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333A -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333A
KR20090088333A KR1020090011896A KR20090011896A KR20090088333A KR 20090088333 A KR20090088333 A KR 20090088333A KR 1020090011896 A KR1020090011896 A KR 1020090011896A KR 20090011896 A KR20090011896 A KR 20090011896A KR 20090088333 A KR20090088333 A KR 20090088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ading
unloading
car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랭 몰레
Original Assignee
포마갈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마갈스키 filed Critical 포마갈스키
Publication of KR2009008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7/00Russian swings; Great wheels, e.g. Ferri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61B12/022Vehicle receiving and dispatching devices
    • B61B12/024D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00Transferring passengers, articles, or freight to and from moving trains; Slipping or coupling vehicles from or to moving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카 (C) 가 폐회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운반 설비 (10) 의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은 폐회로의 일부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 되어 있는 제 1 부분 (T1,T3) 과 로프 (14,28) 에 결합되어 있는 보드 비히클 (V,Y) 상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16,29) 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분 (T2,T4) 을 갖는 폐루프의 로프 (14,28) 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 (14,28) 의 구동 수단은 제 1 부분 (T1,T3) 을 따라서 주행하는 각각의 비히클 (X,Y) 이 카 (C) 에 인접한 위치에 연속적으로 있게 하는 카 (C) 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프 (14,28) 의 작동 속도를 서보 제어하는 수단과 연합되어 있다.
Figure P1020090011896
운반 설비, 로딩 시스템, 언로딩 시스템

Description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ASSISTANCE SYSTEM IN LOADING/UNLOADING PASSENGERS IN CARS}
본 발명은 카 (C) 가 폐회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이동하는 운반 설비의 보드 카 상에서의 승객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대다수의 운반 설비는 마을 또는 스키장에서 사용되어, 사람 운송기를 구성하거나, 공공 장소에서 사용되어, 예를 들어 카를 현수하고 있는 수직형 페리스 대회전식 관람차 (Ferris wheel type) 의 놀이기구를 구성한다. 이 설비에서 사용되며 승객을 지지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카는, 적용에 따라, 곤돌라 카, 텔퍼 카 또는 오픈 캐빈, 또는 페리스 대회전식 관람차의 놀이기구의 캡슐의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카는 캐리 로프일 수도 있는 견인 로프를 사용하여 또는 페리스 대회전식 관람차의 놀이기구의 경우에는 회전 구조체에 캡슐이 결합되는 식으로, 폐회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동한다.
상기 설비는 폐회로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여 승객이 보드 카에 승차 및/또는 보드 카에서 하차하는 것을 허용한다. 로딩 및 언로딩 작동은, 승객 또는 승객들이 거의 즉시 보상되어야 하는 속도차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장 미묘한 것이다.
보드 카에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속도차는 문턱값 0.3 m/s 로 제한해야 한다. 그러한 제한은 폐회로를 따르는 일군의 카의 주행 속도가 상기 문턱값에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설비의 이러한 기능적 요건으로 인해, 매시간당의 승객 운반 역량은 상당히 제한되며, 설비 작업자와 승객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 목적은, 설비의 운반 역량의 제한 없이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하는 동안에 승객의 안정성 및 안락감을 향상시키는, 설비의 보드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 구동 수단 (M) 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폐회로의 일부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 되어 있는 제 1 부분 (T1,T3) 과, 적어도 이 제 1 부분 (T1,T3) 에서 카 (C) 사이의 간격의 배수에 해당하게 엇걸려서 로프 (14,28) 에 결합되어 있는 보드 비히클 (V,Y) 상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16,29) 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분 (T2,T4) 을 갖는 폐루프의 로프 (14,28), 및
- 제 1 부분 (T1,T3) 에 걸쳐서 각각의 비히클 (X,Y) 이 카 (C) 를 대면할 수 있게 각각의 비히클 (X,Y) 을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카 (C) 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프 (14,28) 의 작동 속도를 서보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이 설비의 보드 카에서 두 단계로 각각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수행한다. 제 1 유형의 환승은 승객이 시스템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과 시스템의 비히클 사이를 전후로 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제 2 유형의 환승은 승객이 시스템의 비히클과 설비의 카 사이를 전후로 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가지 유형의 환승은 카의 높이에서 수행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로딩과 언로딩 작업을 두개의 연속적인 환승으로 분리시키는 것은 제 1 속도차가 제 1 유형의 환승과 연합될 수 있게 하며 제 2 속도차가 제 2 유형의 환승과 연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원 시스템을 고려하여, 설비의 카와 지원 시스템의 비히클 사이의 제 2 환승이 폐회로를 따르는 카의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0 인 속도차를 유지하며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비의 계획된 시간당 승객 운반 역량에 관계없이, 제 2 유형의 환승시의 승객의 안정성은 완전하다. 그러므로 승객에 대해 있을 수 있는 위험은 시스템의 비히클과 시스템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사이의 제 1 유형의 환승에 전달된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지원 시스템의 적합한 설계에 의해 제 1 환승에 간편하게 0.3 m/s 이하, 이상적으 로는 0 의 수치가 할당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지원 시스템은 보드 카에서 카의 이동 속도와는 무관하게 로딩하고 언로딩 하는 작업에 대해 최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원 시스템은 운반 설비가 종래 기술보다 실질적으로 더 빠른 예를 들어 0.5 m/s 이상 빠른 카의 이동 속도를 가지며 시단당 큰 처리량을 가지고 작동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보드 카에서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대해 더 나은 안정성을 갖도록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원 시스템은 각 작업이, 예를 들어 0.3 m/s 이하의 속도차를 갖는 제 1 환승 (비히클-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과 실질적으로 0 인 속도차를 갖는 제 2 환승 (비히클-카) 으로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로프에 비히클을 결합시키는 수단은 비히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부착 그립에 의해 형성되고,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은 제 2 부에서 비히클의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를 가지는 환승로를 포함한다. 환승로의 적절한 속도 조정에 의해, 그러한 변형예는 시스템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과 시스템의 비히클 사이의 환승시 실질적으로 0 의 속도차가 유지되게 하며, 이로써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특징 중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의 비히클은 로프에 의해 형성된 폐루프의 주변부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 로프의 운동 시, 비히클을 안내하기 위해 로프에 대해 평행으로 주행 트랙 이 배치되어 있다.
