-15 2023-08-22 강신규 대마씨 오일 및 탈지 대마씨 분말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684A1 (en) Morinda Citrifolia-Based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7982B1 (ko) 대마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1635861B1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246068B1 (ko)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6061461B (zh) 口腔生物膜钙化抑制剂及口腔用组合物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431182B1 (ko) 발효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90087701A (ko) 시린이 방지용 대마씨유와 참마를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JP2019196329A (ja) 歯周病予防口腔用組成物
CN112294714B (zh) 包含有机磷酸酯和啤酒花提取物的口腔护理组合物
KR101875191B1 (ko) 등차를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
KR101021787B1 (ko) 잇몸질환과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CN114668803B (zh) 一种具有预防龋齿和牙周炎作用的漱口液的制备方法
KR102338682B1 (ko) 구강청정용 조성물
KR100963301B1 (ko)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343906B1 (ko) 세리신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RU2496469C2 (ru) Безабразивная зубная паста, содержащая фермент папаин, экстракт сфагнума, натрий-кальциевую соль сополимера полиметилвинилового спирта и малеиновой кислоты, d,l-пирролидонкарбоксилат n-кокоил этиларгината и натрия фтори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