- 각각의 비히클은, 주행 트랙에서 주행하는 캐리지와, 대응 캐리지에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부착되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 고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축선에 따라서 플랫폼의 방향을 캐리지에 대하여 맞추는 수단과, 상기 회전 축선 주위를 선회함으로써 플랫폼의 상태를 자동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 각각의 캐리지는 이 캐리지의 이동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1 휠과 제 2 휠 을 구비하며, 주행 트랙은, 제 1 휠과 제 2 휠 중 하나를 각각 수용하고 또한 주행 트랙을 따르는 캐리지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캐리지를 수평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수직 평면에 상대적으로 위치되는 독립적인 두 개의 안내 레일을 포함한다.
- 각각의 비히클은 후퇴 가능한 문턱을 갖추고, 이 문턱은 돌출 위치와 후퇴 사이에서 작동 수단에 의해 변하며, 돌출 위치는 적어도 제 1 부분에 있으며 비히클로부터 돌출하며 비히클과 인접 카 사이의 갭을 채울 수 있게 하는 위치이며, 후퇴 위치는 비히클내에 수용된 위치이다.
- 각각의 비히클은, 이 비히클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선회 축선 주위에서 경사 가능한 돌출 경사로와 비히클 사이의 각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경사로와 비히클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은 가변 평형사변형을 갖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지지 시스템은, 한편으로 근위 단부에서 비히클 상에 서로 평행으로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상기 경사로를 지지하는 두 개의 선회 아암, 다른 한편으로는 비히클에 대해 고정된 공간적 방 향을 가지고, 상기 선회 아암의 원위 단부에 관절 연결되어 있는 연결 요소, 및 마지막으로 선회 아암과 연결 요소 사이의 각도의 변화를 병진운동을 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로드를 구비하는 작동 잭을 포함한다.
- 폐회로는 수직 평면에 포함되는 원형을 가지며, 제 1 부분에 인접하는 주행 트랙 부분은 평행 수직 평면에 포함된 원의 호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의 운반 역량의 제한 없이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하는 동안에 승객의 안정성 및 안락감을 향상시키는, 설비의 보드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 는 승객 (P) 용 운반 장비를 도시하며, 이 운반 장비는 주로 폐회로에서 카 (C) 를 운반하는 운반 설비 (10) 와, 보드 카 (C) 에 로딩시키는 로딩 지원 시스템 (11), 및 언로딩 지원 시스템 (12) 으로 구성된다.
비제한적으로 서술되는 특정 실시예에는, 운반 설비 (10) 가 캡슐로 형성된 카 (C) 를 현수하고 있는 페리스 대회전식 관람차 (Ferris wheel type) 의 놀이기구에 의해 형성된다. 운반 설비 (10) 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고정하여 유지되어 수평 축선 (D) 의 주변을 회전하는 순환 중앙 구조부 (13) 를 사용한다. 카 (C) 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링크를 이용하여 구조부 (13) 의 주변에 카 (C) 가 부착되어 있다.
작동시, 운반 설비 (10) 는 카 (C) 의 전체 세트의 균일한 운동을 보장한다. 더 정확하게, 카 (C) 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 (구조부 (13) 의 회전 각속도와 구조부 (13) 의 반경의 곱과 동일) 로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이동한다. 이동시, 카 (C) 는 순환 병진 이동을 한다. 그 결과, 모든 카 (C) 가 순환 병진 방향으로 그리고 그와 동일한 가공의 순환 폐회로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이 폐회로는 구조부 (13) 가 완전하게 회전할 때의 카 (C) 의 순환 경로에 대응하는 것이다.
운반 설비 (10) 는, 이 설비의 하부에서 즉, 구조부 (13) 가 위치되어 있는 지면 근처에서 승객 (P) 이 설비 (10) 의 보드 카 (C) 에 승차할 수 있게 도우며 그 전에 승차한 승객 (P) 은 카 (C) 에서 하차할 수 있게 돕는 두 개의 각각 독립적인 시스템 (11,12) 을 구비한다. 지원 시스템 (11,12) 은 운반 설비내에 승객 (P) 이 일방향 이동을 유지할 수 있게 중앙 구조부 (13) 의 수직 평면 (X) 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시스템 (11,12) 의 대칭 설계로 인해, 로딩 지원 시스템 (11) 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딩 지원 시스템 (11) 은, 수직 평면 (X) 과 평행하여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 두 개의 불 휠 (bull-wheel) (15a,15b) 의 단부를 지나가는 폐루프에 배치되는 로프 (14) 를 포함한다. 불 휠 (15a,15b) 은 각각 운전 상태와 느슨한 상태에 있다. 전기 모터 (M) 가 카운터 기어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불 휠 (15a) 이 단일 회전 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는 것을 보장한다. 감속기, 카운터 기어 및 저속 그리고 고속 샤프트와 연합되어 있는 전기 모터 (M) 는 로프 (14) 를 일방향 작동 이동시키는 로프 (14) 의 구동 수단을 구성한다. 불 휠 (15a, 15b) 사이에 뻗어 있는 로프 (14) 부분에 상응하는 로프 (14) 의 각각의 스트렌드는, 로프 (14) 에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비히클 (V) 의 일방향 주행을 위해 실질적으로 직선 트랙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연속하는 두 개의 비히클 (V)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며, 이 간격은 설비 (10) 의 카 (C) 사이의 간격의 배수에 해당하는 스태거 (stagger) 를 구성할 수 있게 선택된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속하는 두 개의 비히클 (V) 사이의 간격은 두 카 (C)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A-A 평면에 포함되는, 불 휠 (15a,15b) 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과 수직 평면 (X) 사이의 오프셋이 조정되어, 구조부 (13) 에 더 근접해 있는 로프 (14) 의 스트렌드는, 카 (C) 가 따라서 이동하는 일부 폐회로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로프 (14) 의 제 1 부분 (T1) 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부분 (T1) 상에서 주행하는 비히클 (V) 이 카 (C) 가 이동하는 방향 (도 1 의 화살표 F2 방향) 과 동일한 방향 (도 1 의 화살표 F1 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로프 (14) 의 작동 방향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제 1 부분 (T1) 은 일방향 주행 트랙을 구성하며, 이 트랙은 카 (C) 의 폐회로에 접하며 이 주행 트랙을 따라 비히클 (V) 이 카 (C) 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비히클 (V) 은 제 1 부분 (T1) 에서 주행한 후에, 로프 (14) 의 반대편 스트렌드로 구성된 평행 일방향 주행 트랙상에서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제 1 부분 (T1) 의 반대편 주행 트랙을 따라서 보드 비히클 (V) 상의 승객 (P) 의 로딩 영역 (16) 이 배치된다. 이 트랙 중 로딩 영역 (16) 과의 연속 부분은, 로딩 영역 (16) 을 따라 배치된 로프 (14) 의 제 2 부분 (T2) 을 구성한다.
비히클이, 비히클 (V) 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부착 그립 (17) 을 사용하여 로프 (14) 에 일정하게 결합된다. 로프 (14) 의 불가피한 신장에도 불구하고 제때에 일정한 인장력을 보장하기 위해, 느슨한 불 휠 (15b) 이 예를 들어 평형추 또는 유압 잭의 작용을 이용하여 로프 (14) 의 인장력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 (18) 와 연합된다. 로프 (14) 의 신장에도 불구하고 비히클 (V) 사이의 규칙적인 간격 및 조정 기구 (18) 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비히클 (V) 은 로프 (14) 에 의해 형성된 폐루프의 주변의 조정 수단 (미 도시) 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폐루프에 로프 (14) 를 형성하는 것은, 로프 (14) 의 형성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각각의 자유단에 헤드를 고정시키고, 그리고 나서 두 개의 헤드를 하나의 비히클 (V) 에 고정되어 부착된 연결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나서, 연결부가 헤드의 고정 영역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조정 수단이 이루어진다.
로프 (14) 의 구동 수단은 카 (C) 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프 (14) 의 주행 속도를 서보 제어하는 수단 (미 도시) 과 연합된다. 서보 제어 수단은 카 (C) 에 인접한 위치에 제 1 부분 (T1) 상을 주행하는 각각의 비히클 (V) 을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인접한 위치라는 것은 비히클 (V) 과 카 (C) 가 수직 평면 (X) 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카 (C) 에 대한 비히클 (V) 의 상대적인 배치에 대응한다. 상기 서보 제어 수단은, 카 (C) 를 탐지하는 제 1 존재 센서와 비히클 (V) 을 탐지하는 제 2 존재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기 모터 (M)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미 도시) 에 일체화될 수 있다.
보드 비히클 (V) 에서 로딩되는 순간, 제 2 부분 (T2) 에 접하는 로딩 영역 (16) 에서 속도차를 조정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로딩 영역 (16) 은 제 2 부분 (T2) 에서 비히클 (V) 의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를 갖는 환승로 (19) 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치한다는 것은 비히클 (V) 과 환승로 (19) 가 수직 평면 (X) 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비히클 (V) 이 환승로 (19) 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시된 로딩 지원 시스템 (11) 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비히클 (V) 은 폐쇄 루프에서 주행 트랙 (21) 상을 주행하는 캐리지 (20) 와, 고정 수단에 의해 대응 캐리지 (20) 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플랫폼 (22) 을 포함한다. 전체 로프 (14) 의 길이에 걸쳐 주행 트랙 (21) 이 로프 (14)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로프의 운동시 비히클 (V) 을 안내한다. 주행 트랙 (21) 은, 비히클 (V) 을 안내하는 기능 외에도, 각각의 비히클 (V) 의 전체 중량을 지탱하는 목적을 수행하며 이로써 주행 로프 (14) 에 할당되는 기능만이 비히클 (V) 을 구동시키는 수행을 하게 된다.
운반 설비 (10) 가 카 (C) 를 현수하고 있는 페리스 대회전식 관람차의 놀이기구일 경우, 카 (C) 가 따라서 이동하는 가상의 폐회로는 구조부 (13) 의 수직 중간 평면 (X) 에 일치하는 수직 평면에 포함된 원형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부분 (T1) 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폐회로의 일부는 수직 평면 (X) 에 포함되는 원의 호의 형상을 갖는다. 제 1 부분 (T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비히클 (V) 이 카 (C) 에 대하여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로프 (14) 의 제 1 부분 (T1) 을 접하는 주행 트랙 (21) 부분은 수직 평면 (X) 에 평행하는 수직 평면 (Z) 에 포함되는 원의 호의 형상을 갖는다.
보드 비히클 (V) 에 더 자세하게는 플랫폼 (22) 에 승차한 승객 (P) 에게 안락감을 주기 위해서는, 플랫폼 (22) 이 제 1 부분 (T1) 에 인접하는 주행 트랙 (21) 부분을 따라 비히클 (V) 의 위치에는 상관없이 수평 위치에 유지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제 1 해결 방안은 캐리지 (20) 와 플랫폼 (22) 사이에 고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며, 이 고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축선에 따라서 플랫폼 (22) 의 방향을 캐리지 (20) 에 대하여 맞추는 수단과, 상기 회전 축선 주위를 선회함으로써 플랫폼 (22) 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플랫폼 (22) 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유지시키는 기구는, 플랫폼 (22) 의 위치가, 플랫폼 (22) 에 대한 회전 축선 주변에서의 캐리지 (20) 의 각도 방향에 관계없이, 지면에 대해 수평 유지되게 한다.
도 2 에는 제 2 해결 방안이 나타나 있다. 각각의 캐리지 (20) 는,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수직 중간 평면의 일측에서, 캐리지 (20) 의 운동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1 휠 (23a) 과 제 2 휠 (24a) 을 구비한다. 주행 트랙 (21) 이 독립적인 두개의 안내 레일 (25a,26a) 을 포함한다. 안내 레일 (25a) 은 제 1 휠 (23a) 을 수용하여 제 1 휠을 주행시키고 안내하는 것을 보장하고, 안내 레일 (26a) 은 제 2 휠 (24a) 을 수용하여 제 2 휠을 주행시키고 안내하는 것을 보장한다. 레일 (25a, 26a) 은, 주행 트랙 (21) 을 따르는 캐리지 (20) 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 평면에서 이 캐리지 (20) 가 수평 유지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위치하 여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 (T1) 에 인접하는 주행 트랙 (21) 부분의 일 지점에서의 레일 (25a,26a) 사이의 오프셋이 α 이고, 수평에 대한 상기 지점에서의 레일 (25a,26a) 에 의한 형성 각도가 φ 이면, α= L.sin (φ) 이다 (여기서 L 은 휠 (23a,24a) 을 분리하는 길이). 각각의 캐리지 (20) 는,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수직 중간 평면의 타측에서, 캐리지 (20) 의 이동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1 휠 (23b) 과 제 2 휠 (24b) 을 구비하며, 주행 트랙 (21) 에 속하고 레일 (25a,26a) 과 같은 특성을 갖는 독립된 두 개의 안내 레일 (25b, 26b) 에서 주행한다. 모든 레일 (25a,25b,26a,26b) 은 로프 (14) 의 제 1 부분 (T1) 에 인접하는 부분의 외부에서 동면에 그리고 수평하게 있어서, 비히클 (V) 을 수평면에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각각의 비히클 (X) 은 후퇴가능한 문턱 (retractable sill) (27) 을 갖추고, 이 문턱은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작동 수단 (미 도시) 에 의해 변하며, 돌출 위치는 적어도 제 1 부분 (T1) 에 있으며 비히클 (V) 로부터 돌출하여 비히클 (V) 과 인접 카 (C) 사이의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게 하는 위치이며, 후퇴 위치는 비히클 (V) 내에 수용된 위치이다. 후퇴가능한 문턱 (27) 의 작동은, 제 2 부분 (T2) 에서 이동하는 동안, 비히클 (V) 과 환승로 (19) 사이의 갭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울 수 있도록, 돌출 위치 까지 또는 그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 계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또는 피스톤에 의한 솔루션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작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운반 설비 (10) 의 보드 카 (C) 상에 승객 (P) 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승차 한다. 제 1 단계에서는 그 전에 로딩 영역 (16) 의 플랫폼에 있던 승객이 로딩 영역 (16) 의 환승로 (19) 로 이동한다(도 1 의 화살표 F3). 승객 (P) 과 환승로 (19) 사이에 속도차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승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환승로 (19) 가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작업은 위험하지 않다. 환승로 (19) 의 속도는 예를 들어 제 2 부분 (T2) 을 따라서 비히클 (V) 의 운동 속도와 같아지도록 조정된다. 그러한 변형예는 승객 (P) 이 로딩 영역 (16) 에서 비히클 (V) 까지 제 1 환승하는 동안에 더 나은 안정성을 위해 속도차를 0 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나서 승객 (P) 이 승차한 비히클 (V) 은 로프 (14) 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고, 그와 동시에 주행 트랙 (21) 에 의해 안내된다. 로프 (14) 의 구동 수단에 연합된 서보 제어 수단은, 비히클 (V) 이 카 (C) 에 인접해 있는 위치에 있도록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제 1 부분 (T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카 (C) 를 대면하면서 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리고 나서 비히클 (V) 에서부터 보드 카 (C) 상의 승객 (P) 의 환승이 0 의 속도차를 가지고 일어난다. 게이트 베리어 또는 착지 도어형의 안정 기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제 1 부분 (T1) 의 일부상의 환승이 허여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환승 후에, 비히클 (V) 이 새로운 로딩을 위해 제 2 부분 (T2) 의 방향으로 로프 (14) 에 의해 되돌아오게 된다.
전술한 로딩 지원 시스템 (11) 이외에, 운반 장비는 수직 평면 (X)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로딩 지원 시스템 (11) 과 유사한 언로딩 지원 시스템 (12) 을 포함한다. 로딩 시스템 (11) 과 유사한 방식으로, 언로딩 지원 시스템 (12) 은,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폐쇄 루프의 로프 (28) 를 포함하며, 이 로프 는 폐쇄 루프의 일부에 대해 접선방향에 배치된 제 1 부분 (T3) 과, 로프 (28) 에 고정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카 (C) 사이의 간격의 배수와 동일한 규칙적인 스테거를 가진 비히클 (Y) 에서부터 승객 (P) 의 언로딩 영역 (29) 을 따라 배치된 제 2 부분 (T4) 을 갖는다. 또한 로프 (28) 의 구동 수단은 카 (C) 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프 (28) 의 주행 속도의 서보 제어 수단과도 연합되어 카 (C) 를 대면하는 제 1 영역 (T3) 상을 주행하는 각각의 비히클 (Y) 을 연속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이때 로프의 구동 수단은 동일한 방향 (화살표 F4) 으로 작동한다. 로프 (14) 의 제 1 부분 (T1) 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폐회로의 일부는, 로프 (28) 의 제 1 부분 (T3) 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폐회로의 일부와 일치한다. 언로딩 영역 (29) 이 제 2 부분 (T4) 을 포함하는 외부 주행 트랙의 시작 지점에 위치되어 있으며 로딩 영역 (16) 이 제 2 부분 (T2) 을 포함하는 외부 주행 트랙의 끝 지점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 (11) 과 시스템 (12) 사이의 차이가 발생한다.
운반 설비 (10) 의 보드 카 (C) 상에 승객 (P) 이 이하의 방법에 따라 하차한다. 모든 비히클 (Y) 은 로프 (28) 에 고정하여 결합되어 제 1 부분 (T3) 에 대면하는 카 (C) 에 인접하는 위치로 제 1 부분 (T3) 상에서 구동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0 인 속도차로 그 전에 카 (C) 에 있던 승객 (P) 이 인접한 비히클 (Y) 로 환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한 방식으로, 로딩 지원 시스템 (11) 의 인접한 비히클 (V) 을 구비하는 게이트 베리어 또는 랜딩 도어형의 안정 기구의 작용은, 필요한 경우에만, 비히클 (Y) 이 카 (C) 에 인접해 있는 위치에 있는 선 설 정된 시간 지연 후에 허여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예는 카 (C) 로부터 언로딩 지원 시스템 (12) 의 비히클 (Y) 로의 환승을 가능하게 하여 로딩 지원 시스템 (11) 의 비히클 (V) 에서부터 카 (C) 로의 환승 보다 더 빨리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카 (C) 로부터 비히클 (Y) 로의 환승 후에, 비히클 (Y) 은 제 2 부분 (T4) 의 방향으로 로프 (28) 에 의해 이동된다. 언로딩 플랫폼 (29) 은 제 2 부분 (T4) 에서 비히클 (Y) 의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를 갖는 환승로 (30) 를 구비한다. 환승로 (30) 의 속도는 예를 들어 제 2 부분 (T4) 을 따르는 비히클 (Y) 의 이동 속도와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조정된다. 그러한 변형예는 승객 (P) 이 비히클 (Y) 에서부터 언로딩 영역 (29) 으로 환승할 때 더 나은 안정성을 위해 속도차가 실질적으로 0 으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환승로 (30) 에 있던 승객 (P) 은 언로딩 영역 (29) 의 플랫폼으로 이동한다(도 1 의 화살표 F5). 승객 (P) 과 플랫폼 사이의 속도차가 존재하는 동안에 승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속도차가 보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은 위험하지 않다.
승객이 환승로 (19) 에 올라탈 때와 승객이 환승로 (19) 에서 나와 언로딩 영역 (29) 의 플랫폼으로 들어갈 때 각각 겪게 되는 속도차를 제한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환승로 (19,30) 의 속도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지원 시스템 (11,12) 을 위해 로프 (14,28) 가 일정한 속도로 구동될 지라도, 각각 일련의 상응하는 비히클 (V,Y) 이 로딩 영역 (16) 및 언로딩 영역 (29) 을 따라 위치되는 순간에 각 로프는 느려지거나 멈출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유익하게 환승로 (19,30) 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를 제거한다.
변형예에서, 비히클 (V,Y) 이 분리가능한 종류의 부착 그립을 사용하여 해당 로프 (14,28) 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립의 분리 시스템이 제 2 부분 (T2,T4) 로부터 상행으로 나란히 제공되고 로프 (14,28) 의 그립의 결합 시스템은 제 2 부분 (T2,T4) 으로부터 하행으로 나란히 제공된다면, 그러한 변형예는 속도차를 줄이거나 또는 제거하고 동시에 환승로 (19,30) 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로딩 영역 (16) 또는 언로딩 영역 (29) 과 비히클 (V,Y) 사이의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분리 상태의 비히클 (X,Y) 은 로프 (14,28) 로부터 독립적인 이동 수단에 의해 움직임이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된 변형예와는 상관 없이, 카 (C) 에 인접한 위치에서 비히클 (V,Y) 을 동시 구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로프 (14,28) 의 제 1 부분 (T1,T3) 에 해당하는 로프 (14,28) 에 비히클 (V,Y) 이 결합된 상태에 있다.
전술한 비히클 (X,Y) 은 예를 들어 로프 (14,28) 에 현수되어 있는 유형에 상당하는 임의의 동급 비히클로 교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그러한 경우에 는 로프 (14,28) 가 비히클의 지지 및 안내 기능도 수행하여야 한다. 사용되는 비히클의 유형에 따라, 주행 트랙 (21) 은 해당 로프 (14,28) 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 루프의 일부에만 인접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다.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지원 시스템 (11,12) 은 로프의 단일 폐루프를 사용하는 단일 로딩 및 언로딩 지원 시스템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단지 일련의 비히클만이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변형예는 비히클에서 카 (C) 로 그리고 카 (C) 에서 비히클로의 환승 간에 적절한 동기성을 요 구한다.
도 5 및 도 6 에서, 비히클 (X,Y) 은 개량된 것이다. 각 도면에서, 후퇴가능한 문턱 (27) 이 비히클 (V,Y) 의 이동 방향에 일치하는 선회 축선 주변에서 경사질 수 있으며 비히클 (X,Y) 에서부터 돌출된 경사 가능 보행 경사로 (31) 로 교체된다. 경사로 (31) 와 비히클 (V,Y)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도 5 에서는 예를 들어 경사 가능 경사로 (31) 가, 플랫폼 (22) 과 카 (C) 의 플로어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수평선상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7 도의 각도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도 6 에서는 경사 가능 경사로 (31) 가 플랫폼 (22) 과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있으며 환승로 (19,30) 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경사 가능 경사로 (31) 와 비히클 (V,Y)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은 수직 평면에서 가변 평행 사변형을 갖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지지 시스템은,
- 근위 단부 (32a,33a) 에서 비히클 (V,Y) 상에 서로 평행으로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아암 (32) 은 상기 경사 가능 경사로 (31) 를 지지하는, 두 개의 선회 아암 (arms) (32,33),
- 비히클 (V,Y) 에 대해 고정된 공간적 방향을 가지고, 상기 선회 아암 (32,33) 의 원위 단부 (32b,33b) 에 관절 연결되어 있는 연결 요소 (34), 및
- 선회 아암 (32,33) 과 연결 요소 (34) 사이의 각도의 변화를 병진운동을 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로드 (36) 를 구비하는 작동 잭 (35) 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선회 아암 (32,33) 의 근위 단부 (32a,33a) 는 수직방향으로의 두개의 중첩 지점에서 플랫폼 (22) 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선회 아암 (32,33) 의 선단 (32b,33b) 은 연결 요소 (34) 의 수직 분지부 (34a) 의 단부에 관절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으며(또는 거꾸로, (연결 요소 (34) 의 수직 분지부 (34a) 가) 선단 (32b,33b) 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분지부는 비히클 (X,Y) 에서 떨어져서 대면하는 수평 분지부 (34b) 와 함께 브라켓 형상을 갖는다. 가변 평행 사변형의 원리에 따라, 수직 분지부 (34a) 와 수평 분지부 (34b) 는, 각각 평행 사변형의 변형 상태와는 관계없이 즉, 선회 아암 (32,33) 과 비히클 (V,Y)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에 관계없이, 수직과 수평을 각각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사 가능 경사로 (31) 가 적합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상부 선회 아암 (32) 및 선회 아암 (33) 에도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로드 (36) 는 그 선단이 상부 선회 아암 (32) 의 중간 영역에서 연결되어 있다. 로드 (36) 는 공기나 기름과 같은 압력 유체의 작용으로 인하여 작동 잭 (35) 의 관형 본체 (37) 에서 직선 병진운동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로드 (36) 의 출구 개구로부터 반대측에는, 본체 (37) 가 선회 아암 (33) 의 근위 단부 (33a) 의 연결부 근방에서 비히클 (X,Y) 에, 더 자세하게는 플랫폼 (22) 에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슬라이딩 로드 (36) 의 연장 운동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 가능 경사로 (31) 의 경사 각을 증가시킨다. 이와는 반대 방식으로, 슬라이딩 로드 (36) 의 수축 운동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 가능 경사로 (31) 의 경사 각도 를 감소시킨다. 슬라이딩 로드 (36) 의 연장 상태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경사로 (31) 의 경사각은, 언제나 제 1 부분 (T1,T3) 을 따라, 카 (C) 의 플로어와 같은 높이에 수평 분지부 (34b) 를 (이 수평 분지부 아래에서 가압하며) 유지시키며, 카 (C) 의 플로어와 플랫폼 (22) 간의 높이 차이를 보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보완적 방식으로, 경사로 (31) 의 경사각은, 언제나 제 2 부분 (T2,T4) 을 따라 환승로 (19,30) 와 같은 높이에 수평 분지부 (34b) 를 (이 수평분지부 상에서 가압하며) 유지시키며, 환승로 (19,30) 와 플랫폼 (22) 간의 높이 차이를 보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경사로 (31) 와 비히클 (X,Y) 사이의 각을 변화시키는 수단과 연합된 경사 가능 경사로 (31) 는 플랫폼 (22) 과 카 (C) 의 플로어 또는 환승로 (19,30) 사이의 높이 차이가 보상되게 그리고 상기 요소들 사이의 수평 차이도 보상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이, 연결 요소의 수평 분지 (34b) 를 각각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하여 카 (C) 의 플로어와 환승로 (19,30) 에 대해 가압하는 이유이다.
전술한 경사로 (31) 와 비히클 (X,Y) 사이의 각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단지 실시하기에 간편한 특정 실시예일 뿐이며, 임의의 적합한 유사 해결 방안으로 교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폐회로에서의 카의 임의의 운반 설비, 특히 고속 주행 속도 (0.5 m/s 이상) 를 갖는 견인 로프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고정된 그립을 갖는 곤돌라 카와 같은 임의의 사람 운송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원 시스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운반 설비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서 도시된 A-A 수직 단면에 있어서 도 1 의 장치의 하부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A-A 단면에 있어서 도 1 의 장치의 하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3 의 왼쪽 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 은 개량된 비히클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Claims (11)

  1. 카 (C) 가 폐회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이동하는 운반 설비 (10) 의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에 있어서,
    - 구동 수단 (M) 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폐회로의 일부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 되어 있는 제 1 부분 (T1,T3) 과, 적어도 이 제 1 부분 (T1,T3) 에서 카 (C) 사이의 간격의 배수에 해당하게 엇걸려서 로프 (14,28) 에 결합되어 있는 보드 비히클 (V,Y) 상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16,29) 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분 (T2,T4) 을 갖는 폐루프의 로프 (14,28), 및
    - 제 1 부분 (T1,T3) 에 걸쳐서 각각의 비히클 (X,Y) 이 카 (C) 를 대면할 수 있게 각각의 비히클 (X,Y) 을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카 (C) 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프 (14,28) 의 작동 속도를 서보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14,28) 에 비히클 (V,Y) 을 결합시키는 수단은 비히클 (V,Y) 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부착 그립 (17) 에 의해 형성되고, 로딩 및/또는 언로딩 영역 (16,29) 은 제 2 부분 (T2,T4) 에서 비히클 (V,Y) 의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를 가지는 환승로 (19,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히클 (V,Y) 은 로프 (14,28) 에 의해 형성된 폐루프의 주변부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운동 시, 비히클 (V,Y) 을 안내하기 위해 로프 (14,28) 에 대해 평행으로 주행 트랙 (21) 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히클 (V,Y) 은, 주행 트랙 (21) 에서 주행하는 캐리지 (20) 와, 대응 캐리지 (20) 에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부착되는 플랫폼 (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축선에 따라서 플랫폼 (22) 의 방향을 캐리지 (20) 에 대하여 맞추는 수단과, 상기 회전 축선 주위를 선회함으로써 플랫폼 (22) 의 상태를 자동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캐리지 (20) 는 이 캐리지 (20) 의 이동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1 휠 (23a,23b) 과 제 2 휠 (24a,24b) 을 구비하며, 주행 트랙 (21) 은, 제 1 휠과 제 2 휠 (23a,23b,24a,24b) 중 하나를 각각 수용하고 또한 주행 트랙 (21) 을 따르는 캐리지 (20) 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캐리지 (20) 를 수평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수직 평면에 상대적으로 위치되는 독립적인 두 개의 안내 레일 (25a,25b,26a,26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히클 (X,Y) 은 후퇴 가능한 문턱 (27) 을 갖추고, 이 후퇴 가능한 문턱은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작동 수단에 의해 변하며, 돌출 위치는 적어도 제 1 부분 (T1,T3) 에 있으며 비히클 (X,Y) 로부터 돌출하여 비히클 (V,Y) 과 인접 카 (C) 사이의 갭을 채울 수 있게 하는 위치이며, 후퇴 위치는 비히클 (V,Y) 내에 수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비히클 (V,Y) 은, 이 비히클 (V,Y) 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선회 축선 주위에서 경사 가능한 돌출 경사 로 (31) 와, 이 경사로 (31) 와 비히클 (V,Y) 사이의 각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 (31) 와 비히클 (X,Y)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은 가변 평형사변형을 갖는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지지 시스템은,
    - 근위단부 (32a,33a) 에서 비히클 (V,Y) 상에 서로 평행으로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아암 (32) 은 상기 경사로 (31) 를 지지하는, 두 개의 선회 아암 (32,33),
    - 비히클 (V,Y) 에 대해 고정된 공간적 방향을 가지고, 상기 선회 아암 (32,33) 의 원위 단부 (32b,33b) 에 관절 연결되어 있는 연결 요소 (34), 및
    - 선회 아암 (32,33) 과 연결 요소 (34) 사이의 각도의 변화를 병진운동을 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로드 (36) 를 구비하는 작동 잭 (3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회로는 수직 평면 (X) 에 포함되는 원형을 가지며, 제 1 부분 (T1,T3) 에 인접하는 주행 트랙 (21) 부분은 평행 수직 평면 (Z) 에 포함된 원의 호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카 (C) 상에서의 승객 (P) 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지원 시스템 (11,12).
KR1020090011896A 2008-02-14 2009-02-13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 KR20090088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0725A FR2927598A1 (fr) 2008-02-14 2008-02-14 Systeme d'aide a l'embarquement et/ou au debarquement de passagers a bord de cabines
FR0800725 2008-02-14
FR0801209A FR2927599A1 (fr) 2008-02-14 2008-03-05 Systeme d'aide a l'embarquement et/ou au debarquement de passagers a bord de cabines
FR0801209 2008-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333A true KR20090088333A (ko) 2009-08-19

Family

ID=3976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96A KR20090088333A (ko) 2008-02-14 2009-02-13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05530A1 (ko)
EP (1) EP2108560A1 (ko)
JP (1) JP2009254801A (ko)
KR (1) KR20090088333A (ko)
CA (1) CA2652950A1 (ko)
FR (2) FR29275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7515A (zh) * 2018-04-20 2018-08-03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高铁快速运输方式
CN108482417A (zh) * 2018-04-25 2018-09-04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轻轨快速运输方式
CN108515975A (zh) * 2018-04-19 2018-09-11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不停车上下乘客的高铁运输方式
CN108657220A (zh) * 2018-05-23 2018-10-16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同速对接的高铁运输方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3133B2 (en) * 2009-09-22 2013-11-05 Pomagalski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comprising independent vehicles travelling on tracks and hauled by cable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assengers
JP5398578B2 (ja) * 2010-02-23 2014-01-29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設備の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可動ステップ
JP5484196B2 (ja) * 2010-05-26 2014-05-07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懸垂式客車の振れ制止装置
US10577109B2 (en) * 2017-03-16 2020-03-03 Sanskar Agrawal System and method for deplaning and boarding airplanes
CN112550422B (zh) * 2021-01-15 2022-08-09 义乌市旻具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冰雪路面物流运输小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4134A (en) * 1932-10-29 1936-06-1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Transportation apparatus
GB733952A (en) * 1953-04-24 1955-07-20 Adamson Stephens Mfg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portation apparatus
FR2036266A5 (ko) * 1969-03-10 1970-12-24 Alsthom
CH527721A (fr) * 1970-07-21 1972-09-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Installation de transport
AU506953B2 (en) * 1976-02-17 1980-01-31 Centre Stephanois De Recherches Mecaniques Hydromecanique Et Frottement S.A. Continuous tracked transport system
CH631393A5 (fr) * 1979-05-04 1982-08-13 Roger Bajulaz Dispositif de transport a moyennes distances.
US4509429A (en) * 1980-03-06 1985-04-09 Broqueville Axel De Transportation system utilizing a stretchable train of cars and stretchable bandconvey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5975A (zh) * 2018-04-19 2018-09-11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不停车上下乘客的高铁运输方式
CN108357515A (zh) * 2018-04-20 2018-08-03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高铁快速运输方式
CN108482417A (zh) * 2018-04-25 2018-09-04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轻轨快速运输方式
CN108657220A (zh) * 2018-05-23 2018-10-16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同速对接的高铁运输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7598A1 (fr) 2009-08-21
JP2009254801A (ja) 2009-11-05
US20090205530A1 (en) 2009-08-20
FR2927599A1 (fr) 2009-08-21
EP2108560A1 (fr) 2009-10-14
CA2652950A1 (en)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333A (ko) 카에서의 승객의 로딩/언로딩 지원 시스템
US7823511B2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individuals
KR20090068160A (ko) 곤돌라 차가 매달린 페리스 휠 형 탑승 놀이기구
US4550663A (en)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 cable drawn vehicle
JP2690306B2 (ja) 空中ロープウエイ輸送装置
HUE032206T2 (hu) Berendezés jármûkarosszériák felületi kezelésére
HU218452B (hu) Berendezés vágánymezők szállítására
KR20080051083A (ko) 가공삭도 시스템의 주행 작동 수단의 저장 장치
US5647281A (en) Semi-rigid, fin-based transportation system
JPS5921401B2 (ja) 車両輸送装置
US20220062779A1 (en) Towing vehicle
WO1997009214A9 (en) Semi-rigid, fin-based transportation system
CN101804816A (zh) 乘员登上/走出座舱的辅助系统
CN101104408B (zh) 具有至少一个运送索缆的索道系统
JPH05131920A (ja) 軌条走行併用ハイブリツド型循環式索道
JPH08103510A (ja) 救助装置
US20240174269A1 (en) Parking system for a circulating cableway
CN114269665A (zh) 混合式缆索/轨道运输系统
JPH02311601A (ja) 空中ロープウェイ輸送設備
JPH0891208A (ja) 索道設備における救助装置
JPH05162635A (ja) 支索走行及び軌条走行併用懸垂式輸送設備
JP4227856B2 (ja) 観覧車の乗降装置
SU279435A1 (ru) ПОДВЕСНАЯ МОНОРЕЛ{гСОВАЯ ДОРОГА
SU581023A2 (ru) Подвесной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конвейер
JPH01175560A (ja) 索道の搬器握索機の中間回送